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471B1 -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471B1
KR101579471B1 KR1020140066403A KR20140066403A KR101579471B1 KR 101579471 B1 KR101579471 B1 KR 101579471B1 KR 1020140066403 A KR1020140066403 A KR 1020140066403A KR 20140066403 A KR20140066403 A KR 20140066403A KR 101579471 B1 KR101579471 B1 KR 10157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er
exhaust
exhaust gas
exhaust fa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020A (ko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4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5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2/00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2/02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28Fail safe 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02Controlling two or more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24D2200/043More than one gas or oil fired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멀티온수기의 운전을 실행하는 입력부; 배기 팬 및 팬 구동회로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공급부; 온수기들 중 정지 상태의 배기 팬에 대하여 연소 조건과는 별개로 배기 팬의 FG 값을 상시 검출하고 리딩 하는 주파수 리딩부; 및 상기 주파수 리딩부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FG 주파수 입력신호에 따라 배기 팬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로서, 병렬 배치된 각각의 온수기들을 경유하는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을 연소 조건 및 역류 제어 조건 구분없이 제어한다.

Description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AND SYSTEM OF EXHAUST EMISSION CONTROLLING OF MULT-WATER HEATER SYSTEM}
본 발명은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병렬로 배치된 각 온수기들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온수기의 연소 조건과 관계없이 방출하여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는 병렬 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온수기는 여러 개의 가정용 온수기를 병렬로 연결하여 대형 온수기의 용량을 갖도록 한 온수기로서 물을 설정한 온도로 변화시키기 위한 필요열량에 따라 여러 개의 온수기를 순차적으로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병렬운전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멀티온수기의 운전과 제어는 각 온수기가 필요열량에 이르렀는지에 의해 온수기들을 순차적으로 기동하는 병렬운전으로 제어한다.
멀티온수기의 병렬운전 제어방법의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버너(미도시)의 연소열이 각 온수기1.2.3.4..N를 순환하도록 병렬로 배치된 멀티온수기(10)에 대하여, 온수온도설정부(20)를 통해 온수온도를 설정하고, 온수제어부(30)에 의해 각각의 온수기(40)가 가지는 용량 기준 이상으로 온수기가 가동되면 정지중인 온수기를 가동시키고, 용량 기준 이하로 가동되면 운전중인 온수기를 추가로 정지시킨다. 물은 입구(50)를 통해 급수되고, 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물은 출구(60)를 통해 나온다. 급수와 출수 온도는 검출센서(70)로 검출되어 온수제어부(30)에 입력되고 버너의 연소실에서 발생 되어 온수기를 경유하는 가스는 배기 팬을 통해 배기 된다. 따라서, 병렬식 멀티온수기는 필요열량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제어운전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의 멀티온수기는 운전과정에서 버너의 연소실에서 발생 되는 연소열 또는 배기가스를 팬을 통해 배기하도록 되어 있지만, 역풍과 외압 등에 의해 불특정한 변동성을 띠면서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을 막는데에는 취약하다. 예를 들면, 온수기 중 일부가 정지된 상태(배기 팬 정지), 또는 근처의 일부 온수기가 연소하는 경우(주변 온수기는 배기 중지) 등에서 외부 풍압이 있으면 열 교환기를 통하여 온수기 내부로 배기가스의 유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온수기를 통한 배기가스의 유입은 건물 또는 실내에 배기가스를 유동시켜 가스 안전 사고의 위험을 높인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멀티온수기 시스템에는 FG(frequency generator)값을 입력받아 팬을 구동하는 배기 팬 구동회로를 적용하여 제어하고 있는데, 이것은 팬이 정 회전되었을 때 해당 주파수를 읽어들여 팬을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므로 연소 지시가 없고 팬의 정 회전 조건이 아닌 경우 인식이 불가능하므로 역류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대한 배기가 중단된다. 또한, 배기가스 유동부에 역류 방지 장치를 두어 배기가스의 역류 유동을 차단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는데, 이 방식은 배기가스 유동관에 격막을 두어 온수기 내부의 유체는 내보내고 외부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다이어프램에 가깝다.
