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974B1 -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 Google Patents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974B1
KR101579974B1 KR1020150108310A KR20150108310A KR101579974B1 KR 101579974 B1 KR101579974 B1 KR 101579974B1 KR 1020150108310 A KR1020150108310 A KR 1020150108310A KR 20150108310 A KR20150108310 A KR 20150108310A KR 101579974 B1 KR101579974 B1 KR 10157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pressure
tube mai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0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을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전선로를 보호하는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은 반원통 형상의 관본체, 상기 관본체의 양측 상단 부분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본체를 밀폐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양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관본체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전선이 고정되는 제1 전선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관본체를 밀폐시 상단부분의 하중을 측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제2 커버의 양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관본체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측에 전선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고정되는 제2 전선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을 공정하는 동시에 상기 관본체를 밀폐시 상단부분의 하중을 측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관본체의 양단을 하며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전선을 고정하는 제3 전선고정부를 포함하며 관본체의 하부의 압력을 양측으로 분산시키는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만나는 부분에서 내부가 투과되어 보이도록 상기 관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투시공, 및 상기 투시공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투시공을 밀폐하는 투시공 밀폐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a protection pipe for underground line in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을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전선로를 보호하는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처에서 생산된 특고압 전력은 가공전선 또는 지중전선을 통해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된다.
즉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가공전선은 지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건물이 많이 배치된 도심지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근래에는 지중배관을 이용하여 전력을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한다.
이러한 지중배관의 일례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0760호(2014.6.11.공개)에 케이블 보호파이프가 개시된 바가 있다.
일례의 케이블 보호파이프는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호구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소정길이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연결되는 커버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커버부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보호파이프는 커버부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형태로 케이블을 보호하는 동시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교체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블 보호파이프는 복수 개의 전선을 베이스부에 쌓는 형태로 설치하기 때문에 가장 밑에 있는 케이블을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할 때, 다른 케이블에 매립되어 빼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체 또는 보수 작업 시 전선이 쉽게 꼬이며, 중공형태이기 때문에 토압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 보호파이프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커버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넓은 범위로 땅을 굴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며, 전선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고, 땅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굴토하여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은 반원통 형상의 관본체, 상기 관본체의 일측 상단 부분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본체의 일부를 밀폐하고 상기 힌지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버, 상기 관본체의 타측 상단 부분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가 밀폐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밀폐하고 상기 힌지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양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관본체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전선이 고정되는 제1 전선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관본체를 밀폐시 상단부분의 하중을 측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제2 커버의 양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관본체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측에 전선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고정되는 제2 전선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을 공정하는 동시에 상기 관본체를 밀폐시 상단부분의 하중을 측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관본체의 양단을 하며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전선을 고정하는 제3 전선고정부를 포함하며 관본체의 하부의 압력을 양측으로 분산시키는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만나는 부분에서 내부가 투과되어 보이도록 상기 관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투시공, 및 상기 투시공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투시공을 밀폐하는 투시공 밀폐캡을 포함한다.
