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198B1 - 에어쿠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쿠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198B1
KR101777198B1 KR1020160017021A KR20160017021A KR101777198B1 KR 101777198 B1 KR101777198 B1 KR 101777198B1 KR 1020160017021 A KR1020160017021 A KR 1020160017021A KR 20160017021 A KR20160017021 A KR 20160017021A KR 101777198 B1 KR101777198 B1 KR 101777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shion
frame
air
pressure plate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252A (ko
Inventor
윤동원
박희창
김병인
이성휘
정현목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17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1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60V1/06Air-cushion wherein the cushion is formed within plenum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6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using fluid at high pressure supplied from an independent source to provide a cushion between load an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에어쿠션부와, 에어쿠션 변형부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상부면에 화물이 적재된다. 에어쿠션부는 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분출구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프레임의 하부면과 바닥면 사이의 내측 공간에 분출한다. 에어쿠션 변형부는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내측 공간 내에서 공기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의 면적을 변경시킨다.

Description

에어쿠션 이송장치{Transporter with air cushion}
본 발명은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에어쿠션의 형상을 변형하여 부상력을 조정할 수 있는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산업체에의 생산 라인에서는 각종 부품, 조립체, 단위 유닛 또는 장비들의 공장 내 이동이 필수적이고, 종래에는 이와 같은 이동 대상 물체들을 통상 공장에 설치된 이동수단 즉, 로봇 이동수단, 크레인, 호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운반해 왔다.
그러나, 점차 상술한 이동수단을 대신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손쉽게 운반이 가능한 에어쿠션 이송장치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에어쿠션 이송장치란 중량물을 고압의 공기를 이용해 부상시키는 장치로, 통상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시켜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공기막을 형성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을 줄여 화물의 운송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쿠션 이송장치는 에어 베어링(air-bearing), 에어 캐스터(air-caster) 또는 에어 플로터(air-floater)라 불리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쿠션 이송장치는, 중공부가 형성된 튜브 형태로 제작되며 하면으로는 분출구(12)가 형성된 에어쿠션부(10)와, 에어쿠션부(10)의 상면에 결합되고 화물(2)이 적재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중앙에 원통형 블록의 형태로 형성되되 에어쿠션부(10)의 중공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보조블록(30)으로 구성되어, 공기 유입구(13)로부터 공기(1)가 유입되면 에어쿠션부(10)가 팽창함과 동시에 분출구(12)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바닥면(3)으로부터 부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부상력은, 주로 프레임(20)의 하면, 바닥면 및 에어쿠션부(10)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S) 내의 공기의 압력과, 내측 공간(S) 내의 공기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A)의 면적에 곱에 비례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쿠션 이송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에어쿠션부(10)가 수동적으로 팽창하고, 이로 인해 팽창된 에어쿠션부(10)와 바닥면(3)이 접촉하여 형성되는 내측 바닥면(A)의 면적이 고정되기 때문에, 화물의 중량에 관계없이 항상 부상력이 일정하게 고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164호(2006. 08. 03. 공고, 고안의 명칭 :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하중 운반용 에어 캐스터)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하여 내측 공간 내에서 공기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의 면적을 변경시킴으로써, 화물의 중량 또는 이송의 신속성 등과 같은 다양한 이송 조건의 변화에 따라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부상력을 조정할 수 있는 에어쿠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어쿠션 이송장치는, 상부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분출구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과 바닥면 사이의 내측 공간에 분출하는 에어쿠션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쿠션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내측 공간 내에서 공기와 접촉되고 상기 에어쿠션부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바닥면의 면적을 변경시키는 에어쿠션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상기 에어쿠션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쿠션부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이 결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판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에어쿠션부 측으로 회동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에어쿠션부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에어쿠션부 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에어쿠션부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상기 에어쿠션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쿠션부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이 결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판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에어쿠션부 측으로 회동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에어쿠션부의 내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에어쿠션부 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에어쿠션부의 내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어쿠션 이송장치는, 상부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 및 바닥면과 함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스커트;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내측 공간으로 분출되는 분출구; 및 상기 스커트를 구동하여 상기 스커트의 타단부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내측 공간 내에서 공기와 접촉되고 상기 스커트의 타단부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바닥면의 면적을 변경시키는 스커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 구동부는 상기 스커트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이 결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스커트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서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 구동부는 상기 스커트를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따르면, 화물의 중량 또는 이송의 신속성 등과 같은 다양한 이송 조건의 변화에 따라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부상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쿠션 이송장치에 따르면,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설계시 다른 유닛과의 간섭 등으로 인한 문제 발생시 호환성 있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제2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에어쿠션의 형상을 변형하여 부상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프레임(110)과, 에어쿠션부(120)와, 에어쿠션 변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면(111)에는 화물(2)이 적재되며,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외부의 압축기(미도시)와 후술할 에어쿠션부(120) 사이의 유로를 연결하는 유입구(121)가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압축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1)는 유입구(121)를 통해 에어쿠션부(120) 내부로 유입되며, 내부로 유입된 공기(1)로 인해 에어쿠션부(120)가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에어쿠션부(120)는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에 설치되고, 프레임(11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1)가 유입구(121)를 통해 에어쿠션부(120) 내부로 유입되어 에어쿠션부(120)는 팽창될 수 있으며, 에어쿠션부(12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면 분출구(122)를 통해 내부의 공기(1)가 프레임(110)의 하부면(112)과 바닥면(3) 사이의 내측 공간(S1,S2)에 분출되면서 에어쿠션 이송장치(100)가 부상(浮上)하게 된다.
