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481B1 -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 Google Patents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481B1
KR101532481B1 KR1020130090289A KR20130090289A KR101532481B1 KR 101532481 B1 KR101532481 B1 KR 101532481B1 KR 1020130090289 A KR1020130090289 A KR 1020130090289A KR 20130090289 A KR20130090289 A KR 20130090289A KR 101532481 B1 KR101532481 B1 KR 10153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ver
plug
mai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712A (ko
Inventor
염상렬
Original Assignee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 마이크론(주) filed Critical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to KR102013009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481B1/ko
Priority to PCT/KR2014/006951 priority patent/WO2015016590A1/ko
Publication of KR2015001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축의 피부 측에 대면하는 제1커버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2커버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부 ; 상기 가축의 신체 일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커버부에 형성된 피메일부의 공간에 선단이 배치되는 메일 플러그 ; 및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몸체에 상기 메일 플러그의 선단이 삽입안내되어 걸리는 걸림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일 플러그의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상기 메일 플러그와 결합되는 플러그 고정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EAR TAG FOR IDENTIFYNG DOMESTIC ANIMALS}
본 발명은 이어 태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무선통신용 칩셋을 갖는 커버부를 가축에 고정하는 메일 플러그와 커버부간의 상호 결합력을 높여 열약한 축산환경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가축으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염려가 없고, 재부착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돼지와 같은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가축 개체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인식표를 가축의 귀 등에 부착하여 관리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의 개발에 따라 가축 개체를 관리하기 위한 인식표에도 무선 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가축 개체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인식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을 접목한 가축 개체 관리 기술 중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적용한 가축 개체 관리 기술이 다양한 장점을 바탕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알에프 아이디 기술은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판독기로 이루어져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것으로,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판독기에게 정보를 송신하여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정보는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즉, 알에프아이디가 바코드 시스템과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대신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처럼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도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심지어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알에프아이디는 사용하는 전력의 형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판독기의 전력만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수동형(Passive) 알에프아이디라 한다.
반수동형(Semi-passive) 알에프아이디란 태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칩의 정보를 읽는 데는 그 전력을 사용하고, 통신에는 판독기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능동형(Active) 알에프아이디는 칩의 정보를 읽고 그 정보를 통신하는 데 모두 태그의 전력을 사용한다.
또한, 알에프아이디는 사용 전력의 종류 대신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로 구분될 수도 있다. 낮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알에프아이디를 엘에프알에프아이디(LF RFID: Low-Frequency IDentification)이라 하며, 120~140 kHz의 전파를 사용한다. 에이치에프알에프아이디(HF RFID: 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13.56 MHz를 사용하며, 그보다 한층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장비인 유에이치에프알에프아이디(UHF RFID: Ultra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868 ~ 956 MHz 대역의 전파를 이용한다.
이러한 알에프아이디 기술을 채용한 가축 개체 관리 시스템에서, 각각의 가축 개체에는 알에프아이디 태그, 즉 안테나와 알에프아이디 통신용 집적회로인 칩셋을 구비하는 인식표가 부여된다. 통상, 가축에 부여되는 인식표는 주로 가축의 귀를 천공하여 부착되므로 이를 이어 태그(ear tag)라 명명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19970호(2013.2.27.)에는 가축의 피부 측에 대면하는 제1 커버부와 접합되는 제2 커버부사이에 무선통신용 칩셋을 포함하는 이어태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어 태그에는 가축의 신체 일부인 귀를 관통하여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의 접착 구조물과 결합되는 메일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커버부에는 상기 메일 플러그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제2커버부에는 메일 플러그가 안착되는 공간을 갖는 피메일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피메일부의 공간에는 메일 플러그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메일 플러그의 단부와 간섭되는 탈락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어 태그에서 제1커버부의 피메일부와 결합된 메일 플러그의 분리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된 탈락방지부재가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력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탈락방지부재와 이에 걸린 메일 플러그간의 상호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축산환경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서 메일 플러그가 탈락방지부재로부터 분리이탈되는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메일 플러그의 분리이탈시 이어 태그가 가축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분실될 우려가 매우 높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분리된 이어 태그를 수거하여 가축의 귀에 재부착하거나 가축정보를 입력한 새로운 이어 태그를 가축의 귀에 재부착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2008-0114168 A
