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760B1 -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 - Google Patents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760B1
KR101577760B1 KR1020130100672A KR20130100672A KR101577760B1 KR 101577760 B1 KR101577760 B1 KR 101577760B1 KR 1020130100672 A KR1020130100672 A KR 1020130100672A KR 20130100672 A KR20130100672 A KR 20130100672A KR 101577760 B1 KR101577760 B1 KR 10157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luid
mixing
reactor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580A (ko
Inventor
안익진
노경호
박찬현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7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70Spray-mixers, e.g. for mixing intersecting sheets of material
    • B01F25/72Spray-mixers, e.g. for mixing intersecting sheets of material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2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with two or more fluidised beds, e.g. reactor and regeneration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노즐 및 그와 동축으로 형성된 제2노즐을 통해 각각 분사된 제1 및 제2유체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충돌하여 사전 혼합된 후 혼합 챔버로 분사되고, 상기 사전 혼합된 혼합물이 상기 혼합 챔버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제3노즐부를 통해 분사된 유체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충돌하여 최종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유체 간의 혼합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부반응을 감소시켜 반응 수율과 반응 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재사용이 용이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MIXING REACTOR FOR HETEROGENEOUS FLUIDS USING HIGH-SPEED EJECTING}
본 발명은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 유체를 효과적으로 상호 충돌시킴으로써, 유체간의 혼합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부반응을 감소시켜 반응 수율과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종 유체를 혼합시키거나 반응시키기 위해 연속식 교반 반응기와 같은 반응기 내부에 스파저(sparger) 또는 분산기(disperser)를 이용해 왔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혼합 또는 반응시 유체의 동적 수준이 미약하여 혼합 균일성이 낮고, 생성물과 반응물의 재접촉에 의한 부반응이 생성되는 반응 메커니즘을 수반하는 경우 반응속도가 감소하거나 생성물의 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반응에 의한 부산물이 고체 또는 고점도 액체인 경우, 반응기 내부에 부산물이 고착되어 반응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고착된 부산물을 세척하기 위한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세척시 반응기의 운전 중단은 생산 효율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균일성, 반응속도 및 생성물의 수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재사용이 용이한 혼합반응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종 유체를 효과적으로 상호 충돌시킴으로써, 유체간의 혼합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부반응을 감소시켜 반응 수율과 반응 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재사용이 용이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에 있어서, 제1유입부; 제1유입부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1노즐; 상기 제1노즐과 동축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폐쇄된 고리형 하우징; 상기 제1노즐과 상기 고리형 하우징 사이에 구비된 유체 챔버; 상기 고리형 하우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제2유입부; 상기 고리형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체 챔버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매개부; 상기 유체 챔버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2노즐; 상기 제2노즐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혼합 챔버; 및 상기 혼합 챔버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제3노즐부를 포함하는,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부는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형성된 2이상의 배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부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배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형성된 2 이상의 유동 덕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1노즐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이 축소되는 단면 축소부, 및 상기 단면 축소부의 하류와 연속하여 동축으로 연결된 단면 일정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면 축소부는 상기 제1노즐의 최말단 단면의 가상 연장면까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노즐부는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형성된 2 이상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노즐부는 상기 혼합 챔버의 축에 대해 상호 대칭인 2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의 하류측 축이 이루는 각도가 75°~120°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의 하류측 축이 이루는 각도가 90°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의 축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노즐 및 그와 동축으로 형성된 제2노즐을 통해 각각 분사된 제1 및 제2유체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충돌하여 사전 혼합된 후 혼합 챔버로 분사되고, 상기 사전 혼합된 혼합물이 상기 혼합 챔버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제3노즐부를 통해 분사된 유체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충돌하여 최종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이종 유체 간의 혼합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부반응을 감소시켜 반응 수율과 반응 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재사용이 용이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속 분사 반응혼합기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속 분사 반응혼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노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속 분사 반응혼합기의 축 방향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에 있어서, 제1유입부(110); 제1유입부(110)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1노즐(120); 상기 제1노즐(120)과 동축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폐쇄된 고리형 하우징(130); 상기 제1노즐(120)과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 사이에 구비된 유체 챔버(140);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제2유입부(150);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체 챔버(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매개부(160); 상기 유체 챔버(140)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2노즐(170); 상기 제2노즐(170)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혼합 챔버(180); 및 상기 혼합 챔버(18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제3노즐부(190)를 포함하는,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1유입부(110)는 외부로부터 제1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제1노즐(120)의 상류까지 이동하는 경로이다.
