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710B1 - 운동보조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보조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710B1
KR101576710B1 KR1020130145490A KR20130145490A KR101576710B1 KR 101576710 B1 KR101576710 B1 KR 101576710B1 KR 1020130145490 A KR1020130145490 A KR 1020130145490A KR 20130145490 A KR20130145490 A KR 20130145490A KR 101576710 B1 KR101576710 B1 KR 10157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at
unit
user
measuring
bluetoo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401A (ko
Inventor
강호준
Original Assignee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3014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7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어 전류를 상기 신체에 가하는 둘 이상의 전극,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전류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전기적 저항 값을 측정하여 체지방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체지방 측정부,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 그리고 상기 데이터 출력부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운동보조용 측정기와 이와 연동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운동보조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보조용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P FOR HELPING EXERCISE}
본 발명은 모바일, TV, 웨어러블 단말(wearable terminal)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스마트 기기와 무선 연동하여 체지방 또는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여 알리는 운동보조용 측정기 및 운동보조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식생활 문화의 향상 및 운동 부족 등의 이유로 비만이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비만 증상은 성인은 물론 아동, 청소년, 노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대상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복부 피하에 저장된 과도한 체지방은 혈액이 정맥 조직을 통해 간, 췌장 등 기관으로 이동할 때 함께 운반되어 고혈압, 콜레스테롤 및 혈당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복부 지방 세포는 염증, 혈액응고, 당뇨병, 심장질환 및 간, 신장 등에 관련된 합병증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은 운동의 필요성을 느끼며, 헬쓰 클럽이나 댁내에서 운동을 하고, 운동 효과를 살피기 위해 체중기, 혈당 측정기, 체지방 측정기, 칼로리 소모량 측정기 등을 운동보조 용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체중의 감소, 혈당의 감소 등은 운동 효과를 측정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지만, 체중이 적게 나가거나 혈당이 적어도 비만인 사람이 있다. 그래서 현재에는 체지방 측정을 통해 운동 효과를 측정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근래에는 수시로 자신의 체지방을 손쉽게 측정하여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커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출시된 가정용 체지방 측정기들은 크기, 장소 및 비용 면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하는데 부담이 있었으며, 특히 전문적인 체지방 측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또는 비만클리닉 센터 등을 방문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의 경우 크기 및 장소 면에서의 부담은 낮추었으나, 체지방 측정기 자체에 디스플레이 화면 및 입력 수단 등이 구비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건 정보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휴대용 체지방 측정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장치를 조작하거나 체지방 측정 정보를 확인하는데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또한 체지방 측정과 더불어 하루 칼로리 소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동보조 용품이 제공되지 않아 체지방 측정기와 더불어 칼로리 소모 측정기를 별도로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누구나 간단한 장치 조작만으로도 자기 몸의 체지방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체지방 분석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운동보조용 측정기 및 운동보조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피측정자)가 하루동안 소모한 칼로리를 측정하여 연동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알리는 운동보조용 측정기 및 운동보조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운동보조용 측정기는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어 전류를 상기 신체에 가하는 둘 이상의 전극,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전류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전기적 저항 값을 측정하여 체지방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체지방 측정부,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 그리고 상기 데이터 출력부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운동보조용 측정기는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어 전류를 상기 신체에 가하는 둘 이상의 전극,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전류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전기적 저항 값을 측정하여 체지방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체지방 측정부,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
