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440B1 -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440B1
KR101576440B1 KR1020130167374A KR20130167374A KR101576440B1 KR 101576440 B1 KR101576440 B1 KR 101576440B1 KR 1020130167374 A KR1020130167374 A KR 1020130167374A KR 20130167374 A KR20130167374 A KR 20130167374A KR 101576440 B1 KR101576440 B1 KR 10157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reezing
cooling fluid
beverage
tub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194A (ko
Inventor
김홍식
강성하
최은석
조효성
최경문
김문남
Original Assignee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4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5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 B67D1/0867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the cooling fluid be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80Arrangements of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liquids to be transfer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 B67D2210/00068Means for filling simultaneously a plurality of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4Cool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맥주와 같은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빙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공급된 생맥주를 복수의 음료 인출 코크를 통해 다중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맥주의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사업장의 경우 테이블 상에 개별 구성된 복수의 생맥주 인출 장치들을 설치 발생하는 설치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맥주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생맥주 인출 장치의 빙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생맥주를 냉각하도록 함으로써, 시차를 두고 간헐적으로 생맥주의 인출이 이루어지더라고 인출된 생맥주의 냉각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생맥주 공급관 내에 잔류하며 냉기가 식어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주 공급관 내의 잔류량을 주기적으로 배출시켜 버려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생맥주 인출 장치를 이루는 빙결관의 외부가 공기중 수분이 얼어붙어 빙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이를 통해 인출되는 생맥주의 시원함을 시각적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호기심을 자극하여 생맥주의 판촉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Device For Cooling And Drawing Out A Drink Through Icebound-Pipe}
본 발명은 음료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음료를 빙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원하게 냉각하여 다중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빙결관의 외부에 공기중의 수분이 얼어붙어 빙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음료의 시각적인 판촉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빙결관형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맥주와 같은 음료는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병맥주와 가열·살균등과 같은 열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되는 생맥주로 구분된다.
생맥주는 영업장소에서 소비자들에게 보다 시원하고 신선한 맥주를 제공 및 판매하기 위하여 냉각 장치를 통해 적정 온도로 냉각된 상태를 만들어 생맥주 인출 장치를 통해 즉석에서 인출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생맥주 인출 장치는 생맥주통이 수납되는 테이블의 상판에 단일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별도의 냉각 장치에 의해 적정 온도로 냉각된 생맥주를 생맥주 공급관으로 연결하여 상부에 고정된 하나의 생맥주 인출 코크를 통해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생맥주의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영업장의 경우 테이블 상에 개별 구성된 복수의 생맥주 인출 장치들을 설치하여 사용해야 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 생맥주 인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 생맥주통으로부터 인출된 생맥주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생맥주 인출 장치와는 별개로 생맥주를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기 위한 각각의 냉각 장치들을 더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생맥주 인출 장치의 제조 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생맥주 인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냉각 장치에 통해 냉각된 생맥주를 생맥주 공급관 내에 잔류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인출하는 경우 설정된 냉 온도를 유지시켜 공급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생맥주를 시차를 두고 간헐적으로 인출해야 하는 경우 생맥주 공급관 내에 잔류하고 있던 생맥주의 냉기를 유지할 수 없어 소비자들의 불만을 초래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생맥주 공급관 내의 잔류하던 생맥주를 주기적으로 인출해 버려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빙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원하게 냉각하여 다중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빙결관의 외부에 공기중의 수분이 얼어붙어 빙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음료의 시각적인 판촉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빙결관형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는, 테이블 상에서 교각 형상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빙결관; 상기 빙결관의 상측 수평 연장관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부 실링 체결부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음료 인출 코크; 상기 빙결관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빙결관 내에 연장 설치되고, 상기 각 상부 실링 체결부들을 통해 상기 각 음료 인출 코크들을 연결하는 음료 공급관; 상기 각 하부 실링 체결부를 관통하며 상기 빙결관 내부로 연결되게 상기 음료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상기 빙결관의 외측에 공기중의 수분이 얼어 붙어 빙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빙결관의 수용 공간 내부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냉각 유체 공급관; 및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빙결관 내부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빙결관의 수용 공간 내부에 채워진 상기 냉각 유체를 순환 공급할 수 있게 외부로 인출하도록 설치되는 냉각 유체 회수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빙결관은 교각 일측 부분을 이루며 내부에 별도 구획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1 빙결관부와 대칭되게 연결되며 교각의 타일측 부분을 이루고 내부에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별도로 구획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빙결관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는 상기 테이블 