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010B1 - 통신 장치, 참조 신호 생성 방법,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참조 신호 생성 방법,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010B1
KR101580010B1 KR1020127009546A KR20127009546A KR101580010B1 KR 101580010 B1 KR101580010 B1 KR 101580010B1 KR 1020127009546 A KR1020127009546 A KR 1020127009546A KR 20127009546 A KR20127009546 A KR 20127009546A KR 101580010 B1 KR101580010 B1 KR 10158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
sequence number
hopping pattern
terminal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382A (ko
Inventor
다카시 이와이
다이치 이마무라
아키히코 니시오
요시히코 오가와
마사루 후쿠오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12011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54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04J13/0062Zadoff-Ch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74Code shifting or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CoMP 세트내(內) 및 CoMP 세트외(外)의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참조 신호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CoMP 모드 설정부(101)는, 단말(100)이 CoMP 단말인지, Non-CoMP 단말인지를 호핑 패턴 산출부(104)에 설정한다. 호핑 패턴 산출부(104)는, 단말(100)이 Non-CoMP 단말이라고 설정된 경우, 시스템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3)로부터 통지된 시스템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부의 ZC계열 번호중에서,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산출한다. 단말(100)이 CoMP 단말이라고 설정된 경우,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2)로부터 통지된 CoMP 세트내에서 사용되는 ZC계열 번호를 호핑하여,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산출한다. ZC계열 생성부(105)는, 산출된 ZC계열 번호를 이용하여, SRS로서 이용하는 ZC계열을 생성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참조 신호 생성 방법,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COMMUNICATION APPARATUS, REFERENCE SIGNAL GENERATING METHOD, REFERENCE SIGNAL RECEIV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회선 품질의 추정에 이용되는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참조 신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의 발전형인 LTE-Advanced의 상향 회선에서는, UL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CoMP는 복수의 셀(기지국)간에서 협조하여 단말과 송수신함으로써, 주로 셀 엣지에 위치하는 단말의 스루풋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UL CoMP의 경우, 1개의 단말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복수의 셀(기지국)에서 수신하여, 합성함으로써 수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 때, 셀간 간섭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협조해서 송수신하는 셀 그룹(이하, 「CoMP 세트」라고 함) 내에서는, 단말의 스케줄링도 CoMP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하여 행한다.
한편으로, LTE에서는, 상향 회선의 사운딩 참조 신호(SRS:Sounding Reference Signal)가 이용된다. 여기서, 사운딩(Sounding)이란, 회선 품질을 추정하는 것을 말하며, SRS는, 주로 상향 회선 데이터 채널의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추정하기위해, 특정 심볼이 데이터와 시간 다중되어 송신된다.
LTE에서는, SRS로서 ZC(Zadoff-Chu) 계열이 이용된다. ZC계열의 특징으로서 임의의 ZC계열 번호의 ZC계열을 최대 전파(傳播) 지연 시간보다 큰 시간길이로 순회 쉬프트해서 생성한 CS-ZC(Cyclic Shifted-ZC) 계열 간은, 이상적으로는 직교 관계(부호간 간섭이 제로)가 된다. 그러나, ZC계열 번호가 다른 ZC계열 간은, 직교 관계가 되지 않고, 「1/ZC계열길이」의 일정 레벨의 상호 상관(부호간 간섭)이 생긴다. 이러한 특징을 기초로, LTE에서는, 셀내에서 이용가능한 송신 대역폭마다 ZC계열 번호를 정의한 ZC계열 그룹이 설치되고, 각 셀에 1개의 ZC계열 그룹이 할당된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이 ZC계열 그룹은 30 정의되어 있고, 셀간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 근접하는 셀에는 다른 ZC계열 그룹이 할당된다.
상술한 UL CoMP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의 향상을 모도하기 위해서는, SRS를 이용한 고정밀 채널 품질 추정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우선, UL CoMP를 적용하는 단말, 즉, 송신 신호가 복수 셀에서 수신, 합성되는 단말(이하, 「CoMP 단말」이라고 함)이 송신하는 SRS용으로 ZC계열 번호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 선택 방법으로서 2개의 방법(선택 방법 1 과 선택 방법 2)이 생각된다.
선택 방법 1은, 자단말(自端末)을 향하여 스케줄링 정보 등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셀(이하, 서빙셀(Serving cell)이라고 함)에 할당된 ZC계열을 CoMP 단말의 SRS용으로 선택하는 방법이다. 즉, CoMP 단말의 서빙셀에서는, UL CoMP를 적용하지 않는 단말(이하, 「Non-CoMP 단말」이라고 함)과 CoMP 단말은 동일한 ZC계열을 SRS로 이용하게 된다.
선택 방법 2는, CoMP 세트내의 Non-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과는 다른 ZC계열 번호의 ZC계열을 CoMP 단말의 SRS용으로 선택하는 방법이다. 즉, CoMP 세트내의 각 셀에 할당된 ZC계열 그룹과는 다른 ZC계열 그룹(CoMP 세트내에서 사용되지않는 ZC계열 그룹, 즉, CoMP 세트외(外)에서 사용되는 ZC계열 그룹)의 ZC계열을 CoMP 단말의 SRS로 이용하게 된다.
