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960B1 -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 Google Patents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960B1
KR101580960B1 KR1020150098329A KR20150098329A KR101580960B1 KR 101580960 B1 KR101580960 B1 KR 101580960B1 KR 1020150098329 A KR1020150098329 A KR 1020150098329A KR 20150098329 A KR20150098329 A KR 20150098329A KR 101580960 B1 KR101580960 B1 KR 10158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ing
key
lid plat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중
김명호
이형욱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신평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신평주철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81Security devices, e.g.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는 내측면에 받침턱이 형성된 관형의 맨홀틀, 저면 테두리가 상기 받침턱에 얹혀지고,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판, 상기 받침턱의 하부에서 상기 맨홀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뚜껑판의 저면에 형성된 틈새에 박힌 상태로 상기 뚜껑판을 밀어올려 상기 맨홀틀 상부로 상기 뚜껑판을 부양시키는 리프트 레버, 상기 받침턱의 저면과 상기 지지대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잠금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잠금공간에서 이탈되는 록킹 레버, 상기 뚜껑판을 상기 맨홀틀에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판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하는 잠금키, 및 상기 잠금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기구를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록킹 레버가 상기 잠금공간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 레버는 상기 뚜껑판을 밀어올려 부양하고, 상기 회전 기구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록킹 레버가 상기 잠금공간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 레버의 일측 단부가 상기 뚜껑판의 저면 틈새에서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뚜껑판의 저면 테두리가 상기 받침턱에 얹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A Locking type Manhole assembly}
본 발명은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키로 키박스의 회전 기구를 작동시켜 맨홀 뚜껑을 맨홀틀에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함으로써 상기 맨홀 뚜껑이 외력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맨홀틀로부터 맨홀 뚜껑을 용이하게 부양시킬 수 있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터널을 비롯하여 지하 공동구, 지하 배수로, 파이프라인, 지중 탱크, 공공지하상업 시설, 하수처리 설비, 지하 발전소 따위의 지표면 아래에 구축되는 지하 구조물은 청소나 점검, 수리, 보수 등을 위해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맨홀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맨홀은 맨홀틀을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지면에 고정 설치한 후 그 구멍을 금속재 맨홀 뚜껑으로 덮어서 폐쇄하는 구조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맨홀 조립체는 평소에는 맨홀 뚜껑이 덮혀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작업이 필요한 경우 맨홀 뚜껑을 열고 작업자들이 사다리 등을 타고 작업공간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맨홀 뚜껑은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그 제조과정에서 맨홀틀의 폭(직경)보다 조금 작은 폭(직경)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특성상 차량이 빈번하게 지나다니는 도로와 같이 외력의 영향이 잦은 곳에 설치하거나 오수 또는 우수의 역류 등으로 인한 외력을 받을 경우 맨홀틀과의 틈새로 인해 쉽게 유동 및 흔들리면서 충돌 및 마찰소음을 일으키는 데다, 심한 경우 맨홀틀에서 이탈되어 교통사고나 보행자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기 [문헌 1]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 조립체가 개발되었는데, 이 경우에도 맨홀 뚜껑의 잠금에 사용되는 잠금 조작구가 맨홀뚜껑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 후 차량의 통과시 반복하여 발생되는 진동등의 외력에 의하여 잠금 조작구가 저절로 회전하여 잠금 해제 상태가 되거나 작동불능 상태로 파손되는 문제점과 보행자가 잠금 조작구에 걸려 넘어져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기 [문헌 1]의 경우 맨홀 뚜껑을 오랜 시간 잠금 상태로 유지할 경우 맨홀틀과 맨홀 뚜껑 사이에 흙이나 이물질이 충진되어 맨홀 뚜껑이 맨홀틀에 고착화됨으로써 필요시 뚜껑의 개방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 개방을 위하여 해머 등으로 맨홀 뚜껑을 타격할 경우 맨홀 뚜껑이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264059호(2013. 5. 21.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키로 키박스의 회전 기구를 작동시켜 맨홀 뚜껑을 맨홀틀에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함으로써 상기 맨홀 뚜껑이 외력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키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맨홀틀로부터 맨홀 뚜껑을 용이하게 부양시킬 수 있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는 내측면에 받침턱이 형성된 관형의 맨홀틀; 저면 테두리가 상기 받침턱에 얹혀지고,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판; 상기 받침턱의 하부에서 상기 맨홀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뚜껑판의 저면에 형성된 틈새에 박힌 상태로 상기 뚜껑판을 밀어올려 상기 맨홀틀 상부로 상기 뚜껑판을 부양시키는 리프트 레버; 상기 받침턱의 저면과 상기 지지대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잠금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잠금공간에서 이탈되는 록킹 레버; 상기 뚜껑판을 상기 맨홀틀에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판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하는 잠금키; 및 상기 잠금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기구를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록킹 레버가 상기 잠금공간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 