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821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821B1
KR101579821B1 KR1020090002921A KR20090002921A KR101579821B1 KR 101579821 B1 KR101579821 B1 KR 101579821B1 KR 1020090002921 A KR1020090002921 A KR 1020090002921A KR 20090002921 A KR20090002921 A KR 20090002921A KR 101579821 B1 KR101579821 B1 KR 10157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tch
shaft
main body
photo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505A (ko
Inventor
설광조
최재명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821B1/ko
Priority to US12/685,446 priority patent/US8320796B2/en
Publication of KR2010008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505A/ko
Priority to US13/659,275 priority patent/US87746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를 갖춘 현상유닛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을 덮어 지지하는 지지커버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커버에는 그 일단이 본체에 걸려 지지커버가 현상유닛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래치와,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지지부재는 래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래치와 지지부재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어, 지지커버를 보다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현상유닛을 보다 간편하게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을 덮어 지지하는 지지커버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을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내부에 복수의 용지가 저장되는 급지유닛과, 급지유닛에 의해 공급된 용지에 현상제를 통해 감광체에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용지 상의 현상제를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를 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지유닛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대전된 현상유닛의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현상하여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한다. 계속해서 감광체 상에 현상된 가시화상은 급지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전사되고, 용지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유닛을 지나면서 용지에 정착되어 화상형성이 완료된다.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는 배지유닛을 통해 본체의 외부로 배 출된다.
상술한 구성들 중 현상유닛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유닛 내부의 현상제가 소모될 경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에는 그 하단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유닛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여 현상유닛이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커버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커버에는 그 일단이 본체에 걸려 지지커버가 현상유닛을 덮어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와,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유닛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에 외력을 가해 지지부재를 이동시켜 감광체의 축 지지가 해제되도록 한 후, 다시 래치에 외력을 가해 래치를 이동시킨 후에야 지지커버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지지커버를 개방하여 현상유닛을 분리하는 과정은 여러 과정을 거쳐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다 간편하게 현상유닛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를 갖춘 현상유닛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을 덮어 지지하는 지지커버와, 그 일단이 상기 본체에 걸려 상기 지지커버가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와 연동하여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지지커버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진퇴이동하며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현상유닛과 대응하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에 각각 마련된 상기 감광체의 축을 각각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연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연동부재에는 상기 힌지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홀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래치의 일단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상기 래치의 일단이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힌지홀은 상기 래치의 진퇴이동 방향으로 상기 힌지돌기의 직경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지며, 그 나머지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힌지홀은 상기 연동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힌지돌기의 직경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커버에는 상기 감광체의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 인접부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삽입홀 인접부에 마련되되 상기 감광체의 축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제 2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축과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감광체의 축이 간접적으로 상기 제 2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쐐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는 한 쌍이 상기 삽입홀의 하부 양측에 V자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제 2 지지부는 상기 삽입홀의 상부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쐐기부는 그 선단측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쐐기부의 외측단은 그 중심이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광체의 축에 지지되는 상기 쐐기부의 내측단은 그 반경이 상기 감광체 축의 반경과 같거나 큰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커버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래치에 전달하는 핸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래치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래치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를 갖춘 현상유닛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을 덮어 지지하는 지지커버와, 상기 지지커버에 일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본체에 걸려 상기 지지커버가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래치와,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가 진퇴이동 함에 따라 상기 래치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래치에 의해 회전한 상기 지지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지지부재가 래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래치와 지지부재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어, 지지커버를 보다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현상유닛을 보다 간편하게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내부에 용지(P)가 저장되어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될 용지(P)를 공급하는 급지유닛(20), 급지유닛(20)에서 공급된 용지(P)에 현상제를 통해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현상유닛(30K, 30C, 30M, 30Y),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의 감광체(3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40)과, 현상제에 의해 감광체(3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용지(P)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50)와, 용지(P)에 전사된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60)과, 가시화상이 정착된 용지(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70)을 포함한다.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은 현상제를 통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은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을 포함하며, 각 현상유닛(30K, 30C, 30M, 30Y)에는 현상제에 의한 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로 구성되어 노광유닛(4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와, 현상유닛(30K, 30C, 30M, 30Y)에서 발생한 폐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폐 현상제 배출오거(32) 등이 각각 설치된다.
