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944B1 -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944B1
KR101580944B1 KR1020140070669A KR20140070669A KR101580944B1 KR 101580944 B1 KR101580944 B1 KR 101580944B1 KR 1020140070669 A KR1020140070669 A KR 1020140070669A KR 20140070669 A KR20140070669 A KR 20140070669A KR 101580944 B1 KR101580944 B1 KR 10158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mage
search
information
search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746A (ko
Inventor
한상택
김선기
양정윤
Original Assignee
(주)피엑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엑스디 filed Critical (주)피엑스디
Priority to KR102014007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944B1/ko
Priority to PCT/KR2015/005809 priority patent/WO2015190821A1/ko
Publication of KR2015014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영상 재생 장치는,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벤트(event)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영상 영역에서 재생되는 영상 및 상기 탐색 바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VIDEO PLAY APPARATUS WITH SEARCH BAR INCLUDING EVENT IMAGE AND NON-EVENT IM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이루어진 탐색 바를 통해 이벤트 중심의 썸네일 서치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재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며, 재생 화면 하단에 위치한 탐색 바가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탐색 바 내의 현재 위치 식별자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원하는 재생 위치를 신속하게 검색하는데 상당한 불편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탐색 바 내에 소정의 시간 단위로 추출된 이미지로 구성되는 썸네일(thumbnail)을 형성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썸네일 방식의 탐색 바에 따르면, 단순히 소정의 시간 단위로 구분된 이미지만이 사용자에게 표시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전에는 썸네일을 이루는 각각의 이미지가 어떤 상황이나 내용과 관련되는 영상인지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스포츠 경기 영상인 경우, 경기 정보와 경기의 주요 내용에 관한 하이라이트 영상이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경기의 주요 장면을 다시 보기 위해서는 경기 정보를 먼저 살펴보고 해당하는 시점의 영상을 찾아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이루어진 탐색 바를 통해 이벤트 중심의 썸네일 서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영상 재생 장치는,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벤트(event)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영상 영역에서 재생되는 영상 및 상기 탐색 바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스포츠 경기 영상이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스포츠의 경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비-이벤트(non-event)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탐색 영상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비-이벤트 영상은 상기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내지 탐색 종료 시간 이내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상기 탐색 바의 상기 탐색 시작 시간 및 상기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은 상기 이벤트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재생빈도의 변화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상기 탐색 바의 상기 탐색 시작 시간 및 상기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 상기 이벤트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탐색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영상 또는 상기 비-이벤트 영상의 재생 위치부터, 상기 메인 영상 영역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작 방법은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소정의 이벤트(event)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스포츠 경기 영상이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스포츠의 경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비-이벤트(non-event)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색 바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탐색 영상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비-이벤트 영상은 상기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내지 탐색 종료 시간 이내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영상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상기 탐색 바의 상기 탐색 시작 시간 및 상기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은 상기 이벤트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재생빈도의 변화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상기 탐색 바의 상기 탐색 시작 시간 및 상기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 상기 이벤트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탐색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영상 또는 상기 비-이벤트 영상의 재생 위치부터, 상기 메인 영상 영역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시간 간격에 따른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이루어진 탐색 바를 통해 썸네일 서치를 제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주요 내용에 대한 탐색 및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영상 등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탐색 바만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주요 내용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하게 하고, 재생을 원하는 위치를 쉽게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바의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first)", "제 2(second)"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하는 하나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수량 또는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지정들은 둘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하나의 엘리먼트의 인스턴스들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 에 대한 참조는 오직 두 개의 엘리먼트들이 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제 1 엘리먼트가 일정한 방식으로 제 2 엘리먼트에 선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컴퓨터,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MP3 및 스마트 TV(TeleVision)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부로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영상 재생 장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영상 재생 장치(200)는 제어부(210), 영상 출력부(220), 음성 출력부(230), 메모리부(240), 사용자 입력부(260) 및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영상 재생 장치(2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메인 영상 영역이나 탐색 영상 영역 등에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다양한 음성 및/또는 영상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프로세스가 수행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영상 출력부(220) 및/또는 음성 출력부(23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10)가 수행하는 음성 및/또는 영상 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정보 등을 추출하여, 탐색 영상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탐색 바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되는 이미지 정보는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제어부(210)는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벤트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제어부(210)는 예를 들어, 탐색 배율 등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비-이벤트 영상을 결정하고, 결정된 비-이벤트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탐색 배율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및 