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517B1 -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517B1
KR101574517B1 KR1020150089665A KR20150089665A KR101574517B1 KR 101574517 B1 KR101574517 B1 KR 101574517B1 KR 1020150089665 A KR1020150089665 A KR 1020150089665A KR 20150089665 A KR20150089665 A KR 20150089665A KR 101574517 B1 KR101574517 B1 KR 10157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frequency
reference point
unit
fe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동권
전형섭
Original Assignee
(주)올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포랜드 filed Critical (주)올포랜드
Priority to KR102015008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촬영된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형지물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가 직진성이 아닌, 주파수송출부에서 다방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사이에 다른 방해요소가 존재하여도 용이하게 거리측정주파수를 거리측정부가 수신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를 통해 GPS 좌표를 측정시에 GPS 최대 허용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회전 및 이동할 수 있고, 다수의 지형지물에 각각 설치된 주파수송출부를 거리측정부가 식별할 수 있게 패스워드신호를 주파수측정부가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간의 거리측정이 가능한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은 측정수단, 측정정보 저장모듈, 항공촬영 이미지DB, 일차도화 처리모듈, 도화보정모듈, 도화이미지DB로 이루어진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다수의 지형지물 최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직진성이 아닌 거리측정주파수를 송출하는 주파수송출부 및 보정기준점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수신하여 상기 지형지물과 상기 보정기준점 간의 거리값과 상기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를 측위/전송하는 거리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enhancement of the accuracy of video image}
본 발명은 항공촬영된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형지물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가 직진성이 아닌, 주파수송출부에서 다방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사이에 다른 방해요소가 존재하여도 용이하게 거리측정주파수를 거리측정부가 수신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를 통해 GPS 좌표를 측정시에 GPS 최대 허용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회전 및 이동할 수 있고, 다수의 지형지물에 각각 설치된 주파수송출부를 거리측정부가 식별할 수 있게 패스워드신호를 주파수측정부가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간의 거리측정이 가능한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는 위치정보와 공간정보가 전산시스템을 통해 디지털로 수치화되어 제작된 지도를 말한다. 수치지도는 일반적인 도로지도, 관광지도 등의 제작에 기본적인 틀로 활용된다. 수치지도 제작과정은 일차적으로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이미지의 수집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수집된 항공촬영 이미지를 기초로 이미지를 도화하고, 도화 이미지에 설정된 기준점에 GPS 좌표를 맞추어 좌표정보를 합성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항공촬영 이미지는 수치지도의 제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1974년부터 1995년까지 1/25,000 지형도 수정제작을 위한 1/37000 및 1/20,000 항공사진이 촬영되었고, 1995년 이후 현재는 1/5,000 지형도 수정제작을 위한 1/20,000 및 1/1,000 지형도 제작을 위한 1/5,000 항공사진이 촬영되고 있다.
그런데 항공촬영 이미지는 항공기에서 촬영되는 것이므로 멀리 떨어진 지점에 대해서는 광학적인 변형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얻어진 항공촬영 이미지를 도화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격자형상의 GPS 좌표에 항공촬영 이미지에 그대로 맞출 경우 약간의 오차가 발생한다. 그 결과 항공촬영 이미지를 도화하여 나타나는 인공구조물 또는 각종 지형 지물의 모습 및 크기 등은 실제와 다소간의 차이가 있게 되므로 수치지도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1/1,000 수준의 지형도도 제작되고 있으므로 지형도 제작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는 항공촬영 이미지에 요구되는 정밀도도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19162호(2012.12.31)로 '항공촬영된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은 항공촬영이 진행되는 지역의 지형지물 가운데 임의로 2 이상 선택되는 보정 기준점들에 설치되어 각 보정 기준점의 GPS 좌표를 측위하고, 측위된 GPS 좌표에서 주변의 각종 지형지물까지의 거리들을 측정하며, 측위된 GPS 좌표 및 측정된 거리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측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GPS 좌표 및 상기 거리데이터를 근거로 항공촬영 이미지의 일차도화 이미지의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레이저를 이용한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사이의 거리를 측위하는 것으로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사이에 방해요소가 존재하면 직진성이 있는 레이저로는 원활한 거리값을 측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보정기준점에 설치된 측정장치가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측정장치에서 송신하는 GPS 좌표의 값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19162호 (2012.12.31) '항공촬영된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92435호 (2009.04.01) '항공촬영위치 변화에 따른 지리정보 영상이미지 수치지도 편집시스템' 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92441호 (2009.04.01)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업그레이드 시스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제안된 기술로 거리값을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사이의 방해요소가 있어도 원활하게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정기준점에서 측위된 GPS 좌표값에 오차가 있는 경우, 이를 수평이동하여 기 오차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은 항공촬영이 진행된 지역의 지형지물 가운데 임의로 둘 이상의 선택된 보정 기준점에 각각 설치되되 각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GPS 좌표의 위치에서 주변의 각종 지형지물까지의 거리를 거리측정주파수에 의해 측정하며 상기 측위된 GPS 좌표와 측정된 거리데이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이 전송한 GPS 좌표와 거리데이터를 무선수신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측정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항공촬영에 의하여 확보된 이미지데이터가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되는 항공촬영 이미지DB와, 상기 항공촬영 이미지DB에 저장된 항공촬영 이미지데이터에 상기 측정정보 저장모듈이 저장한 GPS 좌표와 거리데이터를 연계시키는 합성 처리하여 일차도화 이미지를 생성하고 컴퓨터에 구현되는 일차도화 처리모듈과, 상기 일차도화 처리모듈이 생성한 일차도화 이미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보정하되 상기 일차도화 이미지에 합성처리된 GPS 좌표와 거리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일차도화 이미지상에 나타난 보정 기준점들의 위치와 주변지형지물의 위치가 거리와 축척비율이 일치되도록 상기 일차도화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최종 도화 이미지를 생성하며 컴퓨터에 구현되는 도화보정모듈과, 상기 도화보정모듈이 생성한 최종도화 이미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로 이루어진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지형지물 최상부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서 