3GPP TS36.211 V8.7.0.5.5.1 Generation of the reference signal sequence,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
그렇지만, 상술한 선택 방법 1은, CoMP 세트내에서 강한 간섭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아래에서, 이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CoMP 단말은,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1개의 송신 신호를 거리가 다른 복수의 셀에 송신하면, 각 셀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에, 단말의 송신 타이밍 제어가 복잡해진다. 그 때문에, 송신 타이밍 제어를 잘못하면, 어느 셀에서는, CoMP 단말이 송신한 SRS의 수신 타이밍이 소정의 시간 범위를 초과하여, 동일 ZC계열 번호를 이용한 CS-ZC계열간의 직교성이 붕괴되어 버린다.
CoMP 단말이 송신한 SRS의 수신 타이밍이 소정의 시간길이를 초과하여 지연하면, 도 2의 SRS의 상관 출력(지연 프로파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oMP 단말의 수신 SRS의 큰 상관값이, 소정의 CS(Cyclic Shift) 검출창을 넘어, Non-CoMP 단말의 CS검출창으로 들어가 버린다.
이 결과, CoMP 단말의 CS검출창에서는 CoMP 단말의 수신 SRS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 Non-CoMP 단말의 CS검출창으로 들어간 CoMP 단말의 수신 SRS 상관값은 큰 간섭 성분이 되기때문에, Non-CoNP 단말의 CS검출창에 있어서 간섭 성분과 신호 성분과의 구별이 곤란하게 되어, CQI 추정 정밀도가 열화해 버린다.
또, 이와 같이, CoMP 단말이 송신한 SRS의 수신 타이밍이 지연하면, 송신 타이밍 제어가 갱신될 때까지, Non-CoMP 단말의 SRS는, 항상 CoMP 단말로부터 직교성이 붕괴된 CS-ZC계열에 의해 강한 간섭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셀에서는 CQI 추정 정밀도가 열화하여, 적절한 스케줄링이 행해지지 못해 시스템 스루풋(system throughput)이 열화해 버린다.
또, 상술한 선택 방법 2는, CoMP 세트외(外)에서 간섭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이 문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CoMP 단말이 CoMP 세트외에서 사용되는 ZC계열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 CoMP 세트외의 Non-CoMP 단말(종래의 LTE 단말)과 CoMP 단말과의 셀간 간섭이 증가하여, CQI 추정 정밀도 등이 열화해 버린다.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ZC계열 번호(ZC계열 그룹)에는 수(數)의 제한이 있으므로, CoMP 세트외의 ZC계열 번호를 사용하면, 동일한 ZC계열 번호를 사용한 셀의 Non-CoMP 단말과의 거리가 짧아져, 셀간 간섭(상호 상관)이 커져 버린다. 이 양상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낸다.
도 3은,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ZC계열 번호를 편의적으로 1~19라고 했을 경우에 있어서, 각 셀에서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는, 1개의 셀을 육각형으로 표시하고, 셀간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서, 동일한 ZC계열 번호를 이용하는 셀의 거리가 가능한 한 떨어지도록, ZC계열 번호를 할당하고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ZC계열 번호 1, 2, 3이 할당된 셀이 1개의 CoMP 세트를 구성하고, 그 중의 CoMP 단말이 CoMP 세트내(內)에서 사용되지 않는 ZC계열 번호 16을 SRS용 ZC계열로서 이용한다고 한다. 이 경우, CoMP 세트외의 ZC계열 번호 16을 이용한 셀과의 거리가 줄어들어, 간섭파의 거리 감쇠가 작아짐에 의해, 셀간 간섭이 증가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CoMP 세트내 및 CoMP 세트외의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참조 신호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해서 송수신을 행하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송수신을 적용하는 CoMP 단말나, 상기 CoMP 송수신을 적용하지 않는 Non-CoMP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CoMP 모드 설정 수단과, 참조 신호에 이용하는 ZC(Zadoff-Chu) 계열의 번호를 호핑(hopping)시키는 복수의 다른 호핑 패턴을 가지고, 상기 CoMP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CoMP 단말 또는 상기 Non-CoMP 단말에 따른 호핑 패턴으로 ZC계열 번호를 호핑시켜, ZC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호핑 패턴 산출 수단과, 산출된 ZC계열 번호를 이용해서, ZC계열을 생성하는 ZC계열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참조 신호 생성 방법은,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해서 송수신을 행하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송수신을 적용하는 CoMP 단말이나, 상기 CoMP 송수신을 적용하지 않는 Non-CoMP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고, 참조 신호에 이용하는 ZC(Zadoff-Chu) 계열의 번호를 호핑시키는 복수의 다른 호핑 패턴을 가지고, 상기 설정된 CoMP 단말 또는 상기 설정된 Non-CoMP 단말에 따른 호핑 패턴으로 ZC계열 번호를 호핑시켜, ZC계열 번호를 산출하고, 산출된 ZC계열 번호를 이용해서, 상기 참조 신호에 이용하는 ZC계열을 생성하도록 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CoMP 세트내 및 CoMP 세트외의 셀간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CoMP 단말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거리가 다른 복수의 셀에서 수신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CoMP 단말 및 Non-CoMP 단말이 송신한 SRS의 상관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각 셀에서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CoMP 단말 및 Non-CoMP 단말이 송신한 SRS의 상관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동일한 ZC계열 번호를 이용하는 셀간 거리를 설계대로 유지할 수 있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ZC계열 번호의 다른 호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장치(이하, 「단말」이라고 함)(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단말(1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CoMP 모드 설정부(101)는, 미리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이하, 「기지국」이라고 함)로부터 지시된 CoMP 모드, 즉, 단말(100)이 CoMP 송수신을 행하거나(CoMP 단말), 단말(100)이 CoMP 송수신을 행하지 않는 것(Non-CoMP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호핑 패턴 산출부(104)에 설정한다.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2)는, CoMP 세트내의 복수의 셀에 할당된 SRS용 ZC계열 번호를 설정하여, 호핑 패턴 산출부(104)에 출력한다.
