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289B1 -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 Google Patents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289B1
KR101574289B1 KR1020150102559A KR20150102559A KR101574289B1 KR 101574289 B1 KR101574289 B1 KR 101574289B1 KR 1020150102559 A KR1020150102559 A KR 1020150102559A KR 20150102559 A KR20150102559 A KR 20150102559A KR 101574289 B1 KR101574289 B1 KR 10157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earthquake
op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규
황은동
Original Assignee
(주)제이케이알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케이알에스티 filed Critical (주)제이케이알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10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지진 발생시 배전기기의 전원을 순차 차단하고, 지진에 의한 수도관 파열에 따른 침수 발생시 배전기기의 도어가 완벽히 밀폐되도록 하여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또는 침수 감지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과 더불어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지진에 의해 배전기기를 구성하는 도어부의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완벽히 배전기기의 개구를 밀폐할 수 있는 도어 구조 및 밀폐 구조를 제공하여 지진에 의한 침수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배전기기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에 의한 진동과 침수에 의한 수압을 배전기기의 도어가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제공하여 배전기기 내부에 구성된 기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Power distributor against earthquake and inundation}
본 발명은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지진 발생시 배전기기의 전원을 순차 차단하고, 지진에 의한 수도관 파열에 따른 침수 발생시 배전기기의 도어가 완벽히 밀폐되도록 하여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이나 분전반과 같은 배전기기는 발전소로부터 고압의 전력을 전달받아 각종 전기설비 계통으로 배전하는 장치로서,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받아 저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전기구조물이 밀폐 형태의 컨테이너에 구성 및 배치되고 있는 배전기기의 특성상 민감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배전기기는 일반적인 결로 현상과 같은 미미한 환경 요인에 의해서도 내부 기자재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기기의 고장이나 화재와 같은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대규모의 천재지변이 발생한 경우 배전기기가 건물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일반적인 환경요인에 의한 사고와는 비교할 수 없는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기존 배전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전기기 하단에 탄성체 구조물을 구비하여 지진파에 의한 흔들림을 상쇄시켜 배전기기에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전기기의 내진 구성은 단순히 배전기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하므로, 배전기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지진파 충격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기기의 각종 기자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진에 의해 하수도 파손에 의한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배전기기 내부가 침수될 수 있어,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내부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된 배전기기의 내진 설계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3097호
본 발명은 지진 또는 침수 감지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과 더불어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지진에 의한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완벽히 배전기기의 개구를 밀폐할 수 있는 도어 구조 및 밀폐 구조를 제공하여 지진에 의한 침수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배전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배전기기의 도어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배전기기의 침수시 내부에 유입된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배전기기의 내부 기자재가 보호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는 배전기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성되어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성된 차단기류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비상전력을 축전하여 저장하는 축전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에 대응되어 도어부의 후면에 구성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를 일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에 고정되도록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축전부의 비상전력으로 동작하며, 상기 차단부를 통해 상기 차단기류를 순차 차단하고, 상기 각 도어 차단부를 통해 상기 차단바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시켜 상기 도어부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부는 외면에 내진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유입된 물기를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배출하는 양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여 생성한 습도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정보에 따른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양수기를 동작하여 상기 본체부 내부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흡기팬 및 배기팬과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로 구성되는 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팬부를 폐쇄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습도정보에 따른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부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부에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한 도어부를 잠금시키는 도어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도어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잠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단바는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개방부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는 외주면 일부에 제 1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는 외주면 일부에 상기 개구부 폐쇄시 상기 제 1 단턱부와 상호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제 2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단턱부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제 1 단턱부와 제 2 단턱부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실링부재는 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으로 상기 본체부 내부면에 일측이 축 결합되어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단바와, 상기 도어부의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1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1 차단바의 타측 일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방 이동을 통해 상기 제 1 차단바의 일부가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스크류 기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차단바를 이동시키는 제 1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단바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고정 브라켓과, 상기 개구부의 상하방으로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의 횡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 2 차단바를 횡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차단바의 일부가 상기 제 2 브라켓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또는 침수 감지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과 더불어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지진에 의해 배전기기를 구성하는 도어부의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완벽히 배전기기의 개구를 밀폐할 수 있는 도어 구조 및 밀폐 구조를 제공하여 지진에 의한 