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802B1 -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802B1
KR101575802B1 KR1020090057674A KR20090057674A KR101575802B1 KR 101575802 B1 KR101575802 B1 KR 101575802B1 KR 1020090057674 A KR1020090057674 A KR 1020090057674A KR 20090057674 A KR20090057674 A KR 20090057674A KR 101575802 B1 KR101575802 B1 KR 10157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unit
information
patent document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223A (ko
Inventor
김일동
Original Assignee
(주)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윕스 filed Critical (주)윕스
Publication of KR2010000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34Details of monitoring file system events, e.g. by the use of hooks, filter drivers, lo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메모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부가하는 메모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특허문서를 열람하는 일련의 작업흐름을 구조적으로 자동 기록함으로써, 사용자는 작업을 기록하는 별도의 번거로움이 없이, 자신이 작업한 흐름을 사후에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허문서, 열람, 검색, 로그, 메모, 공유

Description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 { A automatic recording system for information about operations of searching and reading patent documents and th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메모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검색 또는 열람한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 작업정보를 캘린더 형식으로 보여주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허검색이라 함은 특정 기술과 관련이 있거나 유사한 기술내용을 가지는 특허문서를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특허문서는 주로 공개된 공보를 말하고, 공보에는 공개공보 또는 등록공보 등이 있다. 또한, 특허문서는 특허 이외에도 실용신안이 포함된다.
그런데 특허문서는 일반적인 문서와는 달리 문서 자체가 상당히 구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특허문서는 서지사항과 본문내용으로 구분된다. 특허문서의 서지사항은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등 특허문서의 식별번호와, 발명의 명칭, 출원인, 발명자, 대리인, IPC분류, 출원일자, 심사청구일자 등 특허문서의 식별이나 특성, 권리 등을 나타내는 정보들이다. 본문내용은 특허 본연의 기술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역시 본문내용도 요약, 청구범위, 도면, 배경기술, 상세한 설명 등으로 내용적으로도 구분되어 구조화되어 있다.
한편, 특허검색은 상기와 같이 구조화된 특허문서를 대상으로, 본문내용에 대하여 검색어를 이용하거나 각종 서지사항 등의 항목들에 대하여 제한을 두어, 이에 적합한 특허문서를 추려냄으로써 수행된다. 그리고 추려낸 특허문서를 대상으로 일일이 그 특허문서의 내용을 검토하여 그 특허문서가 찾고자 하는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특허문서의 내용을 검토하기 위한 특허문서의 열람방식은 특허문서의 원문 전체를 확인해 보는 방식, 요약, 청구범위, 도면, 주요 서지사항 등 일부만 확인해 보는 방식 등 다양하다. 또한, 특허문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열람하기 위해서 특허문서의 내용 중 가장 핵심적인 사항들만 모아 열람하는 방식도 있다.
또한, 특허문서의 열람방식 중에서 관계가 있는 다른 특허문서와 서로 링크하여 열람하는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서가 인용하고 있는 다른 특허문서를 나타내는 인용관계, 또는 원출원이 동일하나 각국별로 출원하는 특허문서들의 관계인 패밀리 관계 등이 있다. 특허검색 시스템 중 일부는 이들 인용관계 또는 패밀리 관계에 있는 특허문서들을 서로 링크로 연결하여, 한 특허문서를 열람하다가 다른 특허문서를 링크로 바로 연결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요약하면, 특허문서를 검색하는 과정은 특허문서를 검색식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특허문서들의 집합인 검색결과를 추출하는 검색작업과, 검색된 결과 집합에 속하는 특허문서의 내용을 직접 확인하는 열람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특허문서를 검색하기 위해 반복되는 작업들의 궤적이 검색을 자주하는 사용자에게는 중요하다. 검색을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특정분야를 자주 검색하게 되고, 검색하는 특허문서나 검색식 등이 겹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검색을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는 과거에 자신이 검색하였던 기록을 가지고 있으면 보다 효과적인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과거에 검색작업을 수행했던 기술분야와 유사한 기술에 대해 다시 검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과거에 이용하였던 각종 검색어나 검색식 등을 알고, 더 나아가, 어느 검색어가 적중률이 높은 검색어인지 알거나, 어느 검색식을 이용하였을 때 검색되는 결과의 수가 얼마인지를 안다면 시행착오 없이 보다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검색작업 또는 열람작업의 궤적을 알 수 있다면, 검색식에 의한 검색결과 중 어느 특허문서를 심도 있게 열람했는지, 어느 수준까지 특허문서를 열람했는지 등을 알 수 있다. 이런 열람작업의 궤적도 검색수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검색작업 또는 열람작업을 할 때 작업중 사용자가 판단한 사항을 메모로 기록해두면, 사후에 다시 작업을 수행할 때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과거에 사용자가 수행했던 상기와 같은 작업뿐만 아니라 그 궤적을 알 수 있고 그 궤적상의 작업에 메모를 남긴다면, 반복적인 열람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메모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검색 또는 열람한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 작업정보를 캘린더 형식으로 보여주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부가하는 메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부가하는 메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은 검색작업 또는 열람작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단위작업이 검색작업이면, 추출하는 작업정보는 검색식, 검색결과의 수, 검색시각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면, 추출하는 작업정보는 특허문서 식별정보, 열람형태, 열람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폴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폴더는 저장된 작업정보의 개수를 카운트하되, 자신의 하위 폴더의 작업정보의 개수도 