이와 관련하여, 팬의 RPM을 검출하여 FG 값을 구하고 이를 통해 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를 제어하는 제안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46705호에 기재되어 있고,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유동부에 다이어프램식 역류 방지 장치를 두어 역류되는 배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안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2-0020943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가스의 배기와 제어를 위한 팬 구동회로, 역류 방지 장치를 적용하는 제안들이 알려져 있지만, 멀티온수기의 경우 온수기 중 일부 온수기의 정지 상태, 근처의 일부 온수기가 연소하는 조건, 또는 외부 풍압에 의한 역류로 인해 열교환기를 통해 온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입 등에 취약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온수기를 통한 배기가스의 유입은 건물 또는 실내에 배기가스를 유동시켜 사고의 위험을 높인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46705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2-00209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온수기의 온수기 중 일부 온수기의 정지 및 근처의 온수기 연소, 그리고 외부 풍압에 의해 온수기 내부로 역류하는 배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여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에 따른 위험을 줄이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의 고장에 대비하여 배기 팬으로부터 입력되는 FG를 읽어 배기 팬을 정회전시켜 온수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는, 병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온수기들, 버너 연소에서 발생 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온수기들에 배치되는 배기 팬, 상기 배기 팬의 구동을 팬 구동회로를 통해 제어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온수기의 운전을 실행하는 입력부; 상기 배기 팬 및 팬 구동회로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온수기들 중 정지 상태의 배기 팬에 대하여 연소 조건과는 별개로 배기 팬의 FG 값을 상시적으로 검출하고 리딩 하는 주파수 리딩부; 및 상기 주파수 리딩부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FG 주파수 입력신호에 따라 배기 팬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는, 온수기안으로 향하는 유체의 유입을 막는 역류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는, 온수기 안으로 유입되는 풍압, 연소가스, 배기가스들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동 유체를 검출해내는 검출소자;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복수의 온수기들을 병렬 배치하고 배기 팬을 회전시켜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 멀티온수기의 운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각 온수기들의 배기 팬의 구동 상태를 제어부를 통해 동작과 대기중으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각 배기 팬들의 모터에 대하여 연소 조건과는 별개로 FG 값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검출된 FG 값을 제어부를 통해 리딩하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통해 리딩된 현재 FG 주파수 입력신호에 따라 배기 팬 모터의 동작과 대기를 결정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은, FG 주파수 입력을 받으면 온수기에 배기가스가 유입되었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기 팬을 정회전시켜 온수기에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은, 온수기로 역류 되어 유입되는 유체들 중 풍압, 연소가스, 배기가스들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동 유체의 유입을 검출소자를 통해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은, 배기 팬에 FG 입력이 검출되면 FG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제어부에서 별도의 구동 명령을 실행하거나, 또는 FG 값 검출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자동으로 배기 팬을 정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은, 배기가스의 배기 상태를 검출 소자를 통해 검출하여 배기 완료가 확인되면 배기 팬의 구동을 대기 모드로 제어하여 종료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멀티온수기 시스템 운전 중 온수기의 해당 배기 팬의 FG 값을 상시 입력받고 배기가스의 유입을 FG 입력으로 읽어 바로 배기 팬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연소 지시가 없고 배기 팬 정지상태에 놓인 온수기를 경유하는 배기가스에 대하여 배기 팬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하여 배기가스의 실내 유입을 사전에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멀티온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기가스 역류 방지 장치의 고장 또는 에러와 무관하게 배기가스를 안전하게 배출하여 위험이 적고 높은 사용 안전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멀티온수기의 배치 구성 및 병렬운전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 배기가스 제어장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기의 배기가스 유동 설명도로서, (a)는 배기가스 유입 상태, (b)는 배기가스 배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의 블럭도 이다.
멀티온수기(100)는 하나 이상의 온수기(101)들이 병렬 배치된다. 각각의 온수기(101)들은 제어부(200)를 통해 설정 온도와 필요열량을 채웠는지 등에 따라 개별적으로 열교환관을 통해 연소열을 공급하거나 끊는 병렬운전으로 운전된다.