시스템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3)는, 시스템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부의 SRS용 ZC계열 번호를 설정하여, 호핑 패턴 산출부(104)에 출력한다.
호핑 패턴 산출부(104)는, CoMP 모드 설정부(101)에 의해 설정된 CoMP 모드에 따라,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산출하고, 산출한 호핑 패턴에 기초하여, 송신 타이밍에 있어서 사용하는 ZC계열 번호를 ZC계열 생성부(105)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100)이 CoMP 단말일 경우는,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2)로부터 통지된 CoMP 세트내에서 사용되는 ZC계열 번호를, 산출된 호핑 패턴으로 호핑시켜,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산출한다. 한편, 단말(100)이 Non-CoMP 단말일 경우는, 시스템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3)로부터 통지된 시스템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부의 ZC계열 번호를, 산출된 호핑 패턴으로 호핑시켜,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산출한다. 또한, 호핑 패턴 산출부(104)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ZC계열 생성부(105)는, 호핑 패턴 산출부(104)로부터 출력된 ZC계열 번호를 이용해서, SRS로서 이용하는 ZC계열을 생성하여, 매핑부(mapping) (106)에 출력한다.
매핑부(106)는, ZC계열 생성부(105)로부터 출력된 SRS용 ZC계열을, 미리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된 단말(100)의 송신 대역에 매핑하고, 매핑한 ZC계열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부(107)에 출력한다.
IFFT부(107)는, 매핑부(106)로부터 출력된 ZC계열에 대해서 IFFT 처리를 실시하고, IFFT 처리가 실시된 ZC계열을 CP(Cyclic Prefix) 부가부(108)에 출력한다.
CP부가부(108)는, IFFT부(107)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후미 부분과 동일한 신호를 CP로서 해당 신호의 선두에 부가하여, 송신 RF부(109)에 출력한다.
송신 RF부(109)는, CP부가부(108)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해서 D/A변환, 업 컨버트, 증폭 등의 송신 처리를 실시하고, 송신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SRS로서 안테나(110)를 경유하여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기지국(2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수신 RF부(202)는, 안테나(201)를 경유해서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다운 컨버트, A/D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수신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CP제거부(203)에 출력한다.
CP제거부(203)는, 수신 RF부(202)로부터 출력된 수신 신호의 선두에 부가된 CP를 제거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부(204)에 출력한다.
FFT부(204)는, CP제거부(203)로부터 출력된 시간 영역의 SRS에 대해서 FFT 처리를 실시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SRS를 디매핑부(de-mapping)(205)에 출력한다.
디매핑부(205)는, FFT부(204)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영역의 SRS로부터 소망 단말의 송신 대역에 대응하는 SRS를 추출하고, 추출한 SRS를 나눗셈부(211)에 출력한다.
CoMP 모드 설정부(206)는, 도시하지않는 제어부 등으로부터 지시된 CoMP 모드, 즉, 단말(100)이 CoMP 송수신을 행하거나(CoMP 단말), 단말(100)이 CoMP 송수신을 행하지 않는 것(Non-CoMP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호핑 패턴 산출부(209)에 설정한다.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207)는, CoMP 세트내의 복수 셀에 할당된 SRS용 ZC계열 번호를 설정하여, 호핑 패턴 산출부(209)에 출력한다.
시스템내 ZC계열 번호 설정부(208)는, 시스템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부의 SRS용 ZC계열 번호를 설정하여, 호핑 패턴 산출부(209)에 출력한다.
호핑 패턴 산출부(209)는, CoMP 모드 설정부(206)에 의해 설정된 CoMP 모드에 따라,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산출하고, 산출한 호핑 패턴에 기초하여, 단말(100)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사용하는 ZC계열 번호를 ZC계열 생성부(210)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100)이 CoMP 단말일 경우는,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207)로부터 통지된 CoMP 세트내에서 사용되는 ZC계열 번호를, 산출된 호핑 패턴으로 호핑시켜, 수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산출한다. 한편, 단말(100)이 Non-CoMP 단말일 경우는, 시스템내 ZC계열 번호 설정부(208)로부터 통지된 시스템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부의 ZC계열 번호를, 산출된 호핑 패턴으로 호핑시켜, 수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산출한다.
또한,CoMP 모드 설정부(206),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207), 시스템내 ZC계열 번호 설정부(208), 호핑 패턴 산출부(209)는, 도 4에 나타낸 단말(100)에 있어서의 CoMP 모드 설정부(101),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2), 시스템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3), 호핑 패턴 산출부(104)와 각각 대응하며,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호핑 패턴 산출부(209)는, SRS를 송신한 단말(100)이 CoMP 단말인지, Non-CoMP 단말인지에 따라 호핑 패턴을 산출하여, 단말(100)의 SRS 송신 타이밍에 있어서의 ZC계열 번호를 특정한다.
ZC계열 생성부(210)는, 호핑 패턴 산출부(209)로부터 출력된 ZC계열 번호를 이용해, 단말(100)이 송신한 SRS용 ZC계열을 생성하여, 나눗셈부(211)에 출력한다.
나눗셈부(211)는, 디매핑부(205)로부터 출력된 SRS를, ZC계열 생성부(210)로부터 출력된 SRS용 ZC계열로 나눗셈하고, 나눗셈 결과를 IFFT부(212)에 출력한다.
