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167B1 -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 Google Patents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167B1
KR101579167B1 KR1020140028147A KR20140028147A KR101579167B1 KR 101579167 B1 KR101579167 B1 KR 101579167B1 KR 1020140028147 A KR1020140028147 A KR 1020140028147A KR 20140028147 A KR20140028147 A KR 20140028147A KR 101579167 B1 KR101579167 B1 KR 10157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otrusions
sleeve
cup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089A (ko
Inventor
김경희
김선주
Original Assignee
김경희
김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김선주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4002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1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은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의 양 단부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 후 접합하여 형성되는 관형의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재의 서로 겹쳐진 양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는 단열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종이재를 서로 중첩시켜 융착하여 서로 연결하고, 중첩부위에 컵과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컵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종이컵 자체만으로 종이컵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됨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종이컵이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Paper cup with integrated sleeve}
본 발명은 슬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길거리나 휴게소 및 테이크아웃 커피판매점 등에서 커피나 음료수 등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이컵은 단일형의 외지를 둥근 원통형으로 감아 중첩되는 부위를 접착하고, 그 하부에 원형의 바닥재를 부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원통형의 몸체 외주면에는 파지를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음료수를 마실 때 직접 몸체를 손으로 파지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종이컵에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가 수용될 경우, 컵의 열기 또는 컵의 외면에 맺히는 습기로 인하여 사용자는 컵을 직접 들고 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종이컵의 파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종이컵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넘쳐 사용자는 손에 화상을 입거나, 신체의 일부 또는 착용중인 옷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종이컵 몸체의 외주면에 끼워져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컵 슬리브가 개발되었다.
컵 슬리브는 내부로 종이컵이 끼워지는 종이컵 몸체와 대응되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일정 두께를 가지는 종이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파지 시, 종이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 및 종이컵 표면에 형성되는 습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컵 슬리브는 종이컵의 크기별로 별도로 제작되어 판매자가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이 추가로 발생하고, 사용자는 뜨거운 음료가 담겨 있는 종이컵을 들고 슬리브를 끼워야 하며 사용 후 컵 슬리브를 종이컵과 함께 버리게 되어 자원을 낭비하고 쓰레기 배출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982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컵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고, 파지 시 사용자의 손에 컵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컵이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은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의 양 단부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 후 접합하여 형성되는 관형의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재의 서로 겹쳐진 양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는 단열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의 양 단부는 열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접합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종이재의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가 양 단부에 형성된 종이재는 상기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종이재의 양 단부 외측에 상기 돌기가 형성된 양 단부를 겹쳐지게 배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종이재의 양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는 상기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단부의 외측에 상기 돌기가 형성된 단부를 겹쳐지게 배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종이재의 단부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돌기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에는 공기순환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복수의 종이재의 단부 중 서로 접착되는 부분보다 끝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종이재를 서로 중첩시켜 융착하여 서로 연결하고, 중첩부위에 컵과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컵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종이컵 자체만으로 종이컵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됨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종이컵이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컵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쓰레기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의 몸체부를 전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의 몸체부를 전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의 몸체부를 전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의 몸체부를 전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100)(이하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100)’이라 함)은 몸체부(10) 및 바닥부(20)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는, 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100)은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11)의 양 단부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 후 접합하여 둘레에 접합부(15)가 복수개 형성되는 관형의 몸체부(10), 그리고 몸체부(10)에 결합되는 바닥부(20)를 포함한다. 몸체부(10)의 종이컵(100)의 측면을 형성하고 바닥부(20)는 종이컵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는 종이재(11)의 양 단부를 다른 종이재(11)의 양 단부와 겹쳐지는 구조로 배치하고, 겹쳐지는 부위를 열 또는 초음파 융착으로 접합하여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접합부(15)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100)의 몸체부(10)는 하나의 종이소재를 관형으로 둥글게 말아 단부를 중첩하고, 중첩된 부위를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종래의 종이컵과는 상이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100)의 종이재(11)의 서로 겹쳐진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슬리브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슬리브가 종이재(11)가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1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리브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몸체부(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내측에는 단열공간(17)이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슬리브는 종이재(11)에 형성된 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3)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어 접합된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11) 중 외측에 배치되는 종이재(11)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내측에는 단열공간(17)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돌기(13)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의 접합부(15)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13)가 형성되며,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된 접합부(15)의 내측에는 단열공간(17)이 형성된다.
이때, 돌기(13)는 종이재(11)의 단부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접합부(15)에 형성되는 돌기(13)는 몸체부(10)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한 복수개로 형성된 돌기(13)를 파지함으로써, 컵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가 손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돌기(13)는 종이재(11)의 단부에 단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접합부(15)에 형성되는 돌기(13)는 몸체부(10)에 단일 형태로 형성되되, 복수의 돌기(13) 사이에는 몸체부(10)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기(13)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파지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13)는 단일 형태로 형성되나, 외면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복수의 파지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파지홈(131)을 이용하여 컵을 파지함으로써, 컵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가 손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돌기(13)의 굴곡된 형상을 통해 파지 시 컵이 손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돌기(13)에는 공기순환구멍(1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기(13)에는 공기순환구멍(133)이 형성되어 단열공간(17)에 형성되는 열기 또는 냉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함께, 외부의 공기가 단열공간(17)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공기순환구멍(133)을 통해 단열공간(17) 내부의 공기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사용자가 컵을 파지하였을 때, 온도차에 의해 컵을 손에서 순간적으로 놓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를 형성하는 복수의 종이재(11)는 형상에 따라 접합부(15)의 형상이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를 형성하는 복수의 종이재(11)는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한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종이재(11)는 외형은 동일한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으나, 접합부(15)의 외측에 배치되는 종이재(11)의 양 단부에만 돌기(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11)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돌기(13)가 양 단부에 형성된 종이재(11)는 돌기(13)가 형성되지 않은 종이재(11)의 양 단부 외측에 돌기(13)가 형성된 양 단부를 겹쳐지게 배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반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10)를 형성하는 복수의 종이재(11)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종이재(11)의 돌기(13)는 종이재(11)의 양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11)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11)는 돌기(13)가 형성되지 않는 단부의 외측에 돌기(13)가 형성된 단부를 겹쳐지게 배치하여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13)는 종이재(11)의 단부 중 서로 접착되는 접합부(150)보다 끝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종이재(11)를 서로 중첩시켜 융착하여 서로 연결하고, 중첩부위에 컵과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컵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종이컵 자체만으로 종이컵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됨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종이컵이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컵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쓰레기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10. 몸체부
11. 종이재
13. 돌기
131. 파지홈
133. 공기순환구멍
15. 접합부
17. 단열공간
20. 바닥부

