KR101581038B1 - 영상투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벌룬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투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벌룬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038B1
KR101581038B1 KR1020140065444A KR20140065444A KR101581038B1 KR 101581038 B1 KR101581038 B1 KR 101581038B1 KR 1020140065444 A KR1020140065444 A KR 1020140065444A KR 20140065444 A KR20140065444 A KR 20140065444A KR 101581038 B1 KR101581038 B1 KR 10158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image
balloon body
f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509A (ko
Inventor
방기환
Original Assignee
방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환 filed Critical 방기환
Publication of KR20150128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내부에 기체가 체워지는 공간부를 가지는 벌룬본체와, 상기 벌룬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대향되는 상기 벌룬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재가 마련된 영상투사유닛과, 영상투사유닛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벌룬본체를 운반하기 위해 관리자가 파지하거나 상기 관리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운반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유닛에 벌룬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벌룬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상투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벌룬 영상표시장치{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ballon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투사유닛 및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중이 낮은 가스가 채워져 부상하며 동화상의 구현이 가능한 영상표시수단을 갖는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투사부재, PDP, LCD, CRT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는 시청각 교육이나 브리핑, 이벤트, 광고, 기업홍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영상투사부재의 경우,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별도의 프레임 또는 건물의 내외벽에 설치해야 하므로 원거리에서 화상을 시청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건물의 옥상에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동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초대형 화상표시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 화상표시장치는 설치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설치장소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특허 1999-0083164호에는 영상이 나타나는 가스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가스기구는 내부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진되는 풍선과, 풍선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장치홈 및 투사구와, 장치홈에 장착되어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장비, 장치홈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영상장비로부터 투사되는 상이 맺히도록 하는 스크린과, 상기 풍선에 가스를 주입하거나 토출시키기 위한 도관 및 전체적인 균형을 맞추기 위한 균형유지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EP09994969호에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장치는 벌룬의 내면에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영상투사부재와 영상을 벌룬의 내부로 투사하기 위한 볼록 미러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벌룬이 지면에 고정된 와이어에 의해 구속되어 있어 상기 벌룬을 이동시키기 위해선 와이어를 풀고 이동시킨 다음 다시 와이어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크린의 투사되는 영상의 확장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영상표시장치가 설치된 벌룬을 이동시킬 수 있는 영상투사유닛 및 벌룬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투사유닛은 표시대상 영상정보에 대응되는 영상빔을 스크린에 출사하도록 투사렌즈가 마련된 영상투사부재와, 상기 투사렌즈와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투사렌즈를 통해 출사되는 상기 영상빔을 확산시키는 영상확장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내부에 기체가 체워지는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재가 마련된 영상투사유닛과, 상기 영상투사유닛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를 운반하기 위해 관리자가 파지하거나 상기 관리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운반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단부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부는 상기 운반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바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바는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 제1결합봉과, 상기 제1결합봉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백팩에 고정되는 제2결합봉과, 상기 제1 및 제2결합봉이 결합시 상기 제1 및 제2결합봉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바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상기 본체의 무게중심선 상에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에 설치된다.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영상투사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백팩과, 상기 관리자가 상기 백팩을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상기 백팩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깨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관리자가 외주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스텐드와, 상기 스텐드를 지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텐드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다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향기기 또는 상기 영상투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기기 또는 영상투사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음향이 상기 본체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본체를 진동시키는 진동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벌룬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영상투사부재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확산렌즈가 마련된 영상확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영상투사부재는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빔을 출사할 수 있도록 투사렌즈가 마련되고, 상기 영상확장부는 상기 투사렌즈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영상투사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사렌즈를 통해 출사되는 상기 영상빔이 통과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는 상기 영상빔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확산렌즈가 설치된 확산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영상투사부재는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빔을 출사할 수 있도록 투사렌즈가 마련되고, 상기 영상확장부는 상기 투사렌즈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벌룬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사렌즈를 통해 출사되는 상기 영상빔이 통과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는 상기 영상빔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확산렌즈가 설치된 확산관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벌룬본체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벌룬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벌룬본체의 외부 공기를 상기 벌룬본체 내부로 주입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토대해 상기 벌룬본체 내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을 경우 상기 벌룬본체 내부로 외부공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에어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벌룬본체를 상기 고정바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벌룬본체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와이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투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유닛에 벌룬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벌룬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영상확장부에 의해 영상투사부재를 통해 출사되는 영상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벌룬 영상표시장치의 장착부 및 하우징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벌룬 영상표시장치의 장착부 및 하우징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의 장착부 및 하우징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벌룬 영상표시장치(10)는 내부에 기체가 체워지는 공간부를 가지는 벌룬본체(11)와, 상기 벌룬본체(11)의 일측에 마련된 스크린(12)과, 상기 스크린(12)에 대향되는 상기 벌룬본체(11)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12)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재(41)가 마련된 영상투사유닛과, 상기 벌룬본체(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를 운반하기 위해 관리자가 파지하거나 상기 관리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운반유닛(200)을 구비한다.
