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804B1 -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804B1
KR101574804B1 KR1020097016205A KR20097016205A KR101574804B1 KR 101574804 B1 KR101574804 B1 KR 101574804B1 KR 1020097016205 A KR1020097016205 A KR 1020097016205A KR 20097016205 A KR20097016205 A KR 20097016205A KR 101574804 B1 KR101574804 B1 KR 10157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turbine
vane
impeller
torque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850A (ko
Inventor
임메뉴엘 레코끄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09010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04Combined pump-turbin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41/26Shape of runner blades or channels with respect to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압 토크 컨버터는, 축(A)과 동축이고, 내측 측면 에지(11; 21; 31), 외측 측면 에지(12; 22; 32), 후연(13; 23; 33) 및 전연(14; 24; 34)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임펠러 베인(1), 터빈 베인(2) 및 리액터 베인(3)과 각각 끼워맞춤된, 임펠러(I), 터빈(T) 및 리액터(R)를 포함하며, 임펠러의 후연(13)은 터빈의 전연으로부터 축방향 간격(d1)만큼 떨어져 있고, 터빈의 후연은 리액터의 전연으로부터 축방향 간격(d2)만큼 떨어져 있으며, 비(d2/d1)는 1.4 이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HYDRAULIC TORQUE CONVERTER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유압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변속기용으로 사용되는 유압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유체 동역학적 클러치로서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되며, 미국 특허 제 5,168,702 호에 기술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크 컨버터로서, 축(A)을 갖고, 엔진(도시되지 않음)에 커플링된 입력 샤프트(M)에 의해 구동되며, 임펠러 베인(1)의 세트를 구비하는 임펠러(I)와; 축(A)을 갖고, 출력 샤프트(S)를 구동시키며, 임펠러 베인(1)의 세트와 대면하는 터빈 베인(2)의 세트를 구비하는 터빈(T)과; 축(A)을 중심으로 자유 휠(free wheel) 상에 장착되고, 터빈 베인과 임펠러 베인의 세트 사이에 개재된 리액터 베인(3)의 세트를 구비하는 리액터(reactor)(R)를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를 개시한다. 상기 용어 "자유 휠 상에 장착"은 상기 리액터가 한 방향으로만 축(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다른 방향은 "로킹 방향"으로 지칭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임펠러의 베인(1), 터빈의 베인(2) 및 리액터의 베인(3)은 내측 측면 에지(11; 21; 31), 외측 측면 에지(12; 22; 32), 후연(trailing edge)(13; 23; 33) 및 전연(leading edge)(14; 24; 34)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임펠러 베인의 내측 측면 에지(11), 터빈 베인의 내측 측면 에지(21) 및 리액터 베인의 내측 측면 에지(31)는, 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 축(A)을 중심으로 회전 내측 코어(40)를 형성한다.
조립체는, 점성도는 낮지만 높은 밀도를 갖는 유압 유체, 통상적으로 오일의 특정 양을 포함하는 밀봉된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컨버터의 경우에, 밀봉된 하우징은 상기 유압 유체로 완전히 충전된다.
유압 토크 컨버터는 차량이 점진적으로 출발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터빈 및 임펠러의 회전 비율의 비(i)가 낮을 때, 즉 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2 미만일 때 엔진 토크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회전 비율의 비는 i=NT/NI로 규정되며, 이 때 NT 및 NI는 분당 회전수에서 터빈 및 임펠러 각각의 회전 비율이다.
엔진이 아이들링(idling) 중일 때, 임펠러는 엔진의 속도로 회전하고, 터빈은 약간의 추력을 수용하며, 리액터는 회전하지 않는다.
엔진이 가속되지만 차량이 멈춰 있거나 움직이기 시작하면, 임펠러의 회전은 회전 내측 코어(40)를 중심으로 하는 화살표(F1)로 표시된 나선형 움직임을 오일에 전달한다. 그 후에, 상기 터빈은 터빈까지 그 운동 에너지의 많은 부분을 부여하 는 오일의 유동을 수용한다. 그 후에, 터빈은 출력 샤프트에 토크를 전달하고, 회전시 구동시킨다.
리액터는 그 베인을 로킹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양호한 각도에서 터빈으로부터 오일의 유동을 수용한다. 리액터는 이러한 유동을 안정된 방식으로 임펠러의 베인의 후방으로 보낸다. 따라서, 임펠러의 베인의 후방은 리액터로부터 나온 유압 압력을 겪게 되며, 리액터는 터빈으로 재전달함으로써, 터빈의 토크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공정은 변환 단계(conversion phase)로 지칭된다. 유리하게, 유압 토크 컨버터는 변환 단계시 엔진 토크를 1배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터빈 토크는 임펠러의 토크보다 크거나 같다.