레버는 상기 뚜껑판을 밀어올려 부양하고, 상기 회전 기구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록킹 레버가 상기 잠금공간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 레버의 일측 단부가 상기 뚜껑판의 저면 틈새에서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뚜껑판의 저면 테두리가 상기 받침턱에 얹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박스는, 상기 리프트 레버를 지지하는 제1지지체와, 상기 록킹 레버를 지지하는 제2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가 포개져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 기구를 수용하며, 상기 제1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 기구에 결합된 상기 잠금키로 상기 회전 기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기구는 중심부에 축 방향으로 키홈이 형성된 원판형 캠과, 상기 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키와 체결되는 키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키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원판형 캠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원판형 캠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가 수평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판형 캠의 외주면은 굴곡된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원판형 캠을 중심으로 서로 일정 각도 어긋나서 방사상으로 설치하며,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는 각각 일측 단부가 회전하는 상기 원판형 캠의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상기 요철부의 돌출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레버는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상기 요철부의 오목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는, 지지하는 해당 레버가 통행하도록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와, 해당 레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고리 형상의 탄성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판의 저면 테두리 내측이 깎여져 예리한 틈새를 형성한 경우, 상기 리프트 레버가 틈새에 박히도록 상기 리프트 레버는 일측 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키를 회전시 사용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잠금키의 머리부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조립체는 공구를 이용하여 잠금키를 회전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리프트 레버가 뚜껑판의 저면에 박힌 상태에서 밀어 올려서 맨홀틀 상부로 부양시킬 수 있어 맨홀틀과 맨홀 뚜껑 사이에 이물질이 고착화된 경우에도 단순히 잠금키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맨홀 뚜껑을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조립체는 뚜껑판 상부에 설치된 잠금키를 회전 조작하여 키박스의 회전 기구를 작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뚜껑판이나 맨홀틀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진동이나 오수 또는 우수의 역류로 인한 외력을 받더라도 저절로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맨홀 뚜껑판의 잠금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조립체는 잠금키의 머리부가 맨홀 뚜껑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뚜껑판에 매입된 채로 장착되어 있어 잦은 상하 양방향 응력에 의한 변형이나 피로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나 차량 등의 하중에 의해 잠금키가 뭉개져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 내구성 및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뚜껑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조립체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A-A 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조립체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B-B 부 단면도, 및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뚜껑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조립체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A-A 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조립체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B-B 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는 내측면에 받침턱(710)이 형성된 맨홀틀(700), 저면 테두리가 상기 받침턱(710)에 얹혀지고 중심부에 관통공(110)이 형성된 뚜껑판(100), 상기 맨홀틀(700) 상부로 상기 뚜껑판(100)을 부양시키는 리프트 레버(300), 상기 받침턱(710)의 저면과 상기 지지대(80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잠금공간(730)에 수용되거나 상기 잠금공간(730)에서 이탈되는 록킹 레버(400), 상기 뚜껑판(100)을 상기 맨홀틀(700)에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판(100)의 관통공(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하는 잠금키(200), 상기 잠금키(200)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기구(530)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 레버(300)와 상기 록킹 레버(4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박스(500), 및 상기 받침턱(710)의 하부에서 상기 맨홀틀(7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맨홀틀(700)은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관형(본 실시예의 경우 원통관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맨홀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등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맨홀틀(70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판(100)의 저면부가 얹혀지는 받침턱(710)이 환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710)의 하부로 관형상의 연장관부(720)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800)는 맨홀틀의 내측면(710)과 지지대(800)의 측면부에 각각 형성된 제1,2체결공(721,810)에 결합되는 체결구(B)에 의하여 맨홀틀(700)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800)가 