(특허문헌 2) KR10-2008-0050416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선통신용 칩셋을 갖는 커버부를 가축에 고정하는 메일 플러그와 커버부간의 상호 결합력을 높여 열약한 축산환경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가축으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염려가 없고, 재부착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가축의 피부 측에 대면하는 제1커버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2커버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부 ; 상기 가축의 신체 일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커버부에 형성된 피메일부의 공간에 선단이 배치되는 메일 플러그 ; 및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몸체에 상기 메일 플러그의 선단이 삽입안내되어 걸리는 걸림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일 플러그의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상기 메일 플러그와 결합되는 플러그 고정부 ; 를 포함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 고정부는 상기 피메일부를 향하여 내경이 작아지는 걸림공을 갖는 제1고정체와,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고정체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고정체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체는 상기 메일 플러그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상기 걸림공에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고정체는 상기 제1커버부 또는 제2커버부와의 결합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버부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거나 상기 제2커버부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거나 상기 제1,2커버부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정공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공은 상기 제2고정체에 양단이 개구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커버부와 대응하는 제2고정체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고정홈이나 상기 제2커버부와 대응하는 제2고정체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다른 고정홈으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고정체는 상기 제1커버부의 관통공과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환고리형 돌출턱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 고정부는 상기 제1,2커버부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일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의 걸림공으로 대응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용 원추체와, 상기 결합용 원추체를 단부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연장봉을 갖는 디스크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용 원추체는 단부가 뾰족한 금속팁을 선단에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용 원추체와 대응하는 피메일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금속팁과 간섭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메일 플러그의 선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력을 발생시키고, 메일플러그의 회전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공을 관통형성한 플러그 고정부를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커버부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무선통신부를 갖는 커버부를 가축에 부착하도록 가축의 신체일부인 귀를 관통하는 메일 플러그와 플러그 고정부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강한 인장력으로 커버부와 메일 플러그를 외측에서 양측으로 당겨도 상호간의 분리이탈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열악한 축산환경에서 커버부와 메일 플러그이 서로 분리되는 제품불량을 방지하고, 이어 태그의 분실염려가 없어 제품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가 이어 태그를 재부착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2) 커버부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플러그 고정부를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내에 최대한 외부노출되지 않도록 내장함으로써 이어 태그의 전체적인 외관을 폴리 우레탄소재와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갖도록 하여 제품의 외관미를 높이고,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제1커버부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제2커버부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에 채용되는 플러그 고정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에 채용되는 플러그 고정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후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에 채용되는 플러그 고정부와 커버부간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100)는 도 1 내지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악한 축산환경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서 가축으로부터 분리이탈되어 분실되거나 재부착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110), 무선통신부(120), 메일 플러그(130) 및 플러그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10)는 제1커버부(111)와 제2커버부(112)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제1커버부(111)는 가축의 신체 일부에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가 부착될 때 가축의 신체와 대면하는 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커버부(111)는 가축 신체를 관통하여 가축 신체 일부분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메일 플러그(1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113)을 관통형성한 판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커버부(112)는 상기 제1커버부(111)의 관통공(113)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메일 플러그(130)의 선단을 안착시켜 배치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공간을 갖는 피메일부(114)를 외측으로 돌출형성한다.
이러한 제2커버부(112)는 미도시된 금형내에서 상기 제1커버부(110)의 일측면과 밀착 접합되어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판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2커버부(111,112)는 가축의 신체에 접촉하여도 가축에게 무해하면서 외력에 의한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무해하고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소재로서는 러버, 폴리 우레탄과 같은 탄성소재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20)는 가축의 개체 정보를 기록하고 이 기록을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칩셋(미도시)을 포함하는 필름상의 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커버부(111)와 제2커버부(112)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수단이다.
이러한 무선통신부에 구비되는 무선통신용 칩셋은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용 칩셋으로 알에프아이디 통신의 태그 역할을 수행하는 칩셋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20)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테나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필름 안테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안테나는 비전도성 필름의 일면에 도전 물질을 이용하여 인쇄된 방사 패턴을 갖는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사패턴과 무선통신용 칩셋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일 플러그(130)는 개체인식 대상물인 가축의 신체 일부인 귀 및 상기 제1커버부(111)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연속하여 통과하여 상기 제2커버부(112)에 형성된 피메일부(114)의 내부공간에 선단이 배치되면서 상기 커버부(110)와 결합되는 독립적인 부재이다.
상기 무선통신부(120)를 내장한 커버부(110)를 가축의 신체 일부인 귀에 부착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와 대응조립되어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메일 플러그(130)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의 걸림공(141)으로 대응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용 원추체(133)과, 상기 결합용 원추체(133)를 단부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연장봉(132)을 갖는 디스크체(131)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용 원추체(133)는 상기 가축의 신체 일부인 귀를 관통하여 커버부에 고정된 플러그 고정부(140)와의 대응결합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뾰족한 금속팁(133a)을 선단에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용 원추체(133)와 대응하는 피메일부(114)의 내부면에는 상기 걸림공(141)을 통해 상기 피메일부(114)의 내부공간까지 과도하게 진입된 금속팁(133a)과 피메일부(114)간의 접촉에 기인하는 소재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금속팁(133a)과 간섭되는 스토퍼(115)를 구비하고, 이러한 스토퍼(115)는 상기 금속팁(133a)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일정길이의 중공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는 상기 메일 플러그(130)의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상기 메일 플러그(130)와 결합되어 결합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재이다.