터빈의 회전 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임펠러의 회전 속도에 접근하면, 오일 유동은 상이한 각도로 리액터의 방향으로 보내진다. 리액터는 베인의 후방에서 터빈이 임펠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그 베인의 연장부 내에서 오일의 유동을 수용하기 시작한다. 리액터 베인의 후방은 그 자유 휠의 자유 방향으로 회전시 리액터를 구동시키는 유압 압력을 겪게 된다. 따라서,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후에, 터빈 및 임펠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통상적으로, 2개의 작동 단계는, 컨버터 단계로 지칭되고 0 내지 0.8의 범위 내의 비(i)에 대략 대응하는 단계와, (클러치에 의해 로킹되었을 때) 0.8 내지 1의 범위 내의 비(i)에 대략 대응하는 커플링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변환이 종료되면, 유압 토크 컨버터는 단순한 커플러로서 작동한다.
유압 토크 컨버터를 이용하는 것은, 점진성 및 가요성이 기계적 클러치로 얻어지는 것보다 양호하고; 기어 변경이 덜 빈번하며; 엔진 및 변속기의 기계적 요소가 더 오래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토크 컨버터에 있어서, 그 토크 비는 TR=CT/CP와 같이 규정되며, 이 때 CT는 터빈 토크이고, CP는 임펠러 토크이다. 컨버터의 토크 비는 상술된 비율 비(i)의 함수에 따라 변한다.
유압 토크 컨버터의 토크 용량(MP)은 1000rpm-1으로 회전할 때 임펠러에 의해 흡수되는 토크로서, Nm으로서 규정된다. 유압 토크 컨버터의 토크 용량은 상술된 비율의 비(i)에 따른다.
컨버터의 토크 용량을 선택하는 것은 엔진의 토크 특성에 따른다. 토크 용량이 엔진 토크에 비해 너무 크면, 차량이 출발할 때 엔진의 회전 비율이 충분하게 증가하지 않아서 차량이 힘들게 나가게 될 것이다. 반대로, 토크 컨버터의 토크 용량이 엔진 토크에 비해 너무 작으면, 엔진은 헛돌게 되며 차량은 기대된 가속 성능을 갖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제까지, 유압 토크 컨버터는, 컨버터가 고정된 체적으로 쉘에 의해 형성된 회전 내측 코어를 포함하는 경우 토크 용량에 있어서의 증가는 토크 비의 감소를 야기하는, 높은 토크 비 또는 큰 토크 용량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왔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1993-296344 호에서와 같이 회전 내측 코어를 갖지 않는 컨버터의 경우에, 토크 비의 증가는 토크 용량의 감소에 의해 수행된다.
최소 토크 비를 유지하면서 고정된 체적 내에서 토크 컨버터의 토크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축(A)과 동축이고, 내측 측면 에지(11; 21; 31), 외측 측면 에지(12; 22; 32), 후연(13; 23; 33) 및 전연(14; 24; 34)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임펠러 베인(1), 터빈 베인(2) 및 리액터 베인(3)을 각각 구비하는, 임펠러(I), 터빈(T) 및 리액터(R)를 포함하며,
터빈 베인(2)의 세트는 터빈 베인(2)의 회전시 터빈 엔벨로프(envelope)(52)를 형성하며, 상기 터빈 엔벨로프(52)는 상기 회전시 상기 터빈 베인(2)의 내측 측면 에지(21), 후연(23) 및 전연(24)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터빈 내측 측면(62), 터빈 후단면(82) 및 터빈 전단면(92)을 포함하며,
임펠러 베인(1)의 세트는 임펠러 베인(1)의 회전시 임펠러 엔벨로프(51)를 형성하며, 상기 임펠러 엔벨로프(51)는 상기 회전시 상기 임펠러 베인(1)의 내측 측면 에지(11), 후연(13) 및 전연(14)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임펠러 내측 측면(61), 임펠러 후단면(81) 및 임펠러 전단면(91)을 포함하며,
리액터 베인(3)의 세트는 리액터 베인(3)의 회전시 리액터 엔벨로프(53)를 형성하며, 상기 리액터 엔벨로프(53)는 상기 회전시 상기 리액터 베인(3)의 내측 측면 에지(31), 후연(33) 및 전연(34)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리액터 내측 측면(63), 리액터 후단면(83) 및 리액터 전단면(93)을 포함하며,
터빈, 임펠러 및 리액터의 측면은 함께 회전 내측 코어의 엔벨로프를 형성하며,
임펠러 후단면(81)은 터빈 전단면(92)으로부터 외측 축방향 간격(d1)만큼 떨어져 있고, 터빈 후단면(82)은 리액터 전단면(93)으로부터 내측 축방향 간격(d2)만큼 떨어져 있으며, 외측 및 내측 축방향 간격은 서로 가장 근접한 대면 지점에서 관련된 표면 사이의 최소 축방향 간격에 각각 대응하며,
