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803B1 -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 Google Patents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803B1
KR101580803B1 KR1020150043904A KR20150043904A KR101580803B1 KR 101580803 B1 KR101580803 B1 KR 101580803B1 KR 1020150043904 A KR1020150043904 A KR 1020150043904A KR 20150043904 A KR20150043904 A KR 20150043904A KR 101580803 B1 KR101580803 B1 KR 101580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unit
air tube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인
박희창
이성휘
윤동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4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에 관한 것으로, 기준면 상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화물이 놓여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관이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둘레 부근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 튜브로 분할되고 상기 각 단위 튜브에 분출구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튜브의 내측 중앙 영역을 상기 지지부와 밀착 고정시키는 보조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 튜브의 각 단위 튜브 내로 공급되어 상기 에어 튜브가 팽창되며, 상기 분출구를 통해 지면으로 분출되면서 에어쿠션이 부상됨으로써, 고하중의 중량물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Air cushion with split type air tube}
본 발명은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공기를 지면으로 분출시켜 에어 필름 층을 형성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을 줄여 고하중의 물체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에 관한 것이다.
에어쿠션(air cushion)이란 중량물을 고압의 공기를 이용해 부상시키는 장치로, 통상 지면(바닥)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시켜 장치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에어 필름 층을 형성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을 줄여 물체의 운송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에어쿠션은 에어 베어링(air-bearing), 에어 캐스터(air-caster) 또는 에어 플로터(air-floater)라 불리기도 한다.
여러 산업체에의 생산 라인에서는 각종 부품, 조립체, 단위 유닛 또는 장비 들의 공장 내 이동이 필수적이고, 종래에는 이와 같은 이동 대상 물체들을 통상 공장에 설치된 이동수단 즉, 로봇 이동수단, 크레인, 호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운반해왔다.
그러나, 점차 상술한 이동수단을 대신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손쉽게 운반이 가능한 에어쿠션을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종래의 에어쿠션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164호("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하중 운반용 에어 캐스터")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에어 캐스터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되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제작되며 하면으로는 미세기공(12)이 무수히 형성된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판 형태의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중앙에 원통형 블록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튜브(10)의 중공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보조블록(30)으로 구성되어, 공기 주입구(13)로부터 주입되는 압축공기가 가해지면 튜브(10)가 팽창함과 동시에 미세기공(12)으로 압축공기가 배출되면서 지면으로부터 부상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베어링은 고무재질로 형성된 링 형태의 튜브(10) 내에 하나의 중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튜브(10)가 날카로운 물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이 발생될 가능성이 큰 문제가 있다. 특히, 다수의 에어 베어링을 이용해 부피가 큰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에어 베어링이 손상되면, 무게중심이 한 쪽으로 쏠리면서 중량물이 기울어 쓰러지게 되어 2차적인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164호("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하중 운반용 에어 캐스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균일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중량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튜브를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마다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에어 튜브의 일부분이 손상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은 기준면 상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화물이 놓여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관이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둘레 부근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 튜브로 분할되고, 상기 각 단위 튜브에 분출구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튜브의 내측 중앙 영역을 상기 지지부와 밀착 고정시키는 보조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 튜브의 각 단위 튜브 내로 공급되어 상기 에어 튜브가 팽창되며, 상기 분출구를 통해 지면으로 분출되면서 부상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중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판 사이에 상기 공기 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에 상기 공기 유입관의 배출단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튜브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할됨으로써, 동일한 형상의 상기 복수개의 단위 튜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공기 유입관은 상기 복수개의 단위 튜브에 각각 공기가 공급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공기 유입관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각 공기 유입관에 분배하는 공기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분배부는 상기 각 단위 튜브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동일하도록 공기를 분배하되, 어느 하나 이상의 단위 튜브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급감하면, 해당 단위 튜브와 연결된 상기 공기 유입관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출구는 상기 각 단위 튜브마다 동일한 위치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단위 튜브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출구를 통해 상기 에어 튜브의 내주면을 따라 지면으로 분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블록은 상부 보조블록 및 하부 보조블록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보조블록과 하부 보조블록 사이에 상기 에어 튜브의 내측 중앙 영역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의 저면 중앙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 튜브는 외측 둘레 부위를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에어 튜브는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면, 상기 기준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자른 단면이 하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 하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밀착 고정되는 네 개의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에어쿠션은 화물을 운반하고 있는 중에 에어 튜브의 한 부분이 찢어지는 등 손상이 발생하면 에어쿠션이 주저앉아 화물이 넘어지거나 충격을 받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에어쿠션을 고안한 것으로, 링 형태의 에어 튜브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단위 튜브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에어 튜브의 일부분이 손상되어도 해당 단위 튜브에 공기 공급을 차단시켜 나머지 단위 튜브에 의해 정상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은 복수개의 단위 튜브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각 단위 튜브마다 동일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각 단위 튜브의 내주면에 형성된 분출구의 위치 또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균형을 이룬 채 부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쿠션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B 확대단면도.