상에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에 의해 수직 고정되는 수직 고정관부; 상기 수직 고정관부 수직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연결되며 상측이 서로 마주하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관부; 및 상기 절곡관부의 수평 단부에서 연통되게 연장되며 중심부에 서로 만나 연결되게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수평 연결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음료 인출 코크들은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상기 수평 연결관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각 상부 실링 체결부를 통해 상기 음료 공급관에 연결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 공급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1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상기 수평 연결관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음료 인출 코크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1 음료 공급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2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상기 수평 연결관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음료 인출 코크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2 음료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음료 공급관 및 상기 제2 음료 공급관은 상기 음료를 상기 음료 인출 코크들로 공급하도록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음료 주공급관; 및 적어도 상기 빙결관의 내부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음료 주공급관 외부에 씌워져 이중관 형태를 이루는 동결 방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 유체 공급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1 수용 공간으로 상기 냉각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1 냉각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제2 수용 공간으로 상기 냉각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2 냉각 유체 공급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각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공급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제2 빙결관부의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관통한 공급관 단부가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제2 빙결관부 내부에서 각각 상기 제1 냉각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공급관의 공급관 단부에 체결되어, 수직 상단부를 폐쇄한 상태로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분배 통공들을 통해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 유체 회수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1 수용 공간 내부 최상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1 수용 공간에 차올라 채워진 냉각 유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2 수용 공간 내부 최상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제2 수용 공간에 차올라 채워진 냉각 유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유체 회수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회수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와 상기 제2 빙결관부 내부의 회수관 연장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의 연결측 단부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회수관의 회수관 연장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의 연결측 단부의 내부 천장부를 향해 회수공이 형성되는 인출 헤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 내부 상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인출 헤드들 및 상기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회수관을 고정하기 위한 링 형상의 고정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냉각 유체 공급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로부터 인출되는 냉각 유체를 상기 제2 빙결관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냉각 유체 회수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는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직 고정관부 하단부들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 고정판; 상기 각 바닥 고정판들을 관통하며 나사 체결되어 상기 음료 공급관들을 실링 가능하게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 내부로 연결하는 음료 공급관 연결구; 상기 각 바닥 고정판들을 관통하며 나사 체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 공급관들을 실링 가능하게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 내부로 연결하는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 및 상기 바닥 고정판들을 관통하며 나사 체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 회수관들을 실링 가능하게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 내부로부터 연결하는 냉각 유체 회수관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들은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내에서 각각 상기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들 상측 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실링 체결부는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연통되게 상측 측벽면에 매립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 고정 부싱; 상기 각 상부 고정 부싱의 외측 단부에서 연통되게 끼워져 나사 체결되며 고정되는 원통형의 패킹 가압 칼라; 상기 상부 고정 부싱 내부에서 상기 패킹 가압 칼라 내측 단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부 고정 부싱과 상기 패킹 가압 칼라 사이를 실링하며 상기 음료 공급관 단부를 상기 패킹 가압 칼라 내부로 통과시키는 패킹 부재; 상기 패킹 가압 칼라 외측 단부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며 연장 결합되며 코크 체결 부싱; 상기 패킹 가압 칼라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코크 내측 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패킹 부재를 관통해 상기 패킹 가압 칼라 내부로 인입된 상기 음료 공급관의 단부를 상기 코크 체결 부싱의 내부 유로와 연통되게 연결하는 음료 공급관 컨넥터; 및 상기 코크 체결 부싱 외주면 상에 끼워져 상기 코크 체결 부싱의 내부 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음료 인출 코크를 나사 체결하여 결합하는 코크 체결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에 따르면, 생맥주와 같은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빙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공급된 생맥주를 복수의 음료 인출 코크를 통해 다중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맥주의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사업장의 경우 테이블 상에 개별 구성된 복수의 생맥주 인출 장치들을 설치 발생하는 설치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생맥주와 같은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빙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공급된 생맥주를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맥주의 냉각에 필요한 냉각 장치의 별도 구성을 줄여 