외부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제1전원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거리측정주파수가 일정 세기를 갖도록 생성하는 주파수생성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전원부재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주파수생성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상기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제어부재로 이루어진 주파수송출부 및 두 분체로 이루어져 서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보정기준점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설치판과,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제2전원부재와, 상기 설치판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전원부재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몸체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값은 물론,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수신하여 상기 지형지물과 상기 보정기준점 사이의 거리값을 상기 측정정보 저장모듈로 송신하는 수신제어부재로 이루어진 거리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함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벽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홈과, 상기 제1슬라이드홈 하부에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과, 전면이 개방된 상기 하우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이 상기 제1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송출제어부재가 고정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 하부 양끝단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게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힌지편과, 상기 힌지편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상기 이동판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지각을 포함하고, 상기 송출제어부재는 상기 이동판에 고정설치되는 함 형상의 제1제어함과, 상기 제1제어함에 설치되며, RF주파수 또는 무선통신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로 송출될 수 있도록 상기 주파수생성부재를 제어하는 디바이드부와, 상기 디바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드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상기 거리측정부로 송출하며, 상기 거리측정주파수가 어떠한 상기 지형지물에서 송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패스워드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신호송출부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거리측정주파수가 일정 시간차이를 갖게 송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송출부를 제어하는 신호점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보정기준점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회전모터가 구비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기둥과, 상기 회전기둥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평기어가 형성된 제1연장바와, 상기 제1연장바와 서로 이웃하게 상기 회전기둥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재가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재가 상기 제1연장바를 통해 이동시에 상기 몸체부재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연장바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재는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바와 수직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노출공이 천공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설치판 양측이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안내홈과,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부가 분할 형성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격판과, 상기 격판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전원부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신제어부재와 서로 치(齒)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1기어와, 상기 몸체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전원부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와. 하부가 상기 노출공을 통해 관통삽입되어 상기 평기어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제1연장바를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제어부재는 상기 몸체 외부에 구비되머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제1기어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테나를 회전시키는 제3기어로 이루어진 송/수신부와, 전체적으로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설치판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제어함과, 상기 제2제어함에 설치되며, 상기 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통해 상기 지형지물과 상기 보정기준점 간의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패스워드신호를 분석하는 연산부와, 상기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를 측위하는 GPS 측정부와,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상기 지형지물과 상기 보정기준점 간의 거리값 및 상기 GPS 측정부를 통해 측위된 상기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값을 상기 측정정보 저장모듈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스워드신호는 상기 지형지물의 이름, 상기 송출제어부재의 관리번호 및 상기 지형지물의 주소(번지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지형지물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가 직진성이 아닌, 주파수송출부에서 다방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사이에 다른 방해요소가 존재하여도 용이하게 거리측정주파수를 거리측정부가 수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회전부재를 통해 GPS 좌표를 측정시에 GPS 최대 허용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다수의 지형지물에 각각 설치된 주파수송출부를 거리측정부가 식별할 수 있게 패스워드신호를 주파수측정부가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지형지물과 보정기준점 간의 거리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주파수송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하우징부재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대한 하우징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이동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송출제어부재를 나타낸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거리측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몸체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대한 몸체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설치판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송/수신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회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회전부재와 몸체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수신제어부재를 나타낸 블럭도.
도 17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영상처리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언급된 측정정보 저장모듈(2), 항공촬영 이미지DB(3), 일차도화처리모듈(4), 도화보정모듈(5) 및 도화이미지DB(6)의 상세한 설명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19162호에 기재된 공지화된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종래기술에 기재된 내용으로 대신한다.