IFFT부(212)는, 나눗셈부(211)로부터 출력된 나눗셈 결과에 대해서 IFFT 처리를 실시하고, IFFT 처리를 실시한 신호(지연 프로파일에 상당)를 마스크 처리부(213)에 출력한다.
마스크 처리부(213)는, IFFT부(212)로부터 출력된 SRS에 마스크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소망의 CS-ZC계열 상관값이 존재하는 구간, 즉, CS검출창내의 상관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관값을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부(214)에 출력한다.
DFT부(214)는, 마스크 처리부(213)로부터 출력된 상관값에 대해서 DFT 처리를 실시하고, DFT 처리를 실시한 상관값을 CQI 추정부(215)에 출력한다. 여기서, DFT부(214)가 출력하는, DFT 처리가 실시된 신호는, 전파로(傳播路)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CQI 추정부(215)는, DFT부(214)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대역폭마다 SINR을 추정(채널 품질 추정)하고, 추정한 SINR에 상당하는 CQI 추정값을 출력한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낸 단말(100)의 호핑 패턴 산출부(10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기지국(200)의 호핑 패턴 산출부(209)는, 호핑 패턴 산출부(104)와 동일한 동작을 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호핑 패턴 산출부(104)는, 단말(100)이 CoMP 단말인지 Non-CoMP 단말인지에 따라, SRS용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전환하고, 송신 타이밍에서 사용해야 할 SRS용 ZC계열 번호를 특정한다.
우선, 단말(100)이 Non-CoMP 단말일 경우, 호핑 패턴 산출부(104)는, 미리 시스템에서 결정한 호핑 함수 hopping( )를 이용하여, 수학식(1)과 같이 Non-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 uN(t)를 구한다.
Figure 112012029446103-pct00001
여기서, N은 셀 번호, t는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uN _ init는 셀 N에 있어서의 SRS용 ZC계열 번호의 초기값을 나타낸다. 이 호핑 함수는, 1 서브 프레임마다, 시스템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부의 ZC계열 번호 중에서 번호를 바꾼다. 단, Non-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 uN(t)는, 1 서브 프레임마다 바꾸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100)이 CoMP 단말일 경우, 호핑 패턴 산출부(104)는, CoMP 세트내에서 Non-CoMP 단말이 사용하는 ZC계열 번호를 호핑한다. 예를 들면, CoMP 세트가 셀 1, 셀 2, 셀 3의 3셀로 구성되는 경우, 식 (2)와 같이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 uCoMP(t)를 구한다.
Figure 112012029446103-pct00002
수학식(2)에 있어서, (t) mod(3)은,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를 셀수(cell數) 3으로 나눈 나머지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0→t#1→t#2→t#3→t#4의 순서로 바뀐다고 한다. 이 때, 각각의 송신 서브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 uCoMP(t)는, 수학식(2)로부터, u1(0)→u2(1)→u3(2)→u1(3)→u2(4)가 된다. 이것은, CoMP 세트내의 셀#1, 2, 3에서 사용하는 ZC계열 번호 중에서 변화하는 것이다.
이 양상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서는, CoMP 세트내의 셀 1에 ZC계열 번호 1(ZC#1)이, 셀 2에 ZC계열 번호 2(ZC#2)가, 셀 3에 ZC계열 번호 3(ZC#3)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0의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는 ZC#1이 되고, CoMP 단말과 셀 1내의 Non-CoMP 단말이 ZC#1의 ZC계열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CSZC 계열에 의해 다중한다.
다음에,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1의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는 ZC#1로부터 ZC#2로 호핑하고, CoMP 단말과 셀 2내의 Non-CoMP 단말이 ZC#2의 ZC계열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CSZC 계열에 의해 다중한다.
다음에,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2의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는 ZC#2로부터 ZC#3으로 호핑하고, CoMP 단말과 셀 3내의 Non-CoMP 단말이 ZC#2의 ZC계열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CSZC 계열에 의해 다중한다.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3의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는 ZC#3으로부터 ZC#1로 호핑하고,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0인 경우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CoMP 세트내에서 사용하는 ZC계열의 범위내에서 호핑시킴으로써, CoMP 단말과 Non-CoMP 단말이 동일 ZC계열을 이용했을 경우의 강한 간섭이 1개의 셀에서 계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와,Non-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각각 다른 호핑 패턴으로 호핑시킨 것과, 송신 타이밍 제어의 갱신 간격보다, 호핑에 의한 ZC계열의 전환 간격이 짧은 것이 기여하는 것이다.
CoMP 단말과 Non-CoMP 단말이 다른 ZC계열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간섭 성분은 일정한 레벨의 상호 상관이 되어, 수신 타이밍이 지연하더라도 CQI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일정 레벨의 간섭 성분이므로, 수신측에서 보정 계산하여, CQI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CoMP 단말은 CoMP 세트내의 ZC계열을 사용하기때문에, CoMP 세트외의 단말에 셀간간섭을 미치는 일은 없다. 즉, 동일한 ZC계열 번호를 이용하는 셀간 거리를 설계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CoMP 단말과 CoMP 세트외 단말과의 셀간 간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하면, 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CoMP 세트내에서 사용하는 ZC계열의 범위내에서 호핑시킴으로써, CoMP 단말과 Non-CoMP 단말이 동일 ZC계열을 이용했을 경우의 강한 간섭이 1개의 셀에서 계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CoMP 단말은 CoMP 세트내의 ZC계열을 사용하기때문에, CoMP 단말과 CoMP 세트외 단말과의 셀간 간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CoMP 세트내의 셀에 할당된 ZC계열을 고정시킨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CoMP 세트내의 셀에 할당된 ZC계열 번호를 호핑시켜도 좋다. 단, 이 때, 특정 셀에 있어서의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과 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이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또, CoMP 단말이 이용하는 SRS용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미리 정의해 두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시그널링량을 저감할 수 있다. 즉, CoMP 세트내의 각 셀의 초기값(=uN_init)과 각 셀의 호핑 패턴(예를 들면, 셀 번호가 작은 순서 등)을 단말에 1번만 통지하면 좋으며, SRS 송신 마다의 시그널링은 필요없다.