이러한 플러그 고정부(140)는 상기 제1커버부(111)의 관통공(113)과 대응하는 몸체에 상기 메일 플러그(130)의 선단이 삽입안내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고, 걸리고, 상기 메일 플러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공(141)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커버부(111)의 관통공(113)과 상기 제2커버부(112)의 피메일부(114)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는 상기 피메일부(114)를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내경의 걸림공(141)을 갖는 제1고정체(142)와, 상기 제1커버부(111)와 제2커버부(112)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고정체(142)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고정체(144)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공(141)은 상기 메일 플러그(130)의 선단에 구비되는 결합용 원추체(133)가 삽입되는 입구로부터 상기 메일 플러그(130)의 선단인 결합용 원추체(133)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리는 출구까지 내,외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콘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림공을 형성하는 제1고정체(142)는 상기 메일 플러그(130)의 선단에 구비되는 결합용 원추체(133)가 걸림공의 입구로부터 삽입될 때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진 다음 상기 메일 플러그(130)의 선단인 결합용 원추체(133)가 걸림공의 출구를 통해 돌출될 때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복귀되도록 상기 결합용 원추체(133)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릿(14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공(141)의 출구는 상기 메일 플러그(130)의 결합용 원추체(133)의 외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공(141)의 입구는 이를 통한 상기 결합용 원추체(133)의 삽입동작을 간섭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용 원추체(133)의 외경크기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111)의 관통공(113)은 상기 걸림공(141)의 입구를 외부노출시키면서 상기 결합용 원추체(133)의 삽입동작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고정체(144)는 도 6a 내지 도 6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10)와의 결합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미도시된 고온환경의 금형 내에서 상기 제1커버부(111)와 제2커버부(112)간의 합체를 위한 열압착시 상기 제1커버부(111)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거나 상기 제2커버부(112)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거나 상기 제1,2커버부(111,112)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정공(143)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공(143)은 상기 제2고정체(144)에 양단이 개구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커버부(111)의 몸체일부만 충진되어 채워지도록 상기 제1커버부(111)와 대응하는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고정홈이나 상기 제2커버부(112)의 몸체일부만 충진되어 채워지도록 상기 제2커버부(112)와 대응하는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다른 고정홈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커버부(111,112)를 고온환경의 금형내에서 일체로 합체하여 판체를 이루도록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2커버부사이에 플러그 고정부(140)를 일체화하는 공정은 상기 피메일부(114)를 갖도록 1차 성형된 제2커버부(112)의 피메일부에 기성형된 플러그 고정부(140)의 제1고정체를 삽입하여 1차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2커버부(112)의 외부 일측면에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를 1차 고정하기 전이나 고정한 후에 필름상의 박판형 무선통신부를 부착한다.
이어서, 제1,2금형으로 이루어진 금형의 캐비티에서 제2커버부(112)의 외부 일측면에 부착된 무선통신부를 덮는 제1커버부를 2차로 성형하도록 수지를 주입하게 되면, 무선통신부를 커버부의 내부에 내장한 이어 태그를 제조완성하면서 상기 제1커버부(111)의 관통공(113)과, 상기 제2커버부(112)의 피메일부(114)사이에 개재되는 플러그 고정부(140)를 상기 제1,2커버부사이에 고정함과 동시에 커버부와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는 금형내에서 1차 성형된 제2커버부의 피메일부에 삽입되어 가고정된 다음 상기 금형내에서 이어 태그를 제조완성하기 위한 제1커버부의 2차 성형시 제1,2커버부사이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플러그 고정부를 먼저 1차 성형된 제1커버부(111)의 관통공(113)에 삽입하여 가고정한 다음,상기 금형내에서 이어 태그를 제조완성하기 위한 제2커버부의 2차 성형시 제1,2커버부사이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는 상기 제1커버부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2고정체(144)에 외측으로 돌출된 환고리형 돌출턱(14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환고리형 돌출턱(146)은 관통공과 결합되어 제1커버부와의 가고정과 더불어 성형 후 제1커버부와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의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물의 사출에 의한 제1,2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부(110)의 성형시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의 제2고정체(144)에 형성된 고정공(143)으로 주입되는 제1커버부 또는 제2커버부의 수지물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와의 결합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고정부(140)는 외력에 의한 변형후 복원력을 가지며 부드러운 러버 또는 폴리 우레탄과 같이 부드러운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2커버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아 딱딱한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2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플러그 고정부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의 부드러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제1커버부(111)의 관통공(113)을 통하여 걸림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커버부 111 : 제1커버부
112 : 제2커버부 113 : 관통공
114 : 피메일부 115 : 스토퍼
120 : 무선통신부 130 : 메일 플러그
131 : 디스크체 132 : 연장봉
133 : 결합용 원추체 133a : 금속팁
140 : 플러그 고정부 141 : 걸림공
142 : 제1고정체 143 : 고정공
144 : 제2고정체 145 : 슬릿

Claims (10)

  1. 가축의 피부 측에 대면하는 제1커버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2커버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부 ;