토크 컨버터는, 간격의 비(d2/d1)가 1.4 이하인 것과, 리액터는 회전시 전연이 상기 리액터 전단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베인은 "연장된" 리액터 베인("elongated" reactor vane)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놀랍게도, 발명자들은, 리액터 베인의 전연을 터빈 베인의 후연에 근접하게 가져오는 것이, 토크 컨버터의 토크 용량이 충분한 토크 비를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터빈과 임펠러 사이의 간격(d1)은 토크 컨버터의 크기와 터빈 및 임펠러의 가요성으로부터 야기된다. 상기 간격은 작동 단계(임펠러의 후연과 터빈의 전연은 토크 증가시 0<i<0.8인 컨버터 단계에서 서로 접근함)와 상관없이, 터빈 및 임펠러의 베인 사이에 결코 접촉이 없도록 치수 설정된다. 이러한 치수 기준은 그 성능에 연결된다기 보다는 유리하게 토크 컨버터의 형상 또는 강도에 주로 연결된다.
매개 변수의 연구(유한 요소 계산)는 리액터의 전연을 터빈의 후연에 근접하게 가져오는 것이 토크 컨버터의 토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러한 비(d2/d1)의 사용은,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상세한 기술이 토크 컨버터의 전체적인 치수와는 관계없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비는, 부품이 변형되는 경우 리액터 쪽으로의 터빈의 접근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컨버터 단계에서의)토크 증가시, 임펠러의 후연이 터빈의 전연에 접근하는 경우, 터빈의 후연은 리액터의 전연에 접근한다. 또한, 비(d2/d1)에 대한 하한은 터빈의 후연과 리액터의 전연 사이에 최소 간격(d2)을 마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토크 컨버터는 복수의 "연장된" 리액터 베인, 바람직하게는 교호 베인(alternate vane)을 포함한다. 상기 베인은 리액터의 주변부를 중심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리액터 베인의 세트, 즉 모든 리액터 베인은 "연장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된 발명에 따른 유압 토크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의 고찰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명료함을 위해 몇몇의 베인이 도시되지 않은 종래 기술의 유압 토크 컨버터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토크 컨버터의 일부분의 확대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토크 컨버터 내의 베인에 의해 형성된 임펠러, 터빈 및 리액터 엔벨로프의 확대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토크 컨버터와 종래의 유압 토크 컨버터의 토크 용량(MP)을 비교하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토크 컨버터와 종래의 유압 토크 컨버터의 토크 비(TR)를 비교하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유압 토크 컨버터의 실속(失速) 토크 용량을 비(d2/d1)의 함수로서 부여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토크 컨버터의 임펠러 베인(1), 터빈 베인(2) 및 리액터 베인(3)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 2를 참조한다.
임펠러의 베인(1)은 내측 측면 에지(11), 외측 측면 에지(12), 후연(13) 및 전연(14)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터빈의 베인(2)은 내측 측면 에지(21), 외측 측면 에지(22), 후연(23) 및 전연(24)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리액터의 베인(3)은 내측 측면 에지(31), 외측 측면 에지(32), 후연(33) 및 전연(34)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임펠러 베인, 터빈 베인 및 리액터 베인의 내측 측면 에지는 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 축(A)을 중심으로 회전 내측 코어(40)를 형성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한다. 임펠러 베인, 리액터 베인 및 터빈 베인은 회전시 임펠러 엔벨로프(51), 터빈 엔벨로프(52) 및 리액터 엔벨로프(53)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용어 "임펠러 엔벨로프, 터빈 엔벨로프 및 리액터 엔벨로프"는 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 임펠러 베인, 터빈 베인 및 리액터 베인 각각에 의해 점유되는 가장 큰 체적을 형성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용어 "연장된" 리액터 베인은, 전연이 회전시 리액터 엔벨로프를 실질적으로 지나가는 리액터 베인을 의미한다. 이 리액터는, 전연이, "연장된" 베인의 전연보다 터빈의 후연으로부터 멀게 되어 있는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베인의 에지는 회전시 리액터의 엔벨로프를 지나가지 않는다.
