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847B1 -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847B1
KR101578847B1 KR1020090075266A KR20090075266A KR101578847B1 KR 101578847 B1 KR101578847 B1 KR 101578847B1 KR 1020090075266 A KR1020090075266 A KR 1020090075266A KR 20090075266 A KR20090075266 A KR 20090075266A KR 101578847 B1 KR101578847 B1 KR 10157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ll
short message
request
prohib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676A (ko
Inventor
최전일
김낙포
이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75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8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제2 휴대 단말로 착신전환된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제2 휴대 단말로 착신전환된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S1)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및 단문 메시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2)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구하면서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S3)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S4)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송 받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문 메시지, SMS, 착신금지, 착신전환

Description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short message service to incoming call prohibited or transferre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문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이 금지되거나 제2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전환된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홈위치등록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의 이용 증가와 함께 그 이용 형태가 매우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의 다양한 이용 형태 중에, 특정 휴대 단말에 대하여 통화 신호 및 단문 메시지(SMS)의 착신이 금지되거나 타 휴대 단말로 착신이 전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 가입자가 사용 요금을 제대로 납부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사업자는 해당 휴대 단말에 대하여 통화 신호 및 단문 메시지의 착신을 금지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가입자 스스로 특정 기간 동안 휴대 단말을 사용하지 않거나 발신 기능만을 이용하기 위해서 착신이 금지되도록 신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 가입자는 통화 신호 및 단문 메시지가 자신의 휴대 단말에 착신되지 않고 특별히 지정한 타인의 휴대 단말에 착신되도록 착신전환을 신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휴대 단말을 지급하면서 자녀의 휴대 단말로 착신되는 통화 신호나 단문 메시지를 부모의 휴대 단말로 착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 가입자가 일정 기간 휴대 단말을 사용하지 못하게 될 경우 다른 가족의 휴대 단말로 착신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신 금지나 착신 전환은, 휴대 단말 가입자가 여행이나 출장 등의 이유로 해외로 출국할 때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 가입자가 해외로 출국하는 경우 별도의 신청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로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청소년 요금제와 같은 일부 요금제 가입자의 경우, 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지 않기 위해 별도로 신청한 경우에는 로밍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단문 메시지 등의 착신이 금지된다.
휴대 단말의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서비스는 상기와 같이 특정한 경우에만 제공되고 있으나, 일단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상태가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휴대 단말에 대하여는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요금을 내지 못하여 착신금지된 휴대 단말 가입자에게는 태풍이나 홍수 등의 재난 정보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재난 정보를 휴대 단말로 신속하게 받아볼 수 없다. 또한, 요금 납부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안내 메시지를 통한 요금 납부 유도가 불가능하다. 그 밖에도 해외 여행이나 출장시 로밍 서비스를 받지 못해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금지되거나 전환된 휴대 단말 가입자에게는 해외 공관 정보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이 단문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금지 되거나 타 휴대 단말로 착신전환된 상태라 하더라도 일정한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가 착신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 일괄적으로 단문 메시지의 전달이 금지되므로, 휴대 단말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제2 휴대 단말로 착신전환된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홈위치 등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제2 휴대 단말로 착신전환된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S1)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및 단문 메시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2)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구하면서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S3)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S4)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송 받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제2 휴대 단말로 착신전환된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포함된 홈 위치 등록기는,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요청 및 단문 메시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인지 확인하는 착신상태 확인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 및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이 금지되거나 타 휴대 단말로 착신이 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하여도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이 금지된 휴대 단말 가입자에게도 홍수나 태풍, 폭설, 지진 등의 재난 정보 등을 전달하여 해당 가입자가 재난 등으로 피해를 입는 것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요금을 납부하지 못한 휴대 단말 가입자에게는 요금 납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요금 납부를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행이나 출장으로 해외 체류 시 로밍 서비스가 신청되지 않아 착신이 금지된 경우라 하더라도 로밍 서비스의 신청을 안내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 로밍 서비스를 신청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대사관과 같은 해외 공관의 연락처나 주소 등의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제공하여 해외에서도 필요한 경우 쉽게 도움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140)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140)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단문 메시지 센터(110) 및 홈 위치 등록기(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착신측 휴대 단말(제1 휴대 단말)(140)이 착신금지되었거나 또는 타 휴대 단말(제2 휴대 단말)(150)로 착신전환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140)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휴대 단말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금이 체납된 휴대 단말(140)에 대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는 단문 메시지의 착신을 금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 이유로 단문 메시지의 착신을 원하지 않는 휴대 단말 가입자, 즉 휴대 단말 사용자도 신청을 통해 단문 메시지의 착신을 금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의 설정 원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휴대 단말(140)의 해외 로밍시에도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가 여행이나 출장 등의 이유로 해외로 출국하는 경우 사용 중인 휴대 단말(140)을 해외에서도 그대로 사용하기 위해 해외 로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 요금제와 같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요금제인 경우, 또는 가입자가 로밍 서비스를 별도로 이용하지 않도록 신청한 경우에는 이러한 해외 로밍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에는 휴대 단말(140)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금지되거나 타 휴대 단말(150)로 착신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110)는, 이와 같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제1 휴대 단말)(140)에 대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이러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과 함께 단문 메시지 발신자로부터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한다.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은, 특정 휴대 단말(140)이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금지되거나 다른 휴대 단말(150)로 착신이 전환된 상태인 경우, 착신 금지나 착신 전환 상태를 무시하고 해당 휴대 단말(140)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요청이다.