결합될 경우 상기 받침턱(710)의 저면과 지지대(800)의 상부면(820) 사이에는 환형의 잠금공간(730)이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 레버(400)의 타측 단부가 상기 잠금공간(730)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뚜껑판(100)을 맨홀틀(700)에 잠금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판(100)은 원형이나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맨홀틀(700)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설치시 그 저면 테두리가 맨홀틀(700)의 받침턱(710)에 얹히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0)의 상부에는 잠금키(200)의 머리부(201)가 묻히도록 카운터 보어(counter bore)(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카운터 보어(111)에는 잠금키(200)가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저절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키(200)의 머리부(201)를 감싸면서 압입(force insertion)되는 플러그(15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 보어(111)는 그 단면의 형상이 스플라인 보스(spline boss), 세레이션 보스(serration boss),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플러그(150)는 그 단면의 둘레 형상이 카운터 보어(111)의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과 대응되도록 스플라인(spline), 세레이션(serration),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판(100)의 상면에는 다양한 무늬나 모양 및 문자 등으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저면에는 강도와 강성을 증대 및 보강하기 위한 다양한 모양의 리브(rib)나 스티프너(stiffener) 등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키(200)는 후술하는 키박스(500)의 회전 기구(530)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 레버(300)와 상기 록킹 레버(4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몸체에 절개홈(202)이 몸체 중간부위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되고, 렌치(wrenches) 등의 공구로 쉽게 돌릴 수 있도록 육각형 등으로 형성된 그 머리부(201)가 뚜껑판(100)의 상면으로 노출, 즉 카운트 보어(111)에 묻힌 채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적용하지 않았으나 잠금키(200)와 관통공(110)의 틈새로 오수와 이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을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키박스(500)는 상기 리프트 레버(300)를 지지하는 제1지지체(510)와, 상기 록킹 레버(400)를 지지하는 제2지지체(520), 및 상기 잠금키(200)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기구(5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510)는 중심부에 일정 높이의 원기둥 몸체가 솟아 있고 이 원기둥 몸체 상면에 관통공(512)이 형성된 덮개판(513)을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체(520)는 중심부에 일정 깊이의 수용홈(522)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52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522)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상기 회전 기구(530)의 원판형 캠(531)을 안착시키기 위한 고정돌기(52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522)의 내측면에는 상기 록킹 레버(400)의 일측 단부가 출입하기 위한 통로(5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510)와 상기 제2지지체(520)는 상기 덮개판(513)과 상기 받침판(523)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511)(521)에 볼트 등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지지체(510)와 상기 제2지지체(520)는 상하 방향으로 포개져 내부에 원통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 기구(53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기구(530)는 중심부에 축 방향으로 키홈(532)이 형성된 원판형 캠(531)과, 상기 키홈(532)에 삽입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키고정편(5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판형 캠(531)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에 상기 수용홈(522)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526)를 약간 헐겁게 끼워 암수 결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원판형 캠(531)은 상기 고정돌기(526)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판형 캠(531)의 외주면에는 반복적으로 굴곡된 요철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철부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돌출부(534)와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533)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키(200)는 관통공(110)(512)을 차례로 경유하고 양측 방향으로 개구된 절개홈(202)에 상기 키고정편(540)을 박아 넣어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잠금키(200)는 상기 키고정편(540)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키홈(532)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201)에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돌리는 경우 상기 잠금키(200)에 고정 결합된 키고정편(540)에 의해서 원판형 캠(531)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레버(300)는 상기 원판형 캠(53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리프트 레버(3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덮개판(513)의 통로(515)을 경유하여 상기 원판형 캠(531)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때 상기 덮개판(513)에는 통로(515)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시 비스듬히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514)를 형성한다. 이 방지턱(514)은 리프트 레버(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 레버(300)는 타측 단부가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면(31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리프트 레버(300)가 수평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우 경사면(311)은 상기 뚜껑판(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예리한 틈새에 박힐 수 있다. 