포함하여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공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단계는 공유할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메일로 송신하고, 상기 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공유를 수락하면 상기 작업정보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단계는 공유할 작업정보의 공유기간을 공유 메일과 함께 송신하고, 상기 공유기간 동안만 작업정보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단계는 상기 작업정보를 폴더 단위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보여주는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캘린더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검색작업의 작업정보, 열람작업의 작업정보, 메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만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연관구조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관구조는 트리구조의 형상을 갖되, 검색작업의 작업정보를 루트 노드로 구성하고, 열람작업의 작업정보를 트리 내의 노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관구조에서, 열람작업의 작업정보의 노드는 식별정보 노드와 열람형태 노드로 구분되고, 열람형태의 노드의 상위노드와 하위노드는 작업순서에 의하여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작업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부가하는 메모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은 검색작업 또는 열람작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추출부는, 상기 단위작업이 검색작업이면, 검색식, 검색결과의 수, 검색시각을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면, 특허문서 식별정보, 열람형태, 열람시각을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로그 시스템 은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유부는 공유할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메일로 송신하고, 상기 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공유를 수락하면 상기 작업정보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유부는 공유할 작업정보의 공유기간을 공유 메일과 함께 송신하고, 상기 공유기간 동안만 작업정보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로그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보여주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캘린더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연관구조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관구조는 트리구조의 형상을 갖되, 검색작업의 작업정보를 루트 노드로 구성하고, 열람작업의 작업정보를 트리 내의 노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관구조에서, 열람작업의 작업정보의 노드는 식별정보 노드와 열람형태 노드로 구분되고, 열람형 태의 노드의 상위노드와 하위노드는 작업순서에 의하여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업로그 시스템과, 특허문서를 열람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특허검색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특허검색시스템에 단위작업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작성하고, 상기 특허검색시스템에 상기 메모를 상기 작업정보에 부가하도록 요청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를 누적 반복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까지의 전부 또는 일부의 메모가 부가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작업로그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허문서를 열람하는 일련의 작업흐름을 자동 기록함으로써, 사용자는 작업을 기록하는 별도의 번거로움이 없이, 자신이 작업한 흐름을 사후에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메모를 저장하여 활용하고 더 나아가 다른 사람의 작업이력도 참조함으로써, 과거의 작업을 이용하여 시행착오 없이 빠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추출한 작업정보를 캘린더 형식 또는 연관구조 형식으로 봄으로써,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전체작업의 궤적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예시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은 특허검색시스템(21), 특허문서DB(22), 인터페이스(23), 사용자 단말기(10), 네트워크(11), 작업로그 시스템(30), 작업로그DB(40)으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23)는 사용자 단말기(10)와 특허검색 시스템(21) 또는 작업로그 시스템(30)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사항(또는 서비스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서버이다. 일례로, 인터페이스(23)는 웹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인터페이스(23)는 사용자 단말기(10)와 네트워크(11)를 통해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인터넷 상에서 특정한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먼저 웹서 버에 접속한다. 웹서버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기 서비스의 트랜잭션 처리를 요청한다.
상기 특허검색시스템(21) 및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일종에 해당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23)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검색 또는 열람 서비스 요청(단위작업 요청 또는 단위작업 트랜잭션)을 받아, 상기 서비스 요청(단위작업 요청)을 상기 특허검색 시스템(21) 또는 작업로그 시스템(30)에 전송하여 처리하게 한다. 또, 인터페이스(23)는 그 결과를 받아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따라서 특허검색 시스템(21) 또는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인터페이스(23) 및 네트워크(11)를 거쳐 사용자 단말기(10)와 연결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들(21, 30)과 사용자 단말기(10)의 상호작용를 설명할 때 인터페이스(23)와 네트워크(11)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특허문서DB(22)는 특허문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특허문서는 공개특허공보 또는 등록특허공보를 지칭한다. 특허문서는 특허만이 아니라 실용신안도 포함될 수 있다. 실용신안은 권리의 내용만 다를 뿐 특허공보와 검색항목이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특허문서를 지칭할 때는 실용신안공보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특허문서DB는 국내 또는 국외 특허공보를 모두 포함한다. 즉, 각국 특허청 또는 WIPO에서 발행되는 특허공보를 모두 대상으로 한다.