    상기 가축의 신체 일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커버부에 형성된 피메일부의 공간에 선단이 배치되는 메일 플러그 ; 및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몸체에 상기 메일 플러그의 선단이 삽입안내되어 걸리는 걸림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일 플러그의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상기 메일 플러그와 결합되는 플러그 고정부 ;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고정부는 상기 피메일부를 향하여 내경이 작아지는 걸림공을 갖는 제1고정체와,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고정체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고정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체는 상기 메일 플러그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상기 걸림공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체는 상기 제1커버부 또는 제2커버부와의 결합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커버부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거나 상기 제2커버부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거나 상기 제1,2커버부의 몸체일부가 충진되어 채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정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은 상기 제2고정체에 양단이 개구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커버부와 대응하는 제2고정체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고정홈이나 상기 제2커버부와 대응하는 제2고정체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다른 고정홈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체는 상기 제1커버부의 관통공과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환고리형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7.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는 상기 제1,2커버부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8.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의 걸림공으로 대응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용 원추체와, 상기 결합용 원추체를 단부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연장봉을 갖는 디스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원추체는 단부가 뾰족한 금속팁을 선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원추체와 대응하는 피메일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금속팁과 간섭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KR1020130090289A 2013-07-30 2013-07-30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KR10153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289A KR101532481B1 (ko) 2013-07-30 2013-07-30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PCT/KR2014/006951 WO2015016590A1 (ko) 2013-07-30 2014-07-29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289A KR101532481B1 (ko) 2013-07-30 2013-07-30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712A KR20150014712A (ko) 2015-02-09
KR101532481B1 true KR101532481B1 (ko) 2015-06-29

Family

ID=5243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289A KR101532481B1 (ko) 2013-07-30 2013-07-30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2481B1 (ko)
WO (1) WO2015016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273B1 (ko) * 2013-12-31 2020-10-08 하나 마이크론(주)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970A (ko) * 2011-08-18 2013-02-27 하나 마이크론(주)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04771B1 (no) * 1997-10-31 1999-02-15 Os Id As Lasesystem for husdyrmerke
US7533482B2 (en) * 2007-03-29 2009-05-19 James Allen Huenefeld Metal ear tag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device
FR2914820B1 (fr) * 2007-04-13 2009-06-05 Affflex Europ Soc Par Actions Boucle auriculaire renforce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970A (ko) * 2011-08-18 2013-02-27 하나 마이크론(주)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06330759 W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712A (ko) 2015-02-09
WO2015016590A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894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KR101543510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US20130175347A1 (en) Device for identifying an animal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device
CA2942739C (en) Metal ear tag with overmoulded cover for transponder housing,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A2991561C (en) Inlay designs for uhf rfid tags
KR101532481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EP2453732A1 (en)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for livestock tracking
CN114340382B (zh) 包括收纳uhf识别系统部分的部分和配置成使所应用的uhf部分压靠并保持在动物的耳朵上的部分的用于动物的识别耳标
CN102034129A (zh) 超高频电子耳标及其制作方法
KR100687082B1 (ko) 알에프아이디 칩을 내장한 돼지용 이력태그
CN201032783Y (zh) 动物电子耳标
AU2012258300A1 (en) Animal identification device
CN207589810U (zh) 一种猪用耳标
WO2006031088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KR101579435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CN109566462B (zh) 一种具有防伪溯源的鸡牌及其组装方法
CN103416317B (zh) 扎带型电子标识
KR102163273B1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CN211960557U (zh) 一种耳标结构
WO2022271075A1 (en) Animal ear tag
KR20150079162A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
TW201546719A (zh) 搭載電子識別資訊之載具結構
KR20150079153A (ko) 가축 개체 인식용 이어 태그용 무선통신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