장치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생맥주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생맥주 인출 장치의 빙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생맥주를 냉각하도록 함으로써, 시차를 두고 간헐적으로 생맥주의 인출이 이루어지더라고 인출된 생맥주의 냉각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생맥주 공급관 내에 잔류하며 냉기가 식어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주 공급관 내의 잔류량을 주기적으로 배출시켜 버려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생맥주 인출 장치를 이루는 빙결관의 외부가 공기중 수분이 얼어붙어 빙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이를 통해 인출되는 생맥주의 시원함을 시각적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호기심을 자극하여 생맥주의 판촉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를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부분의 음료 인출관에 대한 정단면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부분을 확대한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의 정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빙결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Ⅵ부분을 확대 도시한 인출 헤드의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빙결관의 하부 실링 체결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의 상부 실링 체결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부 실링 체결부를 분해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를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사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1)는 빙결관(10), 복수의 음료 인출 코크(20), 음료 공급관(30), 냉각 유체 공급관(40) 및 냉각 유체 회수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1)는 생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된 맥주를 기설정 온도로 냉각하여 즉석에서 다수의 음료 인출 코그들(20)을 통해 다중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생맥주 인출 장치인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맥주 이외에도 기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킨 상태로 판매가 이루어져야 하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빙결관(10)은 하부 실링 체결부(60)에 의해 음료 공급통(미도시: 생맥주통)이 수납된 테이블(100)의 상측에서 양측단부에 고정 다리 부분을 가지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며 길게 연장 형성되는 교각 형태로 설치되며, 한 냉각 유체 공급관(40) 및 냉각 유체 회수관(50)을 통해 냉각 장치로부터 냉각되어 순환 공급되는 냉각 유체(130)를 내부에 채우기 위한 내부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빙결관(10)은 교각 형태를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음료 인출 코크들(20)을 통해 다중으로 음료 인출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길게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곡률 및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는 것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빙결관(10)은 양측의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가 중심부에서 서로 만나 연결되어 교각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제1 빙결관부(11a)는 도면 상에서 교각의 좌측 부분을 이루며 내부에 별도 구획된 제1 수용 공간(15a)을 형성하고, 제2 빙결관부(11b)는 제1 빙결관부(11a)와 대칭되게 연결되며 교각의 타일측 부분을 이루며 내부에 제1 수용 공간과 별도로 구획된 제2 수용 공간(15b)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빙결관부(11a)와 제2 빙결관부(11b)는 각각 연통되게 서로 연장 체결되는 수직 교정관부(12a, 12b), 절곡관부(13a, 13b) 및 수평 연결관부(14a, 14b)로 이루어진다.
수직 고정관부(12a, 12b)는 테이블(100) 상에 하부 실링 체결부(60)에 의해 수직 고정되어 다리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절곡관부(13a, 13b)는 수직 고정관부(12a, 12b)의 수직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연결되며 상측이 서로 마주하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 부분이며, 수평 연결관부(14a, 14b)는 절곡관부(13a, 13b)의 수평 단부에서 연통되게 연장되며 교각 중심부에 서로 만나 연결되는 부분이다.
음료 인출 코크들(20)은 각각 빙결관(10)의 상측 수평 연장관부들(15a, 15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부 실링 체결부들(70)에 고정 설치된다.
한 음료 인출 코크(20)는 동일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실용신안출원 제2012-0003836호에 개시된 "개방형 생맥주 인출 밸브"를 적용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물론, 음료 인출 코크(20)가 한 상기한 "개방형 생맥주 인출 밸브"만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료 공급관(30)들을 통해 공급된 음료의 인출량을 단속 및 조절할 수 있는 한 좀더 다양한 형태의 음료 인출 코크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음료 공급관(30)은 빙결관(1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관통하며 빙결관(10)의 내부 수용 공간(15a. 15b)을 통해 각 음료 인출 코크들(20)에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생맥주통(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생맥주를 빙결관(10) 내에 채워지는 냉각 유체(100)에 의해 기설정된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음료 인출 코크들(20)를 통해 인출할 수 있게 공급하도록 한다.
여기서, 음료 공급관(30)은 두 개의 제1 음료 공급관(31a) 및 제2 음료 공급관(31b)으로 이루어진다.
제1 음료 공급관(31a)은 제1 빙결관부(11a)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통과하며 제1 빙결관부(11a)의 제1 수용 공간(15a)을 통해 제1 빙결관부(11a)의 수평 연결관부(14a)에 설치되는 다수의 음료 인출 코크들(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음료 공급관(31b)은 제1 음료 공급관(31a)과 마찬가지로 제2 빙결관부(11b)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통과하며 제2 빙결관부(11b)의 제2 수용 공간(15b)을 통해 제2 빙결관부(11b)의 수평 연결관부(14b)에 설치되는 다수의 음료 인출 코크들(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음료 인출 코크(20)를 통해 인출되는 생맥주의 냉각 온도는 생맥주의 맛을 한층 더 높여 이를 소비자가 풍미할 수 있도록 2°내지 5°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빙결관(10) 내부에 채워지는 냉각 유체(130)의 온도는 빙결관(10) 외부가 공기중 수분이 얼어 붙어 빙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료 공급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를 한 설정 온도 범위 이내로 냉각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대략 -3°내지 -7°범위 이내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냉각 유체(130)은 부동액으로 주로 사용되는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음료 공급관(30)은 생맥주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냉각 유체(130)에 의해 설정된 온도 범위 이내로 냉각되어 공급될 수 있어야 하며, 경우에 따라 생맥주가 냉각 유체(110)에 의해 과냉각되어 얼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Ⅲ부분의 음료 공급관에 대한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음료 공급관(31a) 및 제2 음료 공급관(31b)은 각각 이중관 형태를 이루는 음료 주공급관(35) 및 동결 방지관(36)으로 이루어진다.
