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221B1 -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221B1
KR101580221B1 KR1020150052001A KR20150052001A KR101580221B1 KR 101580221 B1 KR101580221 B1 KR 101580221B1 KR 1020150052001 A KR1020150052001 A KR 1020150052001A KR 20150052001 A KR20150052001 A KR 20150052001A KR 101580221 B1 KR101580221 B1 KR 101580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late
wall plate
wal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156A (ko
Inventor
허완
Original Assignee
(주) 사천수출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사천수출포장 filed Critical (주) 사천수출포장
Priority to KR102015005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2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는, 판형의 바닥판, 바닥판의 제1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벽체판, 제1 벽체판에 대향되도록 바닥판의 제2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벽체판, 바닥판의 제3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제1, 제2 벽체판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에 따라 폴딩(folding)이 가능한 구조의 제3 벽체판, 바닥판의 제4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제1, 제2 벽체판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에 따라 폴딩이 가능한 구조의 제4 벽체판, 및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REUSABLE FOLDABLE-TYPE PAC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가간의 국제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상품의 해외 운송 시장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품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포장박스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박스는 주로 일회성으로 제작되며 그 재질도 나무상자로 제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포장박스는 일회성으로 제작되므로 초기 비용은 낮출 수 있으나, 한번 쓰고 나면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이를 폐기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하고 난 포장박스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부피를 줄일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포장박스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지 못한 구조적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의 해체가 용이하여 컨테이너의 회수 시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컨테이너의 재사용을 위해 재조립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포장박스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1668호(2015.02.02, 발명의 명칭: 접이식 포장 상자)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포장박스의 해체가 용이하여 포장박스의 회수 시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포장박스의 재조립이 용이하여 포장박스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판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제1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벽체판; 상기 제1 벽체판에 대향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제2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벽체판; 상기 바닥판의 제3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제2 벽체판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에 따라 폴딩(folding)이 가능한 제3 벽체판; 상기 바닥판의 제4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제2 벽체판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에 따라 폴딩이 가능한 제4 벽체판; 및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제3 벽체판은, 일단이 상기 제1 벽체판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1 패널; 및 일단이 상기 제2 벽체판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패널의 타단과 상기 제2 패널의 타단 간은 제1 힌지부를 통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벽체판의 일단과 상기 제1 패널의 일단 간은 제2 힌지부를 통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 벽체판의 일단과 상기 제2 패널의 일단 간은 제3 힌지부를 통해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패널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1 핀홀을 구비한 제1 힌지; 상기 제2 패널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2 핀홀을 구비한 제2 힌지; 상기 제1, 제2 핀홀에 각각 대응되는 제3, 제4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를 연결하는 연결 힌지; 상기 제1 핀홀과 상기 제3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 핀; 및 상기 제2 핀홀과 상기 제4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힌지는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을 겹친 상태의 폭 너비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연결 힌지의 길이방향 양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타단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벽체판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5 핀홀을 구비한 제3 힌지; 상기 제1 패널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6 핀홀을 구비한 제4 힌지; 및 상기 제5 핀홀과 상기 제6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3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힌지부는 상기 제2 힌지부와 동일한 폴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벽체판은 상기 제3 벽체판과 동일한 폴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을 상기 바닥판과 상기 덮개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로드; 및 상기 회전 로드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의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수용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에는 상기 회전 로드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과 상기 덮개판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 로드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3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과 상기 제3 삽입홈은 각각 일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과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 및 상기 덮개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포장박스는, 상기 바닥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상기 바닥판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장박스의 해체가 용이하여 포장박스의 회수 시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포장박스의 재조립이 용이하여 포장박스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를 운반이 용이하게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벽체판들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벽체판들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제3 벽체판의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제1 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고정부를 이용하여 덮개판을 벽체판에 고정시키는 동작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고정부를 이용하여 덮개판을 벽체판에 고정시키는 동작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를 운반이 용이하게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는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포장박스는, 판형의 바닥판(500); 상기 바닥판(500)의 제1 변(5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벽체판(100); 상기 바닥판(500)의 제2 변(5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벽체판(200); 상기 바닥판(500)의 제3 변(5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제2 벽체판(100, 2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에 따라 폴딩(folding)이 가능한 구조의 제3 벽체판(300); 상기 바닥판(500)의 제4 변(5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제2 벽체판(100, 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에 따라 폴딩이 가능한 구조의 제4 벽체판(400); 및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6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용 포장박스의 해체가 용이하여 포장박스의 회수 시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해체된 포장용 포장박스의 재조립이 용이하여 포장용 포장박스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포장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상품 포장용 컨테이너를 나무상자와 같이 일회성으로 제작함에 따라 포장박스의 재활용이 어려웠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상품을 포장하기 위해 포장박스를 매번 제작하던 경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어 자원과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이식 포장박스는 바닥판(500)과, 그 상측에 형성되는 덮개판(600), 및 상기 바닥판(500)과 상기 덮개판(6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벽체판(100)과 제2 벽체판(200)과 제3 벽체판(300)과 제4 벽체판(400)을 포함한다.