여기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과 함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하는 발신자는 이동통신 사업자, 휴대 단말 가입자 본인, 또는 제3의 가입자일 수 있다.
우선, 이동통신 사업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금 미납으로 인해 착신이 금지된 휴대 단말(140)의 가입자에게 요금 납부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는 착신금지 무시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출국으로 인해 착신금지나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140) 가입자에게 해외 공관 정보나 로밍 서비스 신청 정보 등이 담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이동통신 사업자는 착신금지나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 가입자에게 태풍이나 홍수, 폭설 등과 같은 재난 정보를 제공하여 그 피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신금지나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 가입자(즉, 가입자 본인)가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 가입자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인터넷 뱅킹을 이용할 때, 자신의 휴대 단말(14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자신의 휴대 단말(140)이 착신금지되거나 타 휴대 단말(150)로 착신전환되었다 하여 휴대 단말(140)로 인증 정보 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한다면, 휴대 단말 가입자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인터넷 뱅킹 등의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되었다 하더라도 휴대 단말 가입자 본인은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통해 자신의 휴대 단말(140)로 인증 정보 등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사업자나 가입자 본인 이외에 제 3의 가입자도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 정부 부처에서 재난 정보나 해외 공관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착신측 휴대 단말 가입자나 제3의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를 요청하면, 해당 요청 정보는 엑세스망(160), 코어망(170) 및 프로토콜망(180)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된다.
이때, 엑세스망(160)은 가입자 단말(14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엑세스망(160)에는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코어망(170)은 교환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교환기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토콜망(180)은 NO.7 네트워크(NO.7 Network)나 IP 백본 네트워크(IP Back-Bone Networ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사업자가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면서 및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를 요청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제어 센터(도면 미도시)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두어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센터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및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여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해당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경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경로를 통해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및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10)는, 발신자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과 함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러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에 대한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20)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발신자의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게 되면, 단문 메시지 센터(110)는 홈 위치 등록기(120)로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센터(110)는 이러한 위치 정보 요청을 하면서 발신자에 의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에 대한 정보는 SRI(SendRoutingInfoSM) 메시지나 LOR(Location Request) 메시지와 같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10)는, 홈 위치 등록기(120)로부터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고, 전송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휴대 단말(140)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120)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부터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20)는 휴대 단말(140)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인지 판단한다. 만일 휴대 단말(140)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라면, 상기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휴대 단말(140)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라는 정보를 전송한다. 반면, 휴대 단말(140)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가 아니라면,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140)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에 관한 정보는 홈 위치 등록기(120)에 저장되는 것이 좋다. 즉, 홈 위치 등록기(120)는 단문 메시지가 전송될 휴대 단말(즉, 착신 단말)(140)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금지되었는지 여부, 또는 다른 휴대 단말(150)로 착신이 전환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부터 휴대 단말(140)의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상기 휴대 단말(140)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여부를 검색한다. 그 결과, 상기 휴대 단말(140)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인 경우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이러한 사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는 전송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홈 위치 등록기(120)는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부터 위치 확인 요청과 더불어 발신자에 의한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함 께 수신한다.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120)는 휴대 단말(140)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상태라 하더라도 해당 휴대 단말(14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140)에 대하여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120)는 해당 휴대 단말(14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상태라 하더라도 그에 대한 무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120)는 해당 휴대 단말(14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140)에 대한 모든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일괄적으로 금지되지 않고, 일정한 경우 선별적으로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허용된다.
