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087B1 - 배전반용 부스섹션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부스섹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087B1
KR101580087B1 KR1020140125209A KR20140125209A KR101580087B1 KR 101580087 B1 KR101580087 B1 KR 101580087B1 KR 1020140125209 A KR1020140125209 A KR 1020140125209A KR 20140125209 A KR20140125209 A KR 20140125209A KR 101580087 B1 KR101580087 B1 KR 10158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anel
disposed
booth
upp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567A (ko
Inventor
박정홍
신량범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0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3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filled with oil or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1 판넬과, 상기 제1 판넬과 이웃 배치되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2 판넬과, 제1 판넬로 유입되어 제2 판넬로 유출되는 제1 부스부 및 상기 제1 부스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판넬로 유입되어 제2 판넬로 유출되는 제2 부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넬은 제1 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전단 상부실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1 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전단 중앙실과, 상기 제1 전단 중앙실의 하부 및 상기 제1 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지는 제1 연결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판넬은 제2 전단 상부실과, 상기 제2 전단 상부실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 후단 상부실과, 상기 제2 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전단 중앙실과, 상기 제2 전단 중앙실의 하부 및 상기 제1 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지는 제2 연결실을 구비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배전반용 부스섹션{bus section for swichgear}
본 발명은 배전반용 부스섹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송전, 변전 계통이나 전기 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배전 계통 정격전압 25.8kV 지중 배전 선로에서 옥외 또는 옥내에 들어가는 중요 전력기기로써, 선로의 분기, 구분 개폐와 후단 변압기의 보호기능이 추가되어 배전 계통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전력 회사로부터 공급받는 고압 인입선의 경우 각 상의 전력 배선은 동도체로 배선하여 각 상별로 각각의 차단기가 설치되는데 공기 중에서의 절연구조는 각 상별로 최소 210mm 이상의 절연 간격이 유지되어야만 절연 확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공기 절연 방식은 대단히 큰 사이즈의 부품들을 다수의 외함 탱크에 분리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가스절연 개폐장치 중 큐비클(Cubicle)형이 있으며, 큐비클형 가스절연 개폐장치(Cubicle type GIS)는 고압 전기기기들을 내압형으로 설계, 제작된 판넬에 수납하여 절연내력 및 냉각 효과가 우수한 가스를 통해 절연시킨 배전반이다.
그리고, 큐비클형 가스절연 개폐장치에는 부스 연결용 부스섹션 베이(bus section bay)가 구비되며, 나아가 복모선이 사용되는 큐비클형 가스절연 개폐장치에는 부스섹션 1,2 모선과 더불어 모선연결을 위한 부스 레이저 베이(bus riser bay)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즉, 부스센션은 총 3개의 면(bay), 다시 말해 부스섹션 제1 베이와, 부스섹션 제2 베이 및 부스 레이저 베이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큐비클형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다.