먼저,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크게 측정수단(1), 측정정보 저장모듈(2), 항공촬영 이미지DB(3), 일차도화 처리모듈(4), 도화보정모듈(5) 및 도화이미지DB(6)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측정수단(1)은 보정기준점(P)의 GPS 좌표를 측위한 측위값과 거리측정주파수(F)를 통해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사이의 거리를 판단한 거리값을 측정정보 저장모듈(2)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크게 주파수송출부(100)와 거리측정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파수송출부(100)는 지형지물(B)에 설치되며, 보정기준점(P)에 설치된 거리측정부(200)로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측정주파수(F)를 송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부재(110), 이동부재(120), 제1전원부재(130) 주파수생성부재(140) 및 송출제어부재(150)를 포함한다. 이때, 주파수송출부(100)는 하나의 거리측정부(200)를 통해 기준이 되는 보정기준점(P)을 중심으로 다수의 지형지물(B) 간에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형지물(B)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우징부재(110)는 지형지물(B)에 고정설치되며, 후술하는 이동부재(120), 제1전원부재(130) 및 송출제어부재(150)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11), 제1슬라이드홈(113), 삽입홈(114), 조명부재(115) 및 도어(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11)은 전체적으로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이동부재(120), 제1전원부재(130) 및 송출제어부재(150)가 설치되는 수용공간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11)은 지형지물(B) 외부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가 거리측정부(200)에 용이하게 수신될 수 있도록 지형지물(B) 최상부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슬라이드홈(113)은 하우징(111) 양측 내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이동부재(120)의 이동판(121) 양측이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삽입홈(114)은 상술한 제1슬라이드홈(113)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1) 내벽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제1슬라이드홈(113)에 이동판(121)이 삽입시에 상기 이동판(121)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각(123)이 삽입되어 하우징(111)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삽입홈(114)의 길이는 이동판(121)이 제1슬라이드홈(113)에서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111)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에 지지각(123)이 삽입홈(114)에서 이탈하여 그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하우징(111) 내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술한 제1슬라이드홈(113) 및 삽입홈(114)은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수용공간부(112) 내에서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111) 내벽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체결공과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조명부재(115)는 하우징(111) 상부에 형성되며, 야간에 작업자가 송출제어부재(150)를 조작시에 조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명부재(115)는 제1전원부재(130) 또는 송출제어부재(15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조명부재(115)로 인가되는 전원은 도어(116)의 회전 즉, 수용공간부(112)의 개폐에 의해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16)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갖도록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111)과 회전가능하게 경첩 등으로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하우징(111) 내부의 수용공간부(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어(116)에는 자석 또는 후크 형상의 잠금부재가 구비되어 수용공간부(112)의 폐쇄시에 도어(116)가 하우징(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동부재(120)는 상부에 송출제어부재(150)가 고정설치되어 작업자가 송출제어부재(150)를 조작시에는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111)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수용공간부(112) 내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하우징(111)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동판(121), 힌지편(122) 및 지지각(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판(121)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에는 제1제어함(151) 및 모니터가 고정설치되고, 양측은 하우징(111) 내벽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홈(113)에 각각 삽입되어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111)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동판(121)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형성되어 제1제어함(151), 제1전원부재(130) 및 주파수생성부재(140) 등이 서로 케이블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편(122)은 이동판(121) 하부 양측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지지각(123)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도록 한다.