Claims (12)

  1.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의 양 단부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 후 접합하여 형성되는 관형의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재의 서로 겹쳐진 양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는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의 양 단부는 열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3. 제1항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4. 제3항에서,
    상기 돌기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5. 제3항에서,
    상기 돌기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어 접합된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 중외측에 배치되는 종이재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양 단부에 형성된 종이재는 상기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종이재의 양 단부 외측에 상기 돌기가 형성된 양 단부를 겹쳐지게 배치하여 접착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7. 제3항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종이재의 양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에만 형성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8. 제7항에서,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로 구비된 종이재는 상기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단부의 외측에 상기 돌기가 형성된 단부를 겹쳐지게 배치하여 접착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9. 제3항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종이재의 단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10. 제3항에서,
    상기 돌기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돌기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파지홈이 형성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11. 제3항에서,
    상기 돌기에는 공기순환구멍이 형성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12. 제3항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복수의 종이재의 단부 중 서로 접착되는 부분보다 끝단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KR1020140028147A 2014-03-11 2014-03-11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KR10157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47A KR101579167B1 (ko) 2014-03-11 2014-03-11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47A KR101579167B1 (ko) 2014-03-11 2014-03-11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089A KR20150106089A (ko) 2015-09-21
KR101579167B1 true KR101579167B1 (ko) 2015-12-21

Family

ID=5424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147A KR101579167B1 (ko) 2014-03-11 2014-03-11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79U (ko) * 2021-07-01 2023-01-10 곽연정 뚜껑 일체형 접이식 종이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4990B2 (ja) * 2017-02-21 2022-07-22 ウク カン,キョン 熱伝導防止板が備えられた紙コッ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14Y1 (ko) 1999-10-27 2000-05-15 주식회사정인 단열구조를 갖는 종이컵
KR200188871Y1 (ko) 2000-02-03 2000-07-15 김원근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2438B2 (ja) * 1999-12-27 2007-02-14 凸版印刷株式会社 断熱容器
KR20090049820A (ko) 2007-11-14 2009-05-19 현진제업주식회사 보온단열용 2중종이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14Y1 (ko) 1999-10-27 2000-05-15 주식회사정인 단열구조를 갖는 종이컵
KR200188871Y1 (ko) 2000-02-03 2000-07-15 김원근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79U (ko) * 2021-07-01 2023-01-10 곽연정 뚜껑 일체형 접이식 종이컵
KR200497460Y1 (ko) * 2021-07-01 2023-11-15 곽연정 뚜껑 일체형 접이식 종이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089A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795B1 (ja) コップ
USD799330S1 (en) Container
KR101579167B1 (ko) 슬리브 일체형 종이컵
CA2968723A1 (en) Double-walled drinking vessel
KR102045037B1 (ko) 이중 용기 및 이중 용기에 이용되는 외장 슬리브
WO2015150794A1 (en) Container comprising a paperboard outer shell
KR101445343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컵 홀더
CA2945567C (en) Tight fastening type size-free container carrying bag
KR101641300B1 (ko) 컵홀더
KR20180056307A (ko) 이중컵의 제조방법 및 그의 방법으로 제조된 이중컵
KR200344484Y1 (ko) 이중용기
KR200258661Y1 (ko) 휴대용 종이컵 홀더
KR20130006864U (ko) 컵홀더
KR20160000943U (ko) 그립수단을 구비하는 컵홀더
KR20120131004A (ko) 이중구조를 갖는 일회용 컵
KR101707024B1 (ko) 컵 슬리브
KR200230557Y1 (ko) 공간부를 형성한 종이용기
US20160280412A1 (en) Cup Container Having An Integrated Sleeve
KR20190073720A (ko) 접이식 컵홀더
KR200455062Y1 (ko) 조리 용기의 손잡이
KR200322230Y1 (ko) 컵홀더
KR20150003139A (ko) 단열성이 향상된 컵 홀더
KR20170030361A (ko) 재활용 가능한 컵 슬리브
JP2005059879A (ja) 多重断熱カップ
KR20240060052A (ko) 무접착 친환경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