먼저, 바닥판(500)은 포장대상물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면을 형성하는 판형의 부재일 수 있다. 바닥판(500)의 하부에는 포크리프트(fork lift)에 의해 운반이 가능하도록 그 횡방향을 따라 포크 삽입홀(5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500)은 외부 충격과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종래의 나무 상자와 달리 알루미늄이나 강철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벽체판(100)은 바닥판(500)의 제1 변(51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판(500)의 우측변이 제1 변(510)이 되고, 그 좌측변이 제2 변(520)이 되고, 그 하측변이 제3 변(530)이 되고, 그 상측변이 제4 변(540)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제1, 제2, 제3, 제4 변(510, 520, 530, 540)은 상기의 역순으로 달리 표현될 수도 있다.
제2 벽체판(200)은 중앙에 바닥판(500)을 중심으로 제1 벽체판(10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바닥판(500)의 제2 변(52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벽체판(200)은 제1 벽체판(1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1 벽체판(20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벽체판(100)과 제2 벽체판(200)은 바닥판(500)을 중심으로 바닥판(500)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벽체판(100)과 제2 벽체판(200)은 내부 적재 공간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이격될 수 있다.
제3 벽체판(300)은 바닥판(500)의 제3 변(53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3 벽체판(300)은 제1, 제2 벽체판(100, 200)의 일단에 양단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제3 벽체판(300)은 제2 힌지부(340)와 제3 힌지부(350)를 통해 제1 벽체판(100)의 일단과 제2 벽체판(2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벽체판(300)은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제1 힌지부(33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3 힌지부(330, 340, 35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4 벽체판(400)는 바닥판(500)의 제4 변(54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 벽체판(400)은 중앙에 바닥판(500)을 중심으로 제3 벽체판(300)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벽체판(400)은 제3 벽체판(3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3 벽체판(30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벽체판들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벽체판들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6의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6의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제3 벽체판의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제1 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벽체판(300)은 그 양단부가 제1 벽체판(100)의 일단과 제2 벽체판(200)의 일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그 중앙부가 힌지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 벽체판(100) 및 제2 벽체판(200)의 사이에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폴딩(folding)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제3 벽체판(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벽체판(1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1 패널(310); 및 일단이 제2 벽체판(2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 패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310)의 타단과 제2 패널(320)의 타단은 앞서 간략히 설명한 제1 힌지부(330)를 통해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벽체판(100)의 일단과 상기 제1 패널(310)의 일단 사이에는 힌지회동을 위한 제2 힌지부(340)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벽체판(200)의 일단과 상기 제2 패널(320)의 일단 사이에는 힌지회동을 위한 제3 힌지부(35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포장박스는, 제1, 제2, 제3 힌지부(330, 340, 350)를 통해, 제3 벽체판(300)이 제1 벽체판(100) 및 제2 벽체판(200)에 대해 힌지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제1 힌지부(3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310)의 타단과 제2 패널(320)의 타단을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로, 제1 힌지(331)와 제2 힌지(332)와 연결 힌지(333)와 제1 핀(334) 및 제2 핀(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331)는 제3 벽체판(300)의 제1 패널(310)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1 핀홀(331a)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힌지(331)는 제1 패널(3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핀홀(331a)은 연장된 상기 제1 힌지(331)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332)는 제1 힌지(331)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제3 벽체판(300)의 제2 패널(320)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2 핀홀(33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힌지(331)와 유사하게, 제2 힌지(332)는 제2 패널(32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핀홀(332a)은 연장된 상기 제2 힌지(332)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힌지(333)는 제1 힌지(331)와 제2 힌지(332)가 서로 연결되도록 제1 힌지(331)와 제2 힌지(332)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연결 힌지(333)에는 상기 제1, 제2 핀홀(331a, 332a)에 각각 대응되는 제3, 제4 핀홀(333a, 333b)이 형성된다.