나아가, 메인 부스 바(main bus bar)가 단로부와의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부스(bus) 연결시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높은 절연레벨에 따른 고체 절연 Main-bus-bar system을 구현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83270호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 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배전반용 부스섹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1 판넬과, 상기 제1 판넬과 이웃 배치되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2 판넬과, 제1 판넬로 유입되어 제2 판넬로 유출되는 제1 부스부 및 상기 제1 부스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판넬로 유입되어 제2 판넬로 유출되는 제2 부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넬은 제1 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전단 상부실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1 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전단 중앙실과, 상기 제1 전단 중앙실의 하부 및 상기 제1 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지는 제1 연결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판넬은 제2 전단 상부실과, 상기 제2 전단 상부실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 후단 상부실과, 상기 제2 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전단 중앙실과, 상기 제2 전단 중앙실의 하부 및 상기 제1 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지는 제2 연결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스부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중앙실과,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중앙실 및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상부실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스부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판넬의 제1 연결실과, 상기 제2 판넬의 제2 연결실 및 상기 제2 판넬의 제2 후단 상부실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2 판넬의 제1,2 연결실은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스부는 외부전선과 연결되는 제1 입력측 접속부재와, 상기 제1 입력측 접속부재에 제1 단자와 제1-1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입력측 단로기와, 상기 제1 입력측 단로기에 제2 단자와 제1-2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차단기와, 상기 제1 차단기와 상기 제2 단자와 제1-3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출력측 단로기 및 상기 제1 출력측 단로기에 상기 제1 단자와 제1-4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출력측 접속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측 접속부재는 상기 1 판넬의 제1 전단 상부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입력측 단로기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상부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단기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중앙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출력측 단로기는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상부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측 접속부재는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상부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3 부스바는 일단이 상기 제1 차단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중앙실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상부실에 배치되는 제1 출력측 단로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스부는 외부전선과 연결되는 제2 입력측 접속부재와, 상기 제2 입력측 접속부재에 제1 단자와, 제2-1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입력측 단로기와, 상기 제2 입력측 단로기에 제2-2 부스바 및 제2-3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차단기와, 상기 제2 차단기와 제2-4 부스바 및 제2-5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출력측 단로기 및 상기 제2 출력측 단로기에 제1 단자와 제2-6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출력측 접속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측 접속부재는 상기 1 판넬의 제1 후단 상부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력측 단로기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후단 상부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차단기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연결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출력측 단로기는 상기 제2 판넬의 제2 후단 상부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출력측 접속부재는 상기 제2 판넬의 제2 후단 상부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부스부가 제1,2 판넬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추가적인 판넬의 설치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반용 부스섹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을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름 배전반용 부스섹션에 구비되는 제1,2 판넬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에 구비되는 제1 부스부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에 구비되는 제2 부스부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름 배전반용 부스섹션에 구비되는 제1,2 판넬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을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100)은 일예로서, 제1 판넬(120), 제2 판넬(140), 제1 부스부(160) 및 제2 부스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판넬(120)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판넬(120)은 제1 부스 유입실(122), 제2 부스 유입부실(124), 제1 전단 상부실(126), 제1 후단 상부실(128), 제1 전단 중앙실(130), 제1 연결실(132) 및 제1 전단 케비넷(13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판넬(120)의 내부 공간에는 육불화황(SF6)이나 건조공기 또는 질소(N2) 가스와 같은 절연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즉, 제1 판넬(120)의 제1 부스 유입실(122), 제2 부스 유입부실(124), 제1 전단 상부실(126), 제1 후단 상부실(128), 제1 전단 중앙실(130), 제1 연결실(132) 및 제1 전단 케비넷(134) 내부에는 육불화황(SF6)이나 건조공기 또는 질소(N2) 가스와 같은 절연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한편, 제1 판넬(120)의 각 구역, 다시 말해 제1 부스 유입실(122), 제2 부스 유입부실(124), 제1 전단 상부실(126), 제1 후단 상부실(128), 제1 전단 중앙실(130), 제1 연결실(132) 및 제1 전단 케비넷(134)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2 부스부(160,180)의 설명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한 각 구역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부스 유입실(122)은 제1 전단 케비넷(134)의 후방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1 부스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부스 유입실(124)은 제1 부스 유입실(122)의 후방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2 부스부(18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스 유입실(124)은 제1 부스부(160)와 제2 부스부(180)를 격리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부스 유입실(122)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부스 유입실(122)과 제2 부스 유입실(124)은 상호 연통되지 않는다.
제1 전단 상부실(126)은 제1 부스 유입실(122)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1 부스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단 상부실(126)은 상기한 제1 부스 유입실(12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부스부(160)는 제1 부스 유입실(122)로부터 제1 전단 상부실(126)로 유입된다.
제1 후단 상부실(128)은 제2 부스 유입실(124)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2 부스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후단 상부실(128)은 상기한 제2 부스 유입실(124)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후단 상부실(128)은 제1 전단 상부실(126)과 상호 연통되지 않는다.
