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773B1 -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773B1
KR100627773B1 KR1020050054553A KR20050054553A KR100627773B1 KR 100627773 B1 KR100627773 B1 KR 100627773B1 KR 1020050054553 A KR1020050054553 A KR 1020050054553A KR 20050054553 A KR20050054553 A KR 20050054553A KR 100627773 B1 KR100627773 B1 KR 10062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s
mobile communication
call
transmitting
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7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MS 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문자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SMS 메시지를 작성한 뒤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통화 요청 신호를 받아 전화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메시지 내용을 전달하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규 호가 요청되는 경우, 호 처리 블럭에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을 보고 SMS 호인지 판단하여 SMS 전용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이면 해당 No.7 링크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송신 무선 접속망; 상기 송신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받은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신 무선 접속망; 상기 송신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받은 상기 SMS 메시지를 ASS-M(Access Switching Subsystem-Mobile) 및 ASS-T(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s)를 이용해 상기 수신 무선 접속망을 경유하여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들에게 상기 SMS 메시지를 전달하는 SMS 센터를 포함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 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X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용량을 결정하는 ASS-M 프로세서를 경유하는 호 유형 중 SMS 호의 경로를 ASS-T로 변경하여 ASS-M의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운용자에 의한 SMS 호 송신 및 수신 시에 호의 분배 기능을 도입하여, 시스템 운용자가 시스템의 운용 환경에 따라서 ASS-M과 ASS-T의 부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부하, SMS, 이동통신 시스템, ASS-M, ASS-T

Description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xpanding Call Processing Capac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Reassigning SMS Call Rout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호 경로 변경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120: 송신 무선 접속망
130: 이동통신 교환국 140: 홈 위치 등록기
150: 방문자 위치 등록기 160: SMS 센터
170: 수신 무선 접속망 180: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232: 제 1 ASS-T 234: 제 1 ASS-M
236: 제 2 ASS-M 238: 제 2 ASS-T
본 발명은 SMS 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1X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호 처리 용량을 결정하는 ASS-M 프로세서를 경유하는 호 유형 중 SMS 호의 경로를 ASS-T 프로세서로 변경하여 ASS-M의 부하를 경감하여 시스템의 호 처리 용량을 증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들을 문자나 이미지 형태로 전송, 수신하며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와 사용자 간,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와 사용자 간, 일반 업체와 사용자 간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Short Message Service)가 이용된다.
SMS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유무와 상관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총 80 Byte의 짧은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양방향 단문 메시지 서비스로서, 이메일과 달리 송신자의 발송과 동시에 내용이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SMS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 간에 회신 번호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그 밖에도 문자의 형태로 은행 계정 조회, 송금, 환율 정보, 여행 정보, 교통 정보, 일기 예보, 여가 정보, TV 정보, 뉴스, 주식 정보, 광고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받아볼 수도 있다. 또한, 신용카드 회사들이 카드 사고를 막기 위해 거래 승인 내용을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전자 결제, 전자 상거래에까지 활용되기도 한다.
종래 1X 시스템의 호 처리 용량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는 이동통신 교환국 내의 ASS-M(Access Switching Subsystem-Mobile)의 메인 프로세서인 ASP-M(Access Switching Process-Mobile)이다. 이 프로세서는 중계기를 통해 연결되는 중계 호, 무선 접속망을 통해 연결되는 음성(Voice) 호 및 SMS 호를 처리하고 있다.
송신 무선 접속망으로부터 SMS 호의 발신 요청을 받은 이동통신 교환국은 기지국 채널 카드의 설정을 요청하고, 이후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메시지는 이동통신 교환국 내의 ASS-M으로 전달된다. ASS-M으로 SMS 메시지가 전송되면,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SMS 메시지의 착신 번호를 번역한 후 해당 SMS 센터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SMS 센터에서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 번호로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한 후, 해당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SMS 메시지를 전송하고, SMS 메시지를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교환국은 페이징(Paging)을 통하여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ASS-M으로 SMS 메시지를 전송한 후, 수신 무선 접속망을 통하여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1X 시스템에서는 ASS-M과 기지국 사이의 모든 신호 처리를 No.7 링크(Link)를 통한 에이-인터페이스 프로토콜(A-Interface Protocol)을 사용하고 있다. 음성 호의 경우는 통화로의 설정이 반드시 수반되지만 SMS 호의 경우는 무선 접속 망과 ASS-M 간에 통화로를 점유하지 않고 No.7 링크를 통한 에이-인터페이스 신호 처리로만 SMS 메시지가 전달된다.