사용자의 보행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보행 센서, 상기 보행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카운트하여 걸음수를 측정하는 활동량 측정부, 그리고 상기 데이터 출력부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 또는 상기 활동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걸음수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어 전류를 상기 신체에 가하는 둘 이상의 전극,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전류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전기적 저항 값을 측정하여 체지방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체지방 측정부,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부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제1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운동보조용 측정기, 그리고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에서 전송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로부터 신체 조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운동보조용 측정기의 사용 안내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분석하는 체지방 분석부와, 상기 체지방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어 전류를 상기 신체에 가하는 둘 이상의 전극,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전류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전기적 저항 값을 측정하여 체지방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체지방 측정부,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 사용자의 보행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보행 센서, 상기 보행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카운트하여 걸음수를 측정하는 활동량 측정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부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 또는 상기 활동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걸음수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운동보조용 측정기, 그리고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에서 전송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로부터 신체 조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운동보조용 측정기의 사용 안내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분석하는 체지방 분석부, 상기 체지방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걸음수 정보를 파악하여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활동량 분석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로 구성된다.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한 운동보조용 측정기가 사용자의 체지방을측정하여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에서 체지방 분석 및 체지방 분석 정보가 제공됨으로써, 운동보조용 측정기 자체에 디스플레이 구성 및 데이터 입력 구성이 구비될 필요가 없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체지방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통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체지방 분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보조용 측정기에 의해 사용자의 일일 활동량 및 기초 대사량을 측정하고 이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통해 체지방 분석의 조건 데이터를 입력받는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지방 측정을 안내하는 것을 보인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체지방 분석 결과 정보를 보인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은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와 스마트 기기(200)로 구성된다.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체지방 측정 기능 또는 체지방 측정기능과 걸음수 측정 기능을 가지며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화 및 간편화된 장치이다. 이러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체지방 측정기이거나, TV 리모트 컨트롤러(일명 리모콘) 또는 게임기(예; wii)의 리모콘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기본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둘 이상의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양손 엄지/검지 등)와 직접 접촉하여 전류를 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지방 신호를 측정한다.
이때,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에서 이루어지는 체지방 측정은 일 예로, BIA(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방식으로 체지방을 측정한다. 참고로, BIA 방식은 전도체(즉, 인체)의 길이(즉, 신장)와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전도체의 부피를 구하는 기술을 인체에 적용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인체의 구성 성분 중 전류를 통과시키는 것은 체수분이다. 즉, 인체는 70%이상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기가 흐르기 쉬우므로, 인체에 전류를 흘려주어 저항값을 측정하면 체수분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이때, 인체를 원통으로 간략화한다면 원통의 단면적과 높이를 곱해 원통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수분량에 따라 전기 저항이 달라지므로 사용자의 신장(키) 정보와 측정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체수분을 구할 수 있다. 체수분은 신장의 제곱을 저항으로 나눈 값과 상관 관계가 있으며, 이를 임피던스 지수라고 한다.
또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체지방 측정을 위해 둘 이상의 전극(150)을 통해 인체와 접촉함에 있어서 다점 접촉식/다전극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전극법은 인체와 2개의 전극을 통해 접촉하되, 인체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전류전극과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전압전극을 분리하지 않고 동일한 전극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때, 2 전극 법에서는 2개의 전극, 즉, + 전극 및 - 전극을 다 접촉점에 접촉시켜 체지방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4 전극법은 인체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전류 전극과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전압 전극을 분리하여 각각의 전압 전극 및 전류 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2 전극법에 비해 접촉 저항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4 전극법을 사용하는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전류 전극으로서 + 전극 및 - 전극이 구비되고, 전압 전극으로서 + 전극 및 - 전극이 구비된다. 이때, 사용자의 양손과 전극의 4점이 접촉될 경우, 전류는 예를 들어 전류 전극의 오른쪽 제 1 접촉점에서 왼쪽 제 2 접촉점으로 흐를 수 있으며, 이 가해진 전류를 차동 증폭하여 사용자의 몸에 걸리는 정현파 신호를 체지방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이상에서 설명한 체지방 측정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체지방 측정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일일 소비 칼로리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일일 소비 칼로리는 사용자의 기초 대사량과 일일 활동량에 따른 소비 칼로리의 합으로 산출된다. 이때 기초 대사량은 체지방 측정에 따라 산출되고, 일일 활동량에 따른 소비 칼로리는 만보기능 즉, 걸음수 측정 기능을 통해 측정되고 측정된 걸음수를 소비 칼로리로 환산하여 측정된다.