도 1은 종래의 에어쿠션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B 확대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은 크게 지지부(100), 에어 튜브(200) 및 보조블록(300)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100)는 기준면(R) 상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화물이 놓여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관(400)이 구비된다.
또한, 에어 튜브(200)는 지지부(100)의 둘레 부근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로 분할되고, 각 단위 튜브(210)에 분출구(2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에어 튜브(20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조블록(300)은 지지부(10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에어 튜브(200)의 내측 중앙 영역을 지지부(100)와 밀착 고정시킨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에어쿠션은 공기 유입관(400)으로 유입된 공기가 에어 튜브(200)의 각 단위 튜브(210) 내 중공부로 공급되어 에어 튜브(200)가 팽창되며, 각 단위 튜브(210)에 형성된 분출구(220)를 통해 지면으로 분출되면서 부상(浮上)하게 된다.
즉,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단위 튜브(210)를 팽창시키고 분출구(220)를 통해 단위 튜브(210) 내의 압축 공기가 지면으로 강하게 분출됨에 따라 에어쿠션과 지면 사이에 에어 필름 층이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에 놓여진 중량물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미세하게 부상하게 됨으로써, 고하중의 중량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100)는 플레이트(110) 및 중간판(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상부에 화물이 놓여지는 평판형 기재로,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단단한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판(120)은 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기재로,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입관(400)은 플레이트(110) 및 중간판(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관(400)의 일단은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배출단)은 중간판(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중간판(120) 하부에 구비된 에어 튜브(200)의 중공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플레이트(110)와 중간판(120)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격부재(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110) 상부에 고하중의 화물이 놓여지더라도 화물의 무게를 지지하여 공기 유입관(400) 및 에어 튜브(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보조블록(300)은 상부 보조블록(310) 및 하부 보조블록(320)으로 구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보조블록(310)과 하부 보조블록(320) 사이에 에어 튜브(200)의 내측 중앙 영역이 끼움 고정되어 지지부(100)의 저면 중앙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에어 튜브(200)가 링 형태로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판(120)의 저면에 고정되는 에어 튜브(20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할됨으로써, 동일한 형상의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할막이 형성됨으로써 각 단위 튜브(210)마다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또한, 각 단위 튜브(210)들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시키기 위해, 에어 튜브(200) 내 분할막의 상측 단부 또한 중간판(120)과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는 단위 튜브(210)가 8개가 되도록 분할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와 같이 에어 튜브(200)는 공기 유입관(40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면, 기준면(R)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자른 단면이 하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압축 공기가 분출구(220)를 통해 분출될 때 에어 튜브(200)의 내주면을 따라 지면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됨으로써, 에어 튜브(200)와 지면이 맞닿은 부위에 에어 필름 층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이 지면으로부터 부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에어쿠션이 균형을 이루어 부상되기 위해서는 각 단위 튜브(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동일해야한다. 따라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 유입관(400)은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 각각에 공급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공기 유입관(400)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각 공기 유입관(400)에 분배하는 공기 분배부(410)와 연결된다. 공기 분배부(410)는 각 단위 튜브(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동일하도록 공기를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기 분배부(410)는 공기를 압축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인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미도시)와 연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각 공기 유입관(400)의 배출단은 각 단위 튜브(210)의 일정 위치에 공급되도록 각 단위 튜브(210)의 일정 위치에 대응되는 중간판(120) 상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단위 튜브(210)에는 분출구(220)가 형성되며, 분출구(220)는 각 단위 튜브(210)마다 동일한 위치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는 형상이 동일하므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면적도 동일하며, 분출구(220)가 형성되는 위치도 동일하므로, 공기 유입관(400)으로부터 단위 튜브(210)로 유입된 공기는 분출구(220)를 통해 에어 튜브(200)의 내주면을 따라 지면으로 분출되어 부상하게 됨에 있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룬 채 부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 튜브(200)의 외측 둘레단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230)가 형성되며, 지지부(100)(중간판(120))에는 돌출부(230)와 대응 결합되는 부분에 돌출부(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121)이 형성된다.