지지각(123)은 일측이 상술한 힌지편(122)과 회전가능하도록 축 결합하며, 이동판(121)이 하우징(111) 내부로 인입시에 상기 이동판(121)과 평행하게 회전하여 삽입홈(114)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판(121)이 하우징(111) 외부로 인출시에 상기 삽입홈(114)에서 이탈 및 회전하여 타측이 회전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어 이동판(121)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각(123)은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보조각(124)이 삽입 및 인출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지지각(123)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회전시에 보조각(124)이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지면과 이동판(121)의 설치 높이에 따라 상기 이동판(121)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중공부에 구비되는 보조각(124)은 중공부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 완충되도록 지지각(123)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보조각(124)이 지지각(12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동판(121)이 지면과 고정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여 이동판(121) 상부에 설치된 제1제어함(151) 내부의 구성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요에 따라 지지각(123)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임나사에 의해 보조각(124)이 지면에 지지된 이후에 상기 조임나사로 보조각(124)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예컨대, 제1전원부재(130)는 하우징(111)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송출제어부재(15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컨대, 주파수생성부재(140)는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측정주파수(F)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주파수생성부재(140)는 송출제어부재(15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하우징(111)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설치되며, 제1전원부재(130)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를 거리측정부(200)가 판단할 수 있도록 거리측정주파수(F)를 발생한다. 이때, 거리측정주파수(F)는 송출제어부재(150)의 제어를 통해 일정 세기 또는 일정 시간대로 송출되며, 직선형으로 송출되는 종래의 레이저와 달리 다방으로 송출가능한 RF(무선:Radio frequency)주파수이거나 또는 와이파이(WiFi) 무선통신주파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거리측정주파수(F)는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보정기준점(P)에 설치된 거리측정부(200)가 거리측정주파수(F)를 수신하기 용이하도록 증폭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무선통신주파수(WiFi)의 영역대는 통상 RF주파수의 영역대보다 넓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무선통신주파수의 강제로 넓혀 거리측정부(2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송출제어부재(150)는 주파수생성부재(140)를 통해 생성된 거리측정주파수(F)를 보정기준점(P)에 설치된 거리측정부(200)로 송출하고,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의 세기 또는 시간대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제어함(151), 디바이드부(152), 신호송출부(153) 및 신호점멸부(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제어함(151)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함 형상을 갖도록 이동판(121)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디바이드부(152), 신호송출부(153), 신호점멸부(154) 등이 고정설치된다. 이때 제1제어함(151) 상부에는 작업자가 신호송출부(153)를 통해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의 세기나 송출시간대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조작할 수 있는 모니터가 구비되며, 전면에는 내부에 설치된 디바이드부(152), 신호송출부(153), 신호점멸부(154) 등을 외부에서 작업자가 각각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바이드부(152)는 신호송출부(153)를 통해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의 종류를 작업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작업자는 주변환경에 따라 거리측정주파수(F)가 원활하게 송출될 수 있도록 주파수생성부재(140)를 통해 RF주파수 또는 무선통신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거리측정주파수(F)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보정기준점(P)에 설치된 거리측정부(200)가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신호송출부(153)는 디바이드부(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디바이드부(152)에 선택된 거리측정주파수(F)가 주파수생성부재(140)를 통해 거리측정부(200)로 송출한다. 이때, 신호송출부(153)는 거리측정주파수(F)를 송출시에 일정 세기를 갖도록 송출하며, 보정기준점(P)에 설치된 거리측정부(200)가 수신되는 거리측정주파수(F)의 세기를 판단하여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신호송출부(153)는 각각의 지형지물(B)에 설치된 주파수송출부(100)가 어느 지형지물(B)에서 송출된 거리측정주파수(F)인지 거리측정부(200)가 판단할 수 있도록 패스워드신호(P.W)를 거리측정주파수(F)와 함께 외부로 송출한다. 이때, 패스워드신호(P.W)는 지형지물(B)의 이름, 송출제어부재(150)의 관리번호 및 지형지물(B)의 주소(번지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점멸부(154)는 신호송출부(1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신호송출부(153)를 통해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가 일정 시간간격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그 시시간대에 간격을 통해 거리측정부(200)가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신호점멸부(154)는 신호송출부(153)를 통해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가 일정 세기를 갖도록 송출되는 경우,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신호송출부(153)를 통해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는 거리측정부(200)를 통해 수신시에 상기 거리측정부(200)가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과의 거리를 수신된 거리측정주파수(F)의 종류가 아닌, 그 주파수의 세기 또는 시간대를 통해 거리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그 어느 하나를 통해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신호점멸부(154)는 생략가능한 것이다.
또한, 거리측정부(200)는 도 2 및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지형지물(B)에 설치된 주파수송출부(100) 중 어느 하나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를 수신하여 각각의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부재(210), 설치판(220), 제2전원부재(230), 회전부재(240) 및 수신제어부재(250)를 포함한다.
예컨대, 몸체부재(210)는 회전부재(240) 상부에 구비되어 보정기준점(P)에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설치판(220), 제2전원부재(230) 및 수신제어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211), 안내홈(215), 격판(216), 제1구동부재(217) 및 제2구동부재(218)를 포함한다.
몸체(211)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설치공간부(212)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몸체(211) 하부 일측에는 제2구동부재(218)에 의해 몸체(211)가 회전부재(24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213)가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연장바(246)에 삽입되며, 하부 타측에는 후술하는 제2구동부재(218)의 제3기어(253) 일부가 몸체(211) 외부로 노출되어 제1연장바(244)에 형성된 평기어(245)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노출공(214)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211) 상부에는 제1구동부재(217)의 구동축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공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구동축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제1기어(217b)가 제3기어(253)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몸체(211) 상부에는 안테나(25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안테나(252)는 몸체(211)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제3기어(253)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몸체(211)는 상술한 하우징(111)의 수용공간부(112)를 개폐하는 도어(116)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폐도어가 전면이 개방된 몸체(211)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치공간부(2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안내홈(215)은 몸체(211)의 양측 내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설치판(220)의 양측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된다.