이러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하나의 스마트 기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통신으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즉,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와 하나의 스마트 기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된다.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수단을 가지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스마트 기기(200)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측정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측정 데이터를 연산하고 분석하는 등 복잡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스마트 기기(200) 내에 탑재된 프로세서에서 연산, 분석 등의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가 스마트 기기(200)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프로세서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제작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을 가진다.
스마트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가지며 내부에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이다. 예컨대, 스마트 기기(200)는 삼성전자 제품의 갤럭시 시리즈의 휴대폰,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패드), PDA 등의 모바일,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TV, 웨어러블 단말(예;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 또는 자동차에 탑재된 스마트 기기(예; 내비게이션 등)나 자동차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은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와 스마트 기기(200)를 포함한다.
우선,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제1 블루투스 모듈(110), 체지방 측정부(120), 데이터 변환부(130), 동작 제어부(140) 및 복수의 전극(150)을 포함한다. 제1 블루투스 모듈(110)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제1 블루투스 모듈(110)은 상대방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페어링 과정을 수행한다. 페어링 과정은 블루투스 모듈이 주변의 블루투스 모듈을 검색하고 무신 통신할 대상을 등록하는 과정이다.
체지방 측정부(120)는 복수의 전극(150)을 통해 인가된 전류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의 전기적 저항값을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생성한다. 참고로, 사용자 신체의 전기적 저항값은 사용자의 체수분량에 대응되는 임피던스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30)는 체지방 측정부(120)에서 교류 전압(AC)으로 측정된 전기적 저항값을 직류 전압(DC)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전압 신호가 디지털 데이터 신호 형태로 변환될 수 있도록 전압 신호를 평균 평방근(RMS, Root Mean Square) 값으로 결정하여 데이터 신호 출력부(250)로 전달한다. 참고로, RMS 값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는 전파 정류 후 저역통과필터(LPF, Low Pass Filter)를 거쳐 완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40)는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의 본체(미도시) 외부로 노출된 동작 제어 버튼(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동작 신호에 기초하여 전극(150)을 통한 전류의 출력 동작을 제어하거나, 제1 블루투스 모듈(11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복수의 전극(150)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도록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의 본체(미도시)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운동보조용 측정기(100)가 자체적으로 구비한 전류원(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기설정된 전류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인가한다. 이때, 전극(150)은 둘 이상의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는 전원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부(미도시)는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미도시)는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의 동작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전극(150)으로 기설정된 전류를 출력한다. 이때, 전원부(미도시)는 RC 발진을 사용하여 생성된 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VC(Voltage-to-Current) 변환기를 사용하여 기설정된 주파수(예를 들어, 50KHz)의 정현파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전원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지에 연결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플로팅(floating) 형의 전류원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기기(200)는 제2 블루투스 모듈(210), 체지방측정신호 수신부(22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 체지방 분석부(250)와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한다.
제2 블루투스 모듈(210)는 제1 블루투스 모듈(110)과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은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1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신 대상으로 등록한 상태이다.
체지방측정신호 수신부(220)는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신호(즉, 체지방을 측정한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체지방 분석부(250)로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는 사전에 등록된 내지는 탑재된 다양한 종류의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기기(200)의 주변 기기별로 매칭하여 저장 관리한다.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기탑재된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스마트 기기(200)의 입력 모듈(미도시)을 통해 입력받거나,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이 제1 블루투스 모듈(110)을 식별하거나 또는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이 제1 블루투스 모듈(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즉,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참고로, 입력 모듈(미도시)은 스마트 기기(200)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 기기(200)의 사용자가 입력 수단(예를 들어, 키보드, 키 패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을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발생되는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200)의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선택(즉, 터치)할 경우,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입력 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 선택 정보(즉, 실행 명령)에 따른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킨다.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에 따른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로부터 추출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를 통해 저장되어 있던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 중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여 실행시킨다.