상기 투시공에 끼워지며 상하로 투과되어 보이도록 투명체로 형성된 투과본체, 및 상기 투과본체의 측방향을 통해 하부로 빛을 조사하도록 조명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투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각각 상기 힌지핀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제1 끼움고리부와 제2 끼움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개방되고, 개방된 제1 커버와 제2 커버에 전선을 고정시킴으로써, 전선을 용이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이 넓게 펼쳐져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분산 전선고정대가 밀폐한 상태에서는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어 외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입수가 용이하게 배수공으로 배수되어 침수에 의한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시공이 형성되어 최소한의 굴토만으로도 내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시부재를 통해 내부의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끼움고리부와 제2 끼움고리부에 의해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커버와 제2 커버의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에 따른 교체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을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을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투시부재로 내부를 확인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을 구성하는 투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은 관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관본체(110)는 전선(200)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관본체(110)는 원통을 반으로 절개한 반원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본체(110)는 도면에는 민무늬 형태로 형성하였지만,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본체(110)의 상부 양 끝단에는 힌지핀(120)이 결합되는 핀끼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본체(110)의 가장 오목한 중앙 하부에는 유입수가 배수되는 배수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은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는 관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의 상부를 밀폐하였을 경우에는 내부 공간이 원형을 이루도록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는 관본체(110)의 원주상의 1/4의 크기인 원호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130)는 관본체(110)의 일단에 구비된 힌지핀(1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관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의 반을 밀폐할 수 있으며, 제2 커버(150)는 관본체(110)의 타단에 구비된 힌지핀(1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관본체(110)의 개방된 상부 중 제1 커버(130)가 밀폐하는 반대방향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도 관본체(110)와 같이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는 원주의 1/4보다는 더 길게 형성되어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의 상부를 밀폐하였을 때, 일부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밀폐한 상태에서 일부 겹쳐지는 부분은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150)에서 세워져 겹쳐지며, 이 겹쳐진 부분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형태로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의 각각에는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를 힌지핀(120)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울 수 있도록 제1 커버(130)의 끝단에는 제1 끼움고리부(131)가 형성되고, 제2 커버(150)의 끝단에는 제2 끼움고리부(1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1 끼움고리부(131)와 제2 끼움고리부(151)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를 힌지핀(120)의 상부에서 끼우는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끼움고리부(131)와 제2 끼움고리부(151)가 측면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의 상부를 밀폐하였을 때, 상부의 가압력에 의해 힌지핀(120)에서 제1 끼움고리부(131) 또는 제2 끼움고리부(151)가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끼움고리부(131)와 제2 끼움고리부(151)의 하부를 개방하여 상부의 가압력이 발생할 때, 힌지핀(120)에서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고리부(131)와 제2 끼움고리부(151)는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의 각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의 상부를 밀폐하였을 때, 기밀하기 위해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의 맞닿는 사이에는 씰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선로 보호관은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 및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와,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 및 제3 압력분산 고정대는 전선(200)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부의 압력, 토압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는 제1 커버(130)의 양단을 연결하여 밀폐하는 형태로 제1 커버(130)에 설치되고,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에는 전선(200)이 끼워지는 제1 전선고정부(13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는 제2 커버(150)의 양단을 연결하여 밀폐하는 형태로 제2 커버(150)에 설치되고,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에는 전선(200)이 끼워지는 제2 전선고정부(15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와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전선고정부(137) 및 제2 전선고정부(157)는 복수 개의 전선(200)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와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의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전선고정부는 하나의 전선(200)을 양측에서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탄성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탄성편은 전선(200)이 끼워진 상태에서 끝단을 결합하는 형태로 끼워진 전선(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와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에 형성되는 제1 전선고정부(137)와 제2 전선고정부(157)는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관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 및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는 본체의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사면의 상면으로는 복수 개의 전선(200)이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3 전선고정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에 형성되는 제3 전선고정부(117)는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 및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와 마찬가지로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탄성편 사이에 전선(200)을 끼우는 형태로 전선(200)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의 가장 오목한 부분에는 유입수가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배수공(113)은 관본체(110)에 형성된 배수공(113)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 및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는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회전하면, 압력분산 전선고정대는 전체적으로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어 상,하,좌,우에서 가압되는 압력을 양측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은 투시공(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투시공(170)은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의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멍으로서,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를 밀폐하였을 때,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맞닿는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1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투시공(170)은 원통을 양분하는 형태로 양분된 어느 하나는 제1 커버(130)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커버(150)에 형성되는 형태로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맞닿았을 때, 투시공(170)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은 밀폐캡(1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밀폐캡(175)은 개방된 투시공(170)을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밀폐캡(175)은 투시공(170)의 상단에 나사체결하여 끼워지는 형태로 착탈될 수 있으며, 밀폐캡(175)은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투시공(170)의 상부를 감싸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밀폐캡(175)에 의해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를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은 투시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투시부재(190)는 투명체로 형성되어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의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다.
