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742B1 -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742B1
KR101578742B1 KR1020150097169A KR20150097169A KR101578742B1 KR 101578742 B1 KR101578742 B1 KR 101578742B1 KR 1020150097169 A KR1020150097169 A KR 1020150097169A KR 20150097169 A KR20150097169 A KR 20150097169A KR 101578742 B1 KR101578742 B1 KR 10157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frame body
end portion
skids
observa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윤
김안수
이재구
이경화
정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9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니질(沙泥質)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도 각종 해양관측장비의 무게로 인한 침하를 최대한 방지하여 관측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고, 견인되는 경우에도 해저면을 따라 안정적이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중 일부가 해저면에 박히거나 암반 등에 걸리면서 진행이 어려운 경우 순간적으로 방향을 변환하거나 들어 올려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해양관측장비를 마운팅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하부 좌편과 우편에 각각 설치되고, 넓고 납작한 평판부와 그 선단부와 후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꺾인 경사부로 이루어져 해저면에 빠지지 않게 상기 프레임본체를 지지하며 이동이 필요한 경우 해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 한 쌍의 스키드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드 하면에는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순간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OCEAN BOTTOM LAYER SUPPORTING APPARATUS FOR OCEAN OBSERVATION EQUIPMENTS WITH SKID}
본 발명은 해양관측장비를 해저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니질(沙泥質)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도 각종 해양관측장비의 무게로 인한 침하를 최대한 방지하여 관측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고, 견인되는 경우에도 해저면을 따라 안정적이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중 일부가 해저면에 박히거나 암반 등에 걸리면서 진행이 어려운 경우 순간적으로 방향을 변환하거나 들어 올려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관측장비는 해수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물론 해류, 파랑(波浪) 등의 해양물리학적 현상, 해저지질, 해양기상 및 해양생물의 관측을 수행하는 시설로서, 시료채집이나 수감부(受感部)에 의한 현장측정 등의 다양한 관측방식과 관측탑이나 계류부표(繫留浮標), 표류부표(漂流浮標) 등의 다양한 설치형태를 가진다.
이 가운데 시료채집은 정기적으로 해당 지역의 해수를 일일이 채수하여 실험실에서 수질을 분석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수질 판단 작업은 해당지역마다 개별적으로 수행되므로 정보자료의 공유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수질 판단에 소요되는 막대한 인력과 시간이 중복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현장관측은 측기를 탑재하는 플랫폼으로 관측탑, 관측선, 잠수조사선, 항공기, 인공위성, 표류부상체나 계류부상체 등 부상체시스템을 이용한 것을 말하며, 크게 나누어 관측탑, 계류부상체와 같이 어떤 지점에서 장기간에 걸쳐 자료를 모으는 것과, 관측선, 잠수조사선 등과 같이 넓은 범위에서 단시간에 자료를 모으는 것이 있다.
이 중, 해저에서 장시간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지상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실험실로 옮겨와 자료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관측장비의 경우 해저에 설치된 후 관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지지가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가 사용되어야 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14647호(2014.09.29)에는 수중 암반 고정용 해양관측장비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해양관측 프레임은 해양의 기후 조건을 관측하기 위해 수중에 설치하는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고정볼트를 표면에 구비한 상태에서 앵커볼트로 수중의 암반에 고정설치하는 수개의 고정판과, 상기 수개의 고정판에 설치되며 길이가 가변 조정되는 상측지지대와 하측지지대로 이루어진 각각의 지지부재와, 상기 수개의 지지부재 상단이 힌지 연결되는 하나의 홀더와, 해양관측장비가 상기 홀더의 중앙에 뚫린 거치홀을 통해 장착되도록 홀더 저면에 설치하는 거치관과, 또 다른 해양관측장비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거치관의 저면으로 결합되는 하부 거치관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관측 이후에는 고정판에 표시봉을 연결해 두므로 해수면 위로 표시 부이가 없기 때문에 훼손이나 분실 우려가 적고 어선의 조업작업시 재산적인 피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매번 해양관측장비 설치 시 동일한 지점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어 해양관측 작업에 매우 용이한 이점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14647호를 통해 개시된 해양관측장비 프레임의 경우 수중 암반에 고정되는 데는 적합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 연안의 경우와 같이 대부분 사니질(沙泥質)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바른자세를 유지하면서 해양관측장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적합한 구성이 아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해양관측장비 프레임의 경우 선상 견인에 의해 해저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14647호(2014.09.