상기 제1유입부(110)는 원통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120)은 상기 제1유입부(110)의 하류에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제1유체를 상기 혼합 챔버(18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노즐(120)은 직경이 일정한 단일의 원통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노즐(120)의 직경은 상기 제1유입부(11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부(110)로부터 상기 제1노즐(120)로의 직경의 감소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고, 직경이 불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제1노즐(120)은 상기 제1유입부(110)의 하류에서 실질적으로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오리피스"는 관 또는 용기를 폐쇄시키는 벽의 일부에 원형으로 구멍이 뚫린 형상의 유체의 유출구를 의미한다.
동일한 높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유속은 단면적이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증가하고 단면적인 넓은 통로를 흐를 때 감소하므로, 상기 제1노즐(120)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유체의 유속은 증가하여 상기 제1노즐(120)의 하류에서 고속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노즐(120)의 하류 말단 영역에는 상기 제1노즐(120)의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축되는 외경 감축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노즐(120)의 최말단에서 외경과 내경이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은 상기 제1노즐(120)과 동축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양단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의 외주면은 외부로부터 제2유체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경로인 상기 제2유입부(150)와 연결되고,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의 내주면은 상기 제2유체가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으로부터 상기 유체 챔버(140)로 이동하는 경로인 매개부(160)와 연결되므로,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은 상기 제2유체의 이동에 있어서 제1이동거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챔버(140)는 상기 제1노즐(120)과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챔버(140)의 외주면은 후술할 상기 매개부(160)와 연결되므로, 상기 유체 챔버(140)는 상기 제2유체의 이동에 있어서 제3이동거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챔버(140)는 내부에 원통형 공간부가 형성된 튜브형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원통형 공간부를 통해 상기 제1노즐(120)이 관통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노즐(120)은 상기 외경 감축부가 상기 유체 챔버(140)의 하류에서 돌출되도록 관통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챔버(140)의 상류측 일단은 폐쇄될 수 있고, 하류측 타단의 일부에는 상기 제2유체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부(150)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2유체가 유입되어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으로 이동하는 경로로서,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부(150)는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형성된 2이상의 배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관은 2 내지 10개일 수 있고, 각각의 배관 사이의 각거리는 각각 180°, 120°, 90°, 72°, 60°, 53°, 45°, 40° 및 36°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배관 사이의 각거리를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매개부(160)를 통한 상기 제2유체의 이동이 관 벽과 같은 장애 요소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유체가 균일한 유량으로 상기 제2노즐(170)의 상류에 집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부(150)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배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배관 사이의 각거리는 180°일 수 있다.
상기 배관 사이의 각거리가 180°인 경우, 즉, 상기 배관 사이의 각거리가 최대인 경우, 상기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2유체의 유동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제2유체를 더 원활하게 이동시켜 상기 제2노즐(170)의 상류에 집중시킬 수 있다.