탐색 종료 시간에 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탐색 배율이 변경되면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간 간격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이벤트 영상 및/또는 비-이벤트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에 포함되는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데 있어, 탐색 범위(즉, 탐색 시작 시간 내지 탐색 종료 시간의 시간 범위) 및/또는 우선순위 값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탐색 바에 의한 탐색 범위 이내에서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에 포함되는 이미지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및/또는 제어부(210)는 탐색 배율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210)는 이벤트 정보, 비-이벤트 정보 및/또는 탐색 바에 관한 정보를 탐색 바 내에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이벤트의 발생 위치, 이벤트의 내용,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이벤트의 재생빈도 등을 포함하고, 비-이벤트 정보는 비-이벤트 영상의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며, 탐색 바에 관한 정보는 탐색 범위에 관한 정보, 탐색 배율에 관한 정보, 전체 타임 라인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 이벤트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즉, 메인 영상 영역뿐만 아니라,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도 이벤트 영상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이벤트 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적어도 일부 재생 시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특히,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도 재생되는 영상은 이벤트 영상으로 한정됨으로써, 비-이벤트 영상과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탐색 영상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인 영상 영역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상기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탐색 메인 영상 영역 내의 이벤트 또는 비-이벤트 영상의 재생 위치(또는 재생 시작 시간)에서부터, 메인 영상 영역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탐색 바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탐색 바의 탐색 범위, 탐색 배율 등을 변경할 수 있다. 탐색 바에 대한 상기 변경에 따라, 탐색 바 내에 표시되는 탐색 영상 영역의 이미지 정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영상 출력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부(22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제어부(210)에 의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탐색 바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영상 출력부(220)는 영상의 출력을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과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다양한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는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 처리에 의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수반하는 음성의 출력일 수 있다. 음성 출력부(230)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음성 출력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24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출력부(220), 음성 출력, 사용자 입력부(260) 및/또는 통신부(25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40)는 영상 재생 장치(200) 또는 제어부(2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40)는 재생 대상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저장은 유선(예를 들어, USB 연결 등) 또는 무선(예를 들어, 스트리밍 방식 등) 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2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이벤트의 발생 위치(즉, 재생 범위), 이벤트의 내용,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재생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순위 값은 이벤트 영상 간의 우선순위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탐색 배율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이벤트 영상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은 고정적이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재생빈도를 합산하고, 이에 따라 우선순위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메모리부(24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카드, SD(Secure Digital)카드, SM(Smart Media)카드, MMC(Multimedia)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 재생 장치(200)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영상 재생 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6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영상 재생에 관한 사용자 입력, 탐색 범위나 탐색 배율에 관한 사용자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26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재생 장치(200)가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단말, 서버 등)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부(250)는 예를 들어, 재생 대상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 처리 등을 위해 필요한 코덱, 이벤트 영상의 재생빈도에 관한 정보 등을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예를 들어,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의 영상 재생 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3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에서, 제어부(210), 영상 출력부(220), 음성 출력부(230), 메모리부(240), 사용자 입력부(260) 및 통신부(250)는 복수의 물리적인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 영상 출력부(220), 음성 출력부(230), 메모리부(240), 사용자 입력부(260) 및 통신부(250) 각각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거나 펌웨어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300)은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S310 단계); 비-이벤트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S320 단계); 탐색 바를 생성하는 단계(S330 단계); 및 탐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S34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제어부(210)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S310 단계는 제어부(210)가 영상 출력부(220) 및/또는 음성 출력부(230)로 하여금 재생되거나 재생 준비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소정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이벤트의 발생 위치(즉, 재생 범위), 이벤트의 내용,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10 단계는 이벤트 정보의 우선순위 값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210)에 의해 결정되는 이벤트 영상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및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이벤트 영상일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비-이벤트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S320 단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 간격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및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탐색 배율이 변경되면 상기 시간 간격이 변경되어, S320 단계에서 결정되는 비-이벤트 영상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310 단계 및 S320 단계는 탐색 바의 탐색 범위에 기초할 수 있다. 