한편, 이동통신 기지국(130)에는 ASS-M 외에 중계 호를 처리하기 위한 ASS-T(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s)가 존재한다. ASS-T의 부하는 통상적으로 매우 낮다.
이와 같은 종래의 1X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서 중에 가장 높은 부하율을 보이는 곳이 ASS-M이다. 따라서, 이곳의 부하를 ASS-T로 우회하여 시스템 전체의 용량을 증대시킬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X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호 처리 용량을 결정하는 ASS-M 프로세서를 경유하는 호 유형 중 SMS 호의 경로를 ASS-T 프로세서로 변경하여 ASS-M의 부하를 경감하여 시스템의 호 처리 용량을 증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문자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SMS 메시지를 작성한 뒤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통화 요청 신호를 받아 전화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메시지 내용을 전달하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규 호가 요청되는 경우, 호 처리 블럭에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을 보고 SMS 호인지 판단하여 SMS 전용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이면 해당 No.7 링크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송신 무선 접속망; 상기 송신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받은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신 무선 접속망; 상기 송신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받은 상기 SMS 메시지를 ASS-M(Access Switching Subsystem-Mobile) 및 ASS-T(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s)를 이용해 상기 수신 무선 접속망을 경유하여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들에게 상기 SMS 메시지를 전달하는 SMS 센터를 포함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호의 경로 변경을 통하여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신규 호의 연결을 송신 무선 접속망에 요청하고, 상기 송신 무선 접속망의 호 처리 블럭에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을 보고 SMS 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규 호가 SMS 호이면,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호 분배 기능에 따라 SMS 신호 링크로 상기 SMS 메시지를 보낼 것인지, 음성 신호 링크로 보낼 것인지 및 SMS 신호 링크로 보내는 경우, SMS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SMS 신호 링크로 호 분배가 이루어지고, 상기 SMS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이면, 상기 SMS 신호 링크를 통해 상기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의 ASS-T(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s)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SMS 신호 링크를 통해 올라온 상기 SMS 메시지가 상기 ASS-T에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이 착신 식별 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식별 번호의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고 있는 SMS 센터로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SMS 센터가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의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한 후,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상기 호 분배 기능에 따라 호 분배 경로를 판단하여, ASS-M(Access Switching Subsystem-Mobile) 및 상기 ASS-T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 링크 및 상기 SMS 신호 링크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MS 호 경로 변경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송신 무선 접속망(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HLR(140), VLR(150), SMS 센터(160), 수신 무선 접속망(170),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 등을 포함한다.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문자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SMS 메시지를 작성한 뒤 이동통신망으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송신 무선 접속망(120)은 송신 기지국 전송기(BTS: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122), 송신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24) 및 중계기(Enhancer: 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등록자 정보 및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작성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송신 무선 접속망(120)은 이동통신 교환국(130)과 No.7 링크(Link)를 통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신규 호가 요청되는 경우, 호 처리 블럭에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을 보고 SMS 호인지 판단하여 SMS 전용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이면 해당 No.7 링크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호의 연결을 수행한다.
만약, SMS 전용 신호 링크가 비가용 상태이면, 자동 또는 운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기존의 신호 링크를 사용하여 SMS 메시지를 전달할 수 도 있다.
수신 무선 접속망(170)도 수신 기지국 전송기(172), 수신 기지국 제어기(174) 및 중계기 등으로 구성되어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위치 정보 및 등록자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며, 이동통신 교환국(130)을 통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작성된 SMS 메시지를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전송한다.