그리고, 팬 구동회로(210)를 통해 연소열 공급과 함께 각 온수기(101)들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배기 팬(110)에 의해 연소열 공급과정에서 온수기(101) 안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밖으로 배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 팬 정지상태에서 온수기(101) 안으로 풍압 등에 의해 역류하는 배기가스를 기계적으로 막는 다이어프램식 역류 방지 장치(300)를 두기도 한다. 역류 방지 장치는 역류 압력을 검출하는 소자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전자변 등과 같은 것이 될 수도 있지만 고열에 취약하다. 형식과 관계없이 역류 방지 장치(300)는 고열에 의한 고착 등으로 고장 발생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는, 배기 팬(110)의 구동을 팬 구동회로(210)를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팬 구동회로(210)는, 멀티온수기(100)의 운전을 실행하는 입력부(220), 배기 팬(110) 및 팬 구동회로(210)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공급부(230), 온수기(101)들 중 정지 상태의 배기 팬(110)에 대하여 연소 조건과는 별개로 배기 팬(110)의 FG 값을 상시 검출하고 리딩하는 주파수 리딩부(240), 주파수 리딩부(240)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FG 주파수 입력신호에 따라 배기 팬(110)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200)로 구성된다.
연소 지시를 받지 않은 온수기(110)는 연소열 공급이 중단되고 동시에 배기 팬(110)도 정지 상태인 구동 대기 상태에 놓인다. 그러나, 정지된 구동 대기 상태에 놓인 배기 팬(110)에 대해서는 연소 조건과는 별개로 배기 팬(110)의 FG 입력을 검출해낼 수 있는데, 여기서, FG 입력 인자는 온수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역풍, 외압, 연소가스, 배기가스를 포함하는 유체(이하, '배기가스') 등이 될 수 있다.
온수기 안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상시 검출은 배기 팬(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데 이때 입력되는 전원은 모터를 돌리기 위한 전원이 아니고 FG 입력을 검출해내는 수단에 입력되는 전원이고, 배기가스 유입에 의해 FG 입력이 검출되면 모터의 전원을 공급하여 배기 팬(110)을 정회전 시켜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모터의 FG 검출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발생기의 주파수 발생 값, 또는 속도검출기의 속도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러실리스 플랫 모터에서는 단순 도체 배열을 가진 얇은 평면 FG 코일(frequency generator coil)을 모터의 주자계 틈새에 놓아서 얻는다. 이와 형식이 다른 모터에서는 홀 센서를 통해 FG를 검출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팬이 정상적으로 회전할 때 해당 주파수를 읽어들여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일반적인 제어 운전과 함께, 이것을 역으로 활용하여 개별 온수기(101)의 연소 조건이 아닌 상태, 즉 배기 팬(110)이 정지된 상태에서 배기 팬(110) 모터의 FG가 검출되면 이를 입력 받아 해당 배기 팬을 연소 조건과 무관하게 회전시켜 해당 온수기(101)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내보낸다.
여기서, 배기 팬(110)이 정지된 상태에서 모터의 FG가 검출되는 조건은, 온수기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때이다. 주파수 리딩부(240)는 FG를 읽고 제어부(200)로 출력하면, 제어부(200)는 이를 온수기 내부로 배기가스 'g'가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기 팬(110)을 구동시킨다.
도 3은 온수기들에 유동하는 배기가스 'g'의 유동 설명도 이다. (a)는 배기가스 'g'의 유입 상태, (b)는 배기가스 'g'의 배출상태이다. (a)는 배기가스 'g'가 온수기(101) 안으로 유입되어 FG가 입력되는 상태이고, (b)는 (a)와 동일한 조건에서 FG를 주파수 리딩부(240)에 의해 읽어 배기 팬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온수기 안으로 유입된 배기가스 'g'가 배기 팬(110)의 정회전에 의해 배출되는 상태이다.