즉, S310 단계 및 S320 단계에서 결정되는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은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내지 탐색 종료 시간 이내의 영상일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탐색 바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10)에 의해 생성되는 탐색 바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을 포함하며, 각각의 탐색 영상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이벤트 영상 및/또는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는 각각의 영상의 재생 위치에 따라 시간 순으로 탐색 영상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30 단계에서 생성되는 탐색 바는 이벤트 정보, 비-이벤트 정보 및 탐색 바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이벤트 정보는 비-이벤트 영상의 재생 위치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며, 탐색 바에 관한 정보는 탐색 범위에 관한 정보, 탐색 배율에 관한 정보, 전체 타임 라인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영상 출력부(220)는 S330 단계에서 생성된 탐색 바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300)은 제어부(210)가 이벤트 정보 내의 우선순위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이벤트 영상의 우선순위 값은 이벤트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재생빈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부(250)는 사용자에 의한 재생빈도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재생빈도의 누적 값에 따라 제어부(210)는 이벤트 정보 내의 우선순위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300)은 제어부(210)가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 이벤트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상 영역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는 별개로, 탐색 영상 영역 내의 이벤트 영상이 재생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명확하게 각 이벤트의 내용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이벤트 영상이 아닌 이벤트 영상만이 재생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보다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300)은 사용자 입력부(260)가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210)가 상기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탐색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벤트 영상 또는 비-이벤트 영상의 재생 위치부터, 메인 영상 영역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300)은 사용자 입력부(260)가 탐색 바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210)가 상기 입력에 따라 탐색 범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탐색 범위가 변경되면, 변경된 탐색 범위에 따라 방법(300)의 S310 단계 내지 S340 단계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면(400)은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표시되는 메인 영상 영역(410) 및 화면의 하단에 구비된 탐색 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탐색 바(420)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430)으로 구성되며, 탐색 영상 영역(430) 각각에는 이벤트 영상 및/또는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썸네일(thumbnail)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탐색 바(420)는 탐색 영상 영역(430)에 표시된 이미지 정보와 관련되는 정보(즉, 이벤트 정보, 비-이벤트 정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시간 정보 등일 수 있다. 특히, 메인 영상 영역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스포츠 경기 영상인 경우, 상기 정보는 인물 정보, 점수 정보, 시간 정보, 경기 진행 정도에 관한 정보 등일 수 있다. 정보는 탐색 바(420) 내의 임의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탐색 바(420)는 탐색 바(420)의 탐색 범위, 탐색 배율, 전체 타임 라인 등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탐색 범위는 탐색 바(420)에 포함되는 영상의 선택 범위에 관한 것으로서, 탐색 시작 시간 및 탐색 종료 시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되지는 않으나, 탐색 바(420)의 좌측단에 탐색 시작 시간이 표시되고, 우측단에 탐색 종료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탐색 배율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한 탐색 범위의 비율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전체 타임 라인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체의 재생 범위(또는 시간) 또는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는 영상 재생 장치(200)의 화면(40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 바(420)는 화면의 하단이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미지 정보와 관련되는 정보 또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의 (a) 및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스포츠 경기 영상에 관한 것이면, 이벤트 정보는 스포츠의 경기 기록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야구 경기가 종료되면, 양 팀의 점수, 안타, 홈런, 도루 등에 관하여 기록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 5의 (a)에서 도시되는 기록 외에도 각 선수에 대해서도 경기 내용에 관한 기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기 기록에 기초하여, 경기 기록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경기 내용을 이벤트로 규정할 수 있다.
도 5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발생 위치 또는 재생 범위(즉,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이벤트의 주요 선수, 이벤트의 내용,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재생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2의 경우, 이OO 선수가 안타를 친 이벤트를 의미하며, 이와 관련되는 영상은 15:32 내지 15:34 범위 내에서 재생될 수 있다. 탐색 범위 내에 이벤트2의 재생 범위가 포함되면 이벤트2가 탐색 바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2는 2의 우선순위 값을 가지는데, 하기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탐색 배율에 의해 결정되는 우선순위 값이 2이상인 경우에만 이벤트2가 탐색 바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2는 230의 재생빈도를 가지고 있다. 재생빈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들의 재생빈도를 합산한 것으로서, 재생빈도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이벤트2의 우선순위 값은 상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면(600)은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표시되는 메인 영상 영역(610) 및 화면의 하단에 구비된 탐색 바(620)를 포함할 수 있다. 탐색 바(620)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630)으로 구성되며, 탐색 영상 영역(630) 각각에는 이벤트 영상 및/또는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썸네일(thumbnail)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은 탐색 바의 탐색 범위 이내의 영상으로서, 구체적으로, 이벤트 영상은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아웃, 득점 등과 같은 주요 이벤트에 관한 정보이며, 비-이벤트 영상은 소정의 시간 간격에 결정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탐색 바(620)에는 이벤트 징보, 비-이벤트 정보, 탐색 바에 관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보는 이벤트 영상의 인물 정보(손OO, 김OO 등), 점수 정보(3:2, 4:3 등), 전체 타임 라인으로서 경기 진행 정도(즉, 1회, 2회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으나, 탐색 바에는 시간 정보, 탐색 바의 탐색 범위(즉, 탐색 시작 시간, 탐색 종료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영상 재생 장치(200)의 화면(60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바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탐색 바의 탐색 범위는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탐색 범위 내에서 제 1 시간 간격으로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탐색 영상 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이벤트-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탐색 영상 영역에 표시된다. 