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니질(沙泥質)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도 각종 해양관측장비의 무게로 인한 침하를 최대한 방지하여 관측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고, 견인되는 경우에도 해저면을 따라 안정적이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중 일부가 해저면에 박히거나 암반 등에 걸리면서 진행이 어려운 경우 순간적으로 방향을 변환하거나 들어 올려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는, 해양관측장비를 마운팅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하부 좌편과 우편에 각각 설치되고, 넓고 납작한 평판부와 그 선단부와 후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꺾인 경사부로 이루어져 해저면에 빠지지 않게 상기 프레임본체를 지지하며 이동이 필요한 경우 해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 한 쌍의 스키드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드 하면에는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순간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본체는 베이스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더 좁은 범위로 모아지는 복수의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양관측장비를 마운팅하는 마운트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키드 중 좌편 스키드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와, 우편 스키드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군집을 이루면서 해저면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이들 각 군집의 분사노즐은 다른 군집의 분사노즐과 독립적으로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키드 중 좌편 스키드에 설치된 분사노즐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고, 우편 스키드에 설치된 분사노즐은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를 상승 변위 및 회전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키드 하면에는 상기 해저면에 대한 상기 스키드의 직접적인 마찰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다수의 교환식 금속편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키드에는 상기 스키드를 해저면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모터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해저면에 인입되는 나선형 앵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키드 중 좌편 스키드의 선단부나 후단부에는 제1GPS 수신기가 설치되고, 그 대각방향에 위치한 우편 스키드의 후단부나 선단부에는 제1GPS 수신기가 설치되어 각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변위각 및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는 사니질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면서 해양관측장비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해상 견인선에 의해 견인되는 경우에도 해저면을 따라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면을 따라 이동 중 일부가 해저면에 박히거나 암반 등에 걸리면서 진행이 어려운 경우 순간적으로 방향을 변환하거나 들어 올려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키드 하면에 구비된 다수의 교환식 금속편에 의해 해저면에 대한 스키드의 마찰접촉 및 그로 인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GPS에 의해 변위각 및 이동거리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에서 분사노즐에 의한 회전변위를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는 사니질(沙泥質)로 이루어져 비교적 연약한 지반인 해저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면서 해양관측장비(S)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해양관측장비(S)를 선택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본체(110)와,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좌편과 우편에 각각 설치되어 해저면에 빠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한 쌍의 스키드(120)와, 상기 스키드(120)를 해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본체(110)는 구조적으로 견고한 피라미드 형태로 전체 형태를 이루면서 해양관측장비(S)를 안정적으로 마운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상기 프레임본체(110)는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하는 베이스프레임(111)과,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더 좁은 범위로 모아지는 복수의 경사프레임(112)과, 상기 경사프레임(11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양관측장비(S)를 마운팅하는 마운트프레임(113)으로 조합된다. 상기 마운트프레임(113) 중앙에는 각 종의 해양관측장비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공(11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장착 가능한 해양관측장비에는 대표적으로 유속계, 수온계, 조위계, 탁도계 등이 있다. 이들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마운트프레임(113)의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스키드(120)는 프레임본체(110)의 좌편과 우편에 각각 설치되며 넓고 납작한 평판부를 갖고 그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이동시 걸리지 않도록 상향 경사지게 꺾인 경사부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의 스키드(120)는 사니질로 이루어진 해저면에 쉽게 빠지지 않고 프레임본체(110) 및 그에 장착되는 해양관측장비(S)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해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월하게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키드(120)의 하면에는 그 선단부와 후단부 영역에 각각 군집을 이루면서 해저면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는 다수의 분사노즐(125)이 설치된다. 이들 각 군집에 속한 분사노즐(125)은 다른 군집의 분사노즐(125)과 독립적으로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면에는 편의상 가압펌프(161)가 하나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좌편 스키드(120)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 영역, 우편 스키드(120)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 영역에 각각 고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4개의 가압펌프(161)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혹은 복수의 가압펌프(161)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각 영역으로 향하는 호스(163,16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후자의 방법을 감안하여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스키드(120) 중 좌편 스키드(120)에 설치된 분사노즐(125)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고, 우편 스키드(120)에 설치된 분사노즐(125)은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앞서 언급된 가압펌프(161)는 프레임본체(110)에 설치된 파워팩(170)을 통해 동작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같이 좌편 스키드(120)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와, 우편 스키드(120)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다수의 분사노즐(125)들이 독립된 형태로 군집을 이루면서 해저면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스키드(120)의 일부가 예기치 않게 해저면에 박히거나 암반 등에 걸리면서 더 이상의 작업 진행이 어려운 상황에서 고압수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를 순간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미세하게 방향을 변환하거나 들어 올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도 4a와 같이 좌편 스키드(120) 선단부 영역(NA)과 우편 스키드(120) 후단부 영역(NB)에 설치된 분사노즐(125)들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하였을 경우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가 우편으로 회전 변위되며, 도 4b와 같이 우편 스키드(120) 선단부 영역(NC)과 좌편 스키드(120) 후단부 영역(ND)에 설치된 분사노즐(125)들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하였을 경우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가 좌편으로 회전 변위된다. 