음료 주공급관(35)은 실질적으로 생맥주통과 음료 인출 코크들(20)를 연결하며 생맥주를 공급하기 위한 무독성의 실리콘 호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동결 방지관(36)은 적어도 빙결관(10)의 내부 수용 공간들(15a, 15b) 내에서 음료 주공급관(35) 외부에 씌워져 이중관 형태를 이루는 무독성의 실리콘 호스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제1 음료 공급관(31a) 및 제2 음료 공급관(31b)을 동결 방지관(35)이 음료 주공급관(31)에 씌워진 이중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선택된 동결 방지관(35)의 두께 조절을 통해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의 온도가 높아져 빙결관(10)의 외부 빙결 상태 유지하기 위해 냉각 유체(110)의 온도를 더 낮추어야 하는 경우나, 시차를 두고 간헐적으로 생맥주를 인출하여 음료 공급관(30) 내부에 생맥주가 잔류하게 되는 경우 음료 주공급관(31) 내에 체류하는 생맥주가 냉각 유체(110)에 의해 과냉각되며 얼어 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냉각 유체 공급관(40)은 각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관통하며 빙결관(10)의 제1 빙결관부(11a)와 제2빙결관부(11b)의 내부로 연결되어, 제1 음료 공급관(31a) 및 제2 음료 공급관(31b)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빙결관(10)의 제1 빙결관부(11a)와 제2빙결관부(11b) 외측에 공기중의 수분이 얼어 붙어 빙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냉각 유체(130)를 빙결관(10)의 제1 빙결관부(11a)와 제2빙결관부(11b)들의 수용 공간(15a, 15b)들 내부로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냉각 유체 공급관(40)은 제1 냉각 유체 공급관(41) 및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으로 이루어진다.
제1 냉각 유체 공급관(41)은 제1 빙결관부(11a)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통과하며 제1 빙결관부(11a)의 제1 수용 공간(15a)으로 냉각 장치를 통해 냉각된 냉각 유체(130)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은 제2 빙결관부(11b)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통과하며 제2 빙결관부(11b)의 제2 수용 공간(15b)으로 냉각 유체(130)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1 냉각 유체 공급관(41) 및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은 각각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의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관통한 공급관 단부가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공급된 냉각 유체(150)가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의 수용 공간들(15a, 15b) 바닥면에서부터 차올라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5b) 내부로 관통 삽입된 각각 제1 냉각 유체 공급관(41) 및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의 공급관 단부에는 수직 상단부가 폐쇄한 상태로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분배 통공들(46)을 통해 측방향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45)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의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에 대한 정단면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45)는 각각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의 내에서 제1 수직 고정관부(12a) 및 제2 수직 고정관부(12b)의 각 바닥 고정판들(16a, 16b)을 관통하며 나사 체결되며 제1 냉각 유체 공급(41) 및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을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에 연결하는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62) 상측 단부에 나사 체결되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다.
따라서, 제1 냉각 유체 공급관(41) 및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을 통해 제1 빙결관부(11a)의 제1 수용 공간(15a, 15b)과 제2 빙결관부(11b)의 제2 내부 수용 공간(15a, 15b)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 유체(130)가 제1 빙결관부(11a)와 제2 빙결관부(11b)의 내부 수용 공간(15a, 15b)들의 바닥으로부터 차올라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빙결관(10)의 제1 빙결관부(11a)와 제2 빙결관부(11b) 내부에 채워지는 냉각 유체(130)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빙결관(10)의 외주면 상에 공기중 수분이 얼어 붙은 얼음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냉각 유체 공급관(41) 및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을 연결하는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62)의 상측 단부에 냉각 유체 분배기(45)를 달아 공급되는 냉각 유체(130)를 복수의 분배 통공들(46)을 통해 여러 측방향으로 분산시켜 공급해 줌으로써 빙결관(10)의 제1 빙결관부(11a)와 제2 빙결관부(11b)를 내부를 냉각 유체(130)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외부 온도가 높아져 빙결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급되는 냉각 유체(130)의 유속을 빠르게 하더라도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유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을 제1 빙결관부(11a)로부터 인출된 냉각 유체(130)를 제2 빙결관부(11b)에 재순환 공급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제1 냉각 유체 회수관(50)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처럼, 제2 냉각 유체 공급관(42)을 통해 제1 빙결관부(11a)에서 배출된 냉각 유체(130)를 제2 빙결관부(11b) 내부로 재순환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냉각 장지만으로 냉각 유체(130)를 냉각시켜 제1 빙결관부(11a)와 제2 빙결관부(11b) 내부에 순환 공급하여 냉각하도록 하여 장치의 구성을 좀더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냉각 유체 회수관(50)은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빙결관(10) 내부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빙결관(10)의 수용 공간들(15a, 15b) 내부에 채워진 상기 냉각 유체(130)를 순환 공급할 수 있게 외부의 냉각 장치 쪽으로 인출하도록 연장 설치되다.