상기 터빈 엔벨로프(52)는 상기 베인 세트의 회전시 터빈 베인의 내측 측면 에지, 외측 측면 에지, 후연 및 전연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터빈 내측 측면(62), 터빈 외측 측면(72), 터빈 후단면(82) 및 터빈 전단면(92)을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 엔벨로프(51)는 상기 베인 세트의 회전시 임펠러 베인의 내측 측면 에지, 외측 측면 에지, 후연 및 전연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임펠러 내측 측면(61), 임펠러 외측 측면(71), 임펠러 후단면(81) 및 임펠러 전단면(91)을 포함한다.
상기 리액터 엔벨로프(53)는 상기 베인 세트의 회전시 리액터 베인의 내측 측면 에지, 외측 측면 에지, 후연 및 전연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리액터 내측 측면(63), 리액터 외측 측면(73), 리액터 후단면(83) 및 리액터 전단면(93)을 포함한다.
축방향 간격(d1)은 서로 가장 근접한 상기 대면 표면의 지점에서 임펠러 후단면(81)과 터빈 전단면(92) 사이의 토크 컨버터의 축(A)을 따르는 최소 간격으로서 규정된다.
유사하게, 축방향 간격(d2)은 서로 가장 근접한 상기 대면 표면 상의 지점에서 터빈 후단면(82)과 리액터 전단면(93) 사이의 토크 컨버터의 축(A)을 따르는 간격으로서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격의 비(d2/d1)는 1.4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1 이하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0.6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간격의 비(d2/d1)는 대략 1이다.
본 발명에 따른 d2/d1의 이러한 범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토크 용량을 얻기 위한 구역을 유리하게 규정한다. 최소값(d2/d1)을 넘으면, 유체는 전단되고, 토크 용량은 감소한다. 최대값(d2/d1)을 넘으면, 토크 용량은 강하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구성은 토크 비를 충분한 레벨로 유지하면서 토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6은 비(d2/d1)의 함수로서 본 발명의 유압 토크 컨버터의 실속 토크 용량(Mp)(i=0일 때)을 부여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 명에 따른 d2/d1의 범위가 여기에서 도시된다.
도 4는 0 내지 0.8의 비의 비율에 대한 유압 토크 컨버터의 3가지 방식에 대한 시뮬레이션된 토크 용량(Mp)을 도시한다. 곡선(101)은 종래의 유압 토크 컨버터에 대응하며, 따라서 임의의 "연장된" 리액터 베인을 갖지 않는다. 곡선(102)은, 모든 리액터 베인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된" 베인에 대한 간격의 비(d2/d1)가 0.61인, 유압 토크 컨버터에 대응하며, 곡선(103)은, 교호 리액터 베인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된" 베인에 대한 간격의 비(d2/d1)가 0.61인, 유압 토크 컨버터에 대응한다. 도 4 및 도 5에서의 이러한 간격의 비(d2/d1)는 d2/d1에 대해 제안된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일정한 비에서, 리액터 베인에 대한 2개의 가능한 구성의 영향을 볼 수 있다.
종래의 유압 토크 컨버터에 대해 본 발명의 유압 토크 컨버터에 있어서 40%까지의 토크 용량의 개선이 관찰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와 같이 동일한 3개의 유압 토크 컨버터에 대한 시뮬레이션된 토크 비(TR)가 도시된다.
매우 유사한 토크 비는 3개의 방식의 유압 토크 컨버터 사이에서 관찰된다.
따라서, 유리하게, 본 발명의 토크 컨버터는 종래의 토크 컨버터의 토크 용량 및 토크 비에 근접한 높은 토크 용량 및 토크 비를 갖는다.
명백하게, 본 발명은 예시가 되는 비제한적인 예시의 방법으로서 기술하고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연장된" 리액터 베인의 분포는 변할 수 있다.