체지방 분석부(250)는 실행된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체지방측정신호 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체지방 분석 연산 처리를 수행하고, 분석 처리의 결과를 기설정된 출력 모듈 즉, 디스플레이부(260)을 통해 출력시킨다.
이때, 체지방 분석부(250)는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체지방량, 체지방률, 근육량, 기초대사량, 및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체지방 분석부(160)는 예컨대, 스마트 기기(20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기초대사량은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양이다. 하루에 소모하는 총 에너지의 60~70%를 차지하며 휴식을 취하고 있거나 가만히 있을 때도 기초대사량만큼 에너지가 소모된다. 남성의 경우 66.47+(13.75×체중)+(5×키)-(6.76×나이), 여성은 655.1+(9.56×체중)+(1.85×키)-(4.68×나이)의 공식을 이용해 기초대사량을 계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체지방 분석부(250)의 체지방 분석 연산에 따른 결과 값에 기초한 체지방 분석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60)는 체지방 분석 처리의 결과를 스마트 기기(200) 상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 또는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미도시)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보조용 측정기(100)를 통해 체지방을 측정을 수행하고, 스마트 기기(200)의 화면을 통해 체지방 측정 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 측정기(100)와 스마트 기기(200)를 포함하는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운동보조 측정기(100)와 스마트 기기(20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페어링시킨다(S601). 그리고 이러한 페어링에 따라 스마트 기기(20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를 통해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체지방 분석의 조건 데이터를 입력한다(S602, S603). 이때 조건 데이터는 예컨대, 도 3의 (a)에 도시된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대한 성별, 도 3의 (b)에 도시된 자신의 체형(예; 사과형, 서양배형 등), 도 3의 (c)에 도시된 몸무게, 도 3의 (d)에 도시된 키, 도 3의 (e)에 도시된 생년월일(또는 나이) 등의 신체조건이다.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체지방 분석의 조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완료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통해 체지방 측정 안내(사용 순서)를 한다(S604). 즉,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측정 안내는 도 4의 (a)에 도시된 운동보조 측정기(100)의 LED(미도시) 점등확인을 통한 페어링 성공 여부를 확인, 도 4의 (b)에 도시된 볼륨을 최대한으로 조절, 도 4의 (c)에 도시된 측정버튼 누름, 도 4의 (d)에 도시된 측정 자세 및 도 4의 (e)에 도시된 주의 사항 안내 등이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보조 측정기(100)의 전극에 손가락을 접촉시키고, 그에 따라 동작 제어부(140)에 의해 전극(150)으로 제공된 전류가 전극에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로 인가되며, 체지방 신호가 체지방 측정부(120)에 수신된다(S605).
체지방 측정부(120)는 수신된 체지방 신호를 통해 사용자 신체의 전기적 저항 값을 측정하여 데이터 변환부(130)에 제공한다(S606). 데이터 변환부(130)는 교류 전압인 전기적 저항값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전압 신호를 평균 평방근(RMS, Root Mean Square) 값으로 결정한다. 이때 전기적 저항 값은 사용자의 체수분량에 대응된다.
데이터 변환부(130)는 평균 평방근값을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블루투스 모듈(110)에 제공하고(S607), 제1 블루투스 모듈(11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2 블루투스 모듈(210)로 디지털 데이터 신호(즉, 체지방 측정 신호)를 전송한다(S608).
한편, 스마트 기기(200)는 운동보조 측정기(100)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에 따라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런 후,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제1 블루투스 모듈(110)에서 전송한 체지방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체지방 측정 신호를 체지방측정신호 수신부(220)에 제공된다(S609).
체지방측정신호 수신부(220)는 제2 블루투스 모듈(210)로부터 체지방 측정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체지방 분석부(250)에 제공하고, 체지방 분석부(25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정보(예; 몸무게, 체형, 성별, 나이 등)를 기반으로 수신한 체지방 측정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611).