여기서, 냉각 유체 회수관(50)은 제1 냉각 유체 회수관(51a) 및 제2 냉각 유체 회수관(51b) 으로 이루어진다.
제1 냉각 유체 회수관(50)은 제1 빙결관부(11a)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통과하여 제1 빙결관부(11a)의 제1 수용 공간(15a) 내부 최상측 천장부에 연장 설치되어, 제1 빙결관부(11a)의 제1 수용 공간(15a)에 차올라 채워진 냉각 유체(130)를 제1 수용 공간(15ab) 내부 최상측 천장부에서 회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냉각 유체 회수관(51b)은 제1 냉각 유체 회수관(51a)과 마찬가지로 제2 빙결관부(11b)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60)를 통과하여 제1 빙결관부(11a)의 제2 수용 공간(15b) 내부 최상측 천장부에 연장 설치되어, 제2 빙결관부(11b)의 제2 수용 공간(15a, 15b)에 차올라 채워진 냉각 유체(130)를 제1 빙결관부(11a)의 제2 수용 공간(15a, 15b) 내부 최상측 천장부에서 회수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빙결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빙결관부(11a)의 수평 연결관부(14a, 14b) 및 제2 빙결관부(11b)의 수평 연결관부(14a, 14b) 내부 상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링 형상의 회수관 고정 홀더(57)가 구비된다.
회수관 고정 홀더(57)는 제1 냉각 유체 회수관(51a) 및 제2 냉각 유체 회수관(51b)이 끼워져 제1 빙결관부(11a)의 제1 수용 공간(15a)과 제2 빙결관부(11b)의 제2 수용 공간(15b)의 내부 상측 천장면을 따라 가설되도록 잡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2의 Ⅵ부분을 확대 도시한 인출 헤드의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냉각 유체 회수관(51a) 및 제2 냉각 유체 회수관(51b)의 연장 단부에는 끼워져 체결 고정되는 인출 헤드(55)가 구비된다.
인출 헤드(55)는 제1 빙결관부(11a)의 수평 연결관부(14a) 및 제2 빙결관부(11b)의 수평 연결관부(14b)의 연결측 단부의 내부 천장을 향해 개방되게 회수공(5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이를 통해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 내부에 차올라 채워지는 냉각 유체(130)를 최상측에 천장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1 냉각 유체 회수관(51a) 및 제2 냉각 유체 회수관(51b)의 연장 단부에 각각 인출 헤드(55)를 설치해 줌으로써, 냉각 유체가 빙결관(10)의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의 하부에서부터 차오른 후 인출될 있도록 하여 내부 상측에 냉각 유체(130)가 덜 채어져 부분적으로 빙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최상측 청장 부분에 접하게 설치하더라도 막히지 않고 냉각 유체(130)의 회수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2의 빙결관의 하부 실링 체결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빙결관부(11a)와 제2 빙결관부(11b)를 테이블(100) 상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냉각 유체(130)의 누설 없이 음료 공급관(30), 냉각 유체 공급관(40) 및 냉각 유체 회수관(50)을 연결하기 위한 하부 실링 체결부(60)는 바닥 고정판(16a, 16b), 음료 공급관 연결구(61),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62) 및 냉각 유체 회수관 연결구(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 고정판(16a, 16b)은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의 수직 고정관부(12a, 12b)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음료 공급관 연결구(61),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62) 및 냉각 유체 회수관 연결구(63)들을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통공들(17, 18, 19)이 관통 형성된다.
음료 공급관 연결구(61)는 각 바닥 고정판들(16a, 16b)의 제1 통공(17)을 통해 관통되게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니플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 각각 생맥주통을 연결하도록 가설되는 외측 음료 공급관(31a, 31b)과 제1 빙결관부(11a)와 제2 빙결관부(11b) 내부에서 음료 인출 코크들(20)을 연결하도록 가설되는 내측 음료 공급관(31a, 31b)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한다.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62)는 각 바닥 고정판들(16a, 16b)의 제2 통공(18)을 통해 관통되게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니플 형태로 이루어지며, 냉각 유체 공급관들(41, 42)을 실링 가능하게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 내부로 연결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고정판들(16a, 16b)을 관통한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62)의 상측 단부(62b)에는 상기한 냉각 유체 분배기(55)가 나사 체결되어 일체로 고정된다.
냉각 유체 회수관 연결구(63)는 각 바닥 고정판들(16a, 16b)의 제3 통공(19)을 통해 관통되게 끼워져 나사 체결되는 니플 형태로 이루어지며, 냉각 유체 회수관(50)들을 실링 가능하게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 내부로 연결하도록 한다.