또한, 상기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자 뿐만 아니라 이를 수신하는 착신측 휴대 단말 가입자(착신자)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금 미납으로 인해 착신금지된 휴대 단말(140)의 가입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140)로 전송되는 요금 납부 안내에 대한 단문 메시지의 수신은 허용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로밍 서비스의 미신청으로 인해 해외에서 착신이 금지되거나 전환된 휴대 단말(140)의 가입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140)로 전송되는 해외 공관 연락처 등의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수신은 허용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는 홈 위치 등록기(120)에 저장되는 것이 좋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20)는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조합하여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홈 위치 등록기(120)는 미리 저장된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와,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부터 전송 받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과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이 모두 있는 경우에만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PRE-ESD Flag라 하고,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이 있는 경우 PRE-ESD Flag를 ON으로, 발신자의 무시 요청이 없는 경우 PRE-ESD Flag를 OFF로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SYS-ESD Flag라 하고,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이 있는 경우 SYS-ESD Flag를 ON으로, 착신자의 무시 요청이 없는 경우 SYS-ESD Flag를 OFF로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홈 위치 등록기(120)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부터 전송받은 PRE-ESD Flag가 ON,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SYS-ESD Flag가 ON일 때에만 착신 휴대 단말(140)에 대한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인정하여, 착신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한다.
반면,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부터 전송 받은 PRE-ESD Flag와 홈 위치 등록 기(120)에 저장된 SYS-ESD Flag 중 어느 하나라도 OFF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120)는 휴대 단말(14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140)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 포함된 홈 위치 등록기(120)의 기능적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위치 등록기(120)는 수신모듈(121), 착신상태 확인모듈(122) 및 전송모듈(123)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모듈(121)은,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부터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서 단문 메시지 발신자에 의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착신상태 확인모듈(122)은, 착신측 휴대 단말(140)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를 확인한다. 즉, 착신측 휴대 단말(140)이 단문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이 금지된 상태인지 또는 타 휴대 단말(150)로 착신이 전환된 상태인지 확인한다.
상기 전송모듈(123)은, 상기 수신모듈(121)이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 요청 및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위치 등록기(120)는 휴대 단말(140)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저장모듈(12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모듈(124)은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전송모듈(123)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과 상기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이 모두 있는 경우에만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착신측 휴대 단말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착신측 휴대 단말(140)의 해외 로밍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140)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가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휴대 단말(140)에 대한 단문 메시지 전송 및 발신자의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가 요청되면(S110), 단문 메시지 센터(110)는 홈 위치 등록기(120)로 휴대 단말(14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서 해당 휴대 단말(140)의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120). 그러면, 홈 위치 등록기(120)가 휴대 단말(140)의 위치를 확인하여(S150),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확인된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160). 그리고 나서, 단문 메시지 센터(110)는 전송 받은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 단말(140)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17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위치 등록기(120)는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S130). 따라서,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부터 발신자의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가 전송되면(S120),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착신자의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와 비교한다(S140). 그리하여 발신자의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과 착신자의 착신금지나 착신전환 무시 요청이 모두 있는 경우에만 휴대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로 전송할 수 있다(S1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문 메시지 센터는 이동통신 사업자나 착신측 휴대 단말 가입자 본인, 또는 제3의 가입자로부터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및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한다(S210). 다음으로 단문 메시지 센터는 착신측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한다(S220). 그리고나서, 홈 위치 등록기가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면(S240), 단문 메시지 센터는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송 받은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단문 메시지를 휴대 단말로 전송한다(S250).
바람직하게는, 상기 S220 단계와 상기 S240 단계 사이에 홈 위치 등록기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와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S240 단계는 발신자와 착신자가 모두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한 경우에만 홈 위치 등록기가 해당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S220 단계에서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되는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에 대한 정보는 SRI(SendRoutingInfoSM) 메시지나 LOR(Location Request) 메시지와 같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이 좋다.