제1 핀(334)은 제1 핀홀(331a)과 제3 핀홀(333a)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핀(335)은 제2 핀홀(332a)과 제4 핀홀(333b)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핀홀(331a)과 제3 핀홀(333a)의 관경은 상기 제1 핀(334)의 직경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핀홀(332a)과 제4 핀홀(333b)의 관경은 상기 제2 핀(335)의 직경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힌지부(330)는 제1 패널(310)의 타단과 제2 패널(320)의 타단을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참고로, 연결 힌지(333)는 제1 패널(310)과 제2 패널(320)을 겹친 상태에서의 패널 폭 너비(2W)에 상응하는 길이방향의 길이(L)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힌지(333)의 길이방향의 길이(L)가 제1 패널(310)과 제2 패널(320)을 겹친 상태에서의 패널 폭 너비(2W)보다 크거나 적어도 같도록 형성됨으로써, 연결 힌지(333)를 중심으로 제1 패널(310)과 제2 패널(320)이 힌지회동하여 폴딩될 때, 제1 패널(310)과 제2 패널(320) 사이에 각도가 형성되어 벌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고 난 포장박스의 회수를 위해, 포장박스를 분리하여 접을 때, 최소한의 부피가 되도록 포장박스를 접어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힌지(333)의 길이방향 양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곡면 또는 경사면(33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회동시, 연결 힌지(333)의 길이방향 양단 모서리 부분이 제1 및 제2 패널(310, 320)의 타단과 간섭하여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힌지부(3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체판(100)의 일단과 제1 패널(310)의 일단 간을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로, 제3 힌지(341)와 제4 힌지(342) 및 제3 핀(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힌지(341)는 제1 벽체판(10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 벽체판(100)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제2 벽체판(200)을 향해 직각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 힌지(341)는 제5 핀홀(341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5 핀홀(341a)은 제3 힌지(34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4 힌지(342)는 제3 힌지(341)에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제1 패널(310)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4 힌지(342)에는 제3 힌지(341)의 제5 핀홀(341a)에 대응되는 제6 핀홀(34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핀(343)이 상기 제5 핀홀(341a)과 제6 핀홀(342a)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제1 벽체판(100)과 제1 패널(310)이 힌지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핀홀(341a)과 제6 핀홀(342a)의 관경은 제3 핀(343)의 직경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힌지부(340)는 제1 벽체판(100)의 일단과 제1 패널(310)의 일단을 힌지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힌지부(3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벽체판(200)의 일단과 제2 패널(320)의 일단을 힌지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힌지부(350)는 제5 힌지(351)와 제6 힌지(352) 및 제4 핀(3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힌지(351)는 제3 힌지(341)에 상응할 수 있으며, 제6 힌지(352)는 제4 힌지(342)에 상응할 수 있으며, 제4 핀(353)은 제3 핀(343)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3 힌지부(350)는 전술한 제2 힌지부(340)와 동일한 힌지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2 힌지부(34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4 벽체판(400)는 바닥판(500)의 제4 변(54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제2 벽체판(20, 30)의 타단에 양단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4 벽체판(400)은 전술한 제3 벽체판(300)과 마찬가지로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4 벽체판(400)은 그 양단부가 제1 벽체판(100)의 타단과 제2 벽체판(200)의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그 중앙부가 힌지결합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적재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 제1 벽체판(100) 및 제2 벽체판(200)의 사이에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폴딩(folding)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제4 벽체판(400)은 일단이 제1 벽체판(1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제3 패널(410); 및 일단이 제2 벽체판(2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제4 패널(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패널(410)의 타단과 상기 제4 패널(420)의 타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힌지부(430)를 통해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4 힌지부(430)는 전술한 제1 힌지부(33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제1 벽체판(100)의 타단과 제3 패널(410)의 일단 사이에는 힌지회동을 위한 제5 힌지부(440)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벽체판(200)의 타단과 제4 패널(420)의 일단 사이에는 힌지회동을 위한 제6 힌지부(45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포장박스는, 제4 힌지부(440)와 제5 힌지부(440)와 제6 힌지부(450)를 통해, 제4 벽체판(400)이 제1 벽체판(100) 및 제2 벽체판(200)에 대해 힌지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제4 벽체판(400)은 전술한 제3 벽체판(300)과 동일한 폴딩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4 벽체판(4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4 힌지부(430)는 전술한 제1 힌지부(330)에 대응되며, 제5 힌지부(440)는 전술한 제2 힌지부(340)에 대응되며, 제6 힌지부(450)는 전술한 제3 힌지부(350)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그 세부적인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덮개판(600)은 판형의 바닥판(50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덮개판(600)은 바닥판(500)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판형의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포장박스는, 상술한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과 바닥판(500)과 덮개판(600)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포장대상물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을 형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고정부를 이용하여 덮개판을 벽체판에 고정시키는 동작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고정부를 이용하여 덮개판을 벽체판에 고정시키는 동작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포장박스는,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이 바닥판(500)과 덮개판(6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들 간을 결합시키는 