한편, 투시부재(190)는 투시공(17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시공(170)에 착탈 가능하게 투시공(170)에 끼워질 수 있으며, 투시공(170)의 하단 부분은 돋보기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부재(190)의 일측으로는 투시부재(190)를 통해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의 내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명(195)이 설치되거나, 덧대어지는 조명부(19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부(191)는 투시부재(19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시부재(190)의 상단 및 하단 그리고, 조명부(191)의 외면을 제외하고는, 투시부재(190)에서 빛이 새어나거나 투시부재(190)로 유입되지 않도록 빛을 차단하는 커버 또는 면처리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시부재(190)는 투명체로 형성된 투시부재(190)는 밀폐캡(175)을 제거한 후 투시공(170)에 꽂고 조명부(191)에 조명(195)을 비추면, 조명(195)의 빛이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의 내부를 밝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투시부재(190)를 통해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투시부재(190)는 투시공(17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밀폐캡(175)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의 상태를 확인 시 밀폐캡(175)을 제거하고 확인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은 지면을 굴토하여 매설하고, 관본체(110)에서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를 회전시켜 관본체(110)를 개방한다.
그리고, 관본체(110)가 개방되면,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 및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의 제1 전선고정부(137) 및 제2 전선고정부(157)에 전선(200)을 끼운다.
이때,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의 개방하면,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도 보이기 때문에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의 제3 전선고정부(117)에 전선(200)을 끼울 수도 있다.
한편, 전선(200)이 끼워지면,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를 밀폐하도록 회전시키고,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의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겹쳐지면, 투시공(170)이 형성되고, 투시공(170)에는 밀폐캡(175)을 끼워 밀폐한 후, 굴토한 땅을 다시 복토하여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을 매설한다.
이때, 매설된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은 제1 커버(130)와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를 밀폐하면,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135,155)들이 연결되어 마름모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하,좌,우 각 모서리로 전달되는 토압을 양측으로 분산시켜 토압 또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수가 유입되는 경우,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135,155)들이 마름모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타고 하부로 흘러, 배수공(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2 참조).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200)을 새로 매립하거나, 전선(200)을 교체 또는 보수할 때에는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이 매설된 부분을 굴토하는데, 이때 교체하거나, 새로 전선(200)을 매립하거나, 보수 또는 교체할 부분의 제1 커버(130) 또는 제2 커버(150)의 부분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굴토하고, 제1 커버(130) 또는 제2 커버(150)의 체결부재를 해제한 후, 제1 커버(130) 또는 제2 커버(150)를 회전시켜 펼쳐친 상태에서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35) 또는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55), 또는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115)에 전선(200)을 설치하거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굴토한 상태에서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밀폐캡(175)을 제거하고, 투시부재(190)를 투시공(170)에 꽂은 상태에서 조명부(191)에 조명(195)을 대고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은 압력분산 전선고정대가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어 전선(200)을 고정하는 동시에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켜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이 외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분산 전선고정대가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어 유입수가 자연적으로 하부에 위치된 배수공(113)을 통해 배수되어 유입수의 침수에 의한 전선(200)의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130) 또는 제2 커버(150)를 개방하면, 전선(200)이 모두 나란하게 펼쳐지기 때문에 전선(200)을 용이하게 교체 또는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커버(130) 또는 제2 커버(150)를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을 정도만 굴토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선(200)의 교체 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투시공(170)이 형성되어 최소한의 굴토만으로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100)의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130) 또는 제2 커버(150)가 관본체(1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제1 커버(130) 또는 제2 커버(150)의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교체함으로써,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110: 관본체
113: 배수공 115: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117: 제3 전선고정부 120: 힌지핀
130: 제1 커버 131: 제1 끼움고리부
135: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137: 제1 전선고정부
150: 제2 커버 151: 제2 끼움고리부
155: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157: 제2 전선고정부
170: 투시공 175: 밀폐캡
190: 투시부재 191: 조명부
195: 조명 200: 전선

Claims (3)

  1. 반원통 형상의 관본체,
    상기 관본체의 일측 상단 부분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본체의 일부를 밀폐하고 상기 힌지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버,