상기 매개부(160)는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체 챔버(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60)는 상기 제2유체의 제1이동거점인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과 상기 제2유체의 제3이동거점인 상기 유체 챔버(14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유체가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으로부터 상기 유체 챔버(140)로 이동하는 경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유체의 이동에 있어서 제2이동거점이 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유동 덕트는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천공, 및 상기 유체 챔버(1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천공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천공 및 상기 제2천공은 상호 닮음 관계인 원형, 타원형, 둥근 모서리를 갖는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천공의 크기는 상기 제2천공보다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동 덕트는 상기 제1천공으로부터 상기 제2천공을 향해 크기가 감소되는, 즉, 테이퍼된(tapered)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160)는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형성된 2 이상의 유동 덕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동 덕트는 2 내지 4개일 수 있고, 각각의 유동 덕트 사이의 각 거리는 각각 180°, 120° 및 90°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유동 덕트 사이의 각거리를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유입부(150)를 통해 상기 고리형 하우징(130)으로 유입된 상기 제2유체의 이동이 관 벽과 같은 장애 요소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유체가 균일한 유량으로 상기 제2노즐(170)의 상류에 집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노즐(170)의 사시도이다.
상기 제2노즐(170)은 상기 유체 챔버(140)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체 챔버(140)의 하류측 타단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체 챔버(140)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170)은 상기 제1노즐(120)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이 축소되는 단면 축소부(171), 및 상기 단면 축소부(171)의 하류와 연속하여 동축으로 연결된 단면 일정부(17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노즐(170)의 상기 단면 축소부(171)는 상기 제 1노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단면 축소부(171)와 상기 제1노즐(120)의 외주면 사이에 튜브형 협로(1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협로(173)의 크기, 즉, 상기 단면 축소부(171)와 상기 제1노즐(12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유체 챔버(14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유체 챔버(140)로부터 상기 튜브형 협로(173)로의 단면적 감소는 불연속적이므로, 상기 튜브형 협로(173)는 상기 유체 챔버(140)의 하류에서 실질적으로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높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유속은 단면적이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증가하고 단면적인 넓은 통로를 흐를 때 감소하므로, 상기 튜브형 협로(173)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2유체의 유속은 증가하여 상기 튜브형 협로(173)의 하류에서 고속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면 축소부(171)는 상기 제1노즐(120)의 최말단 단면의 가상 연장면까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면 축소부(171)가 상기 제1노즐(120)의 최말단 단면의 가상 연장면까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노즐(170)의 하류에서 각각 분사되는 상기 제1 및 제2유체의 분사 시점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유체 간의 혼합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내에 미반응 또는 미혼합 반응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부반응을 경감시킴으로써 반응 속도 및 반응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단면 축소부(171)의 하류와 연속하여 동축으로 연결된 상기 단면 일정부(172)는 직경이 일정한 단일의 원통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노즐(120)과 중첩되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단면 일정부(172)에서, 상기 제1노즐(120)의 하류에서 분사된 상기 제1유체의 흐름 방향과, 상기 단면 축소부(171)의 하류에서 분사된 상기 제2유체의 흐름방향은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1 및 제2유체 간에 “수평 충돌”에 의한 혼합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수평 충돌"은, 각각의 노즐 또는 기타 설비에서 분사된 이종 유체의 흐름 방향이 상호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이고, 분사 이후 각각의 유체의 흐름, 이를 테면 난류(turbulent flow)의 상호 충돌에 의한 혼합 유형을 의미한다.
