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435B1 -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 Google Patents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435B1
KR101579435B1 KR1020140117038A KR20140117038A KR101579435B1 KR 101579435 B1 KR101579435 B1 KR 101579435B1 KR 1020140117038 A KR1020140117038 A KR 1020140117038A KR 20140117038 A KR20140117038 A KR 20140117038A KR 101579435 B1 KR101579435 B1 KR 10157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cover
communication chip
molding
antenna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상열
Original Assignee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 마이크론(주) filed Critical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to KR102014011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 또는 제2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커버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패턴인쇄된 안테나 패턴과 범프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칩을 구비하여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부 ; 및 상기 통신칩과 안테나 패턴사이의 경계영역과 더불어 상기 통신칩을 수지재로 덮어 상기 커버부의 벤딩시 무선통신부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 및 분산하는 칩몰딩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EAR TAG FOR IDENTIFYNG DOMESTIC ANIMALS}
본 발명은 이어 태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테스트 및 열악한 축산환경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기인하는 벤딩시 무선통신용 칩의 파손 및 무선통신용 칩과 안테나간의 단선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돼지와 같은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가축 개체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인식표를 가축의 귀 등에 부착하여 관리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의 개발에 따라 가축 개체를 관리하기 위한 인식표에도 무선 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가축 개체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인식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을 접목한 가축 개체 관리 기술 중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적용한 가축 개체 관리 기술이 다양한 장점을 바탕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알에프 아이디 기술은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판독기로 이루어져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것으로,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판독기에게 정보를 송신하여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정보는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즉, 알에프아이디가 바코드 시스템과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대신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처럼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도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심지어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알에프아이디는 사용하는 전력의 형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판독기의 전력만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수동형(Passive) 알에프아이디라 한다.
반수동형(Semi-passive) 알에프아이디란 태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칩의 정보를 읽는 데는 그 전력을 사용하고, 통신에는 판독기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능동형(Active) 알에프아이디는 칩의 정보를 읽고 그 정보를 통신하는 데 모두 태그의 전력을 사용한다.
또한, 알에프아이디는 사용 전력의 종류 대신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로 구분될 수도 있다. 낮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엘에프알에프아이디(LF RFID: Low-Frequency IDentification)이라 하며, 120~140 kHz의 전파를 사용한다. 에이치에프알에프아이디(HF RFID: 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13.56 MHz를 사용하며, 그보다 한층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장비인 유에이치에프알에프아이디(UHF RFID: Ultra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868 ~ 956 MHz 대역의 전파를 이용한다.
이러한 알에프아이디 기술을 채용한 가축 개체 관리 시스템에서, 각각의 가축 개체에는 알에프아이디 태그, 즉 안테나와 알에프아이디 통신용 집적회로인 칩셋을 구비하는 인식표가 부여된다. 통상, 가축에 부여되는 인식표는 주로 가축의 귀를 천공하여 부착되므로 이를 이어 태그(ear tag)라 명명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19970호(2013.2.27.)에는 가축의 피부 측에 대면하는 제1커버부와 이에 접합되는 제2커버부사이에 무선통신용 칩모듈을 포함하는 이어 태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어 태그에 구비되는 무선통신용 칩모듈은 일면에 안테나 패턴을 패턴인쇄한 인레이 필름형태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안테나 패턴과 솔더볼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에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서 탑재되는 통신칩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통신용 칩모듈을 내장하도록 일체로 접합되는 제1,2커버부는 변형이 자유롭도록 폴리우레탄과 같은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력에 의해서 제1,2커버부가 U자형으로 용이하게 벤딩(bending)되기 때문에 벤딩시 제1,2커버부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무선통신용 칩모듈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용 칩모듈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서 통신칩 부근의 안테나 패턴과 전도성 접착제사이의 경계면이나 통신칩의 하단에서 안테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솔더볼이 손상되어 통신칩 또는 안테나 패턴이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악한 축산환경에서 소가 사료통의 먹이를 먹기 위해 창살사이로 머리를 넣었다 빼내는 과정에서 소의 귀에 구비된 이어 태그가 창살에 접하여 간섭되거나 귀와 더불어 접히면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커버부의 벤딩변형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한 벤딩변형시 통신칩이나 안테나 패턴의 파손을 유발하는 외부충격이 전달되었다.
