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667B1 -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667B1
KR101580667B1 KR1020140108399A KR20140108399A KR101580667B1 KR 101580667 B1 KR101580667 B1 KR 101580667B1 KR 1020140108399 A KR1020140108399 A KR 1020140108399A KR 20140108399 A KR20140108399 A KR 20140108399A KR 101580667 B1 KR101580667 B1 KR 10158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sound wave
service
wav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327A (ko
Inventor
정희석
이형엽
진세훈
탁종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라홀딩스
(주)파워보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라홀딩스, (주)파워보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라홀딩스
Priority to US14/526,906 priority Critical patent/US9783137B2/en
Priority to JP2014221860A priority patent/JP5970656B2/ja
Priority to EP14191050.5A priority patent/EP2868531B1/en
Priority to CN201410596840.9A priority patent/CN104599478A/zh
Publication of KR2015005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차량용 서비스에 따라 소정의 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음파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된 음파 신호가 차량의 일 구성에 의해 수신되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차량용 서비스는 상기 방출된 음파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에서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SOUND QR SYSTEM FOR VEHICULAR SERVICES}
본 발명은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내에 전자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옵션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트 조정 장치,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옵션 장치들은 Wi-Fi와 같은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접속 장치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내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4-0065296호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파워 시트 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3-0071613호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원격제어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다만, 차량 내부에 무선 접속 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 문제나 인테리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조작함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화면 크기, 입력 인터페이스 등의 문제로 인해 연결이 지연되고 사용하기 어렵고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더불어, 블루투스를 활용하는 기술의 경우 테더링 과정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므로, 신속하게 차량 내 옵션 장치들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별도의 무선 통신 장치 등과의 접속 없이, 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차량용 서비스에 따라 소정의 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음파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된 음파 신호가 차량의 일 구성에 의해 수신되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차량용 서비스는 상기 방출된 음파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차량으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큐알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서비스 제공방법은,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음파 신호는 비가청주파수 대역 또는 가청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용 서비스에 따라 상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무선 접속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필요하지 않고 음파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사운드 큐알 시스템 환경에서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 및 차량에 내장된 신호 방출부(예를 들어, 스피커) 및 신호 수신장치(예를 들어, 마이크)를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모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고,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중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중 운전 편의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중 공조 제어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중 차량 진단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운드 큐알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일 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각각의 심볼을 비가청주파수 대역 및 가청주파수 대역 내에 매핑시킨 매핑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패킷 구조가 차량용 서비스를 위해 사용된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사운드 큐알(Sound QR) 시스템은 기존의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처럼 별도의 통신모듈을 활용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장치들(예를 들어, 스피커, 마이크 등)을 통해 음파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양한 제어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서비스 또는 샌드-투-카(Send to Car)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에 대해 제안한다.
도1을 참조하면,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차량(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LTE(Long Term Evolution)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종류 및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저장장치(110), 입력장치(120), 표시부(130), 통신장치(140), 신호 생성부(150), 신호 방출부(160) 및 신호 수신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저장장치(110)는 다수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생성되거나 송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수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은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작시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장치(110)는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110)는 심볼과 주파수 범위 간의 관계를 미리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덧붙여, 저장장치(110)는 DRAM,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쉬 메모리, SSD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입력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정보 또는 송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인식 기술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화면은 일종의 입력장치(120)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130)는 차량(300)으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음파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장치(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과 정보를 송수신하고, 안테나, 컨버터, 필터 등을 포함한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신호 생성부(15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다양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생성부(150)는 차량용 서비스에 따라 소정의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부(150)는 제 1 차량용 서비스를 위해 제 1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 2 차량용 서비스를 위해 제 2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음파 신호는 사람이 일반적으로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이거나, 사람이 일반적으로 들을 수 없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일 수 있다.
신호 방출부(160)는 전기적인 신호의 변화를 음향의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주변 공간으로 방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방출부(160)는 신호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신호 또는 소정의 음파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 주변으로 방출할 수 있다.