격판(216)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설치공간부(212)가 분할 형성될 수 있도록 몸체(211)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격판(216)은 수신제어부재(250), 제2전원부재(230), 제1구동부재(217)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케이블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공이 천공형성되며, 격판(216)을 중심으로 설치공간부(212) 상부에는 제2구동부재(218)가 상기 격판(216)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설치판(220)가 설치공간부(212)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동부재(217)는 몸체 외부에 설치된 송/수신부(251)가 회전하여 주파수생성부재(140)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 또는 패스워드신호(P.W)의 수신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구동모터(217a) 및 제1기어(217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구동모터(217a)는 하부가 격판(216)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몸체(211) 내부에 설치되며, 제2전원부재(23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구동모터(217a)의 구동축은 몸체(211) 상부에 천공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몸체(211)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삽입되며, 제3기어(253)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1기어(217b)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기어(217b)는 제1구동모터(217a)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송/수신부(251)에 구비된 제3기어(253)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송/수신부(251)가 360°방향으로 회전하여 거리측정주파수(F) 또는 패스워드신호(P.W)의 수신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2구동부재(218)는 몸체(211)가 회전부재(240)를 통해 왕복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구동모터(218a) 및 제2기어(218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구동모터(218a)는 몸체(211) 내부 바닥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며, 제2전원부재(23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제2기어(218b)는 제2구동모터(218a)의 모터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가 몸체(211) 하부에 형성된 노출공(214)을 통해 몸체(211) 외부로 노출되어 제1연장바(244)에 형성된 평기어(245)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제2구동모터(218a)의 회전방향에 따라 몸체(211)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설치판(220)는 상부에 수신제어부재(250)가 고정설치되어 작업자가 수신제어부재(250)를 조작시에는 전면이 개방된 몸체(211)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설치공간부(212) 내로 수납될 수 있도록 몸체(211)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설치판(220)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이 각각 안내홈(215)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작업자에 의해 개방된 몸체(211) 외부에서 상기 몸체(211) 내부로 입/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2전원부재(23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상술한 몸체부재(210)와 후술하는 회전부재(240) 및 수신제어부재(250)에 각각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 격판(216) 하부에 위치하는 설치공간부(212) 즉, 몸체(211) 내부 바닥면에 고정설치된다.
예컨대, 회전부재(240)는 거리측정부(200)를 통해 GPS 좌표를 취득시 GPS 최대오차범위에 맞추어 상기 거리측정부(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기둥(241), 고정기둥(242), 회전모터(243), 제1연장바(244) 및 제2연장바(246)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기둥(241)은 전체적으로 원 또는 다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보정기준점(P)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는 몸체(211) 하부가 제1연장바(244) 및 제2연장바(246)에 안내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는 고정기둥(242) 내에 설치된 회전모터(24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회전기둥(241) 상부에는 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연장형성되어 몸체(2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연장바(244) 및 제2연장바(24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모터(243)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기어(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기둥(242)은 전체적으로 원 또는 다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에는 회전기둥(24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는 지면 즉, 보정기준점(P)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된다.
회전모터(243)는 제2전원부재(230) 또는 외부전원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가능하도록 고정기둥(242) 내에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고정기둥(242) 상부에 배치되는 회전기둥(241)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회전기둥(241)을 회전시킨다.
제1연장바(244) 및 제2연장바(246)는 회전기둥(241) 상부에 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연장형성되며, 제1연장바(244)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되 몸체(211) 하부의 노출공(2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2기어(218b)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평기어(245)가 형성되어 제2기어(218b)의 회전에 의해 몸체(211)가 전/후진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연장바(246) 상면에는 몸체(211)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213)가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홈(247)이 형성되어 제2기어(218b)의 회전에 의해 몸체(211)가 전/후진으로 이동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연장바(244) 및 제2연장바(246)의 길이는 GPS 좌표의 최대오차범위인 ±1m(±1미터)를 만족할 수 있게 몸체(211)의 이동거리가 최소 1미터 이상 이동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수신제어부재(250)는 주파수송출부(100)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를 수신하며, 그 수신된 거리측정주파수(F)의 세기 또는 수신시간대를 연산하여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값를 측정하고,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값 및 연산된 거리값을 측정정보 저장모듈(2)로 송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송/수신부(251), 제2제어함(254), 연산부(255), GPS 측정부(256) 및 메모리부(257)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수신부(251)는 지형지물(B)에 설치된 주파수송출부(100)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 및 패스워드신호(P.W)를 수신하고, 보정기준점(P)의 GPS 좌표 및 측정된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값을 측정정보 저장모듈(2)로 송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 송/수신부(251)는 연산부(2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거리측정주파수(F)를 수신할 수 있게 몸체(211) 외부에 구비되는 안테나(252)가 사용되며, 상기 안테나(252) 하부에는 제1구동부재(217)인 제1기어(217b)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3기어(25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보정기준점(P)을 중심으로 다방에서 거리측정부(200)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의 수신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2제어함(254)은 후술하는 연산부(255), GPS 측정부(256) 및 메모리부(257)가 각각 고정설치될 수 있게 전체적으로 사각의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설치판(220)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판(220)의 이동에 의해 전면이 개방된 몸체(211) 내부에서 외부로 입/출입 된다.