송신 기지국 전송기(12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 및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 기지국 전송기(172)는 자신의 셀 영역에 존재하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60)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의 통화 요청 및 SMS 메시지를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전송한다.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122, 17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미도시)로부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122, 172)가 위치한 위도와 경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122, 17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로 전달한다.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122, 17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등록은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송신 또는 수신 기지국 전송기(122, 172)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22, 172)가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위치 등록은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가 이동통신 교환국(130) 간을 이동할 때, 그리고,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124, 174)는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124, 174)는 위치 등록된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 송신 기지국 제어기(124)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송신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해 전달된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하며, 반대로 수신 기지국 제어기(174)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전달된 SMS 메시지를 수신 기지국 전송기(172)를 통해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송신 및 수신 무선 접속망(120, 170)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이 있으 며, 송신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 전달받은 SMS 메시지를 SMS 센터(160)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다시 SMS 센터(160)로부터 SMS 메시지를 전달 받아 수신 무선 접속망(17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송신 및 수신 무선 접속망(120, 170)을 통하여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이동통신 교환국(130) 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칭함)(150)에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40)로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HLR(140)은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단말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단말기 고유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HLR(140)은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가 위치한 송신 및 수신 무선 접속망(120, 170)과 이동통신 교환국(130)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에 대한 과금 자료 수집 기능도 갖는다.
VLR(150)은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가 위치 등록을 실행할 때,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HLR(140)로 통보를 하며, HLR(140)로부터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단말 식별 번호,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서비스 정보 등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송신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180)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MS 센터(16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SMS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SMS 센터(16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동통신 가입자가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문자를 보낼 수도 있다. 만일 곧바로 송신자가 전송 의뢰한 문자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로 전달되지 못한 경우에는, 송신자가 지정한 시간 또는 수신자가 수신 가능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SMS 센터(160)에 저장된다. 송신자가 전송한 문자를 수신자가 수신 확인을 하면 SMS 센터(160)에 의하여 삭제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혹은 송신자가 지정한 유효 시간까지 전달되지 못한 문자는 삭제된다.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통화 요청 신호를 받아 전화 통화를 수행하고, SMS 센터(160)로부터의 SMS 메시지를 수신 무선 접속망(170)을 통해 전달받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메시지 내용을 전달하는 단말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제 1 ASS- M(Access Switching Subsystem-Mobile)(232), 제 1 ASS-T(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s)(234), 제 2 ASS-M(236) 및 제 2 ASS-T(2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신규 호의 요청이 올라오면 송신 무선 접속망(120)에서 서비스 옵션을 판단하여 SMS 호인 경우, 송신 무선 접속망(120)을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0)의 제 1 ASS-T(232)로 전송한다.
제 1 및 제 2 ASS-T(232, 238)에서 SMS 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중계용 보드 일부를 송신 및 수신 무선 접속망(120, 170) 정합용 보드로 용도를 변경한다.
또한, 송신 및 수신 무선 접속망(120, 170)과 제 1 및 제 2 ASS-T(232, 238)사이에 SMS 메시지 전송을 위한 신호점을 생성하는데, 이때, SMS 메시지용임을 설정하고, 제 1 및 제 2 ASS-T(232, 238)에서는 다수의 송신 및 수신 무선 접속망(120, 170)과 연결되므로 송신 및 수신 무선 접속망(120, 170)의 번호를 포함한다.
만약, SMS 전용 신호 링크의 SLC가 비가용 상태이면 다른 신호 링크, 즉, 음성 신호 링크를 통해 제 1 ASS-M(234)으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SMS 메시지를 전송받은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착신 식별 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번호의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를 수용하고 있는 SMS 센터(160)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SMS 메시지의 발신을 수행한다.
SMS 메시지를 수신한 SMS 센터(16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의 HLR(140)을 통해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위치를 조회한 후,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운용자가 지정한 호 분배 기능에 의해 호를 분배하여 제 2 ASS-M(236)이나 제 2 ASS-T(238)를 통해 수신 무선 접속망(170)에 페이징(Paging)을 실시한다.