침수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배전기기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에 의한 진동과 침수에 의한 수압을 배전기기의 도어가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제공하여 배전기기 내부에 구성된 기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배전기기의 도어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배전기기의 침수시 내부에 유입되는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배전기기의 내부 기자재가 보호되도록 하고 감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차단부의 구성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차단부의 복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의 동작 순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의 전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상기 배전기기(100)는 배전반, 분전반, 전동기 제어반, 자동 제어반,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반 등을 포함하며, 지진 발생시 상기 배전기기(1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배전기기(100)의 작동에 따라 잔류하는 충전 전력을 방전하여 지진으로 인해 내구성이 약해진 상기 배전기기(100)의 구성 요소를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를 배전반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분전반을 포함하는 다양한 배전기기(100)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을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은 기본적으로 배전반(100)의 본체를 구성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에 구성되는 내진 탄성 고정부(30), 전력 관리부(130), 차단부(120), 제어부(110), 축전부(140), 센서부(150), 도어(door)부(10) 및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본체부(1)는 외면에 보강부재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의 일례로 상기 본체부(1) 외면에 지진 발생시 내진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는 지진 발생시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지진 센서(151)와, 상기 본체부(1)의 일부에 부착되어 침수시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침수 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부(130)는 전력 인입선을 통해 송전된 전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전력을 변압하고, 상기 변압된 전력을 부하(또는 계통)으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전력 관리부(130)는 1차 차단기(131), 변압기(132) 및 하나 이상의 2차 차단기(13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관리부(130)는 상기 전력 관리부(130)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하기 위해서, 상기 변압기(132)의 1차측에 연결된 상기 1차 차단기(131)와 상기 변압기(132)의 2차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2차 차단기(133)를 포함하는 차단기류(131, 133)를 구성(또는 형성)한다.
이때, 상기 1차 차단기(131)는 VCB(Vacuum Circuit Break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차단기(133)는 ACB(Air Circuit Break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가 상기 ACB를 대체하거나 또는 상기 2차 차단기(133)에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차단기(131)는 상기 ACB로 구성되고, 상기 2차 차단기(133)는 MCCB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120)는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차단기류(131, 133)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관리부(130)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지진 또는 침수 해제시 상기 차단기류(131, 133)를 복구시켜 다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배전반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의 동작 구성에 대한 일례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지진 또는 침수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상기 차단기류(131, 133)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관리부(130)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전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비상전력을 축전하며, 지진 발생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로 비상전력(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부(140)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지진 발생시 상기 축전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비상전력으로 동작하며, 상기 전력 관리부(130)에 대한 관리 기능(또는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지진 센서(151)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지진 센서(151) 또는 침수 센서(153)의 감지신호를 미리 설정된 차단 기준과 비교하고 이에 따라 차단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차단기류(131, 133)를 순차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은 전력 관리부(130)의 차단기류(131, 133)에 의한 차단시 내부에 잔류하는 충전전력을 외부 접지로 선택적으로 방전시키는 접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력 관리부(130)의 차단기류(131, 133)에 포함된 각 차단기에 대한 차단 상태를 차단부(120)를 통하거나 직접 판단하여, 모든 차단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부를 통해 접지 스위치를 단락시켜 상기 전력 관리부(130)에 잔류하는 전력을 접지로 방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력 관리부(130)에 잔류하는 충전 전력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상기 배전반(10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 중 지진 센서(151)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구분하여, 지진 센서(15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감지된 진동을 진도계급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각 진도 계급마다 여진 설정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지진 감지부(130)를 통해 측정된 진도 계급이 미리 설정된 진도 계급(예를 들어 4)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도 계급(예를 들어 4)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여진 설정 시간인 t시간 동안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본진 발생시 차단된 상기 차단기류(131, 133)의 차단 상태를 상기 t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진의 진도 계급이 증가할수록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여진 설정 시간이 증가하므로 상기 차단기류(131, 133)의 차단 상태를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더욱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의 하부에는 지진에 따른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지면에 부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배전반의 본체를 연결하는 스프링부로 구성되는 내진 탄성 고정부(3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진 탄성 고정부(30)는 지진에 따른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부가 진동 방향에 따라 신장 및 수축되어 배전반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전반의 내부 기기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의 전면부에는 상기 본체부(1) 내부에 대하여 출입 가능하도록 개구부(2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0)를 개폐하는 도어부(1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10)는 상기 본체부(1)의 개구부(20) 일측에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지진에 따른 진동이 배전반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부(1)에 연결되는 도어부(10)가 흔들려 도어부(10)와 본체부(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예를 들어, 힌지부재)가 파손되거나 도어부(10)와 본체부(1) 사이의 상호 충격에 의해 도어부(10)가 찌그러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배전반의 침수 수위가 높아질수록 배전반에 가해지는 수압이 높아져 도어부(10)에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개구부(20)의 크기에 맞추어 개구부(20)에 결합된 도어부(10)에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뒤틀림이 발생한 도어부(10)와 개구부(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 파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른 배전반의 침수 발생시 본체부(1)의 일부가 잠길 정도로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유격을 이루는 도어부(10)와 개구부(20) 사이의 틈새로 수분(물)이 유입되어 배전반의 본체부(1) 내부가 침수될 수 있으며, 배전반의 내부가 침수되는 경우 전력을 