또한, 우사에서 기르게 되는 가축이 누워서 자거나 움직일 때 이어 태그가 부착되는 귀가 접히게 되면서 커버부의 벤딩과 더불어 충격이 전달되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축산환경에서의 외부환경요인에 의해서 소의 귀에 부착된 이어 태그가 귀와 더불어 벤딩되거나 외부충격을 전달받게 됨으로써 커버부내에 내장된 무선통신용 칩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고, 지속적인 벤딩 누적에 따른 칩 및 접착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무선통신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조완성된 이어태그의 출고전 이루어지는 비트림 시험기에 의한 비트림시험시 커버부내에 위치하는 칩에 외력이 전달되어 통신칩이 파손되거나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는 칩범프에 크랙이 발생되어 통신기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제품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2008-0114168 A
(특허문헌 2) KR10-2008-0050416 A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악한 축산환경에서 발생하는 외력이나 비트림 및 벤딩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서 칩모듈의 통신칩이 손상되거나 안테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위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부의 사출성형시 기판에 탑재된 통신칩이 고압으로 주입되는 액상의 수지에 의해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 또는 제2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커버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패턴인쇄된 안테나 패턴과 범프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칩을 구비하여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부 ; 및 상기 통신칩과 안테나 패턴사이의 경계영역과 더불어 상기 통신칩을 수지재로 덮어 상기 커버부의 벤딩시 무선통신부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 및 분산하는 칩몰딩부 ; 를 포함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칩몰딩부는 상기 통신칩과 안테나 패턴사이의 경계영역을 덮도록 상기 통신칩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제1몰딩과, 상기 통신칩의 상부면을 덮도록 상기 제1몰딩으로부터 연장되는 호형 단면상의 제2몰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몰딩의 외부면과 통신칩간의 거리는 상기 제2몰딩의 외부면과 상기 통신칩간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통신칩의 외측테두리에 일정두께를 갖는 후육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칩몰딩부는 외부면에 상기 통신칩과 마주하는 제2커버부와의 밀착력을 높이면서 상기 커버부의 벤딩시 발생하는 외력에 기인하는 탄성복원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요철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칩몰딩부는 상기 통신칩의 하부면과 기판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과 접속되는 범프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칩몰딩부는 상기 제1,2커버부 또는 상기 통신칩을 기판에 접착고정하는 접착층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는 반면에 높은 탄력성을 갖는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통신칩과 안테나 패턴사이의 경계영역과 더불어 통신칩을 수지재로 덮는 칩몰딩부를 구비함으로써 커버부의 벤딩시 제1,2커버부사이에 배치된 무선통신부에 전달되는 외력인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흡수 및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칩과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이 파손되거나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2) 통신칩과 안테나 패턴사이의 경계영역과 더불어 통신칩을 수지재로 덮는 칩몰딩부에 요철부를 구비하거나 연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커버부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사출성형되는 제2커버부와의 밀착결합력을 높이면서 커버부의 벤딩시 발생하는 외력을 흡수 및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칩과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이 파손되거나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3) 통신칩의 외부면을 덮는 칩몰딩부를 구비함으로써 무선통신부가 부착되는 제1커버부의 일측면에 제2커버부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수지재의 고압분사시 통신칩이 기판으로부터 탈락되는 공정불량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품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에 채용되는 무선통신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에 채용되는 칩몰딩부와 무선통신부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에 채용되는 칩몰딩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요철부
(b)는 연장부를 적용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10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악한 축산환경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벤딩시 발생하는 통신칩의 손상이나 통신칩과 안테나 패턴간의 단선 및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110), 무선통신부(120) 및 칩몰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10)는 제1커버부(111)와 제2커버부(112)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제1커버부(111)는 가축의 신체 일부에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가 부착될 때 가축의 신체와 대면하는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111)는 가축 신체를 관통하여 가축 신체 일부분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메일 플러그(140)의 선단이 통과하여 걸림 연결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113a)을 갖는 피메일부(113)을 구비하는 판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커버부(112)는 상기 제1커버부(111)의 관통공(113)에 대응되는 영역에 다른 관통공(114)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판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2커버부(111,112)는 가축의 신체에 접촉하여도 가축에게 무해하면서 외력에 의한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무해하고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소재로서는 러버, 폴리 우레탄과 같은 탄성소재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20)는 기성형된 제1커버부(111)의 일측면에 부착고정되는 필름상의 기판(121)과, 상기 기판(121)의 표면에 패턴인쇄되는 안테나 패턴(122) 및 가축의 개체 정보를 기록하고 이 기록을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 패턴(122)의 일단과 범프(123a)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칩(123)을 포함하여 상기 제1커버부(111)와 제2커버부(112)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수단이다.