벌룬본체(11)는 합성수지 필름인 폴리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폴리 우레탄 필름은 영상투사부재(41)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내부에 외광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내면은 빛이 투과하지 않은 검은 색상의 코팅층 또는 내피를 구비한다. 상기 폴리 우레탄 필름은 소정의 형상을 가진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는 외피와, 검은색 계열의 내피가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벌룬본체(11)를 이루는 폴리 우레탄 필름에는 이의 내가수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내가수 분해 억제제가 혼합된 것이 이용된다. 이 폴리우레탄 필름은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내가수 분해 억제제 0.1 내지 10 중량% 혼합된 것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가수 분해 억제제는 분자량이 362.6g/mol 인 C25H34N2가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에는 은나노 분말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가수분해 억제제가 혼합된 벌룬본체(11)는 영상투사부재(41)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원형, 타원형, 비행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부 내측면에는 스크린(12)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12)과 대응되는 측에 내측으로 인입되며 단부에 투시창(14)이 형성된 관상의 장착부(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벌룬본체(11)의 후방 측에는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지퍼(15)가 설치되고, 가스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주입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퍼(15)는 기밀의 유지가 가능한 드라이지퍼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크린(12)이 벌룬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스크린(12)을 이루는 필름의 두께가 스크린(12) 이외의 영역을 이루는 벌룬본체(11)의 필름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12)을 이루는 필름의 두께는 0.5 내지 0.8mm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스크린(12) 이외의 벌룬본체(11)를 이루는 필름의 두께는 0.19 내지 0.2mm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12)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의 상대적인 평면화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3)에는 하우징(20)이 설치되는데, 이 하우징(20)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튜브형상의 장착부(13) 외주면 즉, 벌룬본체(11)의 내측 장착부(13)의 외주면에 감긴 밴드(21)에 의해 하우징(20)이 고정된다. 상기 밴드(21)는 복수개가 채워질 수 있으며, 이 밴드(21) 또는 상기 장착부(13)에는 복수개의 고리(22)가 설치된다. 상기 고리(22)는 상기 벌룬본체(11)의 내면에 설치되는 커튼(23)과 로프(24)에 의해 연결되어 하우징(20)이 설치된 장착부(13)와 스크린(12)이 대응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영상투사부재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재(25)가 설치되는데, 이 베이스부재(25)는 하우징(20)에 설치된 각도 조절수단(3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롤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에 대한 베이스 부재(25)의 설치는 하우징(20)에 대해 베이스부재(25)에 대해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 각도 조절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30)은 베이스 부재(25)의 타측에 설치되는 승강부재(31)와, 상기 승강부재(31)와 나사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32)와 상기 리드 스크류(32)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33)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25)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부재(25)가 하우징에 대해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삼점지지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베이스부재(25)의 세 점에 승강부재가 고정되고, 하우징(20)에 의해 지지된 모터들의 축과 연결되어 각각의 승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들에 의해 각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의 출구측에는 도어(26)가 설치되고, 이 도어(26) 측에는 영상투사부재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팬(27)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벌룬본체(11)의 공간부에 체워지는 기체는 벌룬본체(11)에 소정의 부유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공기보다 낮은 비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투사부재(41)는 상기 하우징(20)의 베이스 부재(25)에 설치되 상기 스크린(12)에 영상을 투사하는 것으로서, 전방에 투사렌즈(142)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투사렌즈(142)를 통해 영상빔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투사본체(141)와, 상기 투사본체(141) 내에 설치되어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어레이된 다이오드 에레이(미도시)와, 상기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하기 위한 집속부(미도시)와, 상기 투사본체(141)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집속부에 의해 집속된 광을 상기 스크린(12)으로 주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포함하는 스캔부(미도시)가 마련된 프로젝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영상투사부재(41)는 프로젝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발광다이오드 모듈, 플라즈마 표시패널, 유기이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투사부재(41)는 영상전송장치(10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어 온 영상을 상기 스크린(12)에 투사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영상전송장치(100)는, 행사 장소의 지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예를 들면 DVD 와 같은 기록매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입력되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투사부재(41)로 유선을 통해 전송하거나 RF, 무선 LAN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영상투사부재(41)로 영상을 스크린(12)에 투사시 벌룬본체(11)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벌룬본체(11) 내부의 가스는 팽창하거나 수축된다. 따라서 영상투사부재(41)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은 정확하게 상기 스크린(12)에 투사되지 못하고 영상의 일부가 스크린(12)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스크린(12)에 대한 투사 영역의 보정은 각도 조절수단(3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크린(12)에 투사되는 영상이 투사영역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상기 각도조절수단(30)의 모터(33)에 의해 스크류(32)를 회전시켜 베이스부재(25)를 승강시키거나 틸팅시킴으로써 스크린(12)의 투사 영역에 정확하게 투사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20)이 장착되는 장착부(13)는 벌룬본체(11)의 내부와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영상투사부재(41)가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벌룬본체(11) 내부의 가스 주입에 관계없이 영상투사부재(41)의 설치 및 보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3)는 벌룬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 커튼(23)과 로프(2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화상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벌룬본체(11)는 내가수분해 억제제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다른 벌룬본체(11)의 내가수분해를 억제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 시 크랙의 발생으로 인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반유닛(200)은 상기 벌룬본체(11)에 고정된 고정판(101)과, 상단부가 상기 고정판(101)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101)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부는 상기 백팩(210)에 고정되는 고정바(102)와, 상기 고정바(10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리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되는 운반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10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벌룬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된다.
