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408B1 -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408B1
KR101580408B1 KR1020140116957A KR20140116957A KR101580408B1 KR 101580408 B1 KR101580408 B1 KR 101580408B1 KR 1020140116957 A KR1020140116957 A KR 1020140116957A KR 20140116957 A KR20140116957 A KR 20140116957A KR 101580408 B1 KR101580408 B1 KR 10158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ing
unit
signals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호
김영윤
조승원
채동철
허윤구
최종연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연관된다.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하는 신호 결합부 및 상기 신호 결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연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결합하여 단일 신호로 이용하는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연관된다.
인공위성이나 발사체 또는 항공기 분야에 있어서 지상이나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을 위해 대부분 RF(Radio Frequency) 통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RF 통신은 주파수 특성이나 담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채널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최근에 하나의 위성체, 발사체 또는 항공기에 다양한 탑재체와 채널이 탑재되고 있으며, 해당 위성체, 발사체 또는 항공기를 담당하는 지상 시험 장비 역시 복잡도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고 있다.
기존의 기술로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각 채널당 하나의 RF 패스를 구성하고, 다른 채널의 측정을 위해서는 계측 장비의 입력단에서 스위칭을 사용하여 RF 신호를 받아들이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늘어나는 채널과 복잡도를 수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하는 신호 결합부 및 상기 신호 결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은 서로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들 각각에 따라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단일 신호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을 상기 신호 결합부와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되는 신호들을 소멸시키는 종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제외한 수신단을 상기 종단부와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들을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신호 결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 들은 서로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에 따라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단일 신호로 결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신호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제외한 수신단을 종단부와 연결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제외한 수신단의 신호를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가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가 다른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가 두 개의 신호 모두를 선택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가 두 개의 신호 모두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일부 실시예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신호 수신 장치(100)는 수신부(110), 신호 결합부(120), 연결부(130), 제어부(140) 및 종단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포함할 수 있다. RF 통신에서는 주파수 특성이나 담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채널로 구분된다. 수신부(110)는 주파수 특성이나 담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는 수신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을 가진 채널로부터의 신호는 제1 수신단을 통해 수신되고, 제2 주파수 대역을 가진 채널로부터의 신호는 제2 수신단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특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더라도,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채널이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는 제1 수신단을 통해 수신되고, 제2 데이터는 제2 수신단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채널이 구분되는 기준으로 제시한 주파수 특성 및 데이터의 종류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채널은 다르게 구분될 수 있으며, 구분된 채널에 대응하는 수신단을 통해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신호 결합부(120)는 수신부(11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신호의 종류가 다양해 지고, 이에 따라 채널의 수가 증가해짐에 따라 각 채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복잡도 역시 증가하고 부피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수신되는 신호 들 중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복조 과정이 병렬 처리가 가능하므로 신호 수신 장치의 복잡도 및 부피를 감소시키는 데에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되는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함으로써, 인공 위성, 발사체 또는 항공기 등의 기능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비에서, 결합된 신호들 간의 스펙트럼 확인 및 비교가 용이할 수 있다. 더불어,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하기 때문에 기존의 시험 알고리즘 등을 통한 기존의 방식으로 시험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신호 결합부(120)를 통해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은 서로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거나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 신호 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단일 신호로 결합할 수 있다.
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지 않거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수신되는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수신단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이 왜곡될 수 있어 원래의 신호를 분석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결합부(120)는 수신된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하고, 결합된 단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결합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단일 신호로 결합되어 출력되므로, 단일 패스를 통해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신호 수신 장치의 복잡도 및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신호 결합부(120)와 수신부(1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거나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아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 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 결합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 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모두를 항상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부(130)는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선택하여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0)의 구체인 연결 동작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들 각각에 따라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단일 신호로 결합하기 위해 연결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30)는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선택하여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들 각각에 따라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을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하도록 연결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만을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고,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아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경우, 연결부(130)는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수신 장치(100)에서 제1 신호만을 요구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 만을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이와 같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 만을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할 수 있다.