차단한 경우라도 각종 내부 기자재가 파손되어 중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지진과 침수의 복합적인 영향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부(10)에는 도어부(10)를 본체부(1)에 잠금시키는 도어락부(16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도어락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10)를 잠금시켜 상기 도어부(10)가 상기 개구부(20)를 폐쇄(밀폐)한 상태로 상기 본체부(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10)의 폐쇄시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진에 의한 뒤틀림에 따른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부(1)는 상기 개구부(20)를 구성하는 외주면 일부에 제 1 단턱부(40)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10)는 외주면에 상기 개구부(20) 폐쇄시 상기 제 1 단턱부(40)와 상호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제 2 단턱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턱부(40)와 마주보는 제 2 단턱부(11)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단턱부(40)와 제 2 단턱부(11)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12)는 고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12) 외면에는 방수가 가능한 재료가 추가 패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12)는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탄성부재 또는 밀폐부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1 단턱부(40) 및 상기 제 2 단턱부(11)는 종단이 갈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진 발생시에도 도어부가 본체부에 강하게 고정되어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탈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도어부(10)가 지진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10)가 상기 실링부재(12)를 압박하여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실링부재(12)가 탄성소재로 구성된 경우 상기 도어부(10)의 뒤틀림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본체부(1) 및 상기 도어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링부재(12)를 통해 유격을 방지하여 본체부(1)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전반 내부 기자재에 대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수분이 배전반의 본체부(1)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지진 또는 침수 해제 이후에도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상기 전력 관리부(130)의 차단기류(131, 133)가 복구되면 고압 전력이 흐르는 배전반의 특성상 각종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배전반 내부에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150)는 습도 센서(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습도정보)를 습도 측정치로 변환하고, 해당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 내부에 유입된 물기를 본체부(1) 외부로 배출하는 양수기(19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습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 양수기(190)를 동작시켜 내부 물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전반 본체부(1)에는 팬부(17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팬부(170)는 흡기팬 및 배기팬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이들 중 하나 혹은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 팬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기팬은 상부의 뜨거운 공기를 배기하고, 흡기팬은 외부의 찬 공기를 흡기하여 이슬점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어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부(170)는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을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도어는 제어 입력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팬부(170)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팬부(170)에 구성된 각 개폐도어를 폐쇄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본체부(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반 주위 침수시 수분량이 증가하여 습도 센서(152)를 통해 측정된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본체부(1)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량 증가에 따른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배전반 내부에 구성된 기자재를 파손시키거나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반의 본체부(1) 내부에 남아있는 물기를 신속히 제거하고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부(170)를 제어하여 흡기팬 및 배기팬에 각각 대응되는 개폐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는 지진 및 침수 발생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침수에 따른 수분 유입을 최소화하여 배전반 내부 기자재가 파손되거나 감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진 또는 침수 강도가 높아 상기 도어부(10)로 가해지는 충격이 상당한 경우 상기 도어부(10) 자체가 심각하게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전반의 본체부(1)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barrier bar)와 상기 차단바에 대응되어 도어부(10)의 후면에 고정 구성된 고정 브라켓(bracket)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를 일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차단바에 의해 상기 도어부(10)가 지지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18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바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각 도어 차단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상기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된 각 차단바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어부(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각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에 상기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부(10)를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차단바가 상기 도어부(10)의 고정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도어부(10)를 지지하여 지진 발생에 따른 충격을 상기 차단바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진 발생에 따른 진동 또는 침수 발생에 따른 수압이 도어부(10)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차단바가 상기 도어부(10)를 지지하여 도어부(1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차단부(180)의 상세 실시예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차단부(180)는 상기 개구부(20)의 하방으로 상기 본체부(1) 내부면에 일측이 축 결합되어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단바(181)와, 상기 도어부(10)의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고정 브라켓(182)과,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타측 일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방 이동을 통해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일부가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스크류 기어부(183) 및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차단바(181)를 이동(회동)시키는 제 1 모터부(18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상기 도어 차단부(180)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지진 발생시 상기 제 1 모터부(18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부(184)는 구동시 내부에 구성된 모터와 기어를 통해 상기 스크류(screw) 형태의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1) 내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와 타측 일부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상기 일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타측이 상부로(또는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부(10)의 하측에 구성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에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차단바(181)는 상기 도어부(10)와 반대되는 일면에 돌기부(18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은 상기 개방부에 상기 돌기부(1811)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요홈(18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로 