제1 빙결관부(11a)측 냉각 유체 회수관 연결구(63)의 상측 단부(63b)에는 제1 빙결관부(11a) 내부에 연장 가설되는 내측의 제1 냉각 유체 회수관(51a)이 끼워져 연결되고, 하측 단부(63a)에는 냉각 장치를 연결하는 제1 냉각 유체 공급관(42)이 끼워져 연결된다.
그리고, 제2 빙결관부(11b)측 냉각 유체 회수관 연결구(63)의 상측 단부(63b)에는 제2 빙결관부(11b) 내부에 연장 가설되는 내측의 제2 냉각 유체 회수관(51b)이 연결되고, 하측 단부(63a)에는 냉각 장치를 연결하는 외측의 제2 냉각 유체 회수관(51b)이 끼워져 연결된다.
도 8은 도 2의 상부 실링 체결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상부 실링 체결부를 분해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 실링 체결부(70)는 상부 고정 부싱(71), 패킹 가압 칼라(72), 패킹 부재(73), 코크 체결 부싱(74), 음료 공급관 컨넥터(75), 코크 체결 너트(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고정 부싱(71)은 제1 빙결관부(11a) 및 제2 빙결관부(11b)의 수평 연결관부(14a, 14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연통되게 상측 측벽면에 매립 고정되어 음료 인출 코크들을 연결하기 위한 자리부를 형성한다.
패킹 가압 칼라(72)는 각 상부 고정 부싱(71)의 외측 단부에서 연통되게 끼워져 나사 체결되며 연장 결합되며, 상부 고정 부싱(71) 내부에서 패킹 가압 칼라(72) 내측 단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 형태의 패킹 부재(73)를 가압하여 상부 고정 부싱(71)과 패킹 가압 칼라(72)의 사이를 실링하며 상기 음료 공급관 단부를 내측으로 통과시키도록 한다.
코크 체결 부싱(74)은 패킹 가압 칼라(72) 외측 단부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며 연장 결합되며, 코크 체결 너트(75)에 의해 연장 결합되는 음료 인출 코크(20)와 연통되는 음료 공급 유로(74a)를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코크 체결 부싱(74)의 내부의 음료 공급 유로(74a) 상에는 음료 인출 코크(20)를 통한 생맥주 인출시 유량 조절을 위한 원주형 플러그(21)가 끼워지도록 이에 대응되는 단면 축소 유로부가 형성하게 된다.
음료 공급관 컨넥터(75)는 패킹 가압 칼라(72) 내에 수납된 상태로 코크 체결 부싱(74)의 체결 단부 쪽에 연통되게 나사 체결되어, 패킹 가압 칼라(72)의 음료 공급관 관통공을 통과한 음료 공급관(30)의 단부를 끼워 코크 체결 부싱(74)의 내부에 형성된 음료 공급 유로에 연결하도록 한다.
코크 체결 너트(76)는 코크 체결 부싱(74) 외주면 상에 끼워져 걸림턱을 형성하는 외측 플렌지부(74b)에 걸린 상태로 음료 인출 코크(20)에 나사 체결되어, 코크 체결 부싱(74)의 내부 음료 공급 유로(74a)에 연통되게 음료 인출 코크(20)를 연장 결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1)는 한 본 발명의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에 따르면, 생맥주와 같은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빙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공급된 생맥주를 복수의 음료 인출 코크를 통해 다중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맥주의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사업장의 경우 테이블 상에 개별 구성된 복수의 생맥주 인출 장치들을 설치 발생하는 설치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생맥주와 같은 음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빙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공급된 생맥주를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맥주의 냉각에 필요한 냉각 장치의 별도 구성을 줄여 장치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생맥주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생맥주 인출 장치의 빙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생맥주를 냉각하도록 함으로써, 시차를 두고 간헐적으로 생맥주의 인출이 이루어지더라고 인출된 생맥주의 냉각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생맥주 공급관 내에 잔류하며 냉기가 식어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주 공급관 내의 잔류량을 주기적으로 배출시켜 버려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맥주 인출 장치를 이루는 빙결관의 외부가 공기중 수분이 얼어 붙어 빙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이를 통해 인출되는 생맥주의 시원함을 시각적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호기심을 자극하여 생맥주의 판촉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0: 빙결관
11a: 제1 빙결관부 11b: 제2 빙결관부
12a, 12b: 수직 고정관부 13a, 13b: 절곡관부
14a. 14b: 수평 연결관부 15a: 제1 수용 공간
15b: 제2 수용 공간 16a, 16b: 바닥 고정판
20: 음료 인출 코크 21: 플러그
30: 음료 공급관 31a: 제1 음료 공급관
31b: 제2 음료 공급관 40: 냉각 유체 공급관
41a: 제1 냉각 유체 공급관 41b: 제2 냉각 유체 공급관
45: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 46: 분배 통공
50: 냉각 유체 회수관 51a: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51b: 제2 냉각 유체 회수관 55: 인출 헤드
56: 회수공 57: 회수관 고정 홀더
60: 하부 실링 체결부 61: 음료 공급관 연결구
62: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 63: 냉각 유체 회수관 연결구
70: 상부 실링 체결부 71: 상부 고정 부싱
72: 패킹 가압 칼라 73: 패킹 부재
74: 코크 체결 부싱 75: 음료 공급관 컨넥터
76: 코크 체결 너트 100: 테이블
110: 얼음(결빙) 120: 음료(생맥주)
130: 냉각 유체

Claims (17)

  1. 테이블 상에서 교각 형상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지는 빙결관;
    상기 빙결관의 상측 수평 연장관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부 실링 체결부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음료 인출 코크;
    상기 빙결관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하부 실링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빙결관 내에 연장 설치되고, 상기 각 상부 실링 체결부들을 통해 상기 각 음료 인출 코크들을 연결하는 음료 공급관;
    상기 각 하부 실링 체결부를 관통하며 상기 빙결관 내부로 연결되게 상기 음료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음료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상기 빙결관의 외측에 공기중의 수분이 얼어 붙어 빙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빙결관의 수용 공간 내부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냉각 유체 공급관; 및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빙결관 내부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빙결관의 수용 공간 내부에 채워진 상기 냉각 유체를 순환 공급할 수 있게 외부로 인출하도록 설치되는 냉각 유체 회수관;를 포함하고,