또, CoMP 단말 및 Non-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은 규칙성이 없어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단말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고, 호핑 패턴 산출부(104)의 기능이 다를 뿐이므로, 호핑 패턴 산출부(104)에 대해서 도 4를 원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도 5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고, 호핑 패턴 산출부(209)의 기능이 다를 뿐이다. 이것은 단말의 호핑 패턴 산출부(104)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호핑 패턴 산출부(104)는, 단말(100)이 CoMP 단말인지 Non-CoMP 단말인지에 따라, SRS용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전환하고, 송신 타이밍에서 사용해야 할 SRS용 ZC계열 번호를 특정한다.
단말(100)이 Non-CoMP 단말일 경우, 호핑 패턴 산출부(104)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학식(1)에 의해 Non-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 uN(t)를 구한다.
한편, 단말(100)이 CoMP 단말일 경우, 호핑 패턴 산출부(104)는, CoMP 세트외에서 Non-CoMP 단말이 사용하는 ZC계열 번호를 호핑한다. 예를 들면, CoMP 세트가 셀 1, 셀 2, 셀 3의 3셀로 구성되는 경우, 수학식(3)과 같이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 uCoMP(t)를 구한다.
Figure 112012029446103-pct00003
수학식(3)에 있어서, 27은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부의 ZC계열 번호의 수=30으로부터 CoMP 세트의 셀 수 3을 뺀 수, 즉, CoMP 세트외에서 사용되는 ZC계열 번호의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0→t#1→t#2→t#3→t#4의 순서로 바뀐다고 한다. 이 때, 각각의 송신 서브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에서 이용하는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 uCoMP(t)는, 수학식(3)으로부터, u4(0)→u5(1)→u6(2)→u7(3)→u8(4)가 된다. 이것은, CoMP 세트외에서 사용하는 ZC계열 번호 중에서 변화하는 것이다.
이 양상을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0의 송신 타이밍에 있어서,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는 ZC#4를 이용하고, CoMP 세트내의 셀 1은 ZC계열 번호 1(ZC#1)이, 셀 2에 ZC계열 번호 2(ZC#2)가, 셀 3에 ZC계열 번호 3(ZC#3)이 각각 할당된다.
다음에,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0으로부터 t#1로 바뀐 송신 타이밍에 있어서,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는 ZC#4로부터 ZC#7로 호핑하고, 셀 1은 ZC#1로부터 ZC#4로, 셀 2는 ZC#2로부터 ZC#5로, 셀 3은 ZC#3으로부터 ZC#6으로 각각 호핑한다.
다음에,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1로부터 t#2로 바뀐 송신 타이밍에 있어서,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는 ZC#7로부터 ZC#10으로 호핑하고, 셀 1은 ZC#4로부터 ZC#7로, 셀 2는 ZC#5로부터 ZC#8로, 셀 3은 ZC#6으로부터 ZC#9로 각각 호핑한다.
다음에, 송신 서브 프레임 번호 t가 t#2로부터 t#3으로 바뀐 송신 타이밍에 있어서,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는 ZC#10으로부터 ZC#13으로 호핑하고, 셀 1은 ZC#7로부터 ZC#10으로, 셀 2는 ZC#8로부터 ZC#11로, 셀 3은 ZC#9로부터 ZC#12로 각각 호핑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에 의하면, 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CoMP 세트외에서 사용하는 ZC계열의 범위내에서 호핑시킴으로써, CoMP 세트내에서는,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와,Non-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가 항상 다르다. 이 때문에, CoMP 단말과 Non-CoMP 단말이 동일한 ZC계열을 이용했을 경우에 생기는 강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 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CoMP 세트내의 Non-CoMP 단말은 다른 패턴으로 호핑시킴으로써, CoMP 세트내와 동일한 ZC계열 번호를 사용하는 CoMP 세트외의 Non-CoMP 단말과 CoMP 세트내의 Non-CoMP 단말과의 간섭을 랜덤화할 수 있어,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CQI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CoMP 단말 및 Non-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은 규칙성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러한 호핑 패턴은 규칙성이 없어도 좋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는, 어느 셀내에 복수의 CoMP 단말이 존재하고, 복수의 CoMP 단말이 다른 CoMP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CoMP 단말마다 SRS용 ZC계열 번호의 호핑 패턴을 준비하면, 셀내의 각 CoMP 단말의 SRS용 ZC계열 번호가 다르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CoMP 단말이 이용하는 SRS간을 CDM(부호축)에 의해 직교화할 수 없게 되어, CQI 추정 정밀도가 열화해 버린다. 또, TDM(시간축) 또는 FDM(주파수축)에 의해, 복수의 CoMP 단말의 SRS를 다중하면, SRS는 직교하므로 CQI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지만, 셀내의 SRS 송신용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소비(오버헤드)가 증가해 버린다.