신호 방출부(160)는 예를 들어, 혼 스피커, 돔 스피커, 콘덴서 스피커, 리본형 스피커, 이온 스피커, 압전형 스피커, 코액셜 스피커 등의 확성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수신장치(170)는 사용자 단말기(100) 주변에서 발생된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수신장치(170)는 신호 방출부(160)에서 방출된 음파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된 피드백 음파 신호를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신호 수신장치(170)는 차량(200)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음파 신호(예를 들어, 음악, 대화, 차량 소음 등) 중 피드백 음파 신호를 검출해낼 수 있다.
신호 수신장치(170)는 예를 들어,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압전 마이크 등의 마이크로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200)은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는 피드백 음파 신호를 생성하여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200)은 시중에 유통되는 일반적인 자동차일 수 있고,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피드백 음파 신호를 생성하여 방출하기 위해 차량(200)에 별도의 구성이 장착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00)은 세단, 리무진, 쿠페, 컨버터블, 밴, 왜건, 해치백, 버스, 트럭, 오토바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차량(200)은 차량 내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과 승인-허가 과정을 거칠 수 있고, 상호 간에 각종 데이터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방출된 음파 신호가 차량의 일 구성에 의해 수신되어 인식되는 경우, 차량(200)은 방출된 음파 신호를 기초로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서비스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운전편의 서비스, 공조 제어 서비스 및 차량 진단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각 구성의 동작은 도2 내지 도5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루는 구성 중 일부 구성 또는 모든 구성이 동작함으로써, 차량(200)에 다양한 차량용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중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저장장치(110), 입력장치(120), 표시부(130), 통신장치(140), 신호 생성부(150), 신호 방출부(160) 및 신호 수신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110)는 차량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목적지 검색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성된 검색 정보, 검색 결과 정보 또는 송수신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검색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목적지 검색 및 검색 결과 정보 또는 송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통신장치(140)는 차량용 서비스 중 네비게이션 서비스(210)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목적지 검색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된 검색 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장치(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 검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검색 결과 신호를 서버(300)로부터 수신 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신호 생성부(150)는 일 예에 따른 통신장치(140)와 연동하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검색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통신장치(140)는 차량용 서비스 중 네비게이션 서비스(210)를 위해 타 단말기(400) 또는 서버(300)로부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신호 생성부(150)는 다른 예에 따른 통신장치(140)를 통해 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특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GPS 값(위도 값 및 경도값을 포함)을 수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방출부(160)는 신호 생성부(150)로부터 생성된 검색 결과 신호 또는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주변으로 방출할 수 있다.
신호 수신장치(170)는 신호 방출부(160)로부터 방출된 검색 결과 신호 또는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된 피드백 음파 신호를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차량(200)은 검색 결과 신호 또는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기초로 차량용 서비스 중 네비게이션 서비스(2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서비스(210)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 A는 GPS 장치가 내장된 스마트 폰(Smart Phone)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서 선호하는 음식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풍부한 자연어 검색(인공지능검색)을 지원하는 검색포털엔진(예를 들어,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평역주변에 샤브샤브집', '역삼역에 있는 스타벅스', ‘아버지집’, ‘진세훈’, ‘세훈이네 집’ 등의 자연어 검색을 통해서, 주소 또는 위치가 등록된 즐겨찾기나 사용자 스마트폰의 주소록으로 연동되어, 원하는 목적지들을 GPS 데이터 값으로 찾아 줄 수 있다. 사용자 A는 지도 상의 음식점 위치, 음식점에 대한 평가 등과 함께 음식점 리스트 정보가 표시된 결과 리스트 중 어느 한 곳을 선택할 수 있고, 스마트 폰은 선택된 B 음식점 정보와 대응하는 검색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검색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는 방출되고, 차량은 방출된 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서 B 음식점까지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사용자 C는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위치 정보 또는 GPS 값을 사용자 D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D의 단말기는 사용자 C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C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는 주변으로 방출될 수 있다. 