공기(1)가 바닥면(3)으로 강하게 분출되어 에어쿠션부(120)와 바닥면(3) 사이에 공기막이 형성되면서, 에어쿠션 이송장치(100)는 프레임(110) 상부에 적재된 화물(2)의 무게를 지지하고 바닥면(3)으로부터 부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하중의 화물(2)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130)는 프레임(1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에어쿠션부(120)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은, 프레임(110)의 하면(112), 바닥면(3) 및 에어쿠션부(110)의 내측면(124)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S1,S2) 내의 공기(1)의 압력과, 내측 공간(S1,S2) 내의 공기(1)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A1,A2)의 면적의 곱에 비례한다.
외부의 압축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1)의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도 2의 (a)와 (b)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공간(S1)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에어쿠션부(120)의 분출구(122)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1)가 내측 공간(S1) 내에 채워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된다. 그러나, 내측 공간(S1) 내에서 공기(1)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A1)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내측 공간(S1) 내의 공기(1)의 압력과 내측 바닥면(A1)의 면적의 곱에 비례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내측 바닥면(A1)의 면적이 클 경우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이 커지게 되어 이송 가능한 화물(2)의 하중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내측 공간(S1)의 큰 부피로 인해 부상력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다소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공간(S2)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에어쿠션부(120)의 분출구(122)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가 내측 공간(S2) 내에 채워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된다. 그러나, 내측 공간(S2) 내에서 공기(1)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A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므로, 내측 공간(S2) 내의 공기(1)의 압력과 내측 바닥면(A2)의 면적의 곱에 비례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내측 바닥면(A2)의 면적이 작을 경우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이 작아지게 되어 이송 가능한 화물(2)의 하중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내측 공간(S2)의 작은 부피로 인해 부상력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쿠션 변형부(130)는 에어쿠션부(120)의 형상을 변형시켜 내측 공간(S1,S2) 내에서 공기(1)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A1,A2)의 면적을 변경시킴으로써,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을 조정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쿠션 변형부(130)는 에어쿠션부(120)의 외측에 설치되고, 에어쿠션부(120)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에어쿠션부(12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가압판(131)과,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압판(131)은 에어쿠션부(120)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3)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단일의 가압판이 에어쿠션부(12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에어쿠션부(12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가압판이 에어쿠션부(12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가압판(131)과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이 결합된 결합부(132)를 중심으로 가압판(131)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로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 공압으로 구동되는 공압 실린더 등 다양한 구동원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압판(131)이 에어쿠션부(120)의 외측면(123)을 가압하지 않으므로, 내측 바닥면(A1)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내측 공간(S1) 내에 공기(1)를 채우는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긴 하지만 고하중의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가 작동한 상태에서는 구동부에 의해 가압판(131)이 에어쿠션부(120) 측으로 회동하여(D1) 가압판(131)이 에어쿠션부(120)의 외측면(123)을 가압하게 되므로, 내측 바닥면(A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부상력이 작아져 이송 가능한 화물의 하중이 작아지긴 하지만, 작아진 내측 공간(S2) 내에 공기(1)를 채우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신속하게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변형례의 에어쿠션 변형부(140)는 에어쿠션부(120)의 외측에 설치되고, 에어쿠션부(120)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에어쿠션부(12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가압판(141)과,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압판(141)은 