노광유닛(40)은 화상 정보가 포함된 광을 감광체(31)들에 조사하여 감광체(31)들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전사장치(50)는 감광체(31)들로부터 각각 가시화상을 전사받는 중간전사벨트(51)와, 중간전사벨트(51)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감광체(31)들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감광체(31)의 가시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에 전사되도록 하는 제 1 전사롤러(52)들과, 중간전사벨트(51)의 가시화상이 용지(P)에 전사되도록 하는 제 2 전사롤러(53)를 포함한다. 따라서, 감광체(31)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제 1 전사롤러(52)들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51)의 가시화상은 급지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어 제 2 전사롤러(53)와 중간전사벨트(51)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전사된다.
정착유닛(60)은 히터(61)가 내장된 가열롤러(62)와, 외주면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용지(P)를 가열롤러(62)에 밀착시키는 가압롤러(63)를 포함한다.
배지유닛(70)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배지롤러(71)들을 포함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하며 현상제의 정착이 완료된 용지(P)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 있어서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은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상유닛(30K, 30C, 30M, 30Y) 내에 포함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된 후에는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K, 30C, 30M, 30Y)들이 수용되는 수용부(10a)와, 수용부(10a)에 설치된 현상유닛(30K, 30C, 30M, 30Y)들의 외측단을 덮어 지지하는 지지커버(11)와,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의 외측 단부를 덮어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지지커버(11) 외측에 배치되어 현상유닛(30K, 30C, 30M, 30Y)에서 발생한 폐 현상제를 폐 현상제 배출오거(32)를 통해 전달받아 저장하는 폐 현상제 저장통(12)과, 폐 현상제 저장통(12)의 외측을 덮어 가리는 외부커버(13) 등이 설치된다.
지지커버(11)는 본체(10)에 그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의 외측 단부를 덮어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11)과 내측 프레임(112)에 의해 외부 형태가 형성된다.
외측 프레임(111) 및 내측 프레임(112)에는 폐 현상제 배출오거(32)의 일단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관통공(111a) 및 제 2 관통공(112a)이 마련되며, 지지커버(11)의 내부에는 내측 프레임(112)에 상하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단이 상측으로 돌출되며 본체(10)에 걸려 지지커버(11)가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의 외측 단부를 덮어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113)와, 내측 프레임(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감광체(31)의 축(31a)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14)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부재(114)를 탄성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한 지지부재(114)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115, 도 4 참조)가 설치된다.
래치(113)는 그 상단에 본체(10)에 걸리는 걸림부(113a)가 마련되며, 본체(10)에는 래치(113)의 걸림부(113a)가 걸리는 걸림턱(10b)이 형성된다. 걸림 부(113a)에는 걸림턱(10b)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되어 지지커버(11)를 폐쇄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래치(113)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면(113b)이 마련된다. 또한, 래치(113)의 하단은 지지부재(114)에 지지되어 래치(113)에 전달된 외력이 지지부재(114)에 전달되어 지지부재(114)가 래치(113)의 상하 진퇴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재(114)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13)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래치(113)로부터의 외력을 전달받는 전달부(114b)가 돌출 형성된다.
내측 프레임(112)에는 감광체(31)의 축(31a)이 지지커버(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홀(112b)과, 삽입홀(112b)의 하부 양 측방에 V자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감광체(31)의 축(31a)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112c)와, 삽입홀(112b)의 상부에 감광체(31)의 축(31a)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2 지지부(112d)를 포함하며, 지지부재(114)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부재(114)의 회전에 따라 감광체(31)의 축(31a)과 제 2 지지부(112d) 사이로 진입하여 감광체(31)의 축(31a)이 제 2 지지부(112d)에 간접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쐐기부(114a)가 마련된다. 쐐기부(114a)는 그 선단측으로 진행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 2 지지부(112d)에 지지되는 쐐기부(114a)의 외측단은 그 중심이 지지부재(114)의 회전 중심(C)과 일치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감광체(31)의 축(31a)에 지지되는 쐐기부(114a)의 내측단은 감광체(31) 축(31a)의 반경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감광체(31)의 축(31a)은 그 하부 양측이 한 쌍의 제 1 지지부(112c)에 의해 지 지되고 그 상부가 지지부재(114)의 쐐기부(114a)를 통해 제 2 지지부(112d)에 간접적으로 지지되므로 감광체(31)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프레임(111)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래치(113)에 전달하는 핸들(117)과, 상하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핸들(117)이 상하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홀(111b)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14)는 복수의 현상유닛(30K, 30C, 30M, 30Y)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감광체(31)를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며, 복수의 지지부재(114)의 하단에는 복수의 지지부재(114)에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지지부재(114)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연동부재(116)가 설치되며, 래치(113)는 복수의 지지부재(114) 중 어느 하나에 그 하단이 지지된다. 따라서, 래치(113)가 상하로 진퇴이동 함에 따라 래치(113)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지부재(114)가 래치를 통해 직접 외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그 나머지 지지부재(114)들이 연동부재(116)를 통해 외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므로, 복수의 지지부재(114)들이 거의 동시에 복수의 현상유닛(30K, 30C, 30M, 30Y)에 마련된 각 감광체(31)의 축(31a)을 지지한다.