고정바(102)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단부는 고정판(101)의 하면에 고정되며, 하단부는 백팩(21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바(102)는 벌룬본체(1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반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백팩(210)과, 상기 관리자가 상기 백팩(210)을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상기 백팩(210)에 마련된 적어도 복수의 어깨끈(220)을 구비한다.
백팩(210)은 영상투사부재(4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12)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21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백팩(210)은 수납공간(211)의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된 수납공간(211)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가 백팩(21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운반유닛(200)은 백팩(210)을 관리자의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백팩(210)에 마련된 허리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10)는 벌룬본체(11)에 마련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스피커(3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진동스피커(300)는 고정판(101)에 마련된 설치브라켓(미도시)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별도의 음향기기(미도시) 또는 영상투사부재(41)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기기 또는 영상투사부재(41)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음향이 상기 본체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벌룬본체(11)를 진동시키는 진동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진동스피커(3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벌룬본체(11)를 통해 음향을 발생시키므로 다방향으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10)는 사용자가 백팩(210)을 어깨에 메고 벌룬본체(1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바(4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바(400)는 일단이 상기 고정판(101)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01)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 제1결합봉(410)과, 상기 제1결합봉(4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백팩(210)에 고정되는 제2결합봉(420)과, 상기 제1 및 제2결합봉(410,420)이 결합시 상기 제1 및 제2결합봉(410,420)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30)를 구비한다.
제1결합봉(410)은 상단이 고정판(101)의 하면에 고정되며, 고정판(10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결합봉(4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는 하방이 개방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결합봉(410)은 본체의 후방측 하면에 고정된 고정판(101)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로 상단부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봉(410)은 외주면에 결합부재(4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4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봉(4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부가 백팩(210)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제2결합봉(420)은 상부가 상기 제1결합봉(410)의 삽입구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삽입구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봉(420)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재(43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된 나사공(42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430)는 제1결합봉(410)의 관통구(411)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분과, 나사부분의 단부에 형성되어 나사부분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을 갖는 헤드부분을 구비한다.
제1결합봉(410) 내에 제2결합봉(420)을 삽입한 다음 결합부재(430)의 나사부분을 관통구(411)에 통과시켜 제2결합봉(420)의 나사공(421)에 나사결합한다. 이때, 결합부재(430)의 나사부분이 제1결합봉(410)을 관통하여 제2결합봉(420)을 가압므로 제1결합봉(410)에 제2결합봉(420)을 고정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바(400)가 상호 분리가능한 제1 및 제2결합봉(410,420)으로 구성되므로 벌룬을 미사용시에는 벌룬을 백팩(2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보관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백팩(210)을 착용하는 관리자의 키에 따라 고정바(4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바(6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바(600)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상기 본체의 무게중심선(601) 상에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101)에 설치된다. 즉, 지면에 대해 직교하는 본체의 가상 중심선에 대해 영상투사부재에 인접되는 방향인 후방으로 이격되게 고정바(600)의 상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바(600)는 본체에 대한 지지점이 본체의 무게중심선(601) 상에 위치하므로 본체가 일측이나 타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백팩(210)을 멘 관리자가 용이하게 본체를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부재(7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운반유닛(700)은 지지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스텐드(701)와, 스텐드(7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텐드(701)를 지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702)를 구비한다.