사용자 D가 자신의 차량 근처 또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차량은 위치 신호를 포함한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장치는 수신된 음파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C의 위치까지 길 안내 서비스를 사용자 D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서비스(210)는 차량 내 탑재된 네비게이션 장치에 직접 목적지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 네비게이션 장치에 대한 별도의 조작 방법을 숙지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뒷 좌석에 승차한 사용자일지라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편리하게 네비게이션 장치에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중 운전 편의 서비스(2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저장장치(110), 입력장치(120), 표시부(130), 신호 생성부(150), 신호 방출부(160) 및 신호 수신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110)는 차량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편의 제어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성된 정보 또는 송수신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장치(120)는 차량용 서비스 중 운전 편의 서비스(220)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시트 설정, 거울 설정, 및 핸들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편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설정은 시트의 각도, 시트의 높낮이, 페달과 시트 간의 간격, 시트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고, 거울 설정은 룸 미러의 위치,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 설정은 핸들의 위치, 핸들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트 설정, 거울 설정, 및 핸들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및 모션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터치 패널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버튼 입력 인터페이스 및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시트 설정, 거울 설정, 및 핸들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의 제어 정보 또는 송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50)는 사용자가 편의 제어를 설정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편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방출부(160)는 신호 생성부(150)로부터 생성된 편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신호 수신장치(170)는 방출된 편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된 피드백 음파 신호를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차량(200)은 편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기초로 운전 편의 서비스(2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편의 서비스(220)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 A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자신이 운전하기 편한 상태로 시트, 거울, 핸들을 셋팅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의 각도: 100도’, ‘시트의 높낮이: 높게’, ‘페달과 시트의 간격: 좁게’, ‘시트의 온도: 60도’ 등의 시트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고, ‘룸 미러의 위치: 상향’, 사이드 미러의 위치: 하향’ 등의 거울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고, ‘핸들의 위치: 전방’, ‘핸들의 온도: 50도’ 등의 핸들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시트, 거울, 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고, 스마트 폰은 선택된 편의 제어 설정 값과 대응하는 편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편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는 방출되고, 차량은 방출된 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시트, 거울, 핸들 등의 운전 편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편의 서비스(220)는 편의 제어 설정 값을 사용자 별로 미리 저장하고, 추후에 사용자 단말기(100)를 휴대한 상태로 차량(200)에 승차하면, 음파 통신에 의해 사용자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차량(200)의 운전 편의 장치를 해당 사용자의 설정 값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운전 편의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 편의 장치의 사용자 설정 값을 기억시키기 위한 각종 버튼 및 그 제어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종 버튼 및 제어기를 위한 비용 및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중 공조 제어 서비스(2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저장장치(110), 입력장치(120), 표시부(130), 신호 생성부(150), 신호 방출부(160) 및 신호 수신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110)는 차량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공조 제어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성된 정보 또는 송수신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장치(120)는 차량용 서비스 중 공조 제어 서비스(230)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차량(200)의 공조장치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공조장치에 대한 설정은 에어컨의 온도, 히터의 온도, 차량 실내의 온도, 차량 실내의 습도, 차량 실내의 송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조장치에 대한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에어컨 및 히터의 온도, 차량 실내의 온도, 습도, 송풍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조 제어 정보 또는 송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50)는 사용자가 공조 제어를 설정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공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수신장치(170)는 방출된 공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된 피드백 음파 신호를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차량(200)은 공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기초로 공조 제어 서비스(23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조 제어 서비스(230)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 A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자신이 운전하기 편한 상태로 에어컨 및 히터의 온도, 차량 실내의 온도, 습도, 송풍을 셋팅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온도: 27도’, ‘히터의 온도: 18도’, ‘차량 실내의 온도: 20도’, ‘차량 실내의 습도: 60%’, ‘차량의 송풍: 강하게’ 등의 공조 제어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냉난방 온도 또는 차량 실내의 온도, 습도, 송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고, 스마트 폰은 선택된 공조 제어 설정 값과 대응하는 공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공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는 