각 지지부재(114)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부재(1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114c)가 형성되고, 연동부재(116)에는 각 지지부재(114)에 형성된 힌지돌기(114c)가 삽입되는 힌지홀(116a)이 마련된다. 여기서, 래치(113)로부터 직접 외력을 전달받는 지지부재(114)가 설치되는 힌지홀(116a)은 래치(113)의 진퇴 이동 방향으로 힌지돌기(114c)의 직경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지며, 연동부재(116)를 통해 외력을 전달받는 그 나머지 지지부재(114)가 설치되는 힌지홀(116a)은 연동부재(116)의 길이 방향으로 힌지돌기(114c)의 직경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데, 이는 공차에 의해 각 현상유닛(30K, 30C, 30M, 30Y)에 마련된 감광체(31)의 축(31a) 위치는 서로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지지부재(114)가 일정 부분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13)의 상단이 걸림턱(10b)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117)에 외력을 가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핸들(117)과 함께 래치(113)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래치(113)의 상단은 걸림턱(10b)으로부터 이탈한다. 래치(113)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재(1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13)를 통해 외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회전하면서 감광체(31)의 축(31a)과 제 2 지지부(112d)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쐐기부(114a)는 감광체(31)의 축(31a)과 제 2 지지부(112d) 사이로부터 이탈한다. 이때, 지지부재(114)들은 연동부재(116)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거의 동시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 현상유닛(30K, 30C, 30M, 30Y)에 마련된 감광체(31)의 축(31a)들은 모두 지지가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117)에 전방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당기면 지지커버(11)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즉, 사용자는 핸들(117)을 하측으로 눌러 래치(113)와 지지부재(114)를 동시 에 동작시키고, 핸들을 누른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핸들(117)을 당김으로써 지지커버(11)를 간단히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을 간단히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의 설치가 완료된 후, 지지커버(11)에 외력을 가해 지지커버(11)를 회전시켜 지지커버(11)에 의해 현상유닛(30K, 30C, 30M, 30Y)들의 외측이 폐쇄되도록 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13)의 상단의 걸림부(113a)에 마련된 가이드면(113b)이 걸림턱(10b)으로 진행하며 걸림턱(10b)에 하단에 부딪치게 되는데, 가이드면(113b)에 의해 지지커버(11)를 폐쇄하기 위해 작용하는 외력의 일부는 그 작용 방향이 전환되어 래치(113)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래치(113)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재(114)는 탄성부재(115)를 탄성변형시키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지지커버(11)에 의해 현상유닛(30K, 30C, 30M, 30Y)들의 외측이 폐쇄됨에 따라 감광체(31)의 축(31a)이 삽입홀(112b)을 통해 지지커버(11)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지지부재(114)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지지부재(114)의 쐐기부(114a)가 감광체(31)의 축(31a)과 제 2 지지부(112d) 사이로 진입하여 감광체(31)의 축(31a)이 쐐기부(114a)를 통해 제 2 지지부(112d)에 지지된다. 또한, 지지부재(114)가 회전하며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래치(113)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13) 상단의 걸림부(113a)가 걸림턱(10b) 내측으로 진입하며 걸림턱(10b)에 걸리고, 그에 따라 현상유닛(30K, 30C, 30M, 30Y)의 외측 단부가 지지커버(11)에 의해 지지된 상태는 래치(113)에 의해 유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지지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지지부재의 동작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지지부재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래치의 동작을 보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11: 지지커버 111: 외측 프레임
112: 내측 프레임 113: 래치
114: 지지부재 115: 탄성부재
116: 연동부재 117: 핸들
30K, 30C, 30M, 30Y: 현상유닛 31: 감광체
31a: 축

Claims (17)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를 갖춘 현상유닛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의 외측단을 덮어 지지하는 지지커버와,
    그 일단이 상기 본체에 걸려 상기 지지커버가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와 연동하여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지지커버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진퇴이동하며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현상유닛과 대응하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에 각각 마련된 상기 감광체의 축을 각각 지지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연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연동부재에는 상기 힌지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홀이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래치의 일단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상기 래치의 일단이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힌지홀은 상기 래치의 진퇴이동 방향으로 상기 힌지돌기의 직경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지며,