스텐드(701)는 소정의 외경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스텐드(701)의 상면에는 지지부의 하부가 고정설치된다. 스텐드(701)는 본체 및 지지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강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다리(702)는 다수개가 스텐드(701)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지지다리(702)의 단부에는 지면에 대해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소재의 미끄럼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관리자는 스텐드(701)의 외주면을 파지한 다음 스텐드(701)를 이동시켜 용이하게 본체를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8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벌룬 영상표시장치(800)는 영상투사부재(41)로부터 상기 스크린(12)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범위를 확장하는 영상확장부(810)와, 본체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820)를 더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부재(25)는 각도 조절수단(30)에 의해 하우징(20) 내부에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20) 내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영상확장부(810)는 상기 영상투사부재의 본체에 설치되며, 영상투사부재의 투사렌즈(142)를 통해 출사되는 영상빔이 통과되는 중공이 형성된 확산관(811)과, 상기 확산관(811)의 중공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빔을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렌즈(미도시)를 구비한다.
확산관(811)은 투사렌즈(142)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 전면에 설치되며, 영상빔이 통과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확산관(811)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브라켓에 의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크린(12)이 벌룬본체(11)에 대해 18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영상확장부(810)는 확산렌즈에 의해 영상투사부재(41)로부터 출사되는 영상빔을 스크린(12) 전체에 확산시킨다.
작업자는 확산관(811)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스크린(12)의 투사 영역에 정확하게 투사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압력조절부(820)는 상기 본체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821)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하는 에어펌프(822)와, 상기 압력센서(821)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토대해 상기 벌룬본체 내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을 경우 상기 벌론본체 내부로 외부공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에어펌프(82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23)를 구비한다.
압력센서(821)는 기체가 채워지는 벌룬본체(11)의 공간부에 노출되도록 하우징(20)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압력센서(821)는 벌룬본체(1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에어펌프(822)는 베이스부재(25)의 하면에 고정되며, 에어공급관(824)에 의해 벌룬본체(11)의 공간부와 연통된다. 상기 에어공급관(824)은 일단이 투시창에 관통되어 벌룬본체(11)의 공간부로 돌출되며, 타단은 에어펌프(822)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펌프(822)는 냉각팬(27)을 통해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에어공급관(824)을 통해 벌룬본체(11)의 공간부로 주입한다.
제어부(823)는 에어펌프(822) 및 압력센서(821)에 연결되며, 상기 벌룬본체(11) 내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을 경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벌룬본체(11) 내부로 주입하도록 에어펌프(822)를 작동시킨다.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벌룬본체(11) 내부의 가스는 팽창하거나 수축되는 데, 이때 영상투사부재(41)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은 정확하게 스크린(12)에 투사되지 못하고 영상의 일부가 스크린(12)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압력조절부(820)는 이러한 벌룬본체(11) 내부 압력이 변경될 경우, 에어펌프(822)를 작동시켜 벌룬본체(11)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벌룬본체(11)의 크기를 유지함으로써 영상이 스크린에 정확히 투사된다.
한편, 압력조절부(820)는 벌룬본체(11) 내부의 압력 상태 및 에어펌프(822)의 작동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30)는 벌룬본체(11) 외부로 노출된 도어(26)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벌룬본체(11)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점등되는 압력램프(831)와, 상기 도어(26)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에어펌프(822)가 작동시 점등되는 작동램프(832)를 구비한다. 상기 압력램프(831) 및 작동램프(832)는 제어부(823)에 의해 작동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산관(812)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확산관(812)은 투사렌즈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25) 상면에 브라켓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확산관(812)은 다수의 확산렌즈가 설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확산관(812)이 베이스부재(25)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영상을 확산할 수 있는 확산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영상투사부재(41)도 설치하여 스크린(14) 전체에 영상을 투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벌룬 영상표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벌룬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벌룬본체(11)를 상기 고정바(400)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벌룬본체(11)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고정바(44)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와이어(841)를 더 구비한다.