상기 특허검색시스템(21)은 통상의 특허검색시스템을 말한다. 특허검색시스템(21)은 사용자 단말기(10)와 네트워크(1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10)가 직접 특허검색시스템(21)과 연결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특허검색시스템(21)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요구하는 하나의 요청에 대하여 특허검색시스템(21)이 수행하는 작업을 이하에서 단위작업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요청하여 특허검색시스템(21)이 단위작업을 수행하기까지의 과정을 단위작업 트랜잭션이라 부르기로 한다. 즉, 단위작업 트랜잭션은 특허검색시스템(21)이 수행하는 단위작업이외에도 사용자 단말기(10)가 특허검색시스템(21)에 요청하는 사항도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기(10)의 예로는 PC, 노트북, 넷북, PDA, 모바일 등이 있으며, 그 구성 및 작동원리는 본 분야에서 통상으로 사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액정표시화면, 모니터 등 출력장치의 화면에 특허검색시스템(21)이 단위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단위작업의 결과를 작업결과 페이지(또는 화면)라 칭하기로 한다. 특허문서의 원문보기 등의 단위작업은 원문을 다운로드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원문을 보여주나, 이것도 넓은 의미에서 하나의 작업결과 페이지(또는 화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검색 또는 열람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설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한다. 또, 도면부호 10을 사용자 단말기 이외에 회원에게도 붙이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작업결과 페이지는 사용자가 다른 단위작업을 요청할 수 있도록 링크나 명령버튼 등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링크나 명령버튼을 누름으로써, 다음 단계의 단위작업을 특허검색 시스템(21)에 요청하게 된다. 이 요청에 의해 새로운 단위작업 트랜잭션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되면 새로운 작업결과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되어 보여주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링크나 명령버튼에 의해 단위작업간의 작업순서가 정해진다.
즉, 단위작업 A에 의한 작업결과 페이지의 링크나 명령버튼에 의해 수행되는 단위작업을 단위작업 B라고 하면, 단위작업 B는 단위작업 A의 다음에 발생되는 작업이다.
또한, 상기 링크나 명령버튼에는 이전 화면 또는 이전 페이지를 보는 명령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에 검색요청에 의한 작업결과 페이지가 보여주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작업결과 페이지에는 특허문서의 목록이 표시될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작업결과 페이지에서 하나의 특허문서를 선택하여 열람하였다가 다시 상기 작업결과 페이지로 돌아와 다른 특허문서를 선택하여 열람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특허문서를 열람하는 2개의 작업은 모두 직전의 검색요청에 의한 단위작업 이후에 수행된 단위작업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하나의 특허문서는 인용관계나 패밀리 관계 등 자신과 관계가 있는 다른 특허문서들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특허문서를 열람하다가 관계있는 다른 특허문서를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서 A를 열람하다가 특허문서 A의 패밀리인 특허문서 B를 열람할 수 있다. 이때, 특허문서 A의 열람작업(또는 단위작업)은 특허문서 B의 열람작업(또는 단위작업)의 직전 특허문서 다. 한편, 이를 위해, 특허검색시스템(21)은 특허문서 A를 열람하는 페이지에 특허문서 B를 열람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특허문서들간의 관계는 인용관계나 패밀리 관계와 같이 특허문서의 서지사항에 의한 관계뿐만 아니라 특허검색시스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관계도 포함한다.
상기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특허검색 시스템(21) 사이에서 단위작업 트랜잭션을 캡쳐(capture)하여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단위작업을 요청하고 특허검색시스템(21)이 상기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것을 캡쳐(capture)한다.
한편, 상기 캡쳐(capture)는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기록 또는 저장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단위작업의 트랜잭션 캡쳐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0)와 특허검색 시스템(21)에서 주고 받는 웹페이지 또는 요청명령을 중간에서 가져와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일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3) 부분에 작업을 기록(로그)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부가하여 단위작업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는, 특허검색시스템(21) 자체가 작업로그를 기록하고 그 기록한 작업로그를 읽어오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첫번째 방식은 특허검색시스템(21)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효율측면에서 떨어지고, 마지막 방식은 특허검색시스템(21)이 필요한 작업로그를 작성할 수 있도록 변경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가장 효율적이다. 두번째 방식은 나머지 두 방식에 비해 그 중간의 장단점을 갖는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로그 시스템(30)과 특허검색 시스템(21)이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사용자 단말기(10)에서는 인터페이스(23)를 통해,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사용자는 상기 2개의 시스템을 같이 이용하는 것이 검색을 하는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특허검색을 할 때 바로 과거의 작업 기록을 참조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과거의 작업 기록을 보다가 관련 특허문서를 직접 열람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로그DB(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작업로그DB(40)는 검색작업의 작업정보인 검색식을 저장하는 검색식DB(41),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DB(42), 열람작업의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열람로그DB(43), 연관구조를 저장하는 연관구조DB(44)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작업로그DB(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 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허문서의 검색로그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특허문서의 검색로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은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추출단계(S10); 및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부가하는 메모단계(S20)로 나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공유단계(S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보여주는 출력단계(S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하여 특허검색 시스템(21)이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단위작업을 수행하면,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S10).