방출되고, 차량은 방출된 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실내의 공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조 제어 서비스(230)는 공조 장치에 대한 설정 값을 미리 저장하고, 추후에 사용자 단말기(100)를 휴대한 상태로 차량(200)에 승차하면, 음파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공조 장치를 조정함으로써, 공조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에서 센서와 제어장치 또는 구동장치와 제어장치 간 음파 통신에 의한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회로의 단순화로 제품 설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선 또는 단락 등의 불량 원인을 줄여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중 차량 진단 서비스(2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400)는 저장장치(410), 표시부(420), 통신장치(430), 신호 수신장치(440) 및 프로세서(4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4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예에 불과하며,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저장장치(410)는 차량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차량(200)에 대한 체크 요소 리스트 또는 송수신된 차량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차량 진단 서비스(240)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하 설명될 프로세서(4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표시부(420)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추출된 차량 상태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20)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차량 상태 정보 및 차량 대응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420)는 차량 상태 신호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팝업 알림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장치(430)는 추출된 차량 상태 신호 내 차량 이상 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하고, 차량 이상 신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나타내는 차량 대응 신호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수신장치(440)는 차량(200)으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50)는 신호 수신장치(440)에 의해 수신된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50)는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가 차량 진단 서비스(240)인 경우, 음파 신호로부터 차량 상태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상태 신호는 차량(200)에 대한 체크 요소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인 경우 차량(200)에서 발생되는 차량 이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차량 상태 신호는 차량(200)의 연료 정보, 오일 정보, 내부 온도 정보, 및 주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00)에 대한 체크 요소 리스트는 차량(200)의 특정부품의 상태정보(교체일자, 마모 정도), 엔진오일, 미션오일의 상태정보(교체일자),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 타이어의 상태정보(교체일자, 마모상태) 등에 대한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200)의 주행 정보는 출고 이후의 전체 주행 기록이거나 시동을 켜고 끌 때까지의 주행 기록일 수 있다.
프로세서(450)는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의 음향 또는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450)는 차량(20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차량(200)에서 방출하는 차량 상태 신호를 포함한 음파 신호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소정의 음향 또는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진단 서비스(24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차량 이상 경고 메시지를 확인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의 무선 통신에 의해 차량 이상 신호를 서비스 센터 서버(300)로 송신하고, 서비스 센터 서버(300)로부터 차량 이상 신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나타내는 차량 대응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에 차량 이상 상태와 관련한 조치 사항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진단 서비스(240)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차량에 대한 체크 요소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인 경우, 차량은 차량 상태 신호(차량 이상 신호)를 포함한 음파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이렇게 방출된 차량 이상 신호를 포함한 음파 신호를 스마트 폰이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A는 스마트 폰을 통하여 차량 이상 경고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이상 경고는 ‘브레이크 이상 경고’라는 메시지와 함께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경고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 폰의 무선 통신에 의해 가까운 서비스 센터에 차량 이상 진단을 요청하면, 서비스 센터로부터 대응 방안을 받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이상 경고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B자동차 AS센터입니다. 먼저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세요. 그래도 소등되지 않는다면 엔진룸 내의 브레이크 액이 부족하다는 신호입니다. 가까운 정비소로 가셔서 정비바랍니다.’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진단 서비스(240)는 차량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유지 보수에 대한 정보제공이 용이하며, 고장발생 전에 보수의 필요와 주변의 서비스 센터 정보 등을 신속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장 발생시 운전자에게 이를 인지시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큐알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해당 프로그램은 차량 내 컴퓨팅 장치에 설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차량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이 차량 내에 저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가 차량의 일 구성에 의해 수신된다. 소정의 음파 신호와 불필요한 잡음 신호를 함께 수신하는 경우 종래 알려진 기술에 의해 소정의 음파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음파 신호는 비가청주파수 대역 또는 가청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달되고, 휴대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차량용 서비스에 따라 상이하게 생성된다.