고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700)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회전축(710); 상기 회전축(710)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7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로드(720); 및 상기 회전 로드(72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710)은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의 수용홈(740)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710)은 수용홈(7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수용홈(740)는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의 측면에 홈(groov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홈(740)는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의 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수용홈(740)에는 회전 로드(720)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지지면(741)와 제2 지지면(7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면(741)에는 회전 로드(720)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제1 삽입홈(742)가 형성되며, 제2 지지면(743)에도 회전 로드(720)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제2 삽입홈(74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삽입홈(742)는 그 일측이 외측으로 개방된 "U" 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삽입홈(742)의 개방된 폭 너비는 회전 로드(720)의 외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삽입홈(774)는 제1 삽입홈(74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로드(720)는 회전축(710)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회전축(7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회전 로드(720)의 단부에는 나사부(73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로드(720)는 원통형 막대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수용홈(740) 내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회전축(710)은 제1 지지면(741)과 제2 지지면(743) 사이의 중심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로드(720)는 회전축(71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마다 제1 지지면(741)의 제1 삽입홈(742) 또는 제2 지지면(743)의 제2 삽입홈(744)에 삽입될 수 있고, 나사부(730)를 통해 제1 삽입홈(742) 또는 제2 삽입홈(744)에 고정될 수 있다.
나사부(730)는 회전 로드(720)가 제1 삽입홈(742) 또는 제2 삽입홈(744)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평상시 회전 로드(720)를 수용홈(740) 내에 보관할 때는 제1 삽입홈(742)에 회전 로드(720)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나사부(730)를 조임으로써 회전 로드(720)를 제1 삽입홈(742)에 고정시킬 수 있고, 바닥판(500)과 덮개판(600)을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에 고정시킬 때는 제2 삽입홈(744)에 회전 로드(720)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나사부(730)를 조임으로써 회전 로드(720)를 제2 삽입홈(74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바닥판(500) 또는 덮개판(600)은 제2 삽입홈(744)와 나사부(730)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판(500)과 덮개판(600) 각각에는 제3 삽입홈(746)을 갖는 제3 지지면(745)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삽입홈(746)는 상술한 제1 및 제2 삽입홈(742, 744)와 유사하게 일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삽입홈(746)는 바닥판(500)과 덮개판(600)의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700)는 상술한 회전축(710), 회전 로드(720), 나사부(730), 수용홈(740)를 이용하여, 바닥판(500)과 덮개판(600)을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바닥판(500)과 덮개판(600)을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100, 200, 300, 400) 및 덮개판(600)은 바닥판(500)과 마찬가지로 가혹한 외부 환경에 견딜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강철과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들을 반드시 금속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에서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포장박스는, 바닥판(5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거치하고자 하는 포장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거치대(810); 및 상기 거치대(810)을 상기 바닥판(500)에 대해 회전이동시키는 구동부(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81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막대부재(811a)가 배열되는 포크 형상의 제1 프레임(810a); 및 상기 제1 프레임(810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의 제2 막대부재(811b)를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810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막대부재(811a)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810b)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820)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공압 또는 유압을 제공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기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가 길이방향으로 신축운동함으로써, 제1 프레임(810a)과 제2 프레임(810b)으로 구성된 거치대(810)을 고정된 바닥판(500)에 대해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장박스를 해체하여 부피를 줄이고자 할 때, 거치대(810)를 접어서 바닥판(500)에 고정시킬 수 있어, 해체 시 포장박스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포장박스의 휴대성 및 적재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박스의 해체가 용이하여 포장박스의 회수 시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포장박스의 재조립이 용이하여 포장박스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 벽체판 200: 제2 벽체판
300: 제3 벽체판 310: 제1 패널
320: 제2 패널 330: 제1 힌지부
331: 제1 힌지 332: 제2 힌지
333: 연결 힌지 334: 제1 핀
335: 제2 핀 331a: 제1 핀홀
332a: 제2 핀홀 333a: 제3 핀홀
333b: 제4 핀홀 340: 제2 힌지부
341: 제3 힌지 342: 제4 힌지
343: 제3 핀 341a: 제5 핀홀
342a: 제6 핀홀 350: 제3 힌지부
351: 제5 힌지 352: 제6 힌지
353: 제4 핀 341a: 제5 핀홀
342a: 제6 핀홀 400: 제4 벽체판
410: 제3 패널 420: 제4 패널
430: 제4 힌지부 500: 바닥판
510: 제1 변 520: 제2 변
530: 제3 변 540: 제4 변
550: 포크 삽입홀 600: 덮개판
700: 고정부 710: 회전축
720: 회전 로드 730: 나사부
740: 수용홈 741: 제1 지지면
742: 제1 삽입홈 743: 제2 지지면
744: 제2 삽입홈 745: 제3 지지면
756: 제3 삽입홈 810: 거치대
820: 구동부

Claims (12)

  1. 판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제1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벽체판;
    상기 제1 벽체판에 대향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제2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벽체판;