즉, 에어 튜브(200)의 내측 중앙 영역은 보조블록(300)에 의해 중간판(120)과 결합되며, 외측 둘레단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중간판(120)의 요홈(121)에 삽입됨으로써, 에어 튜브(200)의 내, 외측 부분이 중간판(120)과 밀착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돌출부(230)와 중간판(120)이 결합된 하측 부분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은 지지부(100) 즉, 플레이트(110)와 중간판(120)이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00) 하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밀착 고정되는 네 개의 받침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부(500)는 지지부(100)에 중량물이 얹혀졌을 때 에어 튜브(200)를 보조하여 중량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받침부(500)의 높이는 에어 튜브(200)가 완전히 팽창되었을 때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되어야만 에어 튜브(200)의 내주측 공간과 지면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공기가 계속 유입됨에 따라 부상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을 이용하여 고하중의 하물을 이송하는 동작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먼저 운반 대상 하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에어쿠션을 운반 대상 하물의 하측에 설치하며, 바람직하게는 하물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되면 하물이 각 에어쿠션의 지지부(100)에 얹혀진 상태가 되고, 에어 컴프레서와 연결된 각 에어쿠션의 공기 분배부(410)를 통해 복수개의 공기 유입관(400)으로 분배되어 각 단위 튜브(210)에 일정량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공기 분배부(410)는 각 단위 튜브(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동일하도록 공기를 분배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각 단위 튜브(210)는 점차 팽창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분출구(220)를 통해 에어 튜브(200)의 내주 공간으로 균일하게 분출된다. 즉, 분출구(220)에서 분출된 공기가 에어 튜브(200)의 내주면을 따라 지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지면 사이에 에어 필름 층이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미세하게 부상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상부에 하물이 얹혀진 에어쿠션 전체는 높은 부상력으로 부상하여 지면과의 마찰이 줄어든 상태이므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하물의 운반이 가능한 것이다.
만약, 운반 중 날카로운 모서리에 찍히는 등 외부 충격에 의해 단위 튜브(210) 중 하나가 손상되면, 해당 단위 튜브(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 분배부(410)는 해당 단위 튜브(210)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시킨다.
정리하자면, 공기 분배부(410)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위 튜브(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급감하면, 해당 단위 튜브(210)와 연결된 공기 유입관(400)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동작하므로, 고하중의 화물을 운반하는 중에 에어 튜브(200)의 어느 한 부분에 손상이 발생되어도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에어쿠션은 화물을 운반하고 있는 중에 에어 튜브(200)의 한 부분이 찢어지는 등 손상이 발생하면 에어쿠션이 주저앉아 화물이 넘어지거나 충격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에어쿠션을 고안한 것으로, 링 형태의 에어 튜브(200)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에어 튜브(200)의 일부분이 손상되어도 해당 단위 튜브(210)에 공기 공급을 차단하면 나머지 단위 튜브(210)에 의해 정상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은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각 단위 튜브(210)마다 동일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각 단위 튜브(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분출구(220)의 위치 또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균형을 이룬 채 부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지지부 110 : 플레이트
120 : 중간판 121 : 요홈
130 : 이격부재
200 : 에어 튜브 210 : 단위 튜브
220 : 분출구 230 : 돌출부
300 : 보조블록 310 : 상부 보조블록
320 : 하부 보조블록
400 : 공기 유입관 410 : 공기 분배부
500 : 받침부

Claims (10)

  1.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에어쿠션에 있어서,
    기준면 상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화물이 놓여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관(400)이 구비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의 둘레 부근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일정 높이의 분할막이 구비되어 상기 분할막에 의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 튜브(210)에 분출구(220)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200); 및
    상기 지지부(10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튜브(200)의 내측 중앙 영역을 상기 지지부(100)와 밀착 고정시키는 보조블록(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공기 유입관(40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 튜브(200)의 각 단위 튜브(210) 내로 공급되어 상기 에어 튜브(200)가 팽창되고, 상기 분출구(220)를 통해 지면으로 분출되면서 부상되며,
    상기 에어 튜브(200)는,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막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막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단위 튜브가 만들어지며,
    상기 공기 유입관(400)은,
