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020B1 -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020B1
KR101575020B1 KR1020140034314A KR20140034314A KR101575020B1 KR 101575020 B1 KR101575020 B1 KR 101575020B1 KR 1020140034314 A KR1020140034314 A KR 1020140034314A KR 20140034314 A KR20140034314 A KR 20140034314A KR 101575020 B1 KR101575020 B1 KR 101575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211A (ko
Inventor
이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to KR102014003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0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5/00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referred to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위성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때,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지연을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에서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실행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처리 완료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차량 주행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으로 차량 주행 속도 및 네비게이션 처리 완료 시간을 보상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보상된 위치 정보 데이터를 네비게이션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데이터 지연 보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Method for compensation of data latency in navigation system}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이동 통신 단말기 혹은 모바일(mobile) 단말기를 연결하여 위성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미러 링크(Mirror link) 모드에서, 네비게이션에서 위성 위치 정보의 데이터 지연(data latency)을 보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차량이나 선박 등 운송 장치를 위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자동 항법 시스템 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 피. 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 라 칭함)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구상에 떠 있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 위치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 정보,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지도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GPS 수신기를 모바일 폰(mobile phone)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위치를 제공하거나 그에 따른 대중 교통 상황을 제공하는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가 위치 조회 서비스, 친구 찾기 서비스 및 대중 교통 검색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나 선박 등의 운송 수단에서 개인이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차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미러 링크(Mirror link) 모드(mode)라고 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내장되어 발전하는 다양한 여러 가지 콘텐츠(contents)를 자동차나 선박등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손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나 선박 등의 운송 장치에서 미래에 주로 적용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서로 연결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가 이를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다양하고 많은 과제들이 남아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서로 연결하여 위성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운송 장치를 운행할 때,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지연을 적절히 보상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위성 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양태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처리 완료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차량 주행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상기 차량 주행 속도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처리 완료 시간을 보상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보상된 위치 정보 데이터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통신 선로로 서로 연결된 것이 적합하다.
이때 상기 통신 선로는, 엠. 에이치. 엘(MHL) 케이블(cable)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실행하는 방법은,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삼는 제1 단계와, 상기 수신된 테스트 데이터에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장치로 보내고, 영상 신호는 표시 장치로 보내는 제2 단계와, 상기 오디오 장치 및 표시 장치에서 신호를 처리한 종료 시간을 측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3 단계까지의 처리 완료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상된 위치 정보 데이터는, 실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위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기능을 다른 단말기 예컨대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연결하여 이용할 때,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자체 성능 문제로 인하여 데이터 지연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데이터 지연이 발생하는 시간만큼 교차로나 목적지를 지나쳐 위치 정보를 안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연결한 후, 테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 시간을 정확히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수정하고, 자동차 자체의 속도에 따른 위치 정보 오차를 수정한 상태의 보상된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연결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의 데이터 지연을 보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flowchart)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 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예컨대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의 몸체(body)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러한 형태에만 국한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몸체가 상대 이동하게 하여 서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형, 폴더 형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예컨대 케이싱,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는 프론트 게이스(front case, 101)와 리어 케이스(rear case, 103)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게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mounting)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게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02),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1, 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 연결부(170) 등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02)의 양단부 중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이때, 제2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 연결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3)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몸체의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1, 13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장치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인 사용자 입력부(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 예컨대 조작 유닛들(131, 132)은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으로 조작할 수 있으면 어떠한 다른 방식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02)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2)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keypad)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는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02)에 터치하거나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02)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위에서 설명된 구성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더 진보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구현되는 네비게이션의 데이터 지연 보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편의상 터치 스크린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며, 네비게이션과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연결부(170)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도 1에 예시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정면에는 조향을 위한 핸들과, 각족 차량 운행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계기판이 배치되며 조수석 정면에는 글러브 박스가 배치된다. 그리고 계기판/핸들과 글러브 박스 사이의 공간에는 오디오 장치나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조작부는 흔히 센터페시아로 호칭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자동차의 내부 구조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은 센터페시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은 차량의 상태 정보나 네베게이션을 위한 지도, 후방 카메라 영상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이 장착되는 위치는 상술한 센터페시아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의 차량에 복수개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연결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은 자체적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미러 링크(Mirror link) 모드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은 통신 선로(300)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선로(300)는 유선 혹은 무선 통신 선로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선로인 경우는 와이 파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 선로(300)인 경우,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MHL 케이블은, 기존의 HDMI 케이블에 데이터 통신과 충전 기능을 추가한 통신 케이블을 가리킨다. 가령,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을 MHL 케이블을 통신 선로로 사용하여 연결하면, 하나의 케이블 내에 영상/음성 신호의 전송과 데이터 전송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충전까지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화면(102)에 있는 메뉴(104)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미러 링크로 설정한 후,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의 표시화면(204)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미러 링크를 동기화시키는 메뉴(206)를 수락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의 표시화면(204)에 그 위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하지만,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은 다양한 회사에서 출시된 다양한 성능을 갖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면 항상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차이가 발생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보내는 위치 정보는, 차량의 속도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성능을 고려하지 않은 실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이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으로 인하여 교차로나 목적지를 지나쳐 안내를 받는 후행성 위치 정보 제공 문제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6은 네비게이션 시스템(200)에 마련된 제어키(control key)를 가리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의 데이터 지연을 보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3과 같이 미러 링크를 설정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테스트 데이터(test data)를 전송(S100)한다. 이때 상기 테스트 데이터는, 한 프레임(frame)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어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정보를 실행(S110)한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수신된 테스트 데이터에서 영상 신호는 표시장치로 보내고, 음성신호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장치로 보내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 및 표시 장치에서 신호를 처리한 종료 시간을 측정한 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테스트 데이터의 처리 완료 시간을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S120)한다. 이와 함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계산(S130)한다.
계속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처리 속도와 주행 속도를 보상한 위치 정보를 마련(S140)한다. 그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보상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S150)한다. 마지막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보상된 위치 정보 데이터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처리(S160)한다.
이렇게 보상된 위치 정보 데이터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과 차량의 주행 속도를 보상하여 도출된 위치 정보이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차량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미러 링크로 적용하는 사용자가 차량의 운행 도중에 교차로나 목적지를 놓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응답 시간과 차량의 주행속도를 계산하여 이동된 거리만큼을 예측하여 보내진 위치 정보 데이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0: 이동 통신 단말기, 102: 디스플레이부,
104: 표시부의 선택메뉴, 170: 인터페이스 연결부,
200: 네비게이션 시스템, 202: 제어키,
204: 표시화면, 206: 표시화면의 선택메뉴.