상기 경사면(311)이 틈새에 박힌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레버(300)가 수평방향으로 나아가면 경사면(311)을 타고 뚜껑판(100)의 저면이 밀려 올라가서 맨홀틀(700) 상부로 뚜껑판(100)을 부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레버(3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원판형 캠(531)에 의해 진퇴 이동시 본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체(510)에 마련된 탄성부재(516)에 걸기 위한 걸림돌기(3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 레버(400)도 상기 원판형 캠(53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록킹 레버(4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받침판(523)에 형성된 통로(525)을 경유하여 상기 원판형 캠(531)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523)에는 통로(525)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시 비스듬히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524)를 형성한다. 이 방지턱(524)은 록킹 레버(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록킹 레버(4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원판형 캠(531)에 의해 진퇴 이동시 본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체(520)에 마련된 탄성부재(미도시)에 걸기 위한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 레버(300)와 상기 록킹 레버(400)는 원판형 캠(531)을 중심으로 서로 일정 각도 어긋나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판형 캠(531)의 외주면에 상기 리프트 레버(300)와 상기 록킹 레버(400)의 일측 단부가 각각 접촉하는데, 두 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가 돌출부(534)에 위치하면 다른 하나의 레버는 오목부(533)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상기 뚜껑판(100)을 맨홀틀(700)에 잠금하는 경우 상기 록킹 레버(400)의 타측 단부가 잠금공간(730)에 수용되게 하기 위하여 즉, 상기 록킹 레버(400)의 일측 단부가 외측으로 밀려나가도록 상기 원판형 캠(531)의 돌출부(534)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뚜껑판(100)의 저면을 밀어 올리지 않아도 되는 상기 리프트 레버(3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원판형 캠(531)의 오목부(533)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뚜껑판(100)을 맨홀틀(700)에 잠금해제 하는 경우 상기 원판형 캠(531)의 돌출부(534)에 상기 리프트 레버(300)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리프트 레버(300)의 타측 단부(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311)을 형성)가 상기 뚜껑판(10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면(120)에 접촉한 상태에서 밀어 올려 부상시키고 동시에 상기 원판형 캠(531)의 오목부(533)에는 상기 록킹 레버(400)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게 하여 상기 록킹 레버(400)의 타측 단부가 잠금공간(730)에서 이탈되어 상기 뚜껑판(100)을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잠금키(200)의 머리부(201)에 렌치를 사용하여 상기 키박스(500)의 회전 기구(5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뚜껑판(100)을 상기 맨홀틀(700)에 잠금하거나 잠금해제 할 수 있다. 상기 잠금키(200)를 사용하여 원판형 캠(531)을 일정 각도(예를 들어 60°) 회전할 때마다 잠금 상태와 잠금해제 상태가 교대하기 때문에 상태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판(100)을 처음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이미 사용하고 있는 맨홀틀(700)에서 뚜껑판(100)을 개폐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틀(700)과 상기 뚜껑판(100) 사이에 이물질이 고착화된 경우에도 단순히 잠금키(20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뚜껑판(100)을 잠금해제하여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조립체의 전체적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조립체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판(100)에 잠금키(200)와 리프트 레버(300)와 록킹 레버(400) 및 키박스(500)를 조립하고, 맨홀틀(700)의 내측면(710)에 지지대(800)를 체결한다. 상기 맨홀틀(700) 상부에 상기 뚜껑판(100)을 올려놓는 경우, 상기 뚜껑판(100) 저면에 설치된 키박스(500)와 상기 잠금키(200)는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키박스(500)를 지지하는 다른 수단이 없기 때문에 키박스(50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 레버(400)가 맨홀틀(700)의 내측면에 설치된 지지대(800)의 상부면(820)에 걸쳐지도록 하여 키박스(500)가 잠금키(20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지 않도록 한다(뚜껑판(100)을 맨홀틀(700)에 초기 설치하는 경우).
상기 록킹 레버(400)의 타측 단부가 상 지지대(800)의 상부면(820)에 걸친 상태에서 잠금키(20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레버(400)의 타측 단부는 상기 받침턱(710)의 저면과 상기 지지대(80)의 상부면(820) 사이에 형성한 잠금공간(730)에 수용된다. 이와 동시에 도4(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레버(300)의 일측 단부는 원판형 캠(531)의 오목부(533)에 접촉하게 되고, 리프트 레버(300)의 타측 단부는 중심부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뚜껑판(100)의 저면 테두리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때 뚜겅판(100)의 저면은 맨홀틀(700)의 받침턱(710)에 얹혀지게 된다(잠금 상태인 경우).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 잠금키(200)를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예를 들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60°회전), 잠금키(200)의 회전에 따라 리프트 레버(300)의 일측 단부는 원판형 캠(531)의 오목부(533)에서 돌출부(534)로 이동하게 되고, 리프트 레버(300)의 타측 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나아가서 뚜껑판(100)의 저면에 형성된예리한 틈새에 타측 단부의 경사면(311)이 박히고, 계속해서 잠금키(200)의 회전에 따라 경사면(311)은 지지면(120)을 밀어 올린다. 