    상기 관본체의 타측 상단 부분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가 밀폐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밀폐하고 상기 힌지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양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관본체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전선이 고정되는 제1 전선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관본체를 밀폐시 상단부분의 하중을 측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1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제2 커버의 양단을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관본체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측에 전선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고정되는 제2 전선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을 공정하는 동시에 상기 관본체를 밀폐시 상단부분의 하중을 측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제2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관본체의 양단을 하며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전선을 고정하는 제3 전선고정부를 포함하며 관본체의 하부의 압력을 양측으로 분산시키는 제3 압력분산 전선고정대,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만나는 부분에서 내부가 투과되어 보이도록 상기 관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투시공, 및
    상기 투시공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투시공을 밀폐하는 투시공 밀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공에 끼워지며 상하로 투과되어 보이도록 투명체로 형성된 투과본체, 및 상기 투과본체의 측방향을 통해 하부로 빛을 조사하도록 조명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투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각각 상기 힌지핀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제1 끼움고리부와 제2 끼움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KR1020150108310A 2015-07-30 2015-07-30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KR10157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310A KR101579974B1 (ko) 2015-07-30 2015-07-30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310A KR101579974B1 (ko) 2015-07-30 2015-07-30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974B1 true KR101579974B1 (ko) 2015-12-23

Family

ID=5508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310A KR101579974B1 (ko) 2015-07-30 2015-07-30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9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537B1 (ko) * 2016-07-06 2018-03-07 일신이앤엘(주) 조명등용 천장 고정장치
KR102003396B1 (ko) * 2019-02-28 2019-07-24 (주)엑서런트 지중 배전선로 인입전용 보호함체
KR102291368B1 (ko) *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 벽체형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461812B1 (ko) * 2022-01-13 2022-11-01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다양한 각도 배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용 커넥팅 기구
KR102472684B1 (ko) * 2022-01-13 2022-12-01 (주)국일 전력구 내 배치가 편리한 편의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071A (ja) * 2004-02-18 2005-09-02 Daiwa Kasei Ind Co Ltd 電線ケーブル用プロテクタ
KR20140070760A (ko) * 2012-11-27 2014-06-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보호구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보호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071A (ja) * 2004-02-18 2005-09-02 Daiwa Kasei Ind Co Ltd 電線ケーブル用プロテクタ
KR20140070760A (ko) * 2012-11-27 2014-06-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보호구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보호파이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537B1 (ko) * 2016-07-06 2018-03-07 일신이앤엘(주) 조명등용 천장 고정장치
KR102003396B1 (ko) * 2019-02-28 2019-07-24 (주)엑서런트 지중 배전선로 인입전용 보호함체
KR102291368B1 (ko) *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 벽체형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461812B1 (ko) * 2022-01-13 2022-11-01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다양한 각도 배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용 커넥팅 기구
KR102472684B1 (ko) * 2022-01-13 2022-12-01 (주)국일 전력구 내 배치가 편리한 편의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974B1 (ko)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KR101160677B1 (ko)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CN106051477A (zh) 模块化照明器组件的改进或与其相关的改进
KR101565933B1 (ko) 건축단지 지하 매설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KR102066691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0907677B1 (ko) 배전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방지 장치
KR10231599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선로 연결장치
PL184559B1 (pl) Urządzenie do oświetlenia
CN101217230B (zh) 一种全埋式高压电缆分支箱
KR101522328B1 (ko)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KR101613358B1 (ko) 부단수 누수방지대
KR102223451B1 (ko) 기존 배관의 관로상에 시공 용이한 부단수 밸브실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KR101204410B1 (ko) 송배전 케이블 이송 및 보호롤러커버
CN2924780Y (zh) 带硬质防护遮蔽罩的熔丝具
KR200469805Y1 (ko) 밀폐탱크 내부 확인용 조명장치
KR101828387B1 (ko) 지하수 상부 보호공용 배선 결합구조
CN209786752U (zh) 一种供电电缆中间头及分接箱的防水电缆沟
KR100815933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보호장치
KR20140002180U (ko) 이탈 방지 장치가 구비된 맨홀 조립체
KR100919501B1 (ko) 제수 밸브 보호 장치
NO148756B (no) Tetningskappe paa foringsroer i broennhull.
KR20220025461A (ko) 옥외 소화전의 커버장치
KR102337766B1 (ko)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KR102346091B1 (ko) 지중배전용 파형관 삽입형 튜브 방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