한편, 휴대 단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 정보, 즉 휴대 단말이 착신금지 상태인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홈 위치 등록기에 저장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에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라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홈 위치 등록기는 단문 메시지 센터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해당 휴대 단말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해외 로밍시 설정될 수 있음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금지된 휴대 단말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 이 요청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되면(S310), 해당 휴대 단말이 착신 금지된 상태인지 판단한다(S320). 이때, 착신이 금지된 상태가 아니라면,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센터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전송된다(S340). 그리고, 단문 메시지 센터는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350). 그러나 휴대 단말이 착신 금지된 상태라면, 홈 위치 등록기는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착신금지 무시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30). 이때, 휴대 단말에 대한 착신금지 무시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홈 위치 등록기는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한다(S340). 그리고 단문 메시지 센터는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송 받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350). 반면, 휴대 단말에 대한 착신금지 무시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홈 위치 등록기는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금지되었다는 응답을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한다(S360).
도 6은, 타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휴대 단말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되면(S410), 제1 휴대 단말이 단문 메시지에 대하여 착신 전환된 상태인지 판단 한다(S420). 이때 착신 전환된 상태가 아니라면,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전달된다(S440). 그리고, 단문 메시지 센터는 제1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450). 그러나, 제1 휴대 단말이 단문 메시지에 대하여 제2 휴대 단말로 착신 전환된 상태라면, 홈 위치 등록기는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430). 이때,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홈 위치 등록기는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한다(S440). 그리고, 단문 메시지 센터는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송 받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제1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450).
반면,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홈 위치 등록기는 제1 휴대 단말이 제2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전환되었다는 정보와 함께 제2 휴대 단말의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한다(S460). 그리고 나서, 단문 메시지 센터가 제2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확인을 요청하면(S470), 홈 위치 등록기가 제2 휴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그 정보를 전송한다(S480). 그러면, 단문 메시지 센터는 전송 받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49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 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 포함된 홈 위치 등록기의 기능적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가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금지된 휴대 단말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타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의 착신이 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삭제
  2.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제2 휴대 단말로 착신전환된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S1)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및 단문 메시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2)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구하면서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S3)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S4)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송 받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가 상기 제1 휴대 단말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2 단계와 상기 S3 단계 사이에,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과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3 단계는,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과 상기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이 모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제1 휴대 단말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해외 로밍에 대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단문 메시지의 착신금지 또는 제2 휴대 단말로 착신전환된 제1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포함된 홈 위치 등록기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요청 및 단문 메시지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인지 확인하는 착신상태 확인모듈;
    상기 수신모듈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 및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전송모듈;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모듈은,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전송모듈은, 상기 발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과 상기 착신자의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무시 요청이 모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위치 등록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제1 휴대 단말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위치 등록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 상태는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해외 로밍에 대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위치 등록기.
KR1020090075266A 2009-08-14 2009-08-14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57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66A KR101578847B1 (ko) 2009-08-14 2009-08-14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66A KR101578847B1 (ko) 2009-08-14 2009-08-14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76A KR20110017676A (ko) 2011-02-22
KR101578847B1 true KR101578847B1 (ko) 2015-12-18

Family

ID=4377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266A KR101578847B1 (ko) 2009-08-14 2009-08-14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6224A (zh) * 2011-07-06 2011-11-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短消息提醒方法、设备及通信系统
CN104219649B (zh) * 2013-05-30 2019-07-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普通终端触发物联网设备的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76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1552B2 (ja) ローミング加入者に対する不在着信通知
JP2005237008A (ja) Smsメッセージのフィルタリ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2080377A1 (en) Ip-based paging for dsds
CN103262562A (zh) 用于防止语音邮件转接的业务代理
WO1999056479A1 (en)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screen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CN105165038A (zh) 在无线通信网络中避免与位置更新同时发生的移动台终接呼叫处理产生的呼叫循环
US20070121904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ensuring arrival of voice information
KR101578847B1 (ko)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187361B1 (ko) 해외로밍 가입자의 위치등록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065560B1 (ko)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8431B1 (ko)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44288B1 (ko) 로밍 가입자 불법호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655460B1 (ko) 착신전환 방법
KR100958871B1 (ko) 해외 로밍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통보 방법 및시스템
KR102153219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제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착신된 메시지 및 착신 전화 번호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8235B1 (ko) 착신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75553B1 (ko) 국제 로밍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로밍 서비스 방법
KR10027037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KR20140135429A (ko)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및 방법
KR100738921B1 (ko)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549685B1 (ko) 발신번호 메모 기능을 구비한 비동기 imt-2000 시스템및 발신번호 메모 서비스 방법
KR2005007850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착신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100723701B1 (ko) 콜 개런티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627773B1 (ko)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