Claims (9)

  1.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로서,
    축(A)과 동축이고, 각각 임펠러 베인(1), 터빈 베인(2) 및 리액터 베인(3)이 마련되어 있는 임펠러(I), 터빈(T) 및 리액터(reactor)(R)를 포함하며, 각 베인은 내측 측면 에지(11; 21; 31), 외측 측면 에지(12; 22; 32), 후연(trailing edge)(13; 23; 33) 및 전연(leading edge)(14; 24; 34)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터빈 베인(2)의 세트는, 상기 터빈 베인의 회전시, 터빈 엔벨로프(52)를 형성하며, 상기 터빈 엔벨로프(52)는, 상기 터빈 베인의 회전시, 상기 터빈 베인(2)의 상기 내측 측면 에지(21), 상기 후연(23) 및 상기 전연(24)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터빈 내측 측면(62), 터빈 후단면(82) 및 터빈 전단면(92)을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 베인(1)의 세트는, 상기 임펠러 베인의 회전시, 임펠러 엔벨로프(51)를 형성하며, 상기 임펠러 엔벨로프(51)는, 상기 임펠러 베인의 회전시, 상기 임펠러 베인(1)의 상기 내측 측면 에지(11), 상기 후연(13) 및 상기 전연(14)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임펠러 내측 측면(61), 임펠러 후단면(81) 및 임펠러 전단면(91)을 포함하며,
    상기 리액터 베인(3)의 세트는, 상기 리액터 베인의 회전시, 리액터 엔벨로프(53)를 형성하며, 상기 리액터 엔벨로프(53)는, 상기 리액터 베인의 회전시, 상기 리액터 베인(3)의 상기 내측 측면 에지(31), 상기 후연(33) 및 상기 전연(34)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리액터 내측 측면(63), 리액터 후단면(83) 및 리액터 전단면(93)을 포함하며,
    상기 터빈, 임펠러 및 리액터의 내측 측면은 함께 내측 코어의 엔벨로프를 형성하며,
    상기 임펠러 후단면(81)은 상기 터빈 전단면(92)으로부터 외측 축방향 간격(d1)만큼 떨어져 있으며, 상기 터빈 후단면(82)은 상기 리액터 전단면(93)으로부터 내측 축방향 간격(d2)만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외측 축방향 간격 및 상기 내측 축방향 간격은 서로 가장 근접한 대면 지점에서 관련된 표면 사이의 최소 축방향 간격에 각각 대응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간격의 비(d2/d1)는 1.4 이하이고,
    상기 리액터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포함하며, 이 베인의 전연은 회전시에 상기 리액터의 전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액터 엔벨로프를 지나가며, 여기에서 상기 리액터 베인의 전연은 상기 터빈 베인의 후연에 근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리액터 베인은 "연장된" 리액터 베인("elongated" reactor vane)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의 비(d2/d1)가 1.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의 비(d2/d1)가 0.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의 비(d2/d1)가 0.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토크 컨버터는 복수의 "연장된" 리액터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토크 컨버터는 상기 리액터 주변부에 균일한 방식으로 분포되는 복수의 "연장된" 리액터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7. 제 5 항에 있어서,
    교호로 존재하는 각 리액터 베인(each alternate reactor vane)이 "연장된" 베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8. 제 5 항에 있어서,
    모든 리액터 베인이 "연장된" 베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9.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KR1020097016205A 2007-02-02 2008-02-01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KR101574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3034 2007-02-02
FR0753034A FR2912196B1 (fr) 2007-02-02 2007-02-02 Convertisseur de couple hydraul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PCT/FR2008/050168 WO2008104670A1 (fr) 2007-02-02 2008-02-01 Convertisseur de couple hydraul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850A KR20090104850A (ko) 2009-10-06
KR101574804B1 true KR101574804B1 (ko) 2015-12-04

Family

ID=3837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205A KR101574804B1 (ko) 2007-02-02 2008-02-01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20062B2 (ko)
JP (1) JP5563311B2 (ko)
KR (1) KR101574804B1 (ko)
DE (1) DE112008000299T5 (ko)
FR (1) FR2912196B1 (ko)
MX (1) MX2009008278A (ko)
WO (1) WO2008104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4450A (zh) * 2011-09-09 2012-01-18 上海蓝光科技有限公司 GaN基发光二极管芯片及其制备方法
CN104166752B (zh) * 2014-07-04 2017-08-08 贵州大学 液力变矩器全流道瞬态数值模拟计算方法
US9573579B2 (en) * 2014-07-30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 for transitioning between control modes while creeping
US9970523B2 (en) * 2015-08-28 2018-05-15 Caterpillar Inc. Torque converter and a method for cooling a clutch assembly of the torque converter