연산부(255)는 송/수신부(251)를 통해 수신된 거리측정주파수(F)를 연산하여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값을 측정한다. 이때, 연산부(255)는 수신된 거리측정주파수(F)의 세기 또는 상기 거리측정주파수(F)가 송/수신부(251)를 통해 수신되는 시간차이를 연산하여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산부(255)는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주파수송출부(100)에서 송출하는 거리측정주파수(F) 이외에 패스워드신호(P.W)를 동시에 수신하여 어느 지형지물(B)에 설치된 주파수송출부(100)의 거리측정주파수(F)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GPS 측정부(256)는 송/수신부(2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2제어함(254)에 설치되며, 인공위성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보정기준점(P)의 GPS 좌표를 확보하여 GPS 측정기의 구현을 실행한다.
메모리부(257)는 연산부(255) 및 GPS 측정부(2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2제어함(254)에 설치되며, 연산부(255)를 통해 측정된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값 및 GPS 측정부(256)를 통해 분석된 보정기준점(P)의 GPS 좌표값을 송/수신부(251)를 통해 측정정보 저장모듈(2)로 전송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영상처리시스템의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주파수송출부(100)는 다수의 지형지물(B) 최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거리측정부(200)는 임의의 보정기준점(P) 중앙부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먼저,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정기준점(P)을 중심으로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B)에 설치된 주파수송출부(100)의 신호송출부(153) 및 디바이드부(152)를 조작하여 주파수생성부재(140)를 통해 RF주파수 또는 무선통신주파수인 거리측정주파수(F)를 방사상으로 송출시켜 거리측정부(2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신호송출부(153)를 통해 거리측정주파수(F)가 일정 세기를 갖도록 송출하거나 또는 신호점멸부(154)를 통해 일정 시간대로 거리측정주파수(F)가 주파수생성부재(140)에 의해 송출하여 거리측정부(200)가 이를 기준으로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형지물(B)에서 송출된 거리측정주파수(F)는 종래와 달리 직진성이 없는 방사상으로 퍼져나가는 주파수라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사이에 방해요소(B')가 존재하여도 용이하게 거리측정부(200)가 거리측정주파수(F)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도 18 참조)
그 다음, 지형지물(B)에서 송출된 거리측정주파수(F)는 보정기준점(P)에 설치된 거리측정부(200)의 송/수신부(251)를 통해 수신된다. 이때, 송/수신부(251)는 제1구동모터(217a)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1기어(217b)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3기어(253)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안테나(252)가 360°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정기준점(P)을 중심으로 다방에서 송출되는 지형지물(B)의 거리측정주파수(F)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도 13 참조)
그 다음, 송/수신부(251)를 통해 수신된 거리측정주파수(F)는 제2제어함(254)에 설치된 연산부(255)에 그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연산부(255)는 수신된 거리측정주파수(F)의 세기나 수신 시간차이를 통해 미리 저장된 연산식으로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값을 연산하게 된다.