이하, 복수의 CoMP 단말이 다른 CoMP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 CQI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하고, 셀내의 SRS 송신용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소비를 저감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단말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고,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2)의 기능이 다를 뿐이므로,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2)에 대해서 도 4를 원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도 5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고,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207)의 기능이 다를 뿐이다. 이것은 단말의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207)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2)는, 셀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CoMP 단말이 속하는 CoMP 세트를 구성하는 전부의 셀이 이용하는 SRS용 ZC계열 번호를 설정하여, 호핑 패턴 산출부(104)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셀내에 2개의 CoMP 단말 1, 2가 존재하고, CoMP 단말 1이 속하는 CoMP 세트는 셀 1, 2에 의해 구성되고, CoMP 단말 2가 속하는 CoMP 세트는 셀 2, 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즉, CoMP 단말 1, 2간에서 CoMP 세트의 구성이 다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102)는, 복수의 CoMP 단말이 각각 속하는 CoMP 세트를 구성하는 전부의 셀, 즉, 셀 1~3에 의해 구성된 합성 CoMP 세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셀 1~3의 SRS용 ZC계열 번호를 호핑 패턴 산출부(104)에 출력한다.
이 양상을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호핑 패턴과 동일하지만, 2개의 CoMP 단말 1, 2가 동일한 ZC계열을 이용하는 점이 도 9와 다르다. 또, CoMP 단말 1이 속하는 CoMP 세트가 셀 1, 2에 의해 구성되고, CoMP 단말 2가 속하는 CoMP 세트가 셀 2, 3에 의해 구성되며, 복수의 CoMP 단말이 각각 속하는 CoMP 세트를 구성하는 모든 셀간에서 호핑시키는 점이 도 9와 다르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3에 의하면, 어느 셀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CoMP 단말이 각각 다른 CoMP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CoMP 단말이 각각 속하는 CoMP 세트를 구성하는 전부의 셀에서 사용하는 ZC계열의 범위내에서 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호핑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느 셀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CoMP 단말이 이용하는 ZC계열 번호를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복수의 CoMP 단말이 이용하는 SRS간을 CDM(부호축)에 의해 직교화할 수가 있다. 따라서, CQI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복수의 CoMP 단말의 SRS를 직교화하기 때문에 TDM 또는 FDM에 의해 다중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SRS 송신용의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의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oMP 세트는, CoMP cooperating set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또, CoMP 세트는, 단말이 CoMP 송수신을 위해서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하는 셀군(cell群)(=CoMP measurement 세트)으로 해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UL CoMP를 적용하는 단말이 송신하는 SRS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TDD(Time Division Duplex)에 있어서의 하향 CoMP의 적응 제어(리소스 할당, MCS 제어,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의 갱신) 를 행하기 위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에 이용하는 SRS이어도 좋다. 말하자면, 1개의 단말이 복수 셀에 대해서 동시에 송신하는 SRS이면 좋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ZC계열 번호는, ZC계열 그룹 번호라고 바꾸어읽어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CoMP 단말의 ZC계열 번호와 Non-CoMP 단말의 ZC계열 번호를 동일한 전환 주기로 호핑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을 각각 다른 전환 주기로 호핑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Non-CoMP 단말의 ZC계열 전환 주기가 T1[ms], CoMP 단말의 ZC계열 전환 주기가 T2[ms](단, T2[ms]>T1[ms]. T2가 무한대(즉, 전환 없음)를 포함함)라고 한다.
이것에 의해, CoMP 세트내에서는, CoMP 단말과 Non-CoMP 단말이 동일 ZC계열을 이용했을 경우의 강한 간섭이 1개의 셀에서 계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한쪽 단말의 ZC계열의 전환 주기가 무한대일 경우는, 다른쪽 단말의 ZC계열만이 전환하므로, 동일한 ZC계열 번호를 사용하는 CoMP 세트외의 Non-CoMP 단말과의 간섭을 랜덤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것들은 개별적으로 1 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서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안테나 포트(antenna port)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란, 1개 또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안테나를 가리킨다. 즉, 안테나 포트는 반드시 1개의 물리 안테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어레이 안테나 등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3 GPP LTE에 있어서는, 안테나 포트가 몇개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지는 규정되지 않고, 기지국이 다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 안테나 포트는 프리코딩 벡터의 가중치를 곱셈하는 최소단위로서 규정되는 일도 있다.
2009년 10월 30 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09-250432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무선 통신 장치 및 참조 신호 생성 방법은, 예를 들면, LTE-Advanced 시스템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01, 206 : CoMP 모드 설정부
102, 207 : CoMP 세트내 ZC계열 번호 설정부
103, 208 : 시스템내 ZC계열 번호 설정부
104, 209 : 호핑 패턴 산출부 105, 210 : ZC계열 생성부
106 : 매핑부 107, 212 : IFFT부
108 : CP부가부 109 : 송신 RF부
110, 210 : 안테나 202 : 수신 RF부
203 : CP제거부 204 : FFT부
205 : 디매핑부 211 : 나눗셈부
213 : 마스크 처리부 214 : DFT부
215 : CQI 추정부

Claims (14)

  1. 복수의 기지국간 또는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해서 통신을 행하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를 행하는 CoMP 모드인지 상기 CoMP를 행하지 않는 Non-CoMP 모드인지에 따른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참조 신호에 이용되는 ZC(Zadoff-Chu) 계열을, 산출된 상기 계열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구비하되,
    상기 호핑 패턴은 제 1 호핑 패턴과 제 2 호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1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고, 상기 Non-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2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협조해서 통신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또는 상기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CoMP 세트 내에서 셀 번호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계열 번호를 호핑시켜,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협조해서 통신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또는 상기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CoMP 세트 내에서 셀 번호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계열 번호 이외의 계열 번호를 호핑시켜,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Non-CoMP 모드의 경우, 셀 번호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계열 번호를 호핑시켜,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통신 장치.