한편, 제1 전단 중앙실(130)은 제1 전단 상부실(126)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전단 상부실(12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전단 중앙실(130)은 제1 부스부(160)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또한, 제1 전단 상부실(126)과는 연통되며 상기한 제1 후단 상부실(128)과는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실(132)은 제1 전단 중앙실(130) 및 제1 후단 상부실(128)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연결실(132)은 제1 전단 중앙실(130) 및 제1 후단 상부실(128)의 하부에 배치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실(132)은 제1 전단 중앙실(130)에 연결되어 제2 부스부(180)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제1 전단 케비넷(134)은 제1 판넬(120)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각종 구동부 및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판넬(140)은 제1 판넬(120)과 이웃 배치되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판넬(140)은 제1 부스 유출실(142), 제2 부스 유출실(144), 제2 전단 상부실(146), 제2 후단 상부실(148), 제2 전단 중앙실(150), 제2 연결실(152) 및 제2 전단 케비넷(15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판넬(140)의 내부 공간에도 육불화황(SF6)이나 건조공기 또는 질소(N2) 가스와 같은 절연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즉, 제1 부스 유출실(142), 제2 부스 유출실(144), 제2 전단 상부실(146), 제2 후단 상부실(148), 제2 전단 중앙실(150), 제2 연결실(152) 및 제2 전단 케비넷(154)의 내부에는 육불화황(SF6)이나 건조공기 또는 질소(N2) 가스와 같은 절연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제1 부스 유출실(142)은 제2 전단 케비넷(154)의 후방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1 부스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부스 유출실(144)은 제1 부스 유출실(142)의 후방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2 부스부(18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스 유출실(144)은 제1 부스부(160)와 제2 부스부(180)를 격리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부스 유출실(142)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부스 유출실(142)과 제2 부스 유출실(144)은 상호 연통되지 않는다.
제2 전단 상부실(146)은 제1 부스 유출실(142)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1 부스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단 상부실(146)은 상기한 제1 부스 유출실(14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부스부(160)는 제1 부스 유출실(142)로부터 제2 전단 상부실(146)로 유입된다.
제2 후단 상부실(148)은 제2 부스 유출실(144)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2 부스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후단 상부실(128)은 상기한 제2 부스 유입실(124)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후단 상부실(128)은 제2 전단 상부실(126)과 상호 연통되지 않는다.
한편, 제2 전단 중앙실(150)은 제2 전단 상부실(146)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전단 상부실(14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전단 중앙실(150)은 제1 부스부(160)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또한, 제2 전단 상부실(146)과는 연통되며 상기한 제2 후단 상부실(148)과는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실(132)은 제1 전단 중앙실(130) 및 제1 후단 상부실(128)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연결실(132)은 제1 전단 중앙실(130) 및 제1 후단 상부실(128)의 하부에 배치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실(132)은 제1 전단 중앙실(130)에 연결되어 제2 부스부(180)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한편, 제2 판넬(140)의 제2 연결실(152)과 제1 판넬(120)의 제1 연결실(132)은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 연결실(132,152)은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판넬(140)의 제2 연결실(152)과 제1 판넬(120)의 제1 연결실(132)은 분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전단 케비넷(154)은 제2 판넬(120)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각종 구동부 및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스부(160)는 제1 판넬(120)로 유입되어 제2 판넬(140)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스부(160)는 외부전선과 연결되는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와,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에 제1 단자(161)와 제1-1 부스바(163)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입력측 단로기(164)와, 제1 입력측 단로기(164)에 제2 단자(171)와 제1-2 부스바(165)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차단기(166)와, 제1 차단기(166)와 제2 단자(171)와 제1-3 부스바(167)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출력측 단로기(168) 및 제1 출력측 단로기(168)에 상기 제1 단자(161)와 제1-4 부스바(169)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출력측 접속부재(1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는 제1 판넬(120)의 제1 부스 입력실(1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는 3상 전력에 대응하여 3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에는 주 도선(미도시)이 연결되어 3상 전력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는 일예로서 동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입력측 단로기(164)는 제1 판넬(120)의 제1 전단 상부실(126) 내부에 설치되며, 제1 단자(161)와 제1-1 부스바(163)에 의해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력측 단로기(164)도 3상 전력에 대응되도록 