즉, 거리측정주파수(F)를 일정한 세기로 송출하는 경우,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에 따라 거리측정부(200)가 수신할 수 있는 거리측정주파수(F)는 달라지게 되며, 거리측정부(200)는 이러한 거리측정주파수(F)의 수신된 세기를 기반으로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값을 미리 저장된 연산식을 통해 도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형지물(B)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를 신호점멸부(154)에 의해 일정 시간차이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역시, 거리측정부(200)가 수신하는 시간차이를 연산하여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보정기준점(P)에 설치된 거리측정부(200)는 GPS 좌표의 최대오차범위인 ±1미터 이내라는 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송/수신부(251)가 반경 1미터 이내에서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구동모터(218a)와 회전가능하게 몸체(211) 하부의 노출공(2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2기어(218b)는 회전기둥(241)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2기어(218b)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평기어(245)가 형성된 제1연장바(244)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211)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213)는 제1연장바(244)와 서로 이웃하게 회전기둥(241)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13)가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홈(247)이 형성된 제2연장바(246)를 통해 보정기준점(P) 내에서 반경 1미터 이내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회전모터(243)를 통해 몸체(211)가 이동된 상태 또는 보정기준점(P)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360°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송/수신부(251)가 원활하게 거리측정주파수(F)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산부(255)를 통해 연산된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값과 GPS 측정부(256)를 통한 보정기준점(P)의 GPS 좌표값은 메모리부(257)에 저장되어 송/수신부(251)의 안테나(252)를 통해 측정정보 저장모듈(2)로 그 측정값을 전송하게 되고, 상기 측정정보 저장모듈(2)로 송신된 측정값은 종래에서 언급된 항공촬영 이미지DB(3), 일차도화처리모듈(4), 도화보정모듈(5) 및 도화이미지DB(6)을 거쳐 항공이미지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도 2 참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지형지물(B)에서 송출되는 거리측정주파수(F)가 직진성이 아닌, 주파수송출부(100)에서 다방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사이에 다른 방해요소가 존재하여도 용이하게 거리측정주파수(F)를 거리측정부(200)가 수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회전부재(240)를 통해 GPS 좌표를 측정시에 GPS 최대 허용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다수의 지형지물(B)에 각각 설치된 주파수송출부(100)를 거리측정부(200)가 식별할 수 있게 패스워드신호(P.W)를 주파수측정부(256)가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지형지물(B)과 보정기준점(P) 간의 거리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측정수단 100: 주파수송출부
110: 하우징부재 111: 하우징
112: 수용공간부 113: 제1슬라이드홈
114: 삽입홈 115: 조명부재
116: 도어 120: 이동부재
121: 이동판 122: 힌지편
123: 지지각 124: 보조각
130: 제1전원부재 140: 주파수생성부재
150: 송출제어부재 151: 제1제어함
152: 디바이드부 153: 신호송출부
154: 신호점멸부 200: 거리측정부
210: 몸체부재 211: 몸체
212: 설치공간부 213: 돌출부
214: 노출공 215: 안내홈
216: 격판 217: 제1구동부재
217a: 제1구동모터 217b: 제1기어
218: 제2구동부재 218a: 제2구동모터
218b: 제2기어 220: 설치판
230: 제2전원부재 240: 회전부재
241: 회전기둥 242: 고정기둥
243: 회전모터 244: 제1연장바
245: 평기어 246: 제2연장바
247: 제2슬라이드홈 250: 수신제어부재
251: 송/수신부 252: 안테나
253: 제3기어 254: 제2제어함
255: 연산부 256: GPS 측정부
257: 메모리부 B: 지형지물
F: 거리측정주파수 P: 보정기준점
P.W: 패스워드신호

Claims (1)

  1. 항공촬영이 진행된 지역의 지형지물 가운데 임의로 둘 이상의 선택된 보정 기준점에 각각 설치되되 각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GPS 좌표의 위치에서 주변의 각종 지형지물까지의 거리를 거리측정주파수에 의해 측정하며 상기 측위된 GPS 좌표와 측정된 거리데이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이 전송한 GPS 좌표와 거리데이터를 무선수신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측정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항공촬영에 의하여 확보된 이미지데이터가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되는 항공촬영 이미지DB와, 상기 항공촬영 이미지DB에 저장된 항공촬영 이미지데이터에 상기 측정정보 저장모듈이 저장한 GPS 좌표와 거리데이터를 연계시키는 합성 처리하여 일차도화 이미지를 생성하고 컴퓨터에 구현되는 일차도화 처리모듈과, 상기 일차도화 처리모듈이 생성한 일차도화 이미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보정하되 상기 일차도화 이미지에 합성처리된 GPS 좌표와 거리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일차도화 이미지상에 나타난 보정 기준점들의 위치와 주변지형지물의 위치가 거리와 축척비율이 일치되도록 상기 일차도화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최종 도화 이미지를 생성하며 컴퓨터에 구현되는 도화보정모듈과, 상기 도화보정모듈이 생성한 최종도화 이미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로 이루어진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지형지물 최상부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서 외부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제1전원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거리측정주파수가 일정 세기를 갖도록 생성하는 주파수생성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전원부재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주파수생성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상기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제어부재로 이루어진 주파수송출부; 및
    두 분체로 이루어져 서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보정기준점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설치판과,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제2전원부재와, 상기 설치판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전원부재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몸체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값은 물론,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수신하여 상기 지형지물과 상기 보정기준점 사이의 거리값을 상기 측정정보 저장모듈로 송신하는 수신제어부재로 이루어진 거리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함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벽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홈과, 상기 제1슬라이드홈 하부에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과, 전면이 개방된 상기 하우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이 상기 제1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송출제어부재가 고정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 하부 양끝단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게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힌지편과, 상기 힌지편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상기 이동판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지각을 포함하고,