또한, 좌편 스키드(120) 선단부 영역(NA)과 후단부 영역(ND)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의 분사노즐(125)들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하거나, 우편 스키드(120) 선단부 영역(NC)과 후단부 영역(NB)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의 분사노즐(125)들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가 회전하지 않고 한쪽으로 들리면서 직선 변위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변위 중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25) 외에도 상기 스키드(120)에는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고리(122)가 구비되어 해상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를 완전히 인양하거나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키드(120)의 하면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해저면에 대한 스키드(120)의 직접적인 마찰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다수의 교환식 금속편(121)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편(121)은 도시된 것처럼 원판형의 것으로 구비되거나 사각판형의 것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같이 금속편(121)이 스키드(120)에 부착되는 구성에 따르면 해저면의 마찰접촉으로 손상되거나 손실된 금속편(121)만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보충하면 되기 때문에 스키드(12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키드(120)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센서 한 쌍이 설치된다. 이같은 위치센서로는 수중에서도 신호를 받을 수 있는 GPS 수신기면 적당하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한 쌍의 GPS 수신기가 각자의 위치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른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의 이동거리와 변위각을 쉽게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에 대한 예정된 작업구간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파악하여 다시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좌편 스키드(120)의 선단부와 우편 스키드(120)의 후단부, 또는 좌편 스키드(120)의 후단부와 우편 스키드(120)의 선단부에 각각 제1GPS 수신기(180a)와 제2GPS 수신기(180b)가 설치되어 서로 대각방향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GPS 수신기(180a,180b)는 세 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의 이동거리 및 변위각을 산출하는데 두 지점의 위치정보만 알면 충분하기 때문에 설치비용 차원에서 두 개가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개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통해 변위거리는 산출할 수 있을지라도 정확한 변위각을 산출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적어도 두 개의 GPS 수신기(180a,180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한 쌍의 스키드(120)에 설치되며 모터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해저면에 인입되는 나선형 앵커(131)를 포함한다. 상기 나선형 앵커(131)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 보다는 더 긴 것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및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를 해저면에 고정할 때에는 상기 나선형 앵커(131)를 하강하고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를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나선형 앵커(131)를 상승시켜 상기 스키드(120)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30)의 나선형 앵커(131)는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긴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프레임본체 111 : 베이스프레임
112 : 경사프레임 113 : 마운트프레임
120 : 스키드 121 : 금속편
125 : 분사노즐 130 : 고정부재
131 : 나선형 앵커 180a, 180b : GPS 수신기

Claims (7)

  1. 사니질로 이루어진 해저면에서 해양관측장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로서,
    해양관측장비를 마운팅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하부 좌편과 우편에 각각 설치되고, 넓고 납작한 평판부와 그 선단부와 후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꺾인 경사부로 이루어져 해저면에 빠지지 않게 상기 프레임본체를 지지하며 이동이 필요한 경우 해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 한 쌍의 스키드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본체는 베이스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더 좁은 범위로 모아지는 복수의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양관측장비를 마운팅하는 마운트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스키드 하면에는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스키드를 순간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드 중 좌편 스키드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와, 우편 스키드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군집을 이루면서 해저면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 하면에는 상기 해저면에 대한 상기 스키드의 직접적인 마찰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원판형의 교환식 금속편 다수개가 부착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드에는 상기 스키드를 해저면에 선택적으로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재에는 모터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해저면에 인입되는 나선형 앵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에는 인양용 로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키드 