여기서 호의 분배는 SMS 발신의 경우, 제 1 ASS-T(232)와 제 1 ASS-M(234)으로 50 퍼센트씩 호 분배하게 운용자가 설정한다면, 첫 번째 호는 제 1 ASS-M(234)으로 연결된 신호 링크를 통하여 메시지를 보내고 두 번째 호는 제 1 ASS-T(232)와 연결된 신호 링크를 통하여 메시지를 보내서 호 처리를 하게 되면 SMS 발신 호에 대해서 제 1 ASS-T(232)와 제 1 ASS-M(234)이 50 퍼센트씩 호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SMS 수신의 경우는 50 퍼센트씩 호 처리를 할 수 있게 설정된 경우, SMS 센터(160)로부터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먼저 제 2 ASS-T(238)의 그룹으로 페이징을 요청한다. SMS 용 신호점을 가지고 있는 모든 제 2 ASS-T(238)는 자신과 연결된 무선 접속망으로 기존 방식과 동일한 페이징 방법을 가지고 페이징을 하게 한다.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가 페이징에 대한 확인 응답(Acknowledgment) 메시지를 올리면 확인 응답 메시지가 올라온 수신 무선 접속망(170)으로 SMS 메시지를 전달하여 SMS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지게 한다.
다음 SMS 메시지가 전송되면 제 2 ASS-M(236)의 그룹으로 SMS 메시지를 전송하여 현재와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징을 실시하여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확인 응답 메시지가 올라오면 해당 수신 무선 접속망(170)으로 SMS 메시지를 전달하여 SMS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ASS-M(236)으로 호 분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음성 신호 링크를 통해 SMS 메시지가 전송되고, 제 2 ASS-T(238)로 호 분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SMS 전용 링크의 SLC를 통해 수신 무선 접속망(170)으로 SMS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호 경로 변경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신규 호의 연결을 송신 무선 접속망(120)에 요청하면(S310), 송신 무선 접속망(120)의 호 처리 블럭에서 서비스 옵션을 보고 SMS 호인지 판단한다(S320).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올라온 신규 호가 SMS 호가 아닌 경우에는 음성 신호 링크를 통해 음성 호를 연결한다(S354).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올라온 신규 호가 SMS 호인 경우에는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호 분배에 따라 SMS 신호 링크로 SMS 메시지를 보낼 것인지, 음성 신호 링크로 보낼 것인지 판단하고(S330), SMS 신호 링크로 보내는 경우, SMS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인지 판단한다(S340).
SMS 신호 링크로 호 분배가 이루어지고 SMS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이면, SMS 신호 링크를 통해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S350). 반면에, 음성 신호 링크로 호 분배가 이루어지거나 SMS 신호 링크가 비가용 상태인 경우에는 음성 신호 링크를 통해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S352).
SMS 신호 링크를 통해 올라온 SMS 메시지는 제 1 ASS-T(232)에 전송되고, 이 동통신 교환국(130)에서 착신 식별 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식별 번호의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를 수용하고 있는 SMS 센터(160)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360).
또한, 음성 신호 링크를 통해 올라온 SMS 메시지는 제 1 ASS-M(234)에 전송되고,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교환국(130)에서 착신 식별 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식별 번호의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를 수용하고 있는 SMS 센터(160)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362).
SMS 메시지를 전송받은 SMS 센터(160)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의 HLR(140)을 통해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의 위치를 조회한 후,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S370, S372).