    상기 빙결관은,
    교각 일측 부분을 이루며 내부에 별도 구획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1 빙결관부와 대칭되게 연결되며 교각의 타일측 부분을 이루고 내부에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별도로 구획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빙결관부;을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는,
    상기 테이블 상에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에 의해 수직 고정되는 수직 고정관부;
    상기 수직 고정관부 수직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연결되며 상측이 서로 마주하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관부; 및
    상기 절곡관부의 수평 단부에서 연통되게 연장되며 중심부에 서로 만나 연결되게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수평 연결관부;을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각 음료 인출 코크들은,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상기 수평 연결관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각 상부 실링 체결부를 통해 상기 음료 공급관에 연결되게 고정 설치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음료 공급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1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상기 수평 연결관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음료 인출 코크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1 음료 공급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2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상기 수평 연결관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음료 인출 코크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2 음료 공급관;을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음료 공급관 및 상기 제2 음료 공급관은,
    상기 음료를 상기 음료 인출 코크들로 공급하도록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음료 주공급관; 및
    적어도 상기 빙결관의 내부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음료 주공급관 외부에 씌워져 이중관 형태를 이루는 동결 방지관;을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냉각 유체 공급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1 수용 공간으로 상기 냉각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1 냉각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제2 수용 공간으로 상기 냉각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2 냉각 유체 공급관;를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냉각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공급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제2 빙결관부의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관통한 공급관 단부가 바닥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제2 빙결관부 내부에서 각각 상기 제1 냉각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공급관의 공급관 단부에 체결되어, 수직 상단부를 폐쇄한 상태로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분배 통공들을 통해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를 더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냉각 유체 회수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1 수용 공간 내부 최상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1 수용 공간에 차올라 채워진 냉각 유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를 고정하는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제2 수용 공간 내부 최상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제2 수용 공간에 차올라 채워진 냉각 유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유체 회수관;를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회수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와 상기 제2 빙결관부 내부의 회수관 연장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의 연결측 단부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회수관의 회수관 연장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의 연결측 단부의 내부 천장부를 향해 회수공이 형성되는 인출 헤드;를 더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 내부 상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인출 헤드들 및 상기 제1 냉각 유체 회수관 및 상기 제2 냉각 유체 회수관을 고정하기 위한 링 형상의 고정 홀더가 구비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4. 제9항에서,
    상기 제2 냉각 유체 공급관은
    상기 제1 빙결관부로부터 인출되는 냉각 유체를 상기 제2 빙결관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냉각 유체 회수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하부 실링 체결부는,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직 고정관부 하단부들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 고정판;
    상기 각 바닥 고정판들을 관통하며 나사 체결되어 상기 음료 공급관들을 실링 가능하게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 내부로 연결하는 음료 공급관 연결구;
    상기 각 바닥 고정판들을 관통하며 나사 체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 공급관들을 실링 가능하게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 내부로 연결하는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 및