  5. 삭제
  6. 복수의 기지국간 또는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해서 통신을 행하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를 행하는 CoMP 모드인지 상기 CoMP를 행하지 않는 Non-CoMP 모드인지에 따른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산출된 계열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참조 신호로서,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구비하되,
    상기 호핑 패턴은 제 1 호핑 패턴과 제 2 호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1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고, 상기 Non-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2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는
    통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협조해서 통신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또는 상기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CoMP 세트 내에서 셀 번호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계열 번호를 호핑시켜,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는
    통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협조해서 통신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또는 상기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CoMP 세트 내에서 셀 번호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계열 번호 이외의 계열 번호를 호핑시켜,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는
    통신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on-CoMP 모드의 경우, 셀 번호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계열 번호를 호핑시켜,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는
    통신 장치.
  10. 삭제
  11. 복수의 기지국간 또는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해서 통신을 행하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를 행하는 CoMP 모드인지 상기 CoMP를 행하지 않는 Non-CoMP 모드인지에 따른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산출 공정과,
    참조 신호에 이용되는 ZC 계열을, 산출된 상기 계열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생성 공정
    을 포함하되,
    상기 호핑 패턴은 제 1 호핑 패턴과 제 2 호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 공정은,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1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고, 상기 Non-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2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참조 신호 생성 방법.
  12. 복수의 기지국간 또는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해서 통신을 행하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를 행하는 CoMP 모드인지 상기 CoMP를 행하지 않는 Non-CoMP 모드인지에 따른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 공정과,
    상기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산출된 계열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참조 신호로서,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
    을 포함하되,
    상기 호핑 패턴은 제 1 호핑 패턴과 제 2 호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1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고, 상기 Non-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2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는
    참조 신호 수신 방법.
  13. 복수의 기지국간 또는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해서 통신을 행하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를 행하는 CoMP 모드인지 상기 CoMP를 행하지 않는 Non-CoMP 모드인지에 따른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처리와,
    참조 신호에 이용되는 ZC 계열을, 산출된 상기 계열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처리
    를 제어하되,
    상기 호핑 패턴은 제 1 호핑 패턴과 제 2 호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처리는,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1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고, 상기 Non-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2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를 산출하는
    집적 회로.
  14. 복수의 기지국간 또는 복수의 셀간에서 협조해서 통신을 행하는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를 행하는 CoMP 모드인지 상기 CoMP를 행하지 않는 Non-CoMP 모드인지에 따른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산출된 계열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참조 신호로서,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
    를 제어하되
    상기 호핑 패턴은 제 1 호핑 패턴과 제 2 호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1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고, 상기 Non-CoMP 모드의 경우, 상기 제 2 호핑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계열 번호가 산출되는
    집적 회로.
KR1020127009546A 2009-10-30 2010-10-29 통신 장치, 참조 신호 생성 방법,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1580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0432 2009-10-30
JPJP-P-2009-250432 2009-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382A KR20120112382A (ko) 2012-10-11
KR101580010B1 true KR101580010B1 (ko) 2015-12-23

Family

ID=4392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546A KR101580010B1 (ko) 2009-10-30 2010-10-29 통신 장치, 참조 신호 생성 방법,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9) US8797986B2 (ko)
EP (3) EP2496005B1 (ko)
JP (4) JP5574449B2 (ko)
KR (1) KR101580010B1 (ko)
CY (1) CY1120973T1 (ko)
DK (1) DK2496005T3 (ko)
ES (3) ES2822294T3 (ko)
HR (1) HRP20181417T1 (ko)
HU (1) HUE039041T2 (ko)
LT (1) LT2496005T (ko)
PL (3) PL3337217T3 (ko)
PT (1) PT2496005T (ko)
RS (1) RS57614B1 (ko)
SI (1) SI2496005T1 (ko)
WO (1) WO2011052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6005B1 (en) * 2009-10-30 2018-06-06 Sun Patent Trust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ference signal generating method
KR20140018356A (ko) * 2011-04-29 2014-02-12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업링크 제어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30011441A (ko) * 2011-07-21 2013-01-30 주식회사 팬택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666407B2 (en) * 2011-08-15 2014-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emtocell base st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DE102011118076B4 (de) * 2011-11-04 2024-04-18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zur deutlichen Steigerung der Verfügbarkeit drahtloser Verbindungen
WO2013132773A1 (ja) * 2012-03-09 2013-09-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無線送信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チャネル推定方法
US9531465B2 (en) * 2012-08-01 2016-12-27 Nec (Chin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channel quality indication
CN103581944B (zh) * 2012-08-07 2016-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超高速随机接入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5122679B (zh) * 2013-04-15 2018-09-25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接入系统中发送探测参考信号的方法和设备
US10531512B2 (en) * 2015-04-01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 tracking channel