SMS 메시지를 전송받은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호 분배에 따라 호 분배 경로를 판단하여(S380), 제 2 ASS-M(236) 및 제 2 ASS-T(238)를 통해 음성 신호 링크 및 SMS 신호 링크를 경유 하여(S382, S384),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80)에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39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X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용량을 결정하는 ASS-M 프로세서를 경유하는 호 유형 중 SMS 호의 경로를 ASS-T로 변경하여 ASS-M의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운용자에 의한 SMS 호 송신 및 수신 시에 호의 분배 기능을 도입하여, 시스템 운용자가 시스템의 운용 환경에 따라서 ASS-M과 ASS-T의 부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9)

  1.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문자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SMS 메시지를 작성한 뒤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통화 요청 신호를 받아 전화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메시지 내용을 전달하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규 호가 요청되는 경우, 호 처리 블럭에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을 보고 SMS 호인지 판단하여 SMS 전용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이면 해당 No.7 링크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송신 무선 접속망;
    상기 송신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받은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신 무선 접속망;
    상기 송신 무선 접속망으로 전송받은 상기 SMS 메시지를 ASS-M(Access Switching Subsystem-Mobile) 및 ASS-T(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s)를 이용해 상기 수신 무선 접속망을 경유하여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들에게 상기 SMS 메시지를 전달하는 SMS 센터
    를 포함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은 음성 호 및 SMS 호의 전송을 처리하는 ASS-M 및 중계 호 및 SMS 호의 전송을 처리하는 AS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무선 접속망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자가 지정한 호 분배 기능에 따라 상기 ASS-M 및 상기 ASS-T로 호를 분배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 분배 기능은 상기 운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 환경에 따라서 상기 ASS-M 및 상기 ASS-T에 걸리는 부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무선 접속망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 사이에는 상기 SMS 메시지 전송을 위한 신호 링크(Link)의 신호점을 ASS-T와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무선 접속망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을 실행할 때, 상기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통보를 하며,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단말 식별 번호, 상기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상기 서비스 정보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상기 송신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및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S 호 경로 변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9.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호의 경로 변경을 통하여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신규 호의 연결을 송신 무선 접속망에 요청하고, 상기 송신 무선 접속망의 호 처리 블럭에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을 보고 SMS 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규 호가 SMS 호이면,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호 분배 기능에 따라 SMS 신호 링크로 상기 SMS 메시지를 보낼 것인지, 음성 신호 링크로 보낼 것인지 및 SMS 신호 링크로 보내는 경우, SMS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SMS 신호 링크로 호 분배가 이루어지고, 상기 SMS 신호 링크가 가용 상태이면, 상기 SMS 신호 링크를 통해 상기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의 ASS-T(Access Switching Subsystem-Trunks)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SMS 신호 링크를 통해 올라온 상기 SMS 메시지가 상기 ASS-T에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이 착신 식별 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식별 번호의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고 있는 SMS 센터로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SMS 센터가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의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한 후,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상기 호 분배 기능에 따라 호 분배 경로를 판단하여, ASS-M(Access Switching Subsystem-Mobile) 및 상기 ASS-T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 링크 및 상기 SMS 신호 링크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MS 호 경로 변경 방법.
KR1020050054553A 2005-06-23 2005-06-23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553A KR100627773B1 (ko) 2005-06-23 2005-06-23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553A KR100627773B1 (ko) 2005-06-23 2005-06-23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773B1 true KR100627773B1 (ko) 2006-09-25

Family

ID=3762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553A KR100627773B1 (ko) 2005-06-23 2005-06-23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7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3942B2 (en) Network-based system and method for global roaming
KR100691819B1 (ko) 국제 로밍시 호 설정 방법
KR100685288B1 (ko) 일회용 전화번호의 부여 및 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73B1 (ko) Sms호의 경로 변경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용량 증대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KR100839538B1 (ko) 콜센터와 연동되어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EP1619907B1 (en) Method for handling service reques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766598B1 (ko)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12179B1 (ko) 특정 코드를 활용한 콜렉트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70028107A (ko)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KR100521004B1 (ko) 번호 이동성에 따른 단문 서비스의 연락 번호 전달 방법및 시스템
KR20040039659A (ko) Sms를 이용한 은행번호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8232B1 (ko)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연계한 그룹 단문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754447B1 (ko) 보호자 동의를 전제로 한 콜렉트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8910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25169B1 (ko) 인터넷폰 수신 거부 서비스 방법
CN100403817C (zh) 数据消息转发方法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58871B1 (ko) 해외 로밍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통보 방법 및시스템
KR20090092134A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81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인식 기능을 이용해서 부가서비스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10300B1 (ko)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0568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50122686A (ko) 자동차 소유주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및 방법
KR20070073106A (ko) 리모컨 서비스를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