삽입시 상기 돌기부(1811)가 상기 요홈(1821)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1 차단바(181)를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제 1 차단바(181)는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도어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하는 동시에 도어부(10)를 지지하여 도어부(10)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 차단바(181)는 일측에 구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하여 대각선 형태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은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상면과 접촉되는 일면이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홈 역시 사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배치 형태에 맞추어 안정적으로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어 차단부(18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차단부(180)는 상기 개구부(20)의 측방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단바(187)와, 상기 도어부(10)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고정 브라켓(189)과, 상기 개구부(20)의 상하방으로 상기 배전반 본체부(1)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횡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횡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일부가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캠(cam)부 및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캠부(186)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도어 차단부(180)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0)의 상하방으로 상기 배전반의 본체부(1) 내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188)을 포함하는 가이드부가 구성되며, 상기 각 가이드 레일(188)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88)의 안내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차단바(187)가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제 2 모터부(185)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 2 모터부(185)는 동작시 상기 캠부(186)를 동작시켜 상기 캠부(186)를 구성하는 캠축과 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축의 회전에 따라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캠에 구성된 캠 노브가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횡방향으로 밀게 되며, 상기 제 2 차단바(187)는 상기 캠 노브에 의해 개구부(20) 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188)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어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20)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부(10)에 구성된 제 2 고정 브라켓(189)의 개방부로 삽입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차단바(187)가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차단바(187) 역시 제 1 차단바(181)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부(10)와 반대되는 일면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 역시 제 1 고정 브라켓(182)과 마찬가지로 상기 개방부에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돌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차단바(187)가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의 개방부로 삽입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요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 차단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도어부(10)와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지진 또는 침수에 따라 도어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부(1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 및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부(184, 185)를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가 일정 횟수만 회전하도록 하거나 상기 캠부(186)의 캠이 일정 각도만 회전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차단바(187)가 상기 도어부(10)를 차단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지진 또는 침수 해제시에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차단기류(131, 133)를 복구시켜 다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10)는 센서부(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미수신되어 지진 또는 침수가 종료되거나 상기 감지신호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의 여진만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1차 차단기(131)에서 상기 2차 차단기(133) 순으로 순차 복구함으로써, 상기 2차 차단기(133)를 먼저 기동시키거나 상기 1차 차단기(131)와 상기 2차 차단기(133)를 동시에 복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1차 차단기(131)측으로 순간적인 돌입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돌입 전류로 인하여 상기 1차 차단기(131)가 파손되거나 선로와 상기 1차 차단기(131)의 접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진 또는 침수 상황 해제시에 상기 제 1 차단바(181) 및 제 2 차단바(187)를 원위치로 복구시켜 도어부(10)의 차단을 해제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성을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에는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켜 제 1 차단바(181)를 하부로(또는 하방으로) 이동(회동)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어로 구성된 연결 기어부(51)와 상기 연결 기어부(51)를 회전시키는 제 1 수동 밸브(52)로 구성된 제 1 수동 복원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어부(51)는 대표적인 기어 하나가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기어 조합으로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도시된 경우는 스크류 기어부(183)의 후방에 추가되는 베벨 기어, 스크류 기어, 기어비 조정을 위한 기어 블럭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제 1 수동 복원부에 포함된 수동 밸브(52)를 회전하여 상기 연결 기어부(51)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기어부(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가 센서부(150)로부터 지진 또는 침수에 대한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모터부(184)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원위치 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 6을 통해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차단바(187)와 상기 본체부(1)에 각각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61)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롤러(61)가 지지줄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수동 복원부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4의 구성에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에 따라 상기 제 2 차단바(187)가 상기 도어부(1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에 구성된 롤러(61)에 권취되는 지지줄이 제 2 차단바(187)의 이동방향으로 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에 구성된 롤러(61)의 일부가 본체부(1)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지진 또는 침수 해제시 본체부(1) 외부에 노출된 롤러(61)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되는 롤러(61)가 지지줄을 감아 제 2 차단바(187)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술한 지진 또는 침수에 대한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모터부(185)를 회전하여 상기 캠부(186)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도어부(10)를 차단하고 있는 제 1 차단바(181) 및 제 2 차단바(187)를 용이하게 원위치시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지진 또는 침수 해제 후 배전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의 동작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S1), 판단 결과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S2)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상기 배전반의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된 차단기류(131, 133)를 차단할 수 있다(S3).