Claims (5)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삼는 단계;
    상기 수신된 테스트 데이터에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장치로 보내고, 영상 신호는 표시 장치로 보내는 단계;
    상기 오디오 장치 및 표시 장치에서 신호를 처리한 종료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시간에서 상기 종료 시간까지의 처리 완료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처리 완료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차량 주행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상기 차량 주행 속도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처리 완료 시간을 보상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보상된 위치 정보 데이터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통신 선로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선로는, 엠. 에이치. 엘(MHL)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된 위치 정보 데이터는,
    실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위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KR1020140034314A 2014-03-24 2014-03-24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KR10157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314A KR101575020B1 (ko) 2014-03-24 2014-03-24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314A KR101575020B1 (ko) 2014-03-24 2014-03-24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211A KR20150110211A (ko) 2015-10-02
KR101575020B1 true KR101575020B1 (ko) 2015-12-07

Family

ID=5434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314A KR101575020B1 (ko) 2014-03-24 2014-03-24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5229B2 (en) * 2017-12-21 2020-06-16 Wing Aviation Llc Image based localiza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13720327B (zh) * 2021-06-01 2024-04-16 深圳致成科技有限公司 提高车路协同车辆定位系统定位精度的方法和系统
CN113820732A (zh) * 2021-08-06 2021-12-2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及装置
KR102532711B1 (ko) * 2023-03-30 2023-05-15 이성진 차량용 avn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866B1 (ko) *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866B1 (ko) *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211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21923B (zh) 显示装置
JP530556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出力制御方法
JP4706751B2 (ja) 時刻表示制御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75020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지연 보상 방법
US20090171578A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urn-by-turn instructions
US20110098916A1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JP2007040971A (ja) 画面表示装置および画面表示方法
JP5032273B2 (ja) 測位システムおよび車載装置
US20110267184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617094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ブラウザ制御方法
US20080228388A1 (en) Ma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US20080071473A1 (en)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uxiliary display
JP2009090690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US20160161261A1 (en) Terminal, vehicle communicating with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122079A (ja) 測位システムおよび車載装置
WO2016013349A1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7024519A (ja) 車載用表示制御装置
JP2014013148A (ja) 端末装置、車載装置、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6076027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20220196427A1 (en) Mobile Device and Vehicle
US20070115433A1 (en) Communication device to be mounted on automotive vehicle
US20160042722A1 (en) Dynamic label arrangement device, display device, dynamic label arrangement method, and display method
CN104769392B (zh) 具有集成式无线电接收器的便携式装置
US7660664B2 (en) Information service system
KR20080008638A (ko) 길안내 중 통화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