종단부(150)는 수신되는 신호들을 소멸시킬 수 있다. 종단부(150)는 RF 패스의 종단에서 RF 패스의 특성 임피던스와 동일한 전기 저항을 부착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신호 수신 장치(100)에서 이용되지 않는 신호가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된 수신단을 제외한 수신단을 종단부(15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들 각각에 따라 요구되지 않는 신호들을 소멸시킴으로써,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들이 요구되지 않는 다른 신호들에 의해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수신 장치(200)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전체 장치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2 개의 수신단(210, 211)을 포함할 수 있다. 2 개의 수신단(210, 211) 각각은 인공 위성, 발사체 또는 항공기와 같이 복수 개의 채널에서 RF 신호를 송신하는 RF 송신 장치(250)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주파수 특성이나 담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2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는 수신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210)과 수신단(211)으로 각각 수신되는 신호들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서로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신호 결합부(220)는 2 개의 수신단(210, 211)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할 수 있다. 신호 결합부(220)는 결합된 단일 신호를 하나의 RF 패스로 신호 복조 과정이 처리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2 개의 수신단(210, 211)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RF 패스를 구성할 필요 없이, 하나의 단일 RF 패스를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단일 RF 패스를 구성함으로써,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전체 장치의 복잡도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연결부(13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30, 231)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 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모두를 항상 신호 결합부(220)와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부(130)는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2 개의 수신단(210, 211)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선택하여 신호 결합부(220)와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전체 장치의 동작에서 요구되는 신호들만을 단일 신호로 결합하도록 수신단(210, 211)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 결합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수신단(210)을 통해 수신된 신호 만을 신호 결합부(220)에 연결하도록 스위치(230)를 동작시키고, 수신단(211)을 통해 수신된 신호는 종단부(241)에 연결하도록 스위치(23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연결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치(230, 231)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전체 장치에서 요구되는 신호는 신호 결합부(220)로 입력되고, 그 외의 신호는 종단부(240, 241)로 입력되어 소멸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가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3에서는 수신단(310)을 통해 수신되는 A 신호 만이 신호 결합부(320)에 입력되어 단일 신호로 출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제어부(140) 또는 사용자의 입력 등을 통해 수신단(310)을 통해 수신되는 A 신호 만을 단일 신호로 출력하기 위해 신호 결합부(320)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수신단(310, 311)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된 회로라도, 언제나 모든 신호들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 또는 사용자의 입력 등을 통해 수신단(310, 311)과 신호 결합부(320)와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치(330)가 수신단(310)을 신호 결합부(320)에 연결되도록 하고, 종단부(340)와는 연결되지 않도록 동작 한다. 또한, 연결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치(331)가 수신단(311)을 신호 결합부(320)와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종단부(341)와 연결되도록 동작한다.
이를 통하여, 신호 결합부(320)에는 A 신호 만이 입력되어 단일 신호로 출력되고, 수신단(311)을 통해 수신되는 B 신호는 종단부(341)로 연결되어 소멸된다. B 신호는 종단부(341)를 통해 소멸 됨으로써, 전체 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지 않거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수신되는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수신단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이 왜곡될 수 있어 원래의 신호를 분석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되는 A 신호 및 B 신호의 주파수 파형을 고려해 보면, A 신호 및 B 신호는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일 신호로 결합되더라도 서로 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가 다른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4에서는 수신단(411)을 통해 수신되는 B 신호 만이 신호 결합부(420)에 입력되어 단일 신호로 출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제어부(140) 또는 사용자의 입력 등을 통해 수신단(411)을 통해 수신되는 B 신호 만을 단일 신호로 출력하기 위해 신호 결합부(420)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수신단(410, 411)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하도록 구성된 회로라도, 언제나 모든 신호들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 또는 사용자의 입력 등을 통해 수신단(410, 411)과 신호 결합부(420)와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치(431)가 수신단(411)을 신호 결합부(420)에 연결되도록 하고, 종단부(441)와는 연결되지 않도록 동작 한다. 또한, 연결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치(430)가 수신단(410)을 신호 결합부(420)와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종단부(440)와 연결되도록 동작한다.
이를 통하여, 신호 결합부(420)에는 B 신호 만이 입력되어 단일 신호로 출력되고, 수신단(410)을 통해 수신되는 A 신호는 종단부(440)로 연결되어 소멸된다. A 신호는 종단부(440)를 통해 소멸 됨으로써, 전체 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가 두 개의 신호 모두를 선택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5에서는 수신단(510) 및 수신단(511)을 통해 수신되는 A 신호 및 B 신호 모두가 신호 결합부(520)에 입력되어 단일 신호로 출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제어부(140) 또는 사용자의 입력 등을 통해 수신단(510) 및 수신단(511)을 통해 수신되는 A 신호 및 B 신호를 결합하여 단일 신호로 출력하기 위해 신호 결합부(520)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치(530, 531)가 신호 결합부(520)에 연결되도록 하고, 종단부(540, 541)와는 연결되지 않도록 동작 한다. 신호 결합부(420)에는 A 신호 및 B 신호 모두가 입력되어 단일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결합된 단일 신호는 각 신호마다 별도의 RF 패스로 동작하지 않고, 하나의 단일 패스로 동작하게 되므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전체 장치의 복잡도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가 두 개의 신호 모두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의 회로도이다.