    상기 바닥판의 제3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제2 벽체판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에 따라 폴딩(folding)이 가능한 제3 벽체판;
    상기 바닥판의 제4 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 제2 벽체판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힌지회동에 따라 폴딩이 가능한 제4 벽체판;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 및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을 상기 바닥판과 상기 덮개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로드; 및
    상기 회전 로드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벽체판은,
    일단이 상기 제1 벽체판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1 패널; 및
    일단이 상기 제2 벽체판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패널의 타단과 상기 제2 패널의 타단 간은 제1 힌지부를 통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벽체판의 일단과 상기 제1 패널의 일단 간은 제2 힌지부를 통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 벽체판의 일단과 상기 제2 패널의 일단 간은 제3 힌지부를 통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패널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1 핀홀을 구비한 제1 힌지;
    상기 제2 패널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2 핀홀을 구비한 제2 힌지;
    상기 제1, 제2 핀홀에 각각 대응되는 제3, 제4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를 연결하는 연결 힌지;
    상기 제1 핀홀과 상기 제3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 핀; 및
    상기 제2 핀홀과 상기 제4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2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힌지는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을 겹친 상태의 폭 너비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연결 힌지의 길이방향 양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타단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벽체판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5 핀홀을 구비한 제3 힌지;
    상기 제1 패널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6 핀홀을 구비한 제4 힌지; 및
    상기 제5 핀홀과 상기 제6 핀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3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힌지부는 상기 제2 힌지부와 동일한 폴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벽체판은 상기 제3 벽체판과 동일한 폴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의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수용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에는 상기 회전 로드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덮개판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 로드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제3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과 상기 제3 삽입홈은 각각 일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제1, 제2, 제3, 제4 벽체판 및 상기 덮개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포장박스는,
    상기 바닥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상기 바닥판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KR1020150052001A 2015-04-13 2015-04-13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KR10158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01A KR101580221B1 (ko) 2015-04-13 2015-04-13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01A KR101580221B1 (ko) 2015-04-13 2015-04-13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156A KR20150087156A (ko) 2015-07-29
KR101580221B1 true KR101580221B1 (ko) 2015-12-24

Family

ID=5387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001A KR101580221B1 (ko) 2015-04-13 2015-04-13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2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03Y1 (ko) 2004-07-07 2004-10-02 (주)가야산업 접철식 포장 박스
KR101473976B1 (ko) * 2013-03-28 2014-12-17 전순용 코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KR101480667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M자형 접이부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용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804B1 (ko) * 2013-09-04 2015-03-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힌지 시스템을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03Y1 (ko) 2004-07-07 2004-10-02 (주)가야산업 접철식 포장 박스
KR101473976B1 (ko) * 2013-03-28 2014-12-17 전순용 코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KR101480667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M자형 접이부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용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156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5776B2 (ja) 容器装置
US8783461B2 (en) Collapsible bulk bin container
US10342331B2 (en) Collapsible articulating cabinet frame
US20090175700A1 (en) Cargo shipping assembly and method
US9517879B2 (en) Foldable transport container with horizontally slidable side walls and method for folding said container
JPH09315433A (ja) ロール製品輸送用コンテナ
US20180022525A1 (en) Corner piece for packaging
JPH08510980A (ja) 運搬・収納システム
CN110641849A (zh) 托盘箱
US8910786B2 (en) Packaging for motors
KR101580221B1 (ko)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포장박스
US20060124498A1 (en) Collapsible crate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KR200363603Y1 (ko) 접철식 포장 박스
EP3356244B1 (en) Pallet-free bulk bin container
CN220743690U (zh) 循环利用折叠箱
US20220185535A1 (en) Folding container
US20090212145A1 (en) Collapsible shredder base
JP2019123535A (ja) 梱包箱と梱包方法
JP3905072B2 (ja) 梱包箱
JP3041239B2 (ja) 梱包装置
KR20150004354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WO2016108248A1 (en) Collapsible and expandable racks for fascia and method thereof
GB2568541A (en) Improvements in pallets
US20170073135A1 (en) Flat-pack packaging material for dru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