    그 나머지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힌지홀은 상기 연동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힌지돌기의 직경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에는 상기 감광체의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 인접부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삽입홀 인접부에 마련되되 상기 감광체의 축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제 2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축과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감광체의 축이 간접적으로 상기 제 2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쐐기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한 쌍이 상기 삽입홀의 하부 양측에 V자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제 2 지지부는 상기 삽입홀의 상부에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그 선단측으로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쐐기부의 외측단은 그 중심이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광체의 축에 지지되는 상기 쐐기부의 내측단은 그 반경이 상기 감광체 축의 반경과 같거나 큰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래치에 전달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래치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15.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를 갖춘 현상유닛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유닛의 외측단을 덮어 지지하는 지지커버와,
    상기 지지커버에 일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본체에 걸려 상기 지지커버가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래치와,
    상기 지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가 진퇴이동 함에 따라 상기 래치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래치에 의해 회전한 상기 지지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현상유닛과 대응하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에 각각 마련된 상기 감광체의 축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에는 상기 감광체의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 하부 양측에 V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의 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와, 상기 삽입홀의 상부에 상기 감광체의 축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제 2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축과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감광체의 축이 간접적으로 상기 제 2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쐐기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02921A 2009-01-14 2009-01-14 화상형성장치 KR10157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21A KR101579821B1 (ko) 2009-01-14 2009-01-14 화상형성장치
US12/685,446 US8320796B2 (en) 2009-01-14 2010-01-11 Image forming apparatus
US13/659,275 US8774678B2 (en) 2009-01-14 2012-10-24 Supporting cov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921A KR101579821B1 (ko) 2009-01-14 2009-01-1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505A KR20100083505A (ko) 2010-07-22
KR101579821B1 true KR101579821B1 (ko) 2015-12-28

Family

ID=4231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921A KR101579821B1 (ko) 2009-01-14 2009-01-1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320796B2 (ko)
KR (1) KR101579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6376B2 (ja) * 2016-04-28 2021-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500837B2 (ja) * 2016-05-18 2019-04-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2554A (ja) 2006-05-30 2007-12-13 Brother Ind Ltd 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7786B2 (ja) * 1995-12-25 2003-10-20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44662B1 (ko) * 2004-12-13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08015B1 (ko) * 2004-12-13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전사유니트가 착탈되는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2554A (ja) 2006-05-30 2007-12-13 Brother Ind Ltd 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20796B2 (en) 2012-11-27
US20130045025A1 (en) 2013-02-21
KR20100083505A (ko) 2010-07-22
US20100178075A1 (en) 2010-07-15
US8774678B2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8611B2 (ja) 画像形成装置
US90314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guiding a latent image forming device
JP4511583B2 (ja)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9201385B2 (en) Mo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moving device
AU2007203257B2 (en) Developer storing container, method of assembling developer storing container and method of recycling developer storing container
KR10161565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506787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5635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725635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5208298B2 (ja) 画像形成装置
CN106167184A (zh) 成像装置
KR20180054025A (ko)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579821B1 (ko) 화상형성장치
JP6161427B2 (ja) 移動可能に設けられたカバーを有する装置
JP5019180B2 (ja) 画像形成装置
JP608317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44541A (ja) 画像形成装置
JP6614858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112100A (ko)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6512878B2 (ja) 画像形成装置
JP5883825B2 (ja) 画像形成装置
JP667757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7688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EP4068002B1 (en) Manual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0810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