CN106470096B (zh) * 2015-08-14 2021-03-23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基站侧和用户设备侧的装置及方法
DK3459299T3 (da) * 2017-06-15 2023-02-06 Zte Corp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sekvensgenerering
DE102017211375B3 (de) * 2017-07-04 2018-12-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pezifische Sprungmuster für wiederholtes Senden und Empfangen von Daten und Verfahren zum Erzeugen derselbe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8511A2 (en) * 2003-11-07 2005-05-2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channel allocation
US8098745B2 (en) * 2006-03-27 2012-01-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dom access structure for wireless networks
US8738056B2 (en) * 2006-05-22 2014-05-27 Qualcomm Incorporation Signal acquisi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40867B2 (ja) * 2006-09-29 2012-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信号およびリファレンス信号の多重方法、リソース割当方法および基地局
US7957759B2 (en) * 2006-12-08 2011-06-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deb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SC-FDMA communication systems
RU2435302C2 (ru) * 2007-03-15 2011-11-27 Панасоник Корпорэйшн Устройство радио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радиопередачи
JP4601637B2 (ja) * 2007-03-20 2010-12-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676223B2 (en) * 2007-03-23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Backhaul communication for interference management
CN101926112A (zh) * 2007-04-30 2010-12-22 诺基亚西门子通信公司 用于zadoff-chu序列、修改的zadoff-chu序列和分块的扩频序列的协调循环移位和跳频序列
WO2008155907A1 (ja) * 2007-06-19 2008-12-24 Panasonic Corporation 系列割当方法および無線移動局装置
JPWO2009084224A1 (ja) * 2007-12-27 2011-05-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系列ホッピング方法、無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
JP4724731B2 (ja) 2008-04-11 2011-07-1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シール及びメカニカルシール装置
CN102090012B (zh) * 2008-05-09 2016-06-08 诺基亚通信公司 基于3g-lte的虚拟导频序列中的多小区信道估计
US8942165B2 (en) * 2008-08-01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87545B2 (en) * 2008-08-11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Anchor carrier in a multiple 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19903B2 (en) * 2008-12-08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ation to support uplink coordinated multi-point
EP2357733B1 (en) * 2008-12-10 2019-04-24 Sun Patent Trus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signal spreading method
US8442566B2 (en) * 2009-01-07 2013-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d multipoint (CoMP) joint transmission using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and higher rank dedicated beam-forming
US20100232336A1 (en) * 2009-03-13 2010-09-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tenna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US8693429B2 (en) * 2009-03-31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and use of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145223B2 (en) * 2009-04-09 2012-03-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cell interference mitigation
WO2010124716A1 (en) * 2009-04-27 2010-11-04 Nokia Siemens Networks Oy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442545B2 (en) * 2009-06-17 2013-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wide inter-cell interference minimization via coordinated multipoint cell scheduling coordination
EP2457342A1 (en) * 2009-07-22 2012-05-30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of coordinating the transmission resources in a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iving communication network
EP2894795B1 (en) * 2009-08-14 2017-06-28 HMD Global Oy Improvement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US20110244877A1 (en) * 2009-10-08 2011-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31008B2 (en) * 2009-10-30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user MIMO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496005B1 (en) * 2009-10-30 2018-06-06 Sun Patent Trust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ference signal generating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고문(R1-093796, Pantech & Curitel, "Further consideration on enhanced SRS for CoMP/non-CoMP user group", 2009.10.07.)*
표준문서(3GPP TS 36.211 V8.8.0, 2009.09.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2496005T1 (sl) 2018-10-30
US20120207077A1 (en) 2012-08-16
CY1120973T1 (el) 2020-05-29
JP5574449B2 (ja) 2014-08-20
US20140286260A1 (en) 2014-09-25
EP3541109A1 (en) 2019-09-18
PL2496005T3 (pl) 2018-11-30
ES2822294T3 (es) 2021-04-30
LT2496005T (lt) 2018-09-10
JP5788568B2 (ja) 2015-09-30
JPWO2011052222A1 (ja) 2013-03-14
JP2014212556A (ja) 2014-11-13
US20220255655A1 (en) 2022-08-11
EP2496005A1 (en) 2012-09-05
US9893830B2 (en) 2018-02-13
DK2496005T3 (en) 2018-09-17
HRP20181417T1 (hr) 2018-10-19
PL3541109T3 (pl) 2021-01-11
US20180131460A1 (en) 2018-05-10
EP3337217A1 (en) 2018-06-20
US10826638B2 (en) 2020-11-03
JP6300165B2 (ja) 2018-03-28
ES2685510T3 (es) 2018-10-09
US9363031B2 (en) 2016-06-07
US8797986B2 (en) 2014-08-05
EP2496005B1 (en) 2018-06-06
JP6065071B2 (ja) 2017-01-25
RS57614B1 (sr) 2018-11-30
EP2496005A4 (en) 2017-03-22
PL3337217T3 (pl) 2020-01-31
HUE039041T2 (hu) 2018-12-28
US11909511B2 (en) 2024-02-20
US20210013983A1 (en) 2021-01-14
WO2011052222A1 (ja) 2011-05-05
US20190222338A1 (en) 2019-07-18
US20150229428A1 (en) 2015-08-13
US20240146434A1 (en) 2024-05-02
ES2748499T3 (es) 2020-03-17
JP2015228684A (ja) 2015-12-17
JP2017063490A (ja) 2017-03-30
KR20120112382A (ko) 2012-10-11
US10291344B2 (en) 2019-05-14
EP3541109B1 (en) 2020-07-29
PT2496005T (pt) 2018-10-19
US20160248532A1 (en) 2016-08-25
US9048972B2 (en) 2015-06-02
EP3337217B1 (en) 2019-07-10
US11349588B2 (en)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010B1 (ko) 통신 장치, 참조 신호 생성 방법,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US10681650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9314589B (zh) 下行链路移动参考信号传送和rrm测量方法及用户设备
EP2719216B1 (en) Signal quality measurements of a user equipment on a subset of radio resource elements
CN107637003B (zh) 用于在通信网络中传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设备
US9813263B2 (en) Terminal device,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device,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