여기서 탐색 영상 영역에 표시되는 이벤트 영상은 제 1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이벤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탐색 바의 탐색 범위를 축소(즉, 탐색 배율을 확대)한 것으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탐색 바에서는 제 1 시간 간격보다 좁은 제 2 시간 간격으로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탐색 영상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탐색 바에서는 이벤트-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탐색 영상 영역에 표시되는데, 상기 이벤트 영상은 제 1 우선순위 값보다 낮은 제 2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이벤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도 7의 (c)는 도 7의 (b)의 탐색 바의 탐색 범위를 축소(즉, 탐색 배율을 확대)한 것으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탐색 바는 제 2 시간 간격보다 좁은 제 3 시간 간격으로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탐색 영상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탐색 바에서는 이벤트-영상의 이미지 정보가 탐색 영상 영역에 표시되는데, 상기 이벤트 영상은 제 2 우선순위 값보다 낮은 제 3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이벤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microcode),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소정의 이벤트(event)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 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비-이벤트(non-event) 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색 바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탐색 영상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스포츠 경기 영상이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스포츠의 경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동작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비-이벤트 영상은 상기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내지 탐색 종료 시간 이내의 영상인, 동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상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상기 탐색 바의 상기 탐색 시작 시간 및 상기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영상인,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은 상기 이벤트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재생빈도의 변화에 따라 변경 가능한, 동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상기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및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결정되는, 동작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 상기 이벤트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탐색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영상 또는 상기 비-이벤트 영상의 재생 위치부터, 상기 메인 영상 영역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로서,
    메인 영상 영역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벤트(event)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영상 영역에서 재생되는 영상 및 상기 탐색 바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비-이벤트(non-event)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비-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탐색 영상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하는, 영상 재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스포츠 경기 영상이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스포츠의 경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영상 재생 장치.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 및 상기 비-이벤트 영상은 상기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내지 탐색 종료 시간 이내의 영상인, 영상 재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상기 탐색 바의 상기 탐색 시작 시간 및 상기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우선순위 값 이상의 우선순위 값을 갖는 영상인, 영상 재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은 상기 이벤트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재생빈도의 변화에 따라 변경 가능한, 영상 재생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상기 탐색 바의 탐색 시작 시간 및 탐색 종료 시간에 기초하는 탐색 배율에 결정되는, 영상 재생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 영상 영역 내에서 상기 이벤트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탐색 영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이벤트 영상 또는 상기 비-이벤트 영상의 재생 위치부터, 상기 메인 영상 영역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영상 재생 장치.
KR1020140070669A 2014-06-11 2014-06-11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8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69A KR101580944B1 (ko) 2014-06-11 2014-06-11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5/005809 WO2015190821A1 (ko) 2014-06-11 2015-06-10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69A KR101580944B1 (ko) 2014-06-11 2014-06-11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46A KR20150142746A (ko) 2015-12-23
KR101580944B1 true KR101580944B1 (ko) 2015-12-31

Family

ID=5483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669A KR101580944B1 (ko) 2014-06-11 2014-06-11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0944B1 (ko)
WO (1) WO20151908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97B1 (ko) * 2020-03-09 2020-10-19 최명기 기술교육플랫폼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765B1 (ko) * 2017-03-24 2020-08-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콘텐츠의 주요 장면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50971B1 (ko) * 2017-08-09 2019-02-21 정지훈 스포츠 영상 제공 장치
KR102143766B1 (ko) * 2019-07-18 2020-08-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콘텐츠의 주요 장면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35B1 (ko) * 2002-08-31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 및 브라우징 시스템
KR101072058B1 (ko) * 2004-02-26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KR101586253B1 (ko) * 2009-02-06 2016-0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835324B1 (ko) * 2011-04-20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채널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4794B1 (ko) * 2012-01-20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09140B1 (ko) * 2012-07-30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97B1 (ko) * 2020-03-09 2020-10-19 최명기 기술교육플랫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46A (ko) 2015-12-23
WO2015190821A1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401B1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CN101443849B (zh) 视频浏览用户界面
CN102290082A (zh) 视频精彩回放片段的处理方法及装置
ES2914124T3 (es) Focalización multimedia
KR101580944B1 (ko)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을 포함하는 탐색 바를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35944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on of Motion Images
US20190149886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20240179201A1 (en) Skipping the opening sequence of streaming content
US88379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095939A (zh) 识别媒体项目的先前流传输部分以避免重复重放
US11356750B2 (en) Automatically and programmatically generating crowdsourced trailers
EP3236336B1 (en) Virtual reality causal summary content
CN10368633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505973B1 (ko) 영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60072511A (ko) 미디어 콘텐츠 플레이백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101610952B1 (ko) 사용자 제스처 기반의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05529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server,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220353588A1 (en) Program searching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or blindness
KR20170003166A (ko) 영상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3227951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JP5954756B2 (ja) 動画再生システム
KR2018005322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31539A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TW201513655A (zh) 視訊編輯技術
KR101248765B1 (ko) 영화시청상태 제공기능의 영화재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