이렇게 수신된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용 서비스가 검색되고, 차량은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저장된 프로그램이 검색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사운드 큐알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일 예에 따른 패킷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음파 신호는 도 6에 도시된 패킷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심볼(Symbo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심볼이란 의미 있는 정보를 가지는 코드의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헤더(Header; 610)는 사운드 큐알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의 시작을 의미하는 패킷이며, 4개의 심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더(610)의 H1 및 H2는 제품 구별을 위해 사용되는 코드일 수 있고, H3 및 H4는 버전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코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Data; 620)는 실질적인 정보, 길이(length) 정보, 검사 합(check sum) 정보, 에러 정정 부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헤더(610) 내 심볼의 구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테일(630)은 사운드 큐알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의 종료를 의미하는 패킷이며, 2개의 심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각각의 심볼을 비가청주파수 대역 및 가청주파수 대역 내에 매핑시킨 매핑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좌측 테이블을 참고하면, 각각의 심볼은 비가청주파수 대역 내 소정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16,000Hz 내지 19,900Hz의 비가청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청주파수 대역 내에서 심볼 6은 17578.13Hz(F1) 주파수와 18843.75Hz(F2) 주파수에 의한 제 1 주파수 범위로 정의되고, 심볼 8은 17859.38Hz(F1) 주파수와 18843.75Hz(F2) 주파수에 의한 제 2 주파수 범위로 정의된다.
또한, 도 7의 우측 테이블을 참고하면, 각각의 심볼은 가청주파수 대역 내 소정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소리를 키우기 위해 1,700Hz 내지 11,000Hz의 가청주파수 대역을 활용하거나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7,000Hz 내지 16,000Hz의 가청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청주파수 대역 내에서 심볼 7은 6281.25Hz(F) 주파수에 의한 제 1 주파수로 정의되고, 심볼 8은 7312.50Hz(F) 주파수에 의한 제 2 주파수로 정의된다.
동일한 심볼 8일지라도 비가청주파수 대역에서는 제 2 주파수 범위로 정의되고, 가청주파수 대역에서는 제 2 주파수로 정의되는 차이가 존재한다.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장치는 심볼과 주파수 범위 간의 관계를 미리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매핑 테이블에 의해 복수 개의 심볼이 결정될 수 있으며, 결정된 심볼들을 포함한 음파 신호는 사운드 큐알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운드 큐알 시스템은 비가청주파수 대역 또는 가청주파수 대역에서 기정의된 심볼을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도 높은 인식률과 함께 다양한 차량용 서비스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가정과 같이 60dB의 소음이 발생되는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3m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해 99%의 인식률로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고, 인식속도도 0.5 초 이내였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패킷 구조가 차량용 서비스를 위해 사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헤더의 “PN1A”는 Pilot Navi용 ver.1A를 의미할 수 있고, 테일의 “+/”는 종료를 의미할 수 있으며, 헤더, 데이터, 및 테일 내 문자의 조합은 용도, 제어 대상, 혹은 정의 테이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의 (a)처럼 데이터 내에 “05”가 포함되면 리모콘의 음량 감소 버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도 8의 (b)처럼 데이터 내에 “22”가 포함되면 DMB의 채널 검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처럼 데이터 내에 “35”가 포함되면 네비게이션 장치에 대해 경로 취소 제어를 할 수 있고, 도 8의 (d)처럼 데이터 내에 “52”가 포함되면 오디오 장치의 이전 곡을 실행할 수 있으며, 도 8의 (e)처럼 데이터 내에 “61”이 포함되면 비디오 장치에 대해 종료 명령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콘, DMB, 네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비디오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 장치는 차량과 유무선 형태로 접속되고, 각 데이터 내 문자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저장장치
120: 입력장치 130: 표시부
140: 통신장치 150: 신호 생성부
160: 신호 방출부 170: 신호 수신장치
200: 차량

Claims (18)

  1.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차량용 서비스에 따라 소정의 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음파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된 음파 신호가 차량의 신호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차량용 서비스는 상기 방출된 음파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고,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신호 생성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차량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된 음파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된 피드백 음파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수신장치; 및
    상기 피드백 음파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서비스 중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목적지 검색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된 검색 신호를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목적지 검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검색 결과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검색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상기 검색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서비스 중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해 타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소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상기 위치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서비스 중 운전 편의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시트 설정, 거울 설정, 및 핸들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편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편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운전 편의 서비스는 상기 편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설정은 시트의 각도, 시트의 높낮이, 페달과 시트 간의 간격, 시트의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거울 설정은 룸 미러의 위치,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설정은 핸들의 위치, 핸들의 온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서비스 중 공조 제어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공조장치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공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조 제어 서비스는 상기 공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음파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에 대한 설정은 에어컨의 온도, 히터의 온도, 차량 실내의 온도, 차량 실내의 습도, 차량 실내의 송풍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신호는 복수 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각각의 심볼은 비가청주파수 대역 내 소정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내며,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심볼과 상기 주파수 범위 간의 관계를 미리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신호는 복수 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각각의 심볼은 가청주파수 대역 내 소정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내며,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심볼과 상기 주파수 간의 관계를 미리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기.