앞서 본 바와 같이 단위작업은 사용자 단말기의 작업요청에 대하여 특허검색시스템(21)이 상기 요청에 대한 작업결과(또는 작업결과 화면 또는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작업정보를 추출하는 대상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작 업요청과 특허검색시스템(21)이 전송하는 작업결과 페이지이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10)의 작업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단위작업의 직전 단위작업을 알 수 있고, 상기 작업결과 페이지에를 분석하여 현재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단위작업은 검색작업과 열람작업으로 분류된다.
검색작업은 검색식을 이용하여 검색식을 만족하는 특허문서의 목록을 요청하는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특허문서의 목록에서는 특허문서에 대한 기본정보만 보여준다. 예를 들면,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발명의 명칭, 공개일 등 특허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이다. 상기 특허문서의 목록이 곧 검색작업에 의한 검색결과이다. 참고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는 특허문서의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등 특허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번호를 말한다.
도 3a는 검색식을 이용하여 검색을 하는 화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고, 도 3b는 도 3a의 검색식을 이용한 검색의 결과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열람작업은 상기와 같은 검색결과(또는 특허문서의 목록)를 보고 그 중에서 보고자 원하는 특허문서를 선택하여 선택된 문서의 내용을 보는 작업이다. 문서의 내용을 보여주는 열람형태는 여러 형태가 가능하다. 특히, 특허검색시스템(21)에 따라 열람형태를 여러 가지로 지원하는 경우도 많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특허문서의 원문 전체를 보여주는 형태이다. 원문은 어느 특허검색시스템이나 동일한 형태이다. 그 외에 특허문서의 핵심적인 사항들, 예를 들면,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국가, 문헌종류, 출원인, 발명자, 요약, 대표도면, IPC분류, 대표청구항 등을 보여주는 상세보기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또, 별도로 청구항이나, 요약, 대표도면 등 특허문서의 일부만 보여주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즉, 열람형태는 상세보기, 원문보기, 패밀리 보기, 인용항 보기, 청구항 보기, 명세서 보기 등이 있다.
도 4는 상세보기에 의한 특허문서 열람을 예시한 도면이다.
직전 단위작업은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되기 바로 직전의 단위작업을 말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작업이 작업결과 페이지의 링크나 명령버튼에 의해 수행된 것이라면, 상기 작업결과 페이지를 요청한 단위작업이 직전 단위작업이 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검색작업에 의한 작업결과 페이지에는 검색결과의 특허문서 목록이 있을 것이다. 이 중 하나의 특허문서의 원문을 보는 열람작업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열람작업의 직전 단위작업은 검색작업이 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하나의 열람작업 A에 의한 작업결과 페이지에 여러 가지의 열람형태로 볼 수 있는 다수의 링크나 명령버튼이 있다. 이때, 사용자는 그 중 하나의 링크나 명령버튼을 눌러 열람작업 B를 요청한다. 그러면, 열람작업 B에 대한 작업결과 페이지를 보게 된다. 그리고 다시 열람작업 A의 작업결과 페이지로 돌아와서, 또 다른 열람형태의 링크나 명령버튼을 누른다. 그래서 열람작업 C를 요청하고 그 결과 또 다른 작업결과 페이지를 본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다른 2개의 열람작업 B와 C는 모두 직전의 열람작업 A 이후에 수행된 것으로 본다. 상기 예와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특허문서에 다른 열람형태로 열람하는 경우에는 특허문서의 식별정보는 변하지 않는다. 즉, 같은 특허문서를 다른 열람형태로 보는 것이다.
한편, 특허문서는 우선권주장, 분할출원 등 패밀리 정보나, 인용된 특허문 서, 인용한 특허문서 등의 인용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특허문서의 열람작업에 의한 결과로서 작업결과 페이지에, 상기와 같은 패밀리 정보나 인용정보가 있고 이들 정보에 대한 열람요청을 할 수 있는 링크나 명령버튼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링크나 명령버튼을 누르면, 관련된 다른 특허문서를 열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직전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라 하더라도 특허문서의 식별정보는 변한다. 즉, 다른 특허문서를 열람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열람작업의 직전 단위작업은 검색작업 또는 열람작업이 될 수 있고, 상기 열람작업에서 열람하는 특허문서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른 특허문서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위작업의 직전 단위작업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사용자가 어떤 작업결과 페이지에서 단위작업을 요청하였는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단위작업을 요청할 때의 작업결과 페이지를 요청한 단위작업이 직전 단위작업이다.
한편, 상기 단위작업은 검색작업과 열람작업으로 구분되므로, 각각에 대하여 다른 작업정보가 추출되어 저장된다. 즉, 상기 단위작업이 검색작업이면, 추출하는 작업정보는 검색식, 검색결과의 수, 검색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면, 추출하는 작업정보는 특허문서 식별정보, 열람형태, 열람시간을 포함한다.