이때 뚜껑판(100)은 리프트 레버(300)에 의해 맨홀틀(700) 상부로 부양하게 되는데, 뚜껑판(100)이 부양되는 경우 잠금키(200)의 머리부(201)는 관통공(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부양하고, 이 잠금키(200)의 절개홈(202)에 결속된 키고정편(540)도 키홈(532)을 따라 위쪽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레버(400)의 타측 단부는 상기 받침턱(710)의 저면과 상기 지지대(80)의 상부면(820) 사이에 형성한 잠금공간(730)에서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도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레버(300)의 일측 단부는 원판형 캠(531)의 볼록부(534)에 접촉하게 되고, 리프트 레버(300)의 타측 단부는 뚜껑판(100)의 지지면(120)을 밀어올려져 맨홀틀(700) 상부로 부양하게 된다(잠금해제 상태인 경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조립체는 뚜껑판(100) 상부에 설치된 잠금키(200)를 회전 조작하여 키박스(500)의 회전 기구를 작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뚜껑판(100)이나 맨홀틀(700)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진동이나 오수 또는 우수의 역류로 인한 외력을 받더라도 저절로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맨홀 뚜껑판(100)의 잠금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조립체는 잠금키(200)의 머리부(201)가 뚜껑판(10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뚜껑판(100)에 매입된 채로 장착되어 있어 잦은 상하 양방향 응력에 의한 변형이나 피로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나 차량 등의 하중에 의해 잠금키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 내구성 및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의 경우 록킹레버(500)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키 및 키고정편의 구조에 있어서만 전술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 잠금키(200)를 돌리기 위한 렌치 등의 공구를 별도로 이용하기 때문에 뚜껑판(100)을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잠금키(200)에 맞는 공구를 준비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게 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제1실시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키(200)의 머리부(201)에 손잡이(203)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203)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잠금키(200)를 회전할 수 있는 공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03)의 형상 및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뚜껑판(100)에는 카운터 보어(111a)의 형상 및 구조를 변경하여 형성함으로써 잠금키(200)와 손잡이(203)를 매입 설치하여 상기 뚜껑판(100) 상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 키고정편(540)을 단일 몸체로 구성하고, 잠금키(200)의 절개홈(202)에 키고정편(540)을 삽입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키고정편(541)을 복수의 몸체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2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상기 지지대(800)가 별도로 구비되어 맨홀틀(700)에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대(800)는 맨홀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2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상기 받침턱(710) 및 지지대(800)가 일예로서 단일 몸체의 환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상기 받침턱(710) 또는 지지대(800)는 각각 복수의 몸체로 분할된 형태(즉, 소정 각도의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뚜껑판 110 : 관통공 111, 111a : 카운터보어
120 : 지지면 200 : 잠금키 201 : 머리부
202 : 절개홈 203 : 손잡이 300 : 리프트 레버
311 : 경사면 312 : 걸림돌기 400 : 록킹 레버
500 : 키박스 510 : 제1지지체 511 : 체결공
512 : 관통공 513 : 덮개판 514 : 방지턱
515 : 통로 516 : 탄성부재 520 : 제2지지체
521 : 체결공 522 : 수용홈 523 : 받침판
524 : 방지턱 525 : 통로 526 : 고정돌기
530 : 회전기구 531 : 원판형 캠 532 : 키홈
533 : 오목부 534 : 돌출부 540, 541 : 키고정편
700 : 맨홀틀 710 : 받침턱 720 : 연장판부
730 : 잠금공간 800 : 지지대 820 : 상부면

Claims (7)

  1. 내측면에 받침턱이 형성된 관형의 맨홀틀;
    저면 테두리가 상기 받침턱에 얹혀지고,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판;
    상기 받침턱의 하부에서 상기 맨홀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뚜껑판의 저면에 형성된 틈새에 박힌 상태로 상기 뚜껑판을 밀어올려 상기 맨홀틀 상부로 상기 뚜껑판을 부양시키는 복수의 리프트 레버;
    상기 받침턱의 저면과 상기 지지대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잠금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잠금공간에서 이탈되는 복수의 록킹 레버;
    상기 뚜껑판을 상기 맨홀틀에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판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하는 잠금키; 및
    상기 잠금키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고 외주면이 상기 복수의 리프트 레버와 록킹 레버의 일측과 접촉하는 회전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리프트 레버와 록킹 레버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키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기구를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록킹 레버 각각은 상기 잠금공간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리프트 레버 각각은 상기 뚜껑판을 밀어올려 부양하고, 상기 회전 기구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록킹 레버 각각은 상기 잠금공간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리프트 레버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기 뚜껑판의 저면 틈새에서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뚜껑판의 저면 테두리가 상기 받침턱에 얹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박스는, 상기 리프트 레버를 지지하는 제1지지체와, 상기 록킹 레버를 지지하는 제2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가 포개져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 기구를 수용하며,