상기 "수평 충돌"에 의한 혼합은, 최종 혼합 단계에 앞서 상기 제1 및 제2유체를 혼합시켜 제1혼합물을 생성시키는 사전 혼합(pre-mixing)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면 일정부(172)는, 상기 제1 및 제2노즐(170)로부터 분사된 유체의 유속이 감소되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단면 일정부(172)의 하류에서 상기 제1혼합물이 상기 혼합 챔버(180)로 고속 분사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챔버(180)는 상기 제2노즐(170)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챔버(180)에서, 상기 제2노즐(170)의 상기 단면 일정부(172)로부터 분사된 상기 제1혼합물과 후술할 제3노즐부(190)로부터 분사된 제1 또는 제2유체가 최종적으로 혼합되어 최종 혼합물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최종 혼합물이 이후의 설비, 이를 테면 반응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노즐부(190)에서 분사될 수 있는 유체는 상기 제1 또는 제2유체 뿐만 아니라, 이들과 상이한 제3유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혼합 챔버(180)는 직경이 일정한 단일의 원통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요가의 요구에 따라 직경이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확장부 또는 감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혼합 챔버(180)의 직경은 상기 제2노즐(170)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최종 혼합물의 체류 시간, 반응 속도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노즐부(19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유체를 상기 혼합 챔버(180)로 고속 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기 혼합 챔버(18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노즐(170)을 통해 상기 혼합 챔버(180)의 상류로 고속 분사된 상기 제1혼합물의 유속이 저하되기 이전에 최종적인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3노즐부(190)는 상기 혼합 챔버(180)의 상류측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노즐부(190)는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형성된 2 이상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노즐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노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사구 방향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유속을 증가시키고, 최종적으로 유체의 고속 흐름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노즐일 수 있다.
상기 노즐은 2 내지 10개일 수 있고, 각각의 배관 사이의 각거리는 각각 180°, 120°, 90°, 72°, 60°, 53°, 45°, 40° 및 36°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노즐 사이의 각거리를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혼합물에 대해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포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혼합물과 상기 유체의 최종 혼합시 혼합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일부 영역에 미반응된 상기 제1혼합물이 과다하게 존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반응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노즐부(190)는 상기 혼합 챔버(180)의 축에 대해 상호 대칭인 2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노즐부(190)는 상기 혼합 챔버(180)의 축을 기준으로 상호 선대칭인 2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노즐이 상기 혼합 챔버(180)의 축을 기준으로 상호 선대칭 관계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각각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상기 유체와 상기 제1혼합물의 충돌 각도가 상이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혼합물의 분사 흐름 단면에서의 혼합도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노즐은 상기 혼합 챔버(180)의 축을 기준으로 선대칭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180)의 하류측 축이 이루는 각도가 75°~120°의 범위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0°~110°의 범위인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95°~100°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노즐부(190)의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180)의 하류측 축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의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2노즐(170)의 상기 단면 일정부(172)를 통해 상기 유체 챔버(140)로 분사되는 상기 제1혼합물의 흐름 방향과, 상기 제3노즐부(190)를 통해 상기 유체 챔버(140)로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호 수직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1혼합물 및 상기 유체 간에 "수직 충돌"에 의한 혼합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수직 충돌"은, 각각의 노즐 또는 기타 설비에서 분사된 이종 유체의 흐름 방향이 상호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분사 이후 각각의 유체의 흐름, 이를 테면 난류(turbulent flow)의 상호 충돌에 의한 혼합 유형을 의미한다.
상기 "수직 충돌"에 의한 혼합은, 상기 사전 혼합된 상기 제1혼합물과 상기 제1 또는 제 2유체를 혼합시켜, 반응기로 이동되는 최종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최종 혼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충돌"에 의한 혼합은, 상기 제3노즐부(190)를 통해 제3유체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제 1혼합물과 제 3 유체를 혼합시켜, 반응기로 이동되는 최종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최종 혼합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180)의 축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180)의 축이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혼합물의 분사 흐름 단면에서의 혼합도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혼합물의 분사 흐름 단면을 직경을 기준으로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였을 때, 특정 1 구역에서 혼합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에, 나머지 구역에서는 혼합도가 낮거나 혼합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180)의 축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110: 제1유입부
120: 제1노즐
130: 고리형 하우징
140: 유체 챔버
150: 제2유입부
160: 매개부
170: 제2노즐
180: 혼합 챔버
190: 제3노즐부

Claims (11)

  1.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에 있어서,
    제1유입부;
    상기 제1유입부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1노즐;
    상기 제1노즐과 동축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폐쇄된 고리형 하우징;
    상기 제1노즐과 상기 고리형 하우징 사이에 구비된 유체 챔버;
    상기 고리형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결된 2 이상의 배관을 포함하는 제2유입부;
    상기 고리형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체 챔버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매개부;
    상기 유체 챔버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2노즐;
    상기 제2노즐의 하류에 동축으로 연결된 혼합 챔버; 및
    상기 혼합 챔버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혼합 챔버로 유체를 유입 및 분사시키는 제3노즐부를 포함하는,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부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배관을 포함하는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형성된 2 이상의 유동 덕트를 포함하는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1노즐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이 축소되는 단면 축소부, 및 상기 단면 축소부의 하류와 연속하여 동축으로 연결된 단면 일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축소부는 상기 제1노즐의 최말단 단면의 가상 연장면까지 형성된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노즐부는 일정한 각거리(angular distance)로 이격되어 형성된 2 이상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노즐부는 상기 혼합 챔버의 축에 대해 상호 대칭인 2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의 하류측 축이 이루는 각도가 75°~120°의 범위인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의 하류측 축이 이루는 각도가 90°인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칭인 각각의 노즐의 축과 상기 혼합 챔버의 축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인, 고속 분사 혼합반응기.