3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3개의 제1 입력측 단로기(164)는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측 단로기(164)는 3상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입력측 단로기(164)를 통해 접지, 단로 및 통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 입력측 단로기(164)에 연결되는 제2 단자(171)는 제1 전단 상부실(126)에 일측이 배치되며 타측은 제1 전단 중앙실(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단기(166)는 제2 단자(171)와 제1-2 부스바(165)를 매개로 제1 입력측 단로기(16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2 부스바(165)는 제2 단자(17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차단기(166)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차단기(166)는 제1 전단 중앙실(13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차단기(166)에는 제1-3 부스바(167)가 연결되며, 제1-3 부스바(167)는 제1 전단 중앙실(130)로부터 제2 전단 중앙실(150)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3 부스바(167)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04)에 의해 제2 전단 중앙실(15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출력측 단로기(168)는 제2 판넬(140)의 제2 전단 상부실(146)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출력측 단로기(168)에 연결되는 제2 단자(171)도 일측이 제2 전단 상부실(146)에 배치되며 타측이 제2 전단 중앙실(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3 부스바(167)의 일측이 제1 차단기(166)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단자(17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출력측 단로기(168)와 제1 입력측 단로기(164)는 동일한 구성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출력측 접속부재(170)는 제1 단자(161)와 제1-4 부스바(169)를 통해 제1 출력측 단로기(168)에 연결되며 제1 부스 유출실(14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4 부스바(169)는 제1 단자(161)에 연결되며, 제1 단자(161)를 통해 제1 출력측 접속부재(170)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출력측 접속부재(170)도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와 같이 3상 전력에 대응하여 3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출력측 접속부재(170)에는 주 도선(미도시)이 연결되어 3상 전력이 송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출력측 접속부재(170)는 일예로서 동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스부(180)는 제1 부스부(16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판넬(120)로 유입되어 제2 판넬(140)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부스부(180)는 외부전선과 연결되는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와,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에 제1 단자(181)와 제2-1 부스바(183)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입력측 단로기(184)와, 제2 입력측 단로기(184)에 제2-2 부스바(185) 및 제2-3 부스바(186)에 의해 연결되는 제2 차단기(187)와, 제2 차단기(187)에 제2-4 부스바(188) 및 제2-5 부스바(189)에 의해 연결되는 제2 출력측 단로기(190) 및 제2 출력측 단로기(190)에 제1 단자(181)와 제2-6 부스바(192)에 의해 연결되는 제2 출력측 접속부재(19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는 제1 판넬(120)의 제2 부스 입력실(124)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도 3상 전력에 대응하여 3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에는 주 도선(미도시)이 연결되어 3상 전력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는 일예로서 동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측 단로기(184)는 제1 판넬(120)의 제1 후단 상부실(128)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부스바(183)는 제1 단자(181)를 통해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입력측 단로기(18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입력측 단로기(184)도 3상 전력에 대응되도록 3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3개의 제2 입력측 단로기(184)도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측 단로기(184)는 3상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입력측 단로기(184)를 통해 접지, 단로 및 통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측 단로기(184)에 연결되는 제2 단자(191)는 제1 후단 상부실(128)에 일측이 배치되며 타측은 제1 연결실(132)에 인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2 부스바(185)는 일측이 상기한 제2 단자(191)에 연결되며, 타측이 제2-3 부스바(186)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부스바(185)는 수직하게 배치되며, 제1 연결실(122)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2-2 부스바(185)는 상기한 제1후단 상부실(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실(132)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한편, 제2-3 부스바(186)는 일단이 제2-2 부스바(185)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2 차단기(187)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3 부스바(186)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제1 연결실(132)에 배치된다. 