    상기 제1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 기구에 결합된 상기 잠금키로 상기 회전 기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중심부에 축 방향으로 키홈이 형성된 원판형 캠과, 상기 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키와 체결되는 키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키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원판형 캠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원판형 캠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가 수평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캠의 외주면은 굴곡된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원판형 캠을 중심으로 서로 일정 각도 어긋나서 방사상으로 설치하며,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는 각각 일측 단부가 회전하는 상기 원판형 캠의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리프트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상기 요철부의 돌출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레버는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상기 요철부의 오목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는, 지지하는 해당 레버가 통행하도록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와, 해당 레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고리 형상의 탄성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판의 저면 테두리 내측이 깎여져 예리한 틈새를 형성한 경우, 상기 리프트 레버가 틈새에 박히도록 상기 리프트 레버는 일측 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키를 회전시 사용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잠금키의 머리부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KR1020150098329A 2015-07-10 2015-07-10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KR10158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29A KR101580960B1 (ko) 2015-07-10 2015-07-10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29A KR101580960B1 (ko) 2015-07-10 2015-07-10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960B1 true KR101580960B1 (ko) 2015-12-31

Family

ID=5512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329A KR101580960B1 (ko) 2015-07-10 2015-07-10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9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362A (zh) * 2017-09-02 2018-01-09 范清 一种桥梁设施
KR20190017367A (ko)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대영통신 덮개잠금기능과 부양기능을 갖는 맨홀
KR102187299B1 (ko) * 2020-06-04 2020-12-04 김수겸 개폐장치가 구비된 맨홀 철개
KR102315994B1 (ko) 2020-05-13 2021-10-22 주식회사 신평주철 맨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80B1 (ko) * 2009-09-15 2010-09-10 조지현 잠금 및 개방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KR101240285B1 (ko) * 2010-10-21 2013-03-07 주식회사 대광주철 부양 기능을 갖는 잠금형 맨홀
KR20130067976A (ko) * 2011-12-15 2013-06-25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축 회전에 의한 맨홀뚜껑 부양식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80B1 (ko) * 2009-09-15 2010-09-10 조지현 잠금 및 개방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KR101240285B1 (ko) * 2010-10-21 2013-03-07 주식회사 대광주철 부양 기능을 갖는 잠금형 맨홀
KR20130067976A (ko) * 2011-12-15 2013-06-25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축 회전에 의한 맨홀뚜껑 부양식 잠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367A (ko)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대영통신 덮개잠금기능과 부양기능을 갖는 맨홀
CN107558362A (zh) * 2017-09-02 2018-01-09 范清 一种桥梁设施
CN107558362B (zh) * 2017-09-02 2019-04-19 范清 一种桥梁设施
KR102315994B1 (ko) 2020-05-13 2021-10-22 주식회사 신평주철 맨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87299B1 (ko) * 2020-06-04 2020-12-04 김수겸 개폐장치가 구비된 맨홀 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960B1 (ko)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US5987824A (en) Locking manhole cover
KR10068446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덮개의 고정이 용이한 맨홀
EA033802B1 (ru) Люк, содержа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дежного запирания и блокирования люка
US6035581A (en) Road surface aperture frames and covers
US2697389A (en) Lock type manhole cover
JP4815393B2 (ja) マンホールの蓋装置
KR101228181B1 (ko) 인상링을 구비한 우수유입 방지용 pps 맨홀
KR100505738B1 (ko) 체인 고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내 맨홀 뚜껑 잠금구조
KR100925258B1 (ko) 높낮이 맨홀 구조체
EP1911888B1 (en)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closing a hole in the ground
KR100880208B1 (ko)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KR101580959B1 (ko)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KR101596738B1 (ko) 부양식 맨홀 조립체
KR101873320B1 (ko) 잠금 안내링을 이용한 맨홀용 잠금장치
KR20210043333A (ko) 맨홀 및 제수변의 뚜껑 잠금장치
EP2508679B1 (en) Cover for an underground structure manhole
KR100942727B1 (ko) 높이조절용 맨홀뚜껑
AU2013203172A1 (en) Manhole cover security lock with controlled pressure release
KR200383421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KR200267333Y1 (ko) 맨홀용 덮개
KR200306637Y1 (ko) 맨홀의 잠금장치
KR100746633B1 (ko) 맨홀
KR100257929B1 (ko) 목높이를 높일 수 있는 맨홀뚜껑 조립체
KR20150133951A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