    상기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에 각각 공기가 공급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 유입관(400)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각 공기 유입관(400)에 분배하는 공기 분배부(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분배부(410)는,
    상기 각 단위 튜브(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동일하도록 공기를 분배하되, 어느 하나 이상의 단위 튜브(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급감하면, 해당 단위 튜브(210)와 연결된 상기 공기 유입관(400)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플레이트(110) 및 상기 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중간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110) 및 상기 중간판(120) 사이에 상기 공기 유입관(400)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120)에 상기 공기 유입관(400)의 배출단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20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할됨으로써, 동일한 형상의 상기 복수개의 단위 튜브(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220)는,
    상기 각 단위 튜브(210)마다 동일한 위치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400)으로부터 상기 단위 튜브(2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출구(220)를 통해 상기 에어 튜브(200)의 내주면을 따라 지면으로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록(300)은,
    상부 보조블록(310) 및 하부 보조블록(320)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보조블록(310)과 하부 보조블록(320) 사이에 상기 에어 튜브(200)의 내측 중앙 영역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저면 중앙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200)는 외측 둘레 부위를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0)에는 상기 돌출부(230)와 대응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돌출부(230)가 삽입되도록 요홈(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200)는,
    상기 공기 유입관(40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면, 상기 기준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자른 단면이 하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0) 하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밀착 고정되는 네 개의 받침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KR1020150043904A 2015-03-30 2015-03-30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KR101580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04A KR101580803B1 (ko) 2015-03-30 2015-03-30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04A KR101580803B1 (ko) 2015-03-30 2015-03-30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803B1 true KR101580803B1 (ko) 2015-12-30

Family

ID=5508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904A KR101580803B1 (ko) 2015-03-30 2015-03-30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8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012A (ja) * 1994-03-08 1995-09-26 Toshiba Corp 空気圧式浮上装置
KR200423164Y1 (ko) 2006-05-12 2006-08-03 (주)트리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하중 운반용 에어 캐스터
KR200460918Y1 (ko) * 2010-09-09 2012-06-20 (주)태현메가텍 에어 베어링
KR20130050848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012A (ja) * 1994-03-08 1995-09-26 Toshiba Corp 空気圧式浮上装置
KR200423164Y1 (ko) 2006-05-12 2006-08-03 (주)트리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하중 운반용 에어 캐스터
KR200460918Y1 (ko) * 2010-09-09 2012-06-20 (주)태현메가텍 에어 베어링
KR20130050848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욕창 방지용 시트쿠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364B2 (en) System for aligning turbomachinery
US9156553B1 (en) Aircraft mission equipment having an integrated air caster handling system
KR101580803B1 (ko) 분할형 에어 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KR101035348B1 (ko) 에어 베어링
KR101684390B1 (ko) 다이어프램의 마모 방지를 위한 에어쿠션 이송장치
KR101577655B1 (ko) 고체형 에어 가이드를 갖는 에어쿠션
JP2003246423A (ja) エアパレット搬送装置
US3618694A (en) Hop-free fluid bearing of spandrel inflated flexible type
CN101447445A (zh) 工件支承装置
KR101674191B1 (ko) 복층형 에어튜브를 갖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US10059529B1 (en) Support pad, system and leg assembly
US11060679B2 (en) Disco ball
US3726357A (en) Air cushion lifting platform
JP3680031B2 (ja) エアパレット
JP2004010256A (ja) エアキャスタを用いた大型重量物の輸送方法及び輸送装置
KR101777198B1 (ko) 에어쿠션 이송장치
EP2613022B1 (en) System for transporting turbomachinery
JP3214431U (ja) 運搬据付装置
WO2010136874A1 (en) Tyre supporting system
TWI519461B (zh) 上昇流形成體及使用此上昇流形成體的非接觸搬運裝置
CN217250318U (zh) 一种多孔介质气浮辊
CN105292902A (zh) 一种液气混合型气垫
KR101703112B1 (ko) 다이어프램의 국소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쿠션 이송장치
CN116344419A (zh) 一种硅片输送装置及输送方法
JP2004142880A (ja) エア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