즉, 2-3 부스바(186)는 제1 연결실(122)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2 부스바(185)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3 부스바(186)가 조립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2 부스바(185)와 제2-3 부스바(18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부스바로 제2-2 부스바(185)와 제2-3 부스바(186)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차단기(187)는 제2 연결실(152)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2 부스바(185)와 제2-3 부스바(186)를 매개로 하여 제2 입력측 단로기(184)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출력측 단로기(190)는 제2-4 부스바(188) 및 제2-5 부스바(189)를 매개로 하여 제2 차단기(187)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출력측 단로기(190)는 제2 판넬(140)의 제2 후단 상부실(148)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4 부스바(188)는 제2 연결실(152)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제2 차단기(187)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5 부스바(189)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5 부스바(189)는 제2 후단 상부실(148)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2 연결실(152)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단이 제2-4 부스바(188)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단자(191)를 매개로 하여 제2 출력측 단로기(19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출력측 접속부재(193)는 제2 판넬(140)의 제2 부스 유출실(144)에 배치되며, 제1 단자(181)와 제2-6 부스바(192)를 통해 제2 출력측 단로기(19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스부(160)와 제2 부스부(180)가 제1,2 판넬(120,14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추가적인 판넬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큐비클형 가스절연 개폐장치, 즉 배전반의 부피를 감소시켜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1,2 부스부(160,180)의 연결이 간단하고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1 부스부와 제2 부스부의 배치상태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에 구비되는 제1 부스부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부스부(160)의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는 제1 부스 입력실(122)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의 하단부에는 제1 단자(161)가 연결된다. 한편, 제1 단자(161)는 제1 전단 상부실(126)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 입력측 접속부재(16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161)에는 제1-1 부스바(163)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부스바(163)는 제1 전단 상부실(126)에 설치되는 제1 단자(161)와 제1 입력측 단로기(164)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 입력측 단로기(164)에는 제2 단자(171)가 연결되며, 제2 단자(171)는 일측이 제1 전단 상부실(126)에 배치되고 타측이 제1 전단 중앙실(13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자(171)의 타측에는 제1-2 부스바(165)가 연결되며, 제1-2 부스바(165)는 제1 전단 중앙실(13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2 부스바(165)는 제1 전단 중앙실(130)에 설치되는 제1 차단기(166)와 제2 단자(171)의 타측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1-3 부스바(167)는 제1 전단 중앙실(130) 및 제2 전단 중앙실(15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전단 중앙실(130,150)은 하나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단 중앙실(130)은 제1 전단 상부실(126)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역을 지칭하고, 제2 전단 중앙실(150)은 제2 전단 상부실(146)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즉, 제1,2 전단 중앙실(130,150)은 하나의 박스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되지 않은 내부공간이며,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2 전단 중앙실(130,150)로 구분하여 지칭하고 있을 뿐, 제1,2 전단 중앙실(130,150)은 하나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3 부스바(167)의 일단은 제1 차단기(166)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3 부스바(167)의 타단은 제2 전단 중앙실(160)과 제2 전단 상부실(146)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2 단자(171)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단자(171)는 제2 전단 상부실(146)에 설치되는 제1 출력측 단로기(168)에 연결된다. 즉, 제2 단자(171)는 일측이 제1-3 부스바(167)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출력측 단로기(168)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출력측 단로기(168)에는 제1-4 부스바(169)가 연결되고, 제1-4 부스바(169)는 제1 단자(161)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단자(161)는 제1 부스 유출실(142)에 설치되는 제1 출력측 접속부재(170)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스부(160)는 제1 부스 입력실(122), 제1 전단 상부실(126), 제1 전단 중앙실(130), 제2 전단 중앙실(150), 제2 전단 상부실(146) 및 제1 부스 출력실(14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제1,2 판넬(120,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예로서 36/38kV의 높은 절연레벨에 따른 고체절연 Main bus-bar system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섹션에 구비되는 제2 부스부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부스부(180)의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는 제2 부스 입력실(124)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의 하단부에는 제1 단자(181)가 연결된다. 