단위작업이 검색작업일 때, 검색식은 필히 저장해야 한다. 만약 2개의 검색작업이 검색식이 동일하면 상기 검색작업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검색식 이외에 저장할 수 있는 사항은 검색식에 의해 검색된 특허문서의 개수(또는 검색결과의 개수). 검색시각(또는 검색날짜) 등이 있다. 한편, 검색시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검색작업을 구별해 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즉, 검색식이 동일한 2개의 검색작업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더라도 검색시각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열람작업일 때는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열람형태는 필히 저장해야 한다. 추가로 열람시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만약 2개의 열람작업이 특허문서의 식별정보와 열람형태가 동일하면 상기 열람작업들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동일한 열람형태의 특허문서를 2번 본 것이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열람작업을 구분하는 것은 열람시각이다. 즉, 동일한 열람형태의 특허문서를 여러 번 볼 수 있으나, 각기 열람시각은 다르다.
또한,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폴더 형식으로 저장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단위작업이 수행될 때 자동으로 작업정보가 추출되어 저장되기도 하지만, 사용자에 의해(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지정한 검색작업 또는 열람작업의 작업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례로, (1)은 검색작업의 작업정보인 검색식을 저장하는 것을 보여주고, (2)는 열람작업의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5a의 (2)는 검색결과 페이지 상에서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검색결과 페이지는 검색작업의 결과이지만, 검색결과의 일부가 보여지므로 보여지는 일부의 특허문서들에 대하여 열람작업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때의 열람형태는 "검색결과보기"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검색수(또는 검색결과의 개수)가 1,000건인데, 검색결과 페이지 상에 보여지는 것은 50건이면, 상기 50건의 특허문서는 "검색결과보기"형태의 열람작업이 수행된 것이고, 나머지 950건은 열람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더에는 다수의 작업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 다수의 하위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폴더는 저장된 작업정보의 개수를 카운트하되, 자신의 하위 폴더의 작업정보의 개수도 포함하여 카운트한다. 도 5b의 예에서, 점선표시의 폴더에서, 상위 폴더는 3개의 하위 폴더를 가지고 있다. 3개의 하위 폴더는 각각 9개, 4개, 10개의 작업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위 폴더는 직접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작업정보는 없으나, 자신의 하위 폴더의 작업정보 개수를 모두 합쳐 23개(9개 + 4개 + 10개)의 작업정보를 갖는 것으로 카운트된다.
그리고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더에 상기 작업정보 개수를 표시한다.
한편, 저장된 작업정보 및 폴더는 종래의 폴더로 파일을 관리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따라서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작업정보의 이동, 삭제, 복사, 또는 폴더의 이동, 삭제, 복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부가한다(S20).
메모는 각 단위작업별로 작업정보에 추가하여 입력이 가능하다. 도 6a는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검색작업에 메모를 작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사용자(10)는 검색작업의 작업정보인 검색식과 관련 있는 메모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는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부가되는 정보이므로, 부가되는 작업정보에 종속된다. 예를 들어, 메모가 별도로 관리될 수 있더라도, 작업정보를 삭제, 복사, 이동 등이 수행되면 메모도 함께 삭제, 복사, 이동 등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S30). 바람직하게는, 작업정보는 폴더 단위로 공유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10)는 공유할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메일로 송신하고, 상기 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공유를 수락하면 상기 작업정보가 공유된다. 이때, 공유할 작업정보의 공유기간을 공유 메일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공유기간은 공유할 기간으로, 이 기간이 지나면 공유가 해제된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10)는 공유할 폴더를 선택하고, 공유할 상대방 사용자의 메일로 공유요청을 송신한다. 이때,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또, 도 7a의 하단 오른쪽에서 공유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수락하는 방법은 특허로그 시스템(30)에 접속하여 메일주소를 입력하고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상기의 일례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로서, 내부적인 쪽지 형태로 공유 요청을 하고 쪽지 상에서 공유를 수락하면 바로 공유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보여준다(S40).
작업로그 시스템(30)이 작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에 보여주는 방식은 최근정보 보기, 전체보기, 캘린더 형식 보기, 연관구조 형식 보기 등이 있다.
최근정보 보기는 작업정보의 작업시각(열람시각 또는 검색시각)에 의해 최근 작업시각 순으로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5a의 우측에 "최근 검색식 리스트"는 검색작업의 작업정보에 대한 최근정보 보기의 일례이다. 또, 도 6b의 우측에 "최근 상세보기/원문"은 열람작업의 작업정보에 대한 최근정보 보기의 일례이다.
전체보기는 작업정보를 전체화면으로 보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5c는 검색작업의 작업정보에 대한 전체보기의 일례이다. 그러나 도 6b와 같이 검색작업과 열람작업의 작업정보에 대한 전체보기를 한꺼번에 보여줄 수도 있다. 또, 도 5c와 같이, 폴더에 의해 작업정보를 찾아서 보게 할 수도 있고, 도 6b와 같이 전체를 작업시각 순으로 나열되어 보게 할 수도 있다.
캘린더 형식 보기는 캘린더에 의해 날짜 또는 시간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작업정보를 선택적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색작업 의 작업정보인 검색식, 열람작업의 작업정보, 메모 등을 볼 수 있는 화면(또는 웹페이지)에 캘린더를 우측에 두어, 캘린더에서 날짜를 선택하면 해당 날짜의 작업정보들이 나타난다. 또, 도 8b와 같이, 상세목록의 특정 날짜 리스트 상에서 날짜를 선택하면 해당 날짜의 작업정보들이 나타난다.