  12.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차량으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음향 또는 진동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차량으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가 차량 진단 서비스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차량 상태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상태 신호는 상기 차량에 대한 체크 요소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차량에서 발생되는 차량 이상 신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4.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차량으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가 차량 진단 서비스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파 신호로부터 차량 상태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상태 신호는 상기 차량의 연료 정보, 오일 정보, 내부 온도 정보, 및 주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차량 상태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이상 신호를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차량 이상 신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나타내는 차량 대응 신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7. 삭제
  18. 사운드 큐알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차량용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음파 신호는 비가청주파수 대역 또는 가청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용 서비스에 따라 상이하게 생성되고,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차량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음파 신호가 생성되는 것인, 차량용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40108399A 2013-10-30 2014-08-20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 KR10158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26,906 US9783137B2 (en) 2013-10-30 2014-10-29 Sound QR system for vehicular services
JP2014221860A JP5970656B2 (ja) 2013-10-30 2014-10-30 車両用サービスのためのサウンドqrシステム
EP14191050.5A EP2868531B1 (en) 2013-10-30 2014-10-30 Sound QR system for vehicular services
CN201410596840.9A CN104599478A (zh) 2013-10-30 2014-10-30 通过使用声音qr系统提供载具服务的用户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57 2013-10-30
KR20130129757 2013-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327A KR20150050327A (ko) 2015-05-08
KR101580667B1 true KR101580667B1 (ko) 2015-12-30

Family

ID=5338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399A KR101580667B1 (ko) 2013-10-30 2014-08-20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678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티노스 음파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클러스터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708A (ja) * 2004-05-06 2005-11-17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電子キー及び発信機
JP2010179875A (ja) * 2009-02-09 2010-08-19 Nissan Motor Co Ltd 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移動端末
KR101166351B1 (ko) * 2011-01-31 2012-07-18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364B1 (ko) * 2001-09-07 2006-07-13 주식회사 리버트론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708A (ja) * 2004-05-06 2005-11-17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電子キー及び発信機
JP2010179875A (ja) * 2009-02-09 2010-08-19 Nissan Motor Co Ltd 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移動端末
KR101166351B1 (ko) * 2011-01-31 2012-07-18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운전 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327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137B2 (en) Sound QR system for vehicular services
US95098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n-vehicle speakers
CN107040569B (zh) 基于车辆的内容共享
CN106488359B (zh) 车辆音频系统的定制方法与设备
US10011156B2 (en) Cloud-based in-car HVAC system
KR102456688B1 (ko) 무선 연결 관리
US9899023B2 (en) Audio video navigation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dio video navigation device
US11150729B2 (en) Off-axis gaze tracking in in-vehicle computing systems
US9662960B2 (en) AV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US20160050315A1 (en) Driver status indicator
US9674756B2 (en) Expedited handover between wireless carriers
CN105373090A (zh) 用于净化车辆内部空气的远程信息处理终端及其控制方法
US109994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vehicle voice calls
US10141967B1 (en) Virtual network interface connectivity
CN111731322B (zh) 在乘车共享环境中掩蔽乘员声音的方法和系统
CN110857098A (zh) 可自动配置的车辆用户界面
KR101580667B1 (ko) 차량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큐알 시스템
RU2769941C1 (ru) Анте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телематического бло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9966951B2 (en) System for allowing a user to wirelessly manage software applications of a computing device and plurality of vehicles sensors
CN110830885B (zh) 用于车辆音频源输入声道的系统和方法
US20240114322A1 (en) Vehicle-to-everything navigatio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