에어쿠션부(120)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3)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단일의 가압판이 에어쿠션부(12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에어쿠션부(12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가압판이 에어쿠션부(12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가압판(141)을 바닥면(3)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로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 공압으로 구동되는 공압 실린더 등 다양한 구동원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압판(131)이 에어쿠션부(120)의 외측면(123)을 가압하지 않으므로, 내측 바닥면(A1)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고하중의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가 작동한 상태에서는 구동부에 의해 가압판(141)이 에어쿠션부(120) 측으로 이동하여(D2) 가압판(141)이 에어쿠션부(120)의 외측면(123)을 가압하게 되므로, 내측 바닥면(A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내측 공간(S2) 내에 공기(1)를 채우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신속하게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의 에어쿠션 이송장치(100')의 제2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변형례의 에어쿠션 변형부(150)는 에어쿠션부(120)의 내측에 설치되고, 에어쿠션부(120)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에어쿠션부(12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가압판(151)과,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압판(151)은 에어쿠션부(120)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3)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단일의 가압판이 에어쿠션부(120)의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에어쿠션부(12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가압판이 에어쿠션부(120)의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가압판(151)과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이 결합된 결합부(152)를 중심으로 가압판(151)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로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 공압으로 구동되는 공압 실린더 등 다양한 구동원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압판(151)이 에어쿠션부(120)의 내측면(124)을 가압하지 않으므로, 내측 바닥면(A3)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내측 공간(S3) 내에 공기(1)를 채우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신속하게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가 작동한 상태에서는 구동부에 의해 가압판(151)이 에어쿠션부(120) 측으로 회동하여(D3) 가압판(151)이 에어쿠션부(120)의 내측면(124)을 가압하게 되어 내측 공간(S4)이 커지게 되므로, 내측 바닥면(A4)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고하중의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에 도시된 변형례와 도 3에 도시된 변형례를 조합한 변형례도 가능하다.
즉, 본 변형례의 에어쿠션 변형부의 가압판은 에어쿠션부(120)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프레임(110)의 하부면(11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3)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본 변형례의 에어쿠션 변형부의 구동부는 가압판을 바닥면(3)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에 의해 가압판이 에어쿠션부(120) 측으로 이동시 가압판은 에어쿠션부(120)의 내측면(124)을 가압하면서 내측 바닥면의 면적을 작아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쿠션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에어쿠션 이송장치(200)는 프레임(210)과, 스커트(220)와, 분출구(230)와, 스커트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면(211)에는 화물(2)이 적재되며,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스커트(220)는 프레임(210)의 하부면(212)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프레임(210)의 하부면(21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3)을 향해 배치된다. 스커트(220)는 프레임(210)의 하부면(212) 및 바닥면(3)과 함께 공기(1)가 수용될 수 있는 내측 공간(S5,S6)을 구획한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1)가 분출구(230)를 통해 프레임(210)의 하부면(212), 바닥면(3) 및 스커트(220)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S5,S6) 내부로 유입되며, 내측 공간(S5,S6)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면 내측 공간(S5,S6), 스커트(220)와 바닥면(3) 사이에 공기막이 형성되면서 에어쿠션 이송장치(200)가 부상(浮上)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커트(220)의 일단부는 프레임(210)의 하부면(2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출구(230)는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1)가 내측 공간(S5,S6)으로 분출되는 유로 기능을 한다.