온수기(101) 안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 'g'는 정상 연소 운전에서는 배기 팬(110) 구동에 의해 배기 되므로 다른 제어가 불필요하다. 정지 또는 대기 상태에서 역류 방지 장치의 고착 등으로 역류 되는 배기가스를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 그대로 온수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실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정지 또는 연소 대기 상태의 온수기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면 이는 배기 팬 모터에 FG로 입력되어 제어부(200)는 해당 배기 팬(1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온수기 안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는, 각각의 온수기(101)에 안으로 향하는 유체의 유입을 막는 역류 방지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역류 방지 장치(300)는 열화에 의한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어프램식이 적합하다. 구체적인 역류 방지 장치의 구성과 작동은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는, 각각의 온수기(101)에 안으로 유입되는 풍압 공기, 연소가스, 배기가스들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동 유체를 검출해내는 검출소자(250)를 둘 수 있다. 이 경우 역류 유체의 성분에 따라 배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동 유체 성분이 '배기가스'일 때를 팬 구동 조건으로 하여 정지된 상태의 배기 팬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배기 팬의 불필요한 구동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은, 입력부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 온수기의 운전을 실행하고, 각 온수기들의 배기 팬의 구동 상태를 제어부를 통해 동작과 대기중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각 배기 팬들의 모터에 대하여 연소 조건과는 별개로 FG 값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입력하고, 검출된 FG 값을 제어부를 통해 리딩하여 판단하고, 리딩된 현재 FG 주파수 입력신호에 따라 배기 팬 모터의 동작과 대기를 결정하여 제어한다.
그리고, FG 주파수 입력을 받으면 온수기에 배기가스가 유입되었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기 팬을 정 회전시켜 온수기에 유입된 유체 또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온수기로 역류 되어 유입되는 유체들 중 풍압, 연소가스, 배기가스들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동 유체의 유입을 검출소자를 통해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에 입력하여 배기 팬을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 흐름도이다.
전원을 공급하고 입력부 등의 키 신호가 입력되면 멀티온수기의 운전이 실행된다(S401). 제어부를 통해 온수기의 배기 팬 상태를 체크 한다(S402). 체크 결과 동작 중으로 판단되면 이를 연소 조건의 온수기 또는 배기 팬 정상 구동으로 판단한다(S403). 여기서, S403 조건에서 인식하거나 리딩되는 배기 팬의 FG 값은 배기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이다.
연소열로 해당 온수기가 필요열량을 채웠는지, 또는 충족하는지를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한다(S404). 기준 값과 비교 결과 필요열량을 충족시킨 경우 해당 온수기에 대한 연소열 공급을 중단하고 배기 팬 구동대기로 종료된다(S405).
한편, 상기 S402 단계에서 온수기의 배기 팬 상태 체크 결과, 배기 팬 정지 상태로 확인되면, 해당 배기 팬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FG 상시 검출 모드가 되도록 준비하고, 온수기 안으로의 배기가스 유입으로 배기 팬에 FG 입력이 있는지를 묻는다(S503).
배기 팬에 FG 입력이 검출되면 그 FG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제어부에서 별도의 구동 명령을 실행하거나, 또는 FG 값 검출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자동으로 배기 팬을 정 회전 시킨다(S504).