이러한 무선통신부에 구비되는 통신칩(123)은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용 칩셋으로 알에프아이디 통신의 태그 역할을 수행하는 칩셋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20)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패턴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안테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안테나는 비전도성 필름상의 기판 일면에 도전 물질을 이용하여 인쇄된 방사 패턴을 갖는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사패턴과 무선통신용 칩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통신칩(123)은 이방성도전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123b)을 매개로 하여 상기 기판에 접착고정된다.
상기 칩몰딩부(130)는 상기 통신칩(123)과 안테나 패턴(122)사이의 경계영역과 더불어 상기 통신칩(123)을 수지재로 덮어 보호함으로써, 열역한 축산환경이나 비틀림시험시 외력에 기인하는 커버부(110)의 벤딩시 무선통신부(120)의 통신칩과 더불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122)과의 접속부위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 및 분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칩몰딩부(130)는 상기 커버부(110)의 제1,2커버부를 구성하는 소재 또는 상기 통신칩을 기판에 접착고정하는 접착층(123b)을 구성하는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는 반면에 이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21)의 상부면에 상기 통신칩(123)과 안테나 패턴(122)사이의 경계영역과 더불어 상기 통신칩(123)을 수지재로 덮어 보호하는 칩몰딩부(130)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커버부의 벤딩시 상기 통신칩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통신칩의 손상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10)의 벤딩시 발생하는 외력에 기인하는 상하방향의 인장력이 상기 통신칩(123)의 하부면과 범프(123a)를 매개로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122)의 접속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통신칩과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122)의 단부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테나 패턴을 보호하는 것이다.
또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열경화된 칩몰딩부(130)가 통신칩(123)을 덮어 보호함으로써, 영하보다 낮은 저온부터 상온보다 높은 고온에 이르기까지 자체 경도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외부온도 변화에 대해 통신칩(123)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통신칩(123)의 외부면을 덮는 수지재의 도포후 경화된 칩몰딩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부(120)가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1커버부(111)를 사출금형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면에 제2커버부를 사출성형하기 위해 고압분사되는 수지재가 통신칩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재의 고압분사에 기인하여 통신칩이 기판으로부터 탈락되는 공정불량을 방지하고, 이어태그의 제품수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칩몰딩부(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칩(123)과 안테나 패턴(122)사이의 경계영역을 덮도록 상기 통신칩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제1몰딩(130a)과, 상기 제1몰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통신칩(123)의 상부면을 덮는 호형 단면상의 제2몰딩(13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몰딩(130a)의 외부면과 상기 통신칩(123)간의 거리는 상기 제2몰딩(130b)의 외부면과 상기 통신칩(123)간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통신칩의 외측테두리에 일정두께를 갖는 후육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후육부에 의해서 커버부의 벤딩시 상기 통신칩의 외측테두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통신칩의 파손과 통신칩과 이에 연결되는 안테나 패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칩몰딩부(130)의 외부면에는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부(111)의 일측면에 상기 무선통신부를 덮으면서 이에 일체로 접합되도록 수지재로 성형되는 제2커버부(112)와의 밀착력을 높이면서 상기 커버부(110)의 벤딩시 발생하는 외력에 기인하는 탄성복원력을 높여 외력을 흡수하고, 완충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요철부(13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철부(131)는 제1몰딩(130a)과 제2몰딩(130b)사이에 해당하는 칩몰딩부의 외부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상기 칩몰딩부의 외부면 전체 또는 다른 영역에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칩몰딩부(130)는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칩의 하부면과 기판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과 접속되는 범프(123a)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장부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의 벤딩시 발생하는 외력이 상기 통신칩과 범프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키고 흡수하여 통신칩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테나 패턴과 범프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커버부 111 : 제1커버부