체지방 분석부(250)는 분석할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60)에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부(260)는 분석 결과를 스마트 기기(200)의 화면 상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612).
이때 화면상에 표시되는 체지방 분석 결과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체지방 분석 결과 정보를 보인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5의 (a)에서는 체지방률 체지방량, 근육량, 기초대사 칼로리, 및 BMI등의 체지방 분석 정보를 출력한 화면을 나타내었고, (b)에서는 체지방 분석 결과를 설명 및 안내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정보를 출력한 화면을 나타내었고, (c)에서는 체지방 분석 결과를 기간별로 통계 처리하여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 화면을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이상에서 설명한 기능 외에도 다양한 분석 처리 및 정보 제공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지방 측정 애플리케이션은 체지방 분석 정보를 기설정된 웹 서버(예를 들어, SNS 서버)로 업로드 또는 백업하거나, 기설정된 웹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에 매칭되어 기등록된 체지방 분석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체지방 측정기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체지방 측정기 자체에 불필요한 구성(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내지는 데이터 정보 입력부 등)이 필요치 않아 간편하게 체지방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운동보조용 측정기(100a)와 스마트 기기(200a)로 구성된다.
운동보조용 측정기(100a)는 제1 블루투스 모듈(110), 체지방 측정부(120), 데이터 변환부(130), 동작 제어부(140), 복수의 전극(150), 보행 센서(160)와 활동량 측정부(170) 및 타이머부(180)를 포함한다.
이 중 제1 블루투스 모듈(110), 체지방 측정부(120), 데이터 변환부(130)와, 동작 제어부(14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측정기(100)의 구성과 동일하며, 그에 따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보행 센서(160)는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고 보행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보행 센서(160)는 가속도 센서, 전기기구적인 스위치(electromechanical switch) 또는 압전소자 타입(piezoelectric type) 센서 중 하나이다. 활동량 측정부(170)는 보행 센서(160)로부터 수신되는 보행 감지 신호를 1 증가시키는 카운트하여 보행량 즉, 걸음수를 측정한다.
활동량 측정부(170)는 체지방 측정부(120)에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지방 측정시에 활동량 정보(걸음수 정보)도 함께 스마트 기기(200a)에 제공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운동보조용 측정기(100a)의 버튼(미도시)을 누르는 경우에 체지방 측정부(120)와의 연동없이 별도로 동작하여 활동량 정보를 스마트 기기(200a)에 제공한다. 활동량 측정부(170)에 의해 측정된 활동량 정보는 체지방 측정 신호와 마찬가지로 제1 블루투스(110)를 통해 제2 블루투스(210)로 전송된다.
타이머부(180)는 시계 기능을 수행하여 현재일의 시간을 파악한다. 그리고 타이머부(180)는 시계 기능에 따라 0시(24시00분00초)가 되면 보행 센서(160)와 활동량 측정부(170)를 리셋(reset)하여 일일마다의 활동량 측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물론 타이머부(180)의 리셋은 디폴트값으로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설계할수 있으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a)는 제2 블루투스 모듈(210), 측정신호 수신부(220a),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 체지방 분석부(250), 디스플레이부(260)와, 활동량 분석부(270)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200a)는 칼로리 관리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제2 블루투스 모듈(21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30), 애플리케이션 구동부(240), 체지방 분석부(250)와 디스플레이부(26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00)의 구성과 동일하며, 그에 따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측정신호 수신부(220a)는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체지방 측정 신호 또는/및 활동량 정보를 수신하며, 체지방 측정 신호는 체지방 분석부(250)에 제공하고, 활동량 정보는 활동량 분석부(270)에 제공한다.