    상기 송출제어부재는 상기 이동판에 고정설치되는 함 형상의 제1제어함과, 상기 제1제어함에 설치되며, RF주파수 또는 무선통신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로 송출될 수 있도록 상기 주파수생성부재를 제어하는 디바이드부와, 상기 디바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드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상기 거리측정부로 송출하며, 상기 거리측정주파수가 어떠한 상기 지형지물에서 송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패스워드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상기 신호송출부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거리측정주파수가 일정 시간차이를 갖게 송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송출부를 제어하는 신호점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보정기준점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회전모터가 구비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기둥과, 상기 회전기둥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재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평기어가 형성된 제1연장바와, 상기 제1연장바와 서로 이웃하게 상기 회전기둥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재가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재가 상기 제1연장바를 통해 이동시에 상기 몸체부재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2연장바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재는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바와 수직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노출공이 천공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설치판 양측이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안내홈과,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부가 분할 형성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격판과, 상기 격판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전원부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신제어부재와 서로 치(齒)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1기어와, 상기 몸체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전원부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와. 하부가 상기 노출공을 통해 관통삽입되어 상기 평기어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제1연장바를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제어부재는 상기 몸체 외부에 구비되머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제1기어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테나를 회전시키는 제3기어로 이루어진 송/수신부와, 전체적으로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설치판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제어함과, 상기 제2제어함에 설치되며, 상기 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된 상기 거리측정주파수를 통해 상기 지형지물과 상기 보정기준점 간의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패스워드신호를 분석하는 연산부와, 상기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를 측위하는 GPS 측정부와,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상기 지형지물과 상기 보정기준점 간의 거리값 및 상기 GPS 측정부를 통해 측위된 상기 보정기준점의 GPS 좌표값을 상기 측정정보 저장모듈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스워드신호는 상기 지형지물의 이름, 상기 송출제어부재의 관리번호 및 상기 지형지물의 주소(번지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KR1020150089665A 2015-06-24 2015-06-24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KR101574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65A KR101574517B1 (ko) 2015-06-24 2015-06-24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65A KR101574517B1 (ko) 2015-06-24 2015-06-24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517B1 true KR101574517B1 (ko) 2015-12-04

Family

ID=5486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665A KR101574517B1 (ko) 2015-06-24 2015-06-24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5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513B1 (ko) 2017-07-27 2018-03-07 주식회사 유성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로 대칭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835514B1 (ko) 2017-08-18 2018-03-07 주식회사 유성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2346286B1 (ko) * 2021-07-28 2022-01-03 주식회사 도명메타 영상이미지의 정밀한 보정과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62B1 (ko) 2012-09-26 2013-01-09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62B1 (ko) 2012-09-26 2013-01-09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513B1 (ko) 2017-07-27 2018-03-07 주식회사 유성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로 대칭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835514B1 (ko) 2017-08-18 2018-03-07 주식회사 유성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2346286B1 (ko) * 2021-07-28 2022-01-03 주식회사 도명메타 영상이미지의 정밀한 보정과 합성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6580B (zh) 测绘仪器、ar系统和相对于参照系定位ar装置的方法
US11604065B2 (en) Fully automatic position and alignment determination method for a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method for ascertaining the suitability of a position for a deployment for surveying
EP1672314B1 (en) Method for preparing a stereo image and corresponding system for preparing three-dimensional data
EP2698602A1 (de) Handhaltbares Entfernungsmessgerät mit Winkelbestimmungseinheit
KR101574517B1 (ko)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KR101347859B1 (ko)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US20160178754A1 (en) Portable gnss survey system
US20190145769A1 (en) Surveying device, and calibration checking method and calibration checking program for surveying device
KR101683784B1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지도 처리시스템
EP2904544A2 (en) Enhanced bundle adjustment techniques
KR101625630B1 (ko) 드론으로 촬영된 촬영이미지의 특정위치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는 위치확인시스템
KR101721467B1 (ko) 촬영 후 왜곡된 영상의 보정기능을 갖는 영상처리 장치
EP2656005A1 (en) Enhanced position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EP2788715B1 (en) Robotic leveling
EP3771886A1 (en) Surveying apparatus, surveying method, and surveying program
KR101160133B1 (ko)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 데이터 업데이트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US9823354B2 (en) Illuminance measuring system
US20220257001A1 (en) Frame for at least one scanning device and spatial detection device with at least one scanning device
EP3410064A1 (de) Inspektionskameraeinheit, verfahren zur inspektion von innenräumen sowie sensoreinheit
KR101789210B1 (ko) 모바일 측량장치의 수평조절을 통한 지형지물의 변화감지 및 측지정보 취득 시스템
NO20180499A1 (en) Construction machine guidance system
KR100892442B1 (ko) 기준점 및 수준점 적용을 통한 삼차원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941501B1 (ko) 지리조사 시 접근위험지역시설물의 위치정보를 휴대용 거리측정기로 확보하고 수치지도에 적용하는 시스템
KR101273416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 합성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217857B1 (ko) 토탈스테이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측지측량 데이터 수집 전용 통합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