한편, 제1 단자(181)는 제1 후단 상부실(128)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2 입력측 접속부재(18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181)에는 제2-1 부스바(183)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2-1 부스바(183)는 제1 전단 상부실(126)에 설치되는 제1 단자(181)와 제2 입력측 단로기(184)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2 입력측 단로기(184)에는 제2 단자(191)가 연결되며, 제2 단자(191)는 일단이 제1 후단 상부실(128)에 배치되며 타단이 제1 연결실(13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자(191)의 타단에는 제2-2 부스바(185)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2 부스바(185)의 일단은 제1 후단 상부실(128)과 제1 연결실(132)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 단자(19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3 부스바(18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2 부스바(185)는 제1 후단 상부실(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실(132)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3 부스바(186)는 일단이 제2-2 부스바(185)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1 연결실(132)에 설치되는 제2 차단기(187)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 연결실(132,152)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제1,2 연결실(132,152)은 하나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연결실(132)은 제1 전단 중앙실(128)과 제1 후단 상부실(128)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역을 지칭하고, 제2 하부실(152)은 제2 전단 중앙실(146)과 제2 후단 상부실(148)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즉, 제1,2 연결실(132,152)은 하나의 박스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되지 않은 내부공간이며,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2 연결실(132,152)로 구분하여 지칭하고 있을 뿐, 제1,2 연결실(132,152)은 하나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2 연결실(132,152)은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차단기(187)에는 제2-4 부스바(188)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4 부스바(188)의 타단은 제2 연결실(152)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5 부스바(189)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5 부스바(189)는 일단이 제2-4 부스바(188)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출력측 단로기(19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5 부스바(189)는 제2 단자(191)를 매개로 하여 제2 출력측 단로기(19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실(152)과 제2 후단 상부실(148)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 단자(191)는 제2 후단 상부실(148)에 설치되는 제2 출력측 단로기(19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출력측 단로기(190)에는 제2-6 부스바(192)가 연결되며, 제2-6 부스바(192)는 제1 단자(181)를 통해 제2 부스 유출실(144)에 설치되는 제2 출력측 접속부재(193)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2 부스부(180)는 제2 부스 유입실(124), 제1 후단 상부실(128), 제1 후단 중앙실(132), 제1 하부실(134), 제2 하부실(154), 제2 후단 중앙실(152), 제2 후단 상부실(148), 제2 부스 유출실(14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제1,2 판넬(120,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배전반용 부스섹션
120 : 제1 판넬
140 : 제2 판넬
160 : 제1 부스부
180 : 제2 부스부

Claims (9)

  1.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1 판넬;
    상기 제1 판넬과 이웃 배치되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2 판넬;
    제1 판넬로 유입되어 제2 판넬로 유출되는 제1 부스부; 및
    상기 제1 부스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판넬로 유입되어 제2 판넬로 유출되는 제2 부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넬은 제1 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전단 상부실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1 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전단 중앙실과, 상기 제1 전단 중앙실의 하부 및 상기 제1 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지는 제1 연결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판넬은 제2 전단 상부실과, 상기 제2 전단 상부실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 후단 상부실과, 상기 제2 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전단 중앙실과, 상기 제2 전단 중앙실의 하부 및 상기 제1 후단 상부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2단으로 꺾여진 형상을 가지는 제2 연결실을 구비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부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중앙실과,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중앙실 및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상부실을 통과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스부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후단 상부실과, 상기 제1 판넬의 제1 연결실과, 상기 제2 판넬의 제2 연결실 및 상기 제2 판넬의 제2 후단 상부실을 통과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판넬의 제1,2 연결실은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부는 외부전선과 연결되는 제1 입력측 접속부재와, 상기 제1 입력측 접속부재에 제1 단자와 제1-1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입력측 단로기와, 상기 제1 입력측 단로기에 제2 단자와 제1-2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차단기와, 상기 제1 차단기와 상기 제2 단자와 제1-3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출력측 단로기 및 상기 제1 출력측 단로기에 상기 제1 단자와 제1-4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출력측 접속부재를 구비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측 접속부재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상부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입력측 