US10274081B2 (en) 2017-03-31 2019-04-30 Valeo Embrayages Stator assembly of hydraukinetic torque converter with pivotable stator blad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9292A (en) * 1948-12-31 1957-01-29 Borg Warner Hydrodynamic coupling
US2855852A (en) * 1955-07-15 1958-10-14 Borg Warner Hydrodynamic coupling devices
SE342778B (ko) * 1967-03-07 1972-02-21 Fichtel & Sachs Ag
US3503209A (en) * 1967-09-02 1970-03-31 Fichtel & Sachs Ag Hydraulic torque converter
SU390747A1 (ru) * 1971-07-08 1974-02-25 Централь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 автомоторный институт Описание изобретения390747
JPS5279174A (en) * 1975-12-26 1977-07-04 Toyota Motor Corp Fluid type torque converter with coupling clutch
JPS5986460U (ja) * 1982-12-02 1984-06-11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流体トルクコンバ−タ−等におけるカバ−とポンプの結合装置
JPS60152865U (ja) * 1984-03-23 1985-10-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流体トルクコンバ−タ
JPH0744841Y2 (ja) * 1988-04-08 1995-10-11 マツダ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の構造
JPH026847U (ko) * 1988-06-29 1990-01-17
US5058027A (en) * 1989-09-22 1991-10-15 Ford Motor Company Hydraulic torque converter
JPH03204434A (ja) 1989-12-28 1991-09-06 Aisin Aw Co Ltd 薄型流体トルクコンバータ
US5224348A (en) * 1990-07-27 1993-07-06 Nissan Motor Co., Ltd. Coreless torque converter
JPH05296344A (ja) 1992-04-22 1993-11-09 Nissan Motor Co Ltd コアレストルクコンバータ
US5313793A (en) * 1992-09-24 1994-05-24 Borg-Warner Automotive, Inc. Torque converter having axial type reactor
JP3295990B2 (ja) * 1992-12-08 2002-06-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装置
JPH10156465A (ja) * 1996-11-27 1998-06-16 Honda Motor Co Ltd ドライブプレートの成形方法
DE19910049B4 (de) * 1998-03-13 2019-06-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ystem
JP2001241532A (ja) * 2000-02-29 2001-09-07 Okamura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2349666A (ja) * 2001-05-30 2002-12-04 Okamura Corp 変速機付きトルクコンバータ
DE10257349B4 (de) * 2002-12-06 2011-08-11 ZF Sachs AG, 97424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JP2004353840A (ja) * 2003-05-30 2004-12-16 Okamura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
US6996978B2 (en) * 2004-05-05 2006-02-14 Goerend David J Torque converter s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20062B2 (en) 2014-09-02
WO2008104670A1 (fr) 2008-09-04
JP5563311B2 (ja) 2014-07-30
FR2912196A1 (fr) 2008-08-08
FR2912196B1 (fr) 2009-05-01
US20110000204A1 (en) 2011-01-06
JP2010518327A (ja) 2010-05-27
MX2009008278A (es) 2009-08-12
DE112008000299T5 (de) 2009-12-17
KR20090104850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804B1 (ko) 자동차용 유압 토크 컨버터
US7454902B2 (en) Torque converter
US20140079570A1 (en) Launch torus torque converter
US200900323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h prevention using coil springs
US8341954B2 (en) Hydrodynamic coupling
US8596053B2 (en) Fluidic torque transfer device
US7918645B2 (en) Torque converter with brazed turbine
US20100178172A1 (en) Torque converter
JP2007298172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ダンパのためのアークスプリング駆動タブを備えた外部プレート
JP2009533614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ためのトーラス形状
US20070034469A1 (en) High cooling efficiency and durable TCC for constant slip application
US7083381B2 (en)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stator blade construction
JP6236398B2 (ja) 自動慣性無段変速機
JPH112305A (ja) トルクコンバータ
WO2014078756A1 (en) Stator and torque converter containing the same
JP2003194186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ー用ステータ
JP2003106399A (ja) トルクコンバータ
US5313794A (en) Fluid coupling
US7152399B2 (en) High efficiency torque converter
KR20080108535A (ko) 토크 컨버터용 토러스 형상
KR20080110805A (ko) 토크 컨버터용 토러스 형상
US20160201782A1 (en) Stator wheel of torque converter and torque converter
JP2003106398A (ja) トルクコンバータ
EP0846893A2 (en) Torque converter for motor vehicle
JP2008281201A (ja) 3部構成のステータ羽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