도 6에서는 수신단(610) 및 수신단(611)을 통해 수신되는 A 신호 및 B 신호 모두가 신호 결합부(520)에 입력되지 않아 단일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의 회로도이다. 제어부(140) 또는 사용자의 입력 등을 통해 수신단(610) 및 수신단(611)을 통해 수신되는 A 신호 및 B 신호를 결합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에 포함되는 스위치(630, 631)가 신호 결합부(620)에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종단부(640, 641)와 연결되도록 동작 한다. 신호 결합부(620)에는 A 신호 및 B 신호 모두가 입력되지 않아 단일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전체 장치의 동작에 따라 A 신호 및 B 신호 모두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A 신호 및 B 신호 모두를 종단부(640, 641)를 통해 소멸시킴으로써 전체 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단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수신단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 모두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전체 장치의 동작 등에 따라 제어부(140)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신호들을 모두 선택하여 하나의 단일 신호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신호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수신되는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수신단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이 왜곡될 수 있어 원래의 신호를 분석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710)에서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들을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RF 통신에서는 주파수 특성이나 담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채널로 구분된다. 수신부(110)는 주파수 특성이나 담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는 수신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연결부(130)는 신호 결합부(120)와 수신부(1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거나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아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 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 결합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 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모두를 항상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부(130)는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선택하여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0)의 동작은 제어부(14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들 각각에 따라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단일 신호로 결합하기 위해 연결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신호 수신 장치(100)의 동작들 각각에 따라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을 신호 결합부(120)와 연결하도록 연결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신호 결합부(120)는 수신부(11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신호의 종류가 다양해 지고, 이에 따라 채널의 수가 증가해짐에 따라 각 채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복잡도 역시 증가하고 부피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수신되는 신호 들 중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복조 과정이 병렬 처리가 가능하므로 신호 수신 장치의 복잡도 및 부피를 감소시키는 데에 용이할 수 있다.
신호 결합부(120)를 통해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일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신호들은 서로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거나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 신호 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단일 신호로 결합할 수 있다.
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지 않거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수신되는 신호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수신단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이 왜곡될 수 있어 원래의 신호를 분석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하는 신호 결합부;
    상기 수신되는 신호들을 소멸시키는 종단부; 및
    상기 신호 결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제외한 수신단을 상기 종단부와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 수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은 서로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는, 신호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들 각각에 따라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단일 신호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을 상기 신호 결합부와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제어하는, 신호 수신 장치.
  6. 삭제
  7. 삭제
  8.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들을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수신단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신호 결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단일 신호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신단 중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제외한 수신단을 종단부와 연결하여,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단을 제외한 수신단의 신호를 소멸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 수신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수신되는 신호 들은 서로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지 않는, 신호 수신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동작에 따라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단일 신호로 결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신호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단을 연결하는, 신호 수신 방법.
  13. 삭제
KR1020140116957A 2014-09-03 2014-09-03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8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57A KR101580408B1 (ko) 2014-09-03 2014-09-03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57A KR101580408B1 (ko) 2014-09-03 2014-09-03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408B1 true KR101580408B1 (ko) 2015-12-28

Family

ID=5508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957A KR101580408B1 (ko) 2014-09-03 2014-09-03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4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990A (ja) * 1997-02-26 2000-05-16 シィディ・レイディ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衛星放送システム受信機
KR20080021533A (ko) * 2006-08-30 2008-03-07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무선 수신기 및 무선 수신기 프론트 엔드
JP2009152788A (ja) * 2007-12-19 2009-07-09 Fujitsu Ltd 送受信機
KR20130068673A (ko) * 2011-12-16 2013-06-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rf 송수신 신호 분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990A (ja) * 1997-02-26 2000-05-16 シィディ・レイディ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衛星放送システム受信機
KR20080021533A (ko) * 2006-08-30 2008-03-07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무선 수신기 및 무선 수신기 프론트 엔드
JP2009152788A (ja) * 2007-12-19 2009-07-09 Fujitsu Ltd 送受信機
KR20130068673A (ko) * 2011-12-16 2013-06-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rf 송수신 신호 분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7280B (zh) 一种天线调谐电路及移动终端
US11314685B2 (en) Low noise serial interfaces with gated clock
KR20190026449A (ko)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143182B2 (en) Adaptive cosite arbitration system
EP3864753B1 (en) Tunable radio frequency circui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30603B1 (ko)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11442888B2 (en) Serial communication apparatus for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chips of radio frequency front-end module and inside the chips
US99297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DD-FDD duplexing in a radio architecture
US10374687B2 (en)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and re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6879062A (zh) 用于发射接收系统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KR20160021264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5281852A (zh) 一种l波段测试设备及测试方法
CN105304999B (zh) 耦合装置、天线装置、电子设备和控制方法
KR101580408B1 (ko) 신호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646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 탐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697985A (zh) 5g射频接收电路、无线通信设备
KR101923997B1 (ko) 단일 송수신기를 가지는 추적용 트랜스폰더의 안테나 스위칭 제어방법
US20220312526A1 (en) Dual-connectivity mode launch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10002104B2 (en) Dual autonomous telemetry data acquisition system and real time opto-isolated receivers for use therewith
US93977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flexible radio communications using a wideband radio and separable radio definition module
CN110875755B (zh) 芯片系统、电路及无线通信设备
US9515753B2 (en) AM/FM antenna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wide-band noise using tunable high-Q structures
US20140153502A1 (en) Wireless link method and system using multiband
KR102611883B1 (ko) 다중 대역 레이다 표적 모의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117259A1 (en) Wireless signal receiving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