활동량 분석부(270)는 활동량 정보를 파악하여 화면상에 사용자의 걸음수가 표시되게 한다. 또한 활동량 분석부(270)는 활동량 정보 즉, 사용자의 걸음수를 칼로리로 환산한다. 이때 칼로리 환산은 한 걸음에 대한 사람들의 평균 칼로리를 사용자의 걸음수에 곱하여 얻거나, 사용자의 체지방량에 따라 한 걸음에 대한 소모 칼로리를 조절하고, 조절한 소모 칼로리를 사용자의 걸음수에 곱하여 얻는다. 물론 체지방량이 많거나 몸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한 걸음당 소모 칼로리를 높게 한다.
칼로리 관리부(280)는 활동량 분석부(270)에 의해 산출한 활동량에 따른 소모 칼로리와, 체지방 분석부(250)에 의해 산출된 사용자의 기초 대사량을 합하여 일일 소모 칼로리를 산출한다. 칼로리 관리부(280)는 사용자가 자신이 목표로 하는 일일 목표 칼로리를 입력한 경우에 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산출된 실제 일일 소모 칼로리와 저장된 일일 목표 칼로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화면상에 제공한다. 비교 결과는 체중 유지, 체중 증가 및 체중 감소를 포함하는데, 체중 유지는 일일 소모 칼로리가 일일 목표 칼로리와 거의 같은 경우이고, 체중 증가는 일일 소모 칼로리가 일일 목표 칼로리보다 적은 경우이며, 체중 감소는 일일 소모 칼로리가 일일 목표 칼로리보다 많은 경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 측정기(100a)와 스마트 기기(200a)를 포함하는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동작의 일 예를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S801 과정 내지 S811 과정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보조용 시스템의 동작에서 S601 과정 내지 S611 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운동보조용 측정기(100a)는 체지방 측정 기능과 연동하여 활동량 측정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보행 센서(100a)에서는 사용자가 보행시마다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활동량 측정부(170)에 제공하고(S812), 활동량 측정부(170)는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카운트하여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한다(S813).
이렇게 측정된 걸음수는 제1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제2 블루투스 모듈(210)로 전송되고(S814), 제2 블루투스 모듈(21)은 사용자의 걸음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활동량 분석부(270)에 제공한다(S815).
활동량 분석부(270)는 걸음수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량 즉, 걸음수를 파악하고(S816), 파악한 걸음수를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S817).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자신이 운동할 정도 즉, 활동량을 걸음수를 통해 확인하고, 더불어 체지방 분석부(250)에서 제공한 체지방 측정 결과를 확인하여 이전 측정시의 체지방과 비교를 통해 체지방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루 또는 일정기간 동안 꾸준하게 설정된 활동량을 하는 경우에 어느 정도 체지방이 감소하는지, 또는 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 어느 정도 체지방이 증가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칼로리 관리부(280)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활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과 체지방 변화 및 자신의 기초 대사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하루 동안 활동량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하루 동안의 총 사용 칼로리(활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기초 대사량)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a: 운동보조용 측정기 200, 200a : 스마트 기기
110: 제1 블루투스 210 : 제2 블루투스
120 : 체지방 측정부 130 : 데이터 변환부
140 : 동작 제어부 150 : 전극
160: 보행 센서 170 : 활동량 측정부
220 : 체성분측정신호 수신부 220a : 측정신호 수신부
230 :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240 :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250 : 체지방 분석부 260 : 디스플레이부
270 : 활동량 분석부 270 : 칼로리 관리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어 전류를 상기 신체에 가하는 둘 이상의 전극, 상기 전극을 통해 상기 전류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전기적 저항 값을 측정하여 체지방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체지방 측정부,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신호 출력부, 사용자의 보행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보행 센서, 상기 보행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카운트하여 걸음수를 측정하는 활동량 측정부, 시계 기능을 수행하여 현재일의 시간을 파악하고 시계 기능에 따라 0시(24시00분00초)가 되면 상기 보행 센서와 활동량 측정부를 리셋하여 일일마다의 활동량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타이머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의 디지털 데이터 신호 또는 상기 활동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걸음수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제1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운동보조용 측정기, 그리고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에서 전송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로부터 신체 조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운동보조용 측정기의 사용 안내를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걸음수를 파악하여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걸음수를 총소모 칼로리로 환산하되 상기 총소모 칼로리는 상기 걸음수를 설정된 한 걸음당 소모 칼로리와 곱하여 얻으며 상기 소모 칼로리는 사용자의 체지방량 또는 몸무게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활동량 분석부,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체지방 측정 신호를 분석하는 체지방 분석부, 상기 활동량 분석부에 의해 산출한 총소모 칼로리와 상기 체지방 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사용자의 기초 대사량을 합하여 일일 소모 칼로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일일 소모 칼로리와 기 저장된 일일 목표 칼로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화면상에 제공하는 칼로리 관리부, 그리고 상기 체지방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로 구성된 운동보조용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센서는 가속도 센서, 전기기구적인 스위치(electromechanical switch) 또는 압전소자 타입(piezoelectric type) 센서 중 하나인 운동보조용 측정 시스템.