배기 팬 회전에 따라 온수기 안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배출이 실행된다(S505). 배기가스의 배기 상태를 검출하여 배기 완료가 확인되면 배기 팬을 구동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종료된다(S506).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멀티온수기 101: 온수기(개별)
110: 배기 팬(모터) 200: 제어부
210: 팬 구동회로 220: 입력부
230: 전원공급부 240: 주파수 리딩부
250: 검출소자 300: 역류 방지 장치

Claims (8)

  1. 병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온수기들, 버너 연소에서 발생 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온수기들에 배치되는 배기 팬, 상기 배기 팬의 구동을 팬 구동회로를 통해 제어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온수기의 운전을 실행하는 입력부; 상기 배기 팬 및 팬 구동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온수기들 중 정지 상태의 배기 팬에 대하여 연소 조건과는 별개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배기 팬의 FG 값을 상시 검출하고 리딩 하는 주파수 리딩부; 상기 주파수 리딩부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FG 주파수 입력신호에 따라 배기 팬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 명령을 실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온수기안으로 향하는 유체의 유입을 막는 다이어프램식 역류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에는 온수기 안으로 유입되는 풍압, 연소가스, 배기가스들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동 유체를 검출해내는 검출소자;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4. 복수의 온수기들을 병렬 배치하고 배기 팬을 회전시켜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 멀티온수기의 운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각 온수기들의 배기 팬의 구동 상태를 제어부를 통해 동작과 대기중으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각 배기 팬들의 모터에 대하여 연소 조건과는 별개로 FG 값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해 검출된 FG 값을 제어부를 통해 리딩하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통해 리딩된 현재 FG 주파수 입력신호에 따라 배기 팬 모터의 동작과 대기를 결정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FG 주파수 입력을 받으면 온수기에 배기가스가 유입되었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기 팬을 정회전시켜 온수기에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온수기로 역류 되어 유입되는 유체들 중 풍압, 연소가스, 배기가스들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유동 유체의 유입을 검출소자를 통해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은, 배기 팬에 FG 입력이 검출되면 FG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제어부에서 별도의 구동 명령을 실행하거나, 또는 FG 값 검출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자동으로 배기 팬을 정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은, 배기가스의 배기 상태를 검출 소자를 통해 검출하여 배기 완료가 확인되면 배기 팬의 구동을 대기 모드로 제어하여 종료하는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방법.
KR1020140066403A 2014-05-30 2014-05-30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57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403A KR101579471B1 (ko) 2014-05-30 2014-05-30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403A KR101579471B1 (ko) 2014-05-30 2014-05-30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20A KR20150139020A (ko) 2015-12-11
KR101579471B1 true KR101579471B1 (ko) 2015-12-23

Family

ID=5502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403A KR101579471B1 (ko) 2014-05-30 2014-05-30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8669A (zh) * 2019-01-29 2019-05-24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多热水器并联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2940A (ja) 1999-11-01 2001-05-18 Samson Co Ltd ボイラの多缶設置システムにおける排ガス逆流防止装置
JP2012149808A (ja) 2011-01-18 2012-08-09 Rinnai Corp 複合燃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943A (ko) 1991-04-12 1992-11-21 이헌조 텔레비젼 수상기의 모드자동절환방법
JP2962541B2 (ja) * 1994-10-25 1999-10-12 株式会社サムソン 多缶設置ボイラー用通風ラインの通風圧力制御装置
US7244170B2 (en) 2005-09-16 2007-07-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000724B1 (ko) * 2008-05-20 2010-12-14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2940A (ja) 1999-11-01 2001-05-18 Samson Co Ltd ボイラの多缶設置システムにおける排ガス逆流防止装置
JP2012149808A (ja) 2011-01-18 2012-08-09 Rinnai Corp 複合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20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724B1 (ko) 배기가스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멀티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CN103868145B (zh) 壁挂炉的防干烧控制方法
JP2013164178A (ja) 複合燃焼装置
KR101579471B1 (ko) 멀티온수기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JP5399113B2 (ja) 浴室用乾燥暖房機および浴室用乾燥暖房機の制御方法
JP4668246B2 (ja) 温水利用システム
KR20100024773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007514B1 (ko) 실내 온도 조절기와 난방 제어 방법, 그리고 난방 제어에이용되는 난방수 분배기
KR101815987B1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KR20100029548A (ko) 열병합 발전기 및 그 운전 방법
JP2014001880A (ja) 貯湯式給湯機
JP4768681B2 (ja) 温水利用システム
JP5795275B2 (ja) 温水暖房装置
JP5740377B2 (ja) 温水空調装置
KR20160132695A (ko) 열유속을 높인 온수 난방 보일러
JP3850653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20160006530A (ko) 보일러 및 그의 제어방법
JP6217867B2 (ja) 流体循環システム
JP6851152B2 (ja) 暖房装置
JP7470021B2 (ja) ボイラ装置
KR100294417B1 (ko) 가스보일러의 직류 배기팬 제어방법 및 장치
KR960000678B1 (ko) 보일러의 난방수 순환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571616B2 (ja) 温水循環加熱システム
JPH064213Y2 (ja) 半密閉式燃焼機
JP4110665B2 (ja) 複合燃焼機器の燃焼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