이때, 고정판(101)에 인접된 위치의 벌룬본체(11) 외주면에는 지지와이어(841)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바의 외주면에도 상기 지지와이어(841)의 타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와이어(841)들에 의해 벌룬본체(11)은 고정바(400)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벌룬본체(11)의 외형이 변형되거나 벌룬본체(11)가 고정바(4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벌룬 영상표시장치
11: 본체
12: 스크린
13: 장착부
14: 투시창
15: 지퍼
20: 하우징
21: 밴드
25: 베이스부재
30: 각도 조절수단
31: 승강부재
32: 리드스크류
33: 모터
26: 도어
41: 영상투사부재
100: 지지부
101: 고정판
102: 고정바
200: 운반유닛
210: 백팩
220: 어깨끈

Claims (13)

  1. 삭제
  2. 내부에 기체가 체워지는 공간부를 가지는 벌룬본체와, 상기 벌룬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대향되는 상기 벌룬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재가 마련된 영상투사유닛과;
    상기 벌룬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벌룬본체를 운반하기 위해 관리자가 파지하거나 상기 관리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운반유닛과;
    상기 벌룬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영상투사부재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영상의 투사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확산렌즈가 마련된 영상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벌룬본체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단부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부는 상기 운반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자가 파지하거나 상기 관리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되는 운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운반부재는
    상기 고정바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영상투사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백팩과,
    상기 관리자가 상기 백팩을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상기 백팩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깨끈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투사유닛은 상기 스크린에 대향되는 상기 벌룬본체의 후방 내측으로 인입되며, 전면에 투시창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영상투사부재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투사부재는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빔을 출사할 수 있도록 투사렌즈가 마련되고,
    상기 영상확장부는 상기 영상투사부재의 투사렌즈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사렌즈를 통해 출사되는 상기 영상빔이 통과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는 상기 영상빔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확산렌즈가 설치된 확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영상표시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 제1결합봉과,
    상기 제1결합봉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백팩에 고정되는 제2결합봉과,
    상기 제1 및 제2결합봉이 결합시 상기 제1 및 제2결합봉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영상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상기 벌룬본체의 무게중심선 상에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영상표시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향기기 또는 상기 영상투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기기 또는 영상투사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음향이 상기 벌룬본체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벌룬본체를 진동시키는 진동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영상표시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본체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벌룬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벌룬본체의 외부 공기를 상기 벌룬본체 내부로 주입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토대해 상기 벌룬본체 내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낮을 경우 상기 벌룬본체 내부로 외부공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에어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영상표시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본체를 상기 고정바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벌룬본체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와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영상표시장치.









KR1020140065444A 2014-05-09 2014-05-29 영상투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벌룬 영상표시장치 KR101581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896 2014-05-09
KR20140055896 2014-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509A KR20150128509A (ko) 2015-11-18
KR101581038B1 true KR101581038B1 (ko) 2015-12-29

Family

ID=5483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444A KR101581038B1 (ko) 2014-05-09 2014-05-29 영상투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벌룬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58B1 (ko) * 2016-01-07 2017-02-08 김효정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포터블 광고장치
KR101704959B1 (ko) * 2016-01-07 2017-02-08 김효정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다방향 자가발전식 포터블 광고장치
KR101711017B1 (ko) * 2016-07-11 2017-02-28 이지호 자가비행형 다기능 수액걸이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51Y1 (ko) * 2002-07-26 2002-1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투사렌즈장치
US20080207083A1 (en) * 2007-02-27 2008-08-28 Disney Enterprises, Inc. Illuminated balloon with an externally mounted, rear proj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05Y1 (ko) * 1998-11-19 2001-02-01 설명 배낭의 우산겸용 양산장치
KR101139876B1 (ko) * 2008-12-04 2012-04-27 방기환 영상표시장치를 갖는 벌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51Y1 (ko) * 2002-07-26 2002-1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투사렌즈장치
US20080207083A1 (en) * 2007-02-27 2008-08-28 Disney Enterprises, Inc. Illuminated balloon with an externally mounted, rear pro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509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038B1 (ko) 영상투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벌룬 영상표시장치
KR102365299B1 (ko) 표시 장치
US4022522A (en) Projection screen
US9192062B2 (en) Air supported frame for an LED display
US906339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vent unit
WO2019111609A1 (ja) 表示装置
KR20180055348A (ko) 드론을 이용한 옥외 광고 시스템
CN105814485B (zh) 用于快速安装的无缝显示屏幕
US7042640B2 (en) Projection screen unit with projection surfaces optimized for different ambient light levels
US8218809B2 (en) Microphone video screen/monitor display
EP2095185B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ES2564393B1 (es) Estabilizador de mano telescópico para cámara de video/foto
KR101139876B1 (ko) 영상표시장치를 갖는 벌룬
US5453917A (en) Decorative tube with neon tube
US10315586B2 (en) Hitch mounted theater system
US10780990B2 (en) Projection system, projection method, flying object system, and flying object
US799507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402739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still and moving images on a three-dimensional projection screen
US20150107139A1 (en) Display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487905B1 (ko) 프로젝터 장치
KR201500875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9126B1 (ko) 영상표시장치를 갖는 벌룬
JP2013038484A (ja) 光学チャート表示装置及びその位置姿勢調整方法
KR19990083164A (ko) 영상이 나타나는 풍선기구
JP2000356808A (ja) 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