KR1020130100672A 2013-08-23 2013-08-23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 KR101577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672A KR101577760B1 (ko) 2013-08-23 2013-08-23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672A KR101577760B1 (ko) 2013-08-23 2013-08-23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80A KR20150022580A (ko) 2015-03-04
KR101577760B1 true KR101577760B1 (ko) 2015-12-15

Family

ID=5302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672A KR101577760B1 (ko) 2013-08-23 2013-08-23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7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369A (en) 1989-05-09 1989-12-12 Act Laboratories, Inc. Continuous static mixing apparatus
US6572258B1 (en) 1998-05-13 2003-06-03 Holland Kuhlmobel K. & M. Holland Gmbh Apparatus for mixing at least two flowing media
WO2012088671A1 (zh) * 2010-12-29 2012-07-05 烟台万华聚氨酯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混合反应器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369A (en) 1989-05-09 1989-12-12 Act Laboratories, Inc. Continuous static mixing apparatus
US6572258B1 (en) 1998-05-13 2003-06-03 Holland Kuhlmobel K. & M. Holland Gmbh Apparatus for mixing at least two flowing media
WO2012088671A1 (zh) * 2010-12-29 2012-07-05 烟台万华聚氨酯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混合反应器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80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360B2 (en) Fluid impingement mixing device
EP2579968B1 (en) Fluid mixing assembly and method of mixing a liquid composition
JP4884639B2 (ja) 反応体流の混合処理における副生成物量の低減法
US20110230679A1 (en) Reactive Static Mixer
RU2011119471A (ru) Способ и форсунка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жидкости
KR101577760B1 (ko)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
JP2014033999A (ja) バブル発生ノズル、及び、ループ流式バブル発生ノズル
JP5815087B2 (ja) 高速噴射を利用した異種流体の混合反応器
KR101452423B1 (ko)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종 유체의 혼합반응기
CN105065093A (zh) 一种scr系统及其混合器
CN218269162U (zh) 燃气轮机旋流燃烧装置及燃气轮机
US201802148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wirling flow
CN105689169A (zh) 一种聚脲喷涂喷枪的混合室组件
CN215141085U (zh) 一种内混式喷枪
KR101416760B1 (ko)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소시아네이트 제조용 혼합 반응기
JP6356577B2 (ja) 噴霧ノズル
US8658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acids or lyes
JPH0515816A (ja) 気液混合噴霧用ノズル装置
JP2016032781A (ja) テイラー反応装置
CN214635484U (zh) 一种非预混旋流式气体混合装置
CN209935008U (zh) 喷射装置
CN111841349B (zh) 一种射流式天然气减阻剂预混装置
CN203683478U (zh) 催化裂化装置进料喷嘴
CN212327971U (zh) 高效简易混合器
CN211756105U (zh) 雾化装置和喷雾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