112 : 제2커버부 113a,114 : 관통공
113 : 피메일부 120 : 무선통신부
121 : 기판 122 : 안테나 패턴
123 : 통신칩 123a : 범프
123b : 접착층 130 : 칩몰딩부
130a : 제1몰딩 130b : 제2몰딩
131 : 요철부 132 : 연장부

Claims (6)

  1. 제1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 또는 제2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커버부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패턴인쇄된 안테나 패턴과 범프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칩을 구비하여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부 ; 및
    상기 통신칩과 안테나 패턴사이의 경계영역과 더불어 상기 통신칩을 수지재로 덮어 상기 커버부의 벤딩시 무선통신부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 및 분산하는 칩몰딩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칩몰딩부는 상기 통신칩과 안테나 패턴사이의 경계영역을 덮도록 상기 통신칩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제1몰딩과, 상기 통신칩의 상부면을 덮도록 상기 제1몰딩으로부터 연장되는 호형 단면상의 제2몰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몰딩의 외부면과 통신칩간의 거리는 상기 제2몰딩의 외부면과 상기 통신칩간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통신칩의 외측테두리에 일정두께를 갖는 후육부를 구비하며
    상기 칩몰딩부는 상기 제1,2커버부 또는 상기 통신칩을 기판에 접착고정하는 접착층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높은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몰딩부는 외부면에 상기 통신칩과 마주하는 제2커버부와의 밀착력을 높이면서 상기 커버부의 벤딩시 발생하는 외력에 기인하는 탄성복원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몰딩부는 상기 통신칩의 하부면과 기판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과 접속되는 범프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6. 삭제
KR1020140117038A 2014-09-03 2014-09-03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KR10157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038A KR101579435B1 (ko) 2014-09-03 2014-09-03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038A KR101579435B1 (ko) 2014-09-03 2014-09-03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435B1 true KR101579435B1 (ko) 2015-12-22

Family

ID=5508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038A KR101579435B1 (ko) 2014-09-03 2014-09-03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4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018A (ko) * 2004-06-04 2005-12-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Rfid 태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9970A (ko) * 2011-08-18 2013-02-27 하나 마이크론(주)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018A (ko) * 2004-06-04 2005-12-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Rfid 태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9970A (ko) * 2011-08-18 2013-02-27 하나 마이크론(주)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510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KR101275894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KR102162631B1 (ko)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 태그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25899B (zh) 無線射頻識別標籤天線
US9633302B1 (en) RFID integrated circuits with channels for reducing misalignment
KR20160050452A (ko) 타이어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
US7916029B2 (en) RFID t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5280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조 방법
KR101146753B1 (ko) 전파식별 태그
KR101079360B1 (ko) 전자 식별 태그 및 전자 식별 태그의 제조 방법
KR101165087B1 (ko) 보강판을 구비한 지문인식 카드
KR101579435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JP5609962B2 (ja) 動物用耳標rfidタグ
KR101232536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KR20080078536A (ko) Rfid 태그
KR101532481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KR102151521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JP6451298B2 (ja) デュアルインターフェイスicカード、及び、当該icカードに用いられるicモジュール
KR200453009Y1 (ko) 유연성을 갖는 브이에취에프 대역의 알에프아이디 태그
CN105184354B (zh) 一种宽带rfid电子标签
KR100858961B1 (ko) 주변환경의 영향을 배제한 rfid디바이스 및 그제조방법
KR101113851B1 (ko) Rfid 태그
CN208888853U (zh) 一种电子标签结构
KR100719973B1 (ko) 접속부 보호구를 갖는 무선주파수 인식 태그
KR102163273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