중 좌편 스키드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와, 우편 스키드 하면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된 각 군집의 분사노즐은 다른 군집의 분사노즐과 독립적으로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키드 중 좌편 스키드에 설치된 분사노즐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고, 우편 스키드에 설치된 분사노즐은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키드 중 좌편 스키드의 선단부나 후단부에는 제1GPS 수신기가 설치되고, 그 대각방향에 위치한 우편 스키드의 후단부나 선단부에는 제1GPS 수신기가 설치되어 각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변위각 및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KR1020150097169A 2015-07-08 2015-07-08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KR10157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169A KR101578742B1 (ko) 2015-07-08 2015-07-08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169A KR101578742B1 (ko) 2015-07-08 2015-07-08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742B1 true KR101578742B1 (ko) 2015-12-18

Family

ID=5508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169A KR101578742B1 (ko) 2015-07-08 2015-07-08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74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8690A1 (zh) * 2016-01-31 2017-08-03 大连理工大学 非金属材质的大型海底测量平台及其布放方法
CN108088703A (zh) * 2017-12-06 2018-05-29 赣州汇桔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湖泊污水检测收集设备
CN110617851A (zh) * 2019-07-25 2019-12-27 滨州学院 移动、携带方便的海洋数据采集装置
KR20200010703A (ko) * 2018-07-20 2020-01-31 평원개발(주) 스키드형 견인식 경사 측정기
CN115973382A (zh) * 2023-03-17 2023-04-18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海床基及回收方法
CN116399648A (zh) * 2023-03-29 2023-07-07 石家庄地震监测中心站 一种管中管地下流体分层取样装置
CN116427930A (zh) * 2023-06-13 2023-07-14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滑橇板式深海采矿车接地机构及其深海采矿车
CN116605386A (zh) * 2023-07-17 2023-08-18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一种水下移动式观测平台及其使用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8690A1 (zh) * 2016-01-31 2017-08-03 大连理工大学 非金属材质的大型海底测量平台及其布放方法
CN108088703A (zh) * 2017-12-06 2018-05-29 赣州汇桔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湖泊污水检测收集设备
KR20200010703A (ko) * 2018-07-20 2020-01-31 평원개발(주) 스키드형 견인식 경사 측정기
KR102126859B1 (ko) 2018-07-20 2020-06-26 평원개발(주) 스키드형 견인식 경사 측정기
CN110617851A (zh) * 2019-07-25 2019-12-27 滨州学院 移动、携带方便的海洋数据采集装置
CN110617851B (zh) * 2019-07-25 2021-05-18 滨州学院 移动、携带方便的海洋数据采集装置
CN115973382A (zh) * 2023-03-17 2023-04-18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海床基及回收方法
CN116399648A (zh) * 2023-03-29 2023-07-07 石家庄地震监测中心站 一种管中管地下流体分层取样装置
CN116399648B (zh) * 2023-03-29 2023-09-29 石家庄地震监测中心站 一种管中管地下流体分层取样装置
CN116427930A (zh) * 2023-06-13 2023-07-14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滑橇板式深海采矿车接地机构及其深海采矿车
CN116427930B (zh) * 2023-06-13 2023-09-01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滑橇板式深海采矿车接地机构及其深海采矿车
CN116605386A (zh) * 2023-07-17 2023-08-18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一种水下移动式观测平台及其使用方法
CN116605386B (zh) * 2023-07-17 2023-09-19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一种水下移动式观测平台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742B1 (ko) 스키드를 구비한 해양관측장비용 해저면 지지장치
US97766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atic and dynamic positioning or controlling motion of marine structure
US7815398B2 (en) Methods of positioning an elevating support vessel
US7575397B2 (en) Floating platform with non-uniformly distributed load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U2006335990B2 (en) Underwater equipment recovery
US20080237175A1 (en) Extension assemblies and methods thereof
US20100067989A1 (en) Vessel for transporting wind turbines and methods thereof
AU2014279255B2 (en) Underwater mobile body
KR20130114514A (ko) 해양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정적 및 동적 포지셔닝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43365A1 (en) Methods of holding station and mooring and elevating support vessel
WO2010093259A2 (en) Offshore wind turbine
CA292044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veying
CN210036712U (zh) 一种运动式深海沉底观测装置
WO2010026555A2 (en) A vessel for transporting wind turbines and methods thereof
CN111121730A (zh) 适用于浅水粘性海床的底边界层原位观测系统与其布设方法
CA1319828C (en)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buoyant body on a sea bottom
KR20130143190A (ko) 해상 타워 접안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타워
CA2909274A1 (en) Tracking buoy
KR101375362B1 (ko) 해저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정적 및 동적 포지셔닝 시스템 및 방법
US8303212B2 (en) Boom mooring system
NO20121310A1 (no) Anordning og framgangsmåte for sammenkopling av et tankskip og en flytende laste- eller losseterminal
CN1332226C (zh) 一种深海潜标测量系统
CN114348180B (zh) 一种基于深远海无人潜标的目标落水辐射声测量系统
CN207248169U (zh) 坐底式海洋水文测流系统操作装置
KR100855253B1 (ko) 세장형 구조물의 해저면 직진 설치/회수용 썰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