상기 스커트 구동부(미도시)는 스커트(220)를 구동시켜, 내측 공간(S5,S6) 내에서 공기(1)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A5,A6)의 면적을 변경시킨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측 바닥면(A5)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에어쿠션 이송장치(200)의 부상력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내측 공간(S5) 내에 공기(1)를 채우는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긴 하지만 고하중의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구동부가 작동하여 스커트(220)와 프레임의 하부면(212)이 결합된 결합부(221)를 중심으로 스커트(220)를 내측 공간(S6) 측으로 회동시키면(D4), 내측 바닥면(A6)의 면적이 작아져 에어쿠션 이송장치(200)의 부상력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긴 하지만, 작아진 내측 공간(S6) 내에 공기(1)를 채우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신속하게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의 에어쿠션 이송장치(200')의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변형례의 스커트(250)는 그 일단부가 프레임(210)의 하부면(212)에서 바닥면(3)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커트 구동부는 스커트(250)를 바닥면(3)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측 바닥면(A5)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고하중의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구동부가 작동하여 스커트(250)를 내측 공간(S6) 측으로 이동시키면(D5), 작아진 내측 공간(S6) 내에 공기(1)를 채우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신속하게 화물을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쿠션 이송장치는,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하여 내측 공간 내에서 공기와 접촉되는 내측 바닥면의 면적을 변경시킴으로써, 화물의 중량 또는 이송의 신속성 등과 같은 다양한 이송 조건의 변화에 따라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부상력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쿠션 이송장치는, 에어쿠션 변형부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에어쿠션 이송장치의 설계시 다른 유닛과의 간섭 등으로 인한 문제 발생시 호환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공기
2 : 화물
3 : 바닥면
100 : 에어쿠션 이송장치
110 : 프레임
120 : 에어쿠션부
130 : 에어쿠션 변형부

Claims (10)

  1. 상부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며, 분출구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과 바닥면 사이의 내측 공간에 분출하는 에어쿠션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쿠션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상기 내측 공간 내에서 공기와 접촉되고 상기 에어쿠션부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바닥면의 면적을 변경시키는 에어쿠션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상기 에어쿠션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쿠션부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이 결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판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에어쿠션부 측으로 회동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에어쿠션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에어쿠션부 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에어쿠션부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상기 에어쿠션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쿠션부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에어쿠션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이 결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압판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에어쿠션부 측으로 회동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에어쿠션부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변형부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에어쿠션부 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에어쿠션부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8. 상부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 및 바닥면과 함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스커트;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내측 공간으로 분출되는 분출구; 및
    상기 스커트를 구동하여 상기 스커트의 타단부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내측 공간 내에서 공기와 접촉되고 상기 스커트의 타단부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바닥면의 면적을 변경시키는 스커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 구동부는 상기 스커트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이 결합된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스커트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서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 구동부는 상기 스커트를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이송장치.
KR1020160017021A 2016-02-15 2016-02-15 에어쿠션 이송장치 KR10177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21A KR101777198B1 (ko) 2016-02-15 2016-02-15 에어쿠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21A KR101777198B1 (ko) 2016-02-15 2016-02-15 에어쿠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252A KR20170096252A (ko) 2017-08-24
KR101777198B1 true KR101777198B1 (ko) 2017-09-12

Family

ID=5975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21A KR101777198B1 (ko) 2016-02-15 2016-02-15 에어쿠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2046B (zh) * 2017-11-07 2019-07-12 安徽扬帆充气游乐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模块化气囊的气垫船用气囊围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64Y1 (ko) * 2006-05-12 2006-08-03 (주)트리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하중 운반용 에어 캐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64Y1 (ko) * 2006-05-12 2006-08-03 (주)트리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하중 운반용 에어 캐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252A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0418B (zh) 一种汽车板材自动冲压设备及其控制电路
CN104417086B (zh) 容器处理装置处的用于容器的夹持单元
JP6371097B2 (ja) タイヤインフレーション装置
US8613296B2 (en) Tire inflating station and method for inflating tires
WO2007139160A1 (ja) タイヤ加硫装置
KR101777198B1 (ko) 에어쿠션 이송장치
JP2011151167A5 (ko)
USRE39312E1 (en) Dual ring tire inflator with splittable support plate
CN111605960B (zh) 用于塑料制品生产的智能搬运设备
CN114684632B (zh) 一种水泥装车系统
KR960010225B1 (ko) 공기부상식 운반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제품의 제조방법과 생산라인
CN202369150U (zh) 瓦楞纸缓冲衬垫生产线中自动上料设备
CN204178122U (zh) 适合影像转移曝光机的菲林与工件密着装置
CN104924055B (zh) 一种用于特殊机床搬运与精确对接的气垫运输设备
US20200354100A1 (en) Product transfer apparatus and product transfer system
CN105966439B (zh) 一种适应于玩具生产流水线的平板车
KR101764762B1 (ko) 모멘텀 커튼 이론을 활용한 에어쿠션 이송장치
JP2011079611A (ja) ニューマチックアンローダの先端ノズル用荷役促進装置
KR101577655B1 (ko) 고체형 에어 가이드를 갖는 에어쿠션
IT202100022520A1 (it) Stazione di gonfiaggio pneumatici
CN111891912A (zh) 气垫搬运龙门架
CN104003151B (zh) 一种定向定位的滚轮输送设备
JP2001233592A (ja) 昇降力ダイレクト作用構造のリフトテ−ブル
KR20150059928A (ko) 중량물 이송정렬장치
CN219057506U (zh) 一种多进多出连续型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