단로기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상부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단기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전단 중앙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출력측 단로기는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상부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측 접속부재는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상부실 상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부스바는 일단이 상기 제1 차단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중앙실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판넬의 제2 전단 상부실에 배치되는 제1 출력측 단로기에 연결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스부는 외부전선과 연결되는 제2 입력측 접속부재와, 상기 제2 입력측 접속부재에 제1 단자와, 제2-1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입력측 단로기와, 상기 제2 입력측 단로기에 제2-2 부스바 및 제2-3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차단기와, 상기 제2 차단기와 제2-4 부스바 및 제2-5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출력측 단로기 및 상기 제2 출력측 단로기에 제1 단자와 제2-6 부스바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출력측 접속부재를 구비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측 접속부재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후단 상부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력측 단로기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후단 상부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차단기는 상기 제1 판넬의 제1 연결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출력측 단로기는 상기 제2 판넬의 제2 후단 상부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출력측 접속부재는 상기 제2 판넬의 제2 후단 상부실 상부에 배치되는 배전반용 부스섹션.
KR1020140125209A 2014-09-19 2014-09-19 배전반용 부스섹션 KR10158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209A KR101580087B1 (ko) 2014-09-19 2014-09-19 배전반용 부스섹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209A KR101580087B1 (ko) 2014-09-19 2014-09-19 배전반용 부스섹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866A Division KR101580091B1 (ko) 2013-12-04 2013-12-04 배전반용 부스섹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567A KR20150065567A (ko) 2015-06-15
KR101580087B1 true KR101580087B1 (ko) 2015-12-29

Family

ID=5350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209A KR101580087B1 (ko) 2014-09-19 2014-09-19 배전반용 부스섹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0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980B1 (ko) 2006-05-16 2006-12-19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변전소용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스섹션베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912B1 (ko) * 2000-08-25 2002-12-16 최영진 변전소용 버스스위칭시스템과 그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스위치함 및 차단기함
KR100397567B1 (ko) 2001-04-26 2003-09-17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 절연 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980B1 (ko) 2006-05-16 2006-12-19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변전소용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스섹션베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567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1881B2 (en) Electric circuit breaker and switchgear panel with circuit breaker
JP5484638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9472926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arrangement
KR10129179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079984B1 (ko)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US6195253B1 (en) Substation
KR10148993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04512794A (ja) 向かい合って配置される母線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高電圧変電所と、このような高電圧変電所のためのシールドされた遮断分岐モジュール
US11482840B2 (en) Polyphase switchgear assembly
RU2013103728A (ru) Изолированная сжатым газом многофазная панель
KR20090106391A (ko) 고전압 개폐기
KR101580087B1 (ko) 배전반용 부스섹션
EP3098914B1 (en) Gas-insulated switching device
KR101580091B1 (ko) 배전반용 부스섹션
KR102295956B1 (ko)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JP3203676U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JP6190442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CN104037622A (zh) 一种两进两出带分段的配电站
WO2019149451A1 (en) Modular gas insulated switchgear systems and related cabling modules
KR100755501B1 (ko) 통합 수배전반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RU21254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KR200496464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연결부
RU1772854C (ru) Шкаф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H0898344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