또한, 검색작업의 작업정보, 열람작업의 작업정보, 메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만 보여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작업정보를 보여줄 수도 있고, 상단의 "최근 검색식", "최근 상세보기/원문", "메모리스트"의 선택에 따라 그 종류에 해당하는 작업정보만 보여줄 수도 있다.
연관구조 형식은 단위작업의 작업순서에 의해 트리구조 형태로 보여주는 방식을 말한다.
이하에서, 연관구조 형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람작업을 연관구조로 구성하는 방법을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열람작업을 연관구조로 구성하는 방법은 단위작업 간의 작업순서(작업시각에 따른 순서)에 대한 작업관계를 트리구조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연관구조 구성방법은 단위작업 간의 작업순서(작업시각에 따른 순서)에 대한 작업관계를 트리구조로 구성하는 단계이다. 기본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단위작업을 트리구조의 각 노드로 만들고, 단위작업 노드의 상위 노드는 직전 단위 작업의 노드가 된다. 직전 단위작업의 노드가 없는 단위작업은 루트 노드가 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람작업을 트리구조로 구성하는 방법은, (c1) 상기 열람작업의 직전 단위작업이 검색작업이면, 상기 열람작업에서 열람하는 특허문서를 루트 노드로 정하고(S31), 상기 열람작업의 열람형태를 상기 루트 노드의 하위노드로 정하는 단계(S32); (c2) 상기 열람작업의 직전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고, 상기 열람작업이 열람하는 특허문서가 직전 열람작업에서 열람한 특허문서와 같으면, 상기 열람작업을 직전 열람작업의 하위 노드로 정하는 단계(S33); (c3) 상기 열람작업의 직전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고, 상기 열람작업이 열람하는 특허문서가 직전 열람작업에서 열람한 특허문서와 다르면,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를 직전 열람작업의 하위노드로 정하고(S34), 상기 열람작업의 열람형태를 상기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의 하위노드로 정하는 단계(S35)로 나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위작업 중 열람작업에 대해서만 트리구조를 만든다. 다른 실시예로서 검색작업도 포함하여 트리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검색작업은 무조건 루트 노드가 되고, 열람작업의 직전 단위작업이 검색작업이면, 상기 열람작업의 상위 노드는 검색작업이 된다.
다시, 단위작업 중 열람작업에 대해서만 트리구조를 만드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열람작업이 직전 단위작업과의 관계를 갖는 경우를 구분하면, 다음과 같이 3가지 경우이다. 즉, (1) 직전 단위작업이 검색작업인 경우, (2) 직전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고, 직전 열람작업에서 열람한 특허문서와 동일한 특허문서를 열람 한 경우, (3) 직전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고, 직전 열람작업에서 열람한 특허문서와 다른 특허문서를 열람한 경우이다.
상기 3가지의 경우마다 트리구조에 노드를 추가하는 방식이 다르다. 각 경우에 대해 도 10a의 트리구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1)의 경우에는 상기 열람작업에서 열람하는 특허문서를 루트 노드로 정하고, 상기 열람작업의 열람형태를 상기 루트 노드의 하위노드로 정한다. 한편, 트리구조에서 노드는 2가지의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특허문서의 식별정보이고, 다른 하나는 열람형태이다. 예를 들면, 검색작업의 의한 작업결과 페이지에서 출원번호가 "10-2007-003456"인 특허문서의 상세보기를 열람하였다면, 도 10a와 같이, 출원번호 "10-2007-003456"이 루트노드가 되고 열람형태 "상세"는 상기 출원번호 노드의 하위노드가 된다.
상기 (2)의 경우에는 열람작업의 열람형태를 직전 열람작업의 열람형태 노드의 하위노드로 정한다. 예를 들면, 직전 열람작업이 출원번호 "10-2007-003456"의 특허문서의 "상세보기"를 열람한 단위작업이고, 이 단위작업에서 패밀리 보기의 열람하였다. 이런 경우, 도 10a와 같이, 열람작업의 열람형태인 "패밀리"노드는 상기 "상세"노드의 하위노드가 된다.
상기 (3)의 경우에는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를 직전 열람작업의 열람형태 노드의 하위노드로 정하고, 상기 열람작업의 열람형태를 상기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의 하위노드로 정한다. 예를 들면, 직전 열람작업이 패밀리 보기이고, 여기서 출원번호 "10-2005-028856"의 상세보기를 열람하였다. 이런 경우, 도 4와 같이, 출원번호 "10-2005-028856"이 직전 열람작업의 "패밀리" 노드의 하위노드가 되고, 열람형태 "상세"는 상기 출원번호 노드의 하위노드가 된다.