    상기 바닥 고정판들을 관통하며 나사 체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 회수관들을 실링 가능하게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 내부로부터 연결하는 냉각 유체 회수관 연결구;를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냉각 유체 분배 공급기들은,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내에서 각각 상기 냉각 유체 공급관 연결구들 상측 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17. 제3항에서,
    상기 상부 실링 체결부는,
    상기 제1 빙결관부 및 상기 제2 빙결관부의 수평 연결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연통되게 상측 측벽면에 매립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 고정 부싱;
    상기 각 상부 고정 부싱의 외측 단부에서 연통되게 끼워져 나사 체결되며 고정되는 원통형의 패킹 가압 칼라;
    상기 상부 고정 부싱 내부에서 상기 패킹 가압 칼라 내측 단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부 고정 부싱과 상기 패킹 가압 칼라 사이를 실링하며 상기 음료 공급관 단부를 상기 패킹 가압 칼라 내부로 통과시키는 패킹 부재;
    상기 패킹 가압 칼라 외측 단부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며 연장 결합되며 코크 체결 부싱;
    상기 패킹 가압 칼라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음료 인출 코크 내측 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패킹 부재를 관통해 상기 패킹 가압 칼라 내부로 인입된 상기 음료 공급관의 단부를 상기 코크 체결 부싱의 내부 유로와 연통되게 연결하는 음료 공급관 컨넥터; 및
    상기 코크 체결 부싱 외주면 상에 끼워져 상기 코크 체결 부싱의 내부 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음료 인출 코크를 나사 체결하여 결합하는 코크 체결 너트;를 포함하는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KR1020130167374A 2013-12-30 2013-12-30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KR10157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74A KR101576440B1 (ko) 2013-12-30 2013-12-30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74A KR101576440B1 (ko) 2013-12-30 2013-12-30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194A KR20150078194A (ko) 2015-07-08
KR101576440B1 true KR101576440B1 (ko) 2015-12-10

Family

ID=5379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374A KR101576440B1 (ko) 2013-12-30 2013-12-30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73Y1 (ko) * 2015-11-12 2017-09-26 최승우 생맥주 인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787A (en) * 1996-01-29 1997-12-09 Cleleand; Robert K. Counter top beer chilling dispensing tower
EP1795493A1 (de) 2005-12-08 2007-06-13 Friedhelm Selbach Gmbh Getränke-Zapfsäule mit einer gekühlten Flüssigkeitsleitung
KR200448509Y1 (ko) 2009-10-28 2010-04-21 주식회사 에프씨이노베이션 케이스 냉각수단을 구비한 생맥주 인출장치
KR200456604Y1 (ko) 2009-04-15 2011-11-08 오비맥주 주식회사 음료 냉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787A (en) * 1996-01-29 1997-12-09 Cleleand; Robert K. Counter top beer chilling dispensing tower
EP1795493A1 (de) 2005-12-08 2007-06-13 Friedhelm Selbach Gmbh Getränke-Zapfsäule mit einer gekühlten Flüssigkeitsleitung
KR200456604Y1 (ko) 2009-04-15 2011-11-08 오비맥주 주식회사 음료 냉각기
KR200448509Y1 (ko) 2009-10-28 2010-04-21 주식회사 에프씨이노베이션 케이스 냉각수단을 구비한 생맥주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194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9013B (zh) 用于模块式分发塔的方法和装置
US200902147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aromatic hot drinks, particularly coffee and tea
CN204811874U (zh) 碳酸饱充单元和饮料分配器
WO2010151390A3 (en) Semi-frozen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US20110215114A1 (en) Dispensing part for a water cooler, and water cooler comprising such a part
CN103371264A (zh) 用于加工并保存冰激凌、雪泥饮料和类似产品的机器
KR20170066347A (ko) 음료 칠러와, 관련 시스템 및 방법
WO2008034548A3 (de) Behälter zum kühlen und/oder kühlhalten von speisen und/oder getränken
CN104709865A (zh) 饮料提供机
KR101576440B1 (ko)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KR101415639B1 (ko) 빙결관을 이용한 단일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KR101551473B1 (ko) 생맥주 냉각 취출 장치
US20160023882A1 (en) Beverage system ice maker and ice and water reservoir
ITRM20120119A1 (it) Sistema perfezionato di erogazione di bevande.
EP3584216B1 (en) Cooled foam on beer detector
KR101346963B1 (ko) 와인 냉각장치
KR102025672B1 (ko) 음료 냉각 장치
KR102038936B1 (ko) 음료 분배 라인 교체 장치
KR101632413B1 (ko)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KR102038196B1 (ko) 음료 분배 장치
KR102288480B1 (ko) 음료용 디스펜서
CN102026906B (zh) 用于手动分配发泡和/或充气饮料的装置
CN103026153B (zh) 用于自冷却和自分配液体的桶式装置
EP3819258A1 (e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BR102014004973A2 (pt) aparelho de distribuição de bebida, e método para produzir uma beb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