  7. 삭제
KR1020130145490A 2013-11-27 2013-11-27 운동보조용 시스템 KR10157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490A KR101576710B1 (ko) 2013-11-27 2013-11-27 운동보조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490A KR101576710B1 (ko) 2013-11-27 2013-11-27 운동보조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401A KR20150061401A (ko) 2015-06-04
KR101576710B1 true KR101576710B1 (ko) 2015-12-21

Family

ID=5349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490A KR101576710B1 (ko) 2013-11-27 2013-11-27 운동보조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481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체지방을 측정하는 클라우드 기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6508A (ja) 2008-11-04 2012-10-18 Panasonic Corp 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603138T3 (pl) * 2010-08-13 2018-04-30 Respiratory Motion Inc Urządzenia i sposoby do monitorowania zmian oddechowych poprzez pomiar objętości oddechowej, ruchu i zmienności
KR101239340B1 (ko) * 2010-12-13 2013-03-18 김희곤 휴대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패치형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건강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6508A (ja) 2008-11-04 2012-10-18 Panasonic Corp 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401A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743B2 (en) Wrist-wearable body com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body composition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10095709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測定方法、および体組成測定装置
US20220265154A1 (en) Body state classification
EP1374766A1 (en) Body fa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terminal
US20150223723A1 (en) Body condi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body condition information
KR100459989B1 (ko) 체성분분석, ecg 및 맥박감지기능을 갖춘 전화기
KR20160046616A (ko) 체지방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20982A (ko) 전자 침술 장치 및 시스템, 환자의 경락 에너지 밸런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JP2014018444A (ja) 生体測定装置及び体画像作成プログラム
US20190167208A1 (en) Bio-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io-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7296093A (ja) 体組成表示システム、体組成計、通信端末およびサーバ
EP3492010A1 (en)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bio-signal measuring method
CN105455810A (zh) 一种基于生物电阻抗可测量人体成分的可穿戴脚环
JP2005000565A (ja) 生体情報取得装置
CN205322327U (zh) 一种基于生物电阻抗可测量人体成分的可穿戴脚环
KR101896596B1 (ko) 체성분 분석기의 임피던스를 이용한 컨디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76710B1 (ko) 운동보조용 시스템
CN109640813A (zh) 身体组成分析设备
JP4163071B2 (ja) 婦人用体調管理装置
KR20150103947A (ko) 전자줄자 기능을 가진 체지방 측정기
KR100542795B1 (ko)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진 휴대용 통신단말기
US20220142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wearable device to measure and monitor human body vitals
KR20150103946A (ko) 손목시계형 체지방 측정기
CN109363679A (zh) 一种基于ito导电玻璃测试的体脂秤
CN107197062A (zh) 测定身体数据的移动通讯终端及其电极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