상기 열람작업의 작업정보를 노드로 구성된 트리형태로 보여 주되, 상기 노드는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노드와 열람형태 노드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즉,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원번호 노드는 직사각형으로 표시하고, 열람형태 노드는 둥근 사각형으로 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순환되는 작업관계의 트리구조를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c3)단계는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의 열람형태가 상기 트리구조에 이미 존재하는 경우, 직전 열람작업의 열람형태 노드를 존재하는 상기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노드로 연결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람작업은 특허문서의 식별정보와 열람형태로 인해 구별된다. 그러나 동일한 특허문서의 동일한 열람형태를 여러 번 열람하는 경우가 있다. 도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원번호 "10-2000-056034"의 "상세보기" 열람작업에서 다시 "패밀리 보기" 열람을 하였다. 그리고 패밀리 열람작업에서 출원번호 "10-2005-028856"의 "요약 보기"를 열람하였다. 이 때 출원번호 "10-2005-028856"의 "요약 보기"를 열람하는 열람작업은 이미 이전에 수행한 단위작업이다. 따라서 트리구조에 이미 존재한다. 이 때, 도 10b의 화살표 R과 같이, 출원번호 "10-2005-028856"노드로 연결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출원번호 "10-2005-028856"노드 대신 상기 출원번호의 "요약"열람형태의 노드에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순환되는 열람작업을 통해 알고자 하는 것은 어떤 열람형태를 반복해서 보았는가 보다는 어떤 출원번호의 특허문서를 반복해서 보았는가 일 것이다. 따라서 후자의 실시예보다는 전자의 실시예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반복적인 열람을 기록하기 위해 열람작업의 열람형태 노드에 열람시각을 모두 기록할 수 있다. 즉, 열람작업의 열람형태 노드에 K개의 열람기록이 있다면 K번 반복하여 상기 열람형태의 특허문서를 열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열람작업이 직전 단위작업과의 관계를 갖는 3가지의 경우 중 (1)과 (2)의 경우에, 열람작업의 열람형태 노드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미 존재하는 열람형태 노드에 열람시각만 추가한다. 또, 상기 (1)과 (2)의 경우에,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노드는 존재하나, 열람작업의 열람형태 노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노드의 하위노드로 열람작업의 열람형태 노드를 만든다.
요약하면, 상기 (c1)단계 또는 상기 (c2)단계는,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의 열람형태 노드가 상기 트리구조에 이미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열람형태 노드에 열람시각을 추가하고,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노드가 상기 트리구조에 이미 존재하고, 열람한 특허문서의 식별정보의 열람형태 노드는 상기 트리구조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열람형태 노드를 상기 식별정보 노드의 하위노드로 추가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작업의 작업관계를 트리구조로 출력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즉, 도 11은 앞서 살펴본 도 10a 또는 도 10b를 실제 화면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허문서의 식별정보 노드는 사각형 박 스로 표시하고, 열람형태 노드는 원으로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30)은 작업추출부(31) 및 메모작성부(32)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유부(33)를 더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출력부(34)를 더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작업로그DB(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작업로그DB(40)는 작업로그 시스템(30)의 내부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작업로그 시스템(30)과 연동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작업추출부(31)는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때, 단위작업은 검색작업 또는 열람작업이다. 특히, 작업추출부(31)는 상기 단위작업이 검색작업이면, 검색식, 검색결과의 수, 검색시각을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위작업이 열람작업이면, 특허문서 식별정보, 열람형태, 열람시각을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추출한다.
메모작성부(32)는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공유부(33)는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한다. 특히, 공유부(33)는 공유할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메일로 송신하고, 상기 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공유를 수락하면 상기 작업정보가 공유된다. 또, 공유부(33)는 공유할 작업정보의 공유기간을 공유 메일과 함께 송신하고, 상기 공유기간 동안만 작업정보가 공유된다.
출력부(34)는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보여준다. 특히, 출력부(34)는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캘린더 형식으로 보여준다.
또, 출력부(34)는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연관구조 형식으로 보여준다. 특히, 연관구조는 트리구조의 형상을 갖되, 검색작업의 작업정보를 루트 노드로 구성하고, 열람작업의 작업정보를 트리 내의 노드로 구성한다. 상기 연관구조에서, 열람작업의 작업정보의 노드는 식별정보 노드와 열람형태 노드로 구분되고, 열람형태의 노드의 상위노드와 하위노드는 작업순서에 의하여 관계되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된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특허공보 등 특허문서를 검색하는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특허문서를 검색하는 사용자가 검색하는 작업들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검색했던 과거의 작업들을 참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특허검색 시스템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작업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람작업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작업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모를 하는 작업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하는 작업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캘린더 형식으로 작업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람작업을 연관구조로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관계의 연관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연관구조 형식으로 작업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용자 단말기 11 : 네트워크
21 : 특허검색 시스템 22 : 특허문서DB
23 : 사용자 인터페이스
30 : 작업로그 시스템 31 : 작업추출부
32 : 메모작성부 33 : 공유부
34 : 출력부 40 : 작업로그DB
41 : 검색식DB 42 : 메모DB
43 : 열람로그DB 44 : 연관구조DB

Claims (11)

  1.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일련의 다수의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부가하는 메모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보여주는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연관구조 형식으로 보여주고, 상기 연관구조는 트리구조의 형상을 갖되, 검색하는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루트 노드로 구성하고, 열람하는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트리 내의 노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공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단계는 공유할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메일로 송신하고, 상기 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공유를 수락하면 상기 작업정보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단계는 공유할 작업정보의 공유기간을 공유 메일과 함께 송신하고, 상기 공유기간 동안만 작업정보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에서,
    상기 단위작업이 검색하는 작업이면, 추출하는 작업정보는 검색식, 검색결과의 수, 검색시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작업이 열람하는 작업이면, 추출하는 작업정보는 특허문서 식별정보, 열람형태, 열람시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폴더 형식으로 저장하고,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폴더는 저장된 작업정보의 개수를 카운트하되, 자신의 하위 폴더의 작업정보의 개수도 포함하여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단계는 상기 작업정보를 폴더 단위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캘린더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구조에서, 열람하는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의 노드는 식별정보 노드와 열람형태 노드로 구분되고, 열람형태의 노드의 상위노드와 하위노드는 작업순서에 의하여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방법.
  10. 사용자 단말기가 특허검색시스템에 접속하여 특허문서를 검색 또는 열람하는 일련의 다수의 단위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작업추출부;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에 메모를 부가하는 메모작성부; 및,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보여주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연관구조 형식으로 보여주고,
    상기 연관구조는 트리구조의 형상을 갖되, 검색하는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루트 노드로 구성하고, 열람하는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트리 내의 노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로그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단위작업의 작업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KR1020090057674A 2008-06-26 2009-06-26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5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0699 2008-06-26
KR1020080060699 2008-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23A KR20100002223A (ko) 2010-01-06
KR101575802B1 true KR101575802B1 (ko) 2015-12-08

Family

ID=418123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674A KR101575802B1 (ko) 2008-06-26 2009-06-26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90057672A KR101575797B1 (ko) 2008-06-26 2009-06-26 특허문서의 열람 작업 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672A KR101575797B1 (ko) 2008-06-26 2009-06-26 특허문서의 열람 작업 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758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310A (ko) * 2017-09-29 2019-04-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검색 결과 다양성 인덱스 기반의 효율적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38309A (ko) * 2017-09-29 2019-04-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율적 특허 검색을 위한 검색 결과 다양성 인덱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398A (ja) 1999-01-29 2000-08-11 Fuji Xerox Co Ltd 文書の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文書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897A (ja) * 2000-03-24 2002-09-1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書類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2269148A (ja) 2001-03-07 2002-09-20 Ricoh Co Ltd 文書管理装置および文書管理方法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3223466A (ja) 2002-01-31 2003-08-08 Seiko Epson Corp 特許検索装置、特許検索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398A (ja) 1999-01-29 2000-08-11 Fuji Xerox Co Ltd 文書の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文書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310A (ko) * 2017-09-29 2019-04-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검색 결과 다양성 인덱스 기반의 효율적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38309A (ko) * 2017-09-29 2019-04-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율적 특허 검색을 위한 검색 결과 다양성 인덱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7728B1 (ko) * 2017-09-29 2020-01-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율적 특허 검색을 위한 검색 결과 다양성 인덱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8435B1 (ko) * 2017-09-29 2020-03-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검색 결과 다양성 인덱스 기반의 효율적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22A (ko) 2010-01-06
KR101575797B1 (ko) 2015-12-08
KR20100002223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7586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automate the management and analysis of heterogeneous data
CN102959578B (zh) 取证系统、取证方法及取证程序
US200200709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analyzing conditioned data
US20100011282A1 (en) Annotation system and method
US8037107B2 (en) Document transfer assisting system, monitor apparatus, document transfer assis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070283288A1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bookmarking functionality
KR101007613B1 (ko) 키워드를 이용한 데이터의 등록, 검색을 지원하는 장치
JP2004220215A (ja) 計算機を利用した業務誘導支援システムおよび業務誘導支援方法
CN109636303B (zh) 一种半自动提取和结构化文档信息的存储方法及系统
TW201519071A (zh) 技術文獻擷取及專利分析系統與方法
KR101575802B1 (ko) 특허문서의 작업로그 시스템 및 그 방법
JP5615593B2 (ja) 電子文書管理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862565B1 (ko) 사용자 맞춤형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
JP4145898B2 (ja) 情報格納検索装置
KR101066225B1 (ko)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방법
KR20140059999A (ko)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 및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JP3725088B2 (ja) 知識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知識情報収集方法
US20060143196A1 (en)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JP2002183178A (ja) データ分析支援装置、その方法および記憶媒体
Middelfart The Inverted Data Warehouse Based on TARGIT Xbone: How the Biggest of Data Can Be Mined by “The Little Guy”
JP200911050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719525B2 (ja) 電子文書管理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7280238A (ja) データ表示定義情報作成装置、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表示定義情報作成方法、データ表示方法およびそれらの装置の実現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Dmitriev et al. BOLD: Knowledge Graph Exploration and Analysis Platform
KR101047380B1 (ko) 커뮤니티 기반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