다음, 상기 제어부(110)는 도어부(10)를 잠금시키는 도어락부(160)를 통해 도어락부(160)를 개구부(20)를 폐쇄한 상태로 잠금시키며, 팬부(170)에 포함된 개폐 도어를 폐쇄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본체부(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S4).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지진에 의한 충격 또는 침수에 의한 수압에 의해 상기 도어부(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상기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된 각 차단바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어부(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각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에 상기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S5).
다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의 습도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기초로(S6) 내부 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S7)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된 양수기(190) 및 팬부(170)를 동작시켜, 내부 습기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S8).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진 또는 침수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미수신되는 경우(S9)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차단기류(131, 133)를 복원하고, 상기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각 차단바를 원위치시킬 수 있다(S1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지진에 따른 내진 특성을 강화하여 안정적으로 배전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침수 피해 발생시 도어부를 차단하고 차단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하여 배전기기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배전기기의 내부 기자재를 보호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본체부 10: 도어부
110: 제어부 120: 차단부
130: 전력 관리부 140: 축전부
150: 센서부 160: 도어락부
170: 팬부 180: 도어 차단부

Claims (10)

  1. 배전기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성되어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성된 차단기류를 차단하는 차단부;
    비상전력을 축전하여 저장하는 축전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에 대응되어 도어부의 후면에 구성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를 일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에 고정되도록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축전부의 비상전력으로 동작하며, 상기 차단부를 통해 상기 차단기류를 순차 차단하고, 상기 각 도어 차단부를 통해 상기 차단바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시켜 상기 도어부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유입된 물기를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배출하는 양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여 생성한 습도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정보에 따른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양수기를 동작하여 상기 본체부 내부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면에 내진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흡기팬 및 배기팬과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로 구성되는 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팬부를 폐쇄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습도정보에 따른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부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에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한 도어부를 잠금시키는 도어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도어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잠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는 일측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개방부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는 외주면 일부에 제 1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는 외주면 일부에 상기 개구부 폐쇄시 상기 제 1 단턱부와 상호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제 2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단턱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단턱부와 제 2 단턱부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으로 상기 본체부 내부면에 일측이 축 결합되어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단바;
    상기 도어부의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1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고정 브라켓;
    상기 제 1 차단바의 타측 일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방 이동을 통해 상기 제 1 차단바의 일부가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스크류 기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차단바를 이동시키는 제 1 모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단바;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고정 브라켓;
    상기 개구부의 상하방으로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의 횡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 2 차단바를 횡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차단바의 일부가 상기 제 2 브라켓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KR1020150102559A 2015-07-20 2015-07-20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KR10157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59A KR101574289B1 (ko) 2015-07-20 2015-07-20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59A KR101574289B1 (ko) 2015-07-20 2015-07-20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289B1 true KR101574289B1 (ko) 2015-12-03

Family

ID=5487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59A KR101574289B1 (ko) 2015-07-20 2015-07-20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28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292B1 (ko) * 2017-11-21 2018-06-04 (주)원테크 내진용 수배전반 시스템
CN109449806A (zh) * 2017-09-30 2019-03-08 新昌县鼎瑞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散热槽大小的配电箱
KR101957409B1 (ko) * 2018-10-25 2019-03-14 김병근 지진 감지 및 자기진단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CN110112663A (zh) * 2019-06-26 2019-08-09 无锡旭浦能源科技有限公司 一体化智慧型电力配电柜系统
CN112736679A (zh) * 2020-12-27 2021-04-30 徐付超 一种电力设备用低压配电柜
CN113054545A (zh) * 2021-04-13 2021-06-29 二工防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碰撞的防爆配电箱
KR102388973B1 (ko) * 2021-07-06 2022-04-21 대평엔지니어링(주) 내진 시설을 구비한 주배선반 시스템
KR102623588B1 (ko) * 2023-03-14 2024-01-10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내진에 강인한 배전반 시스템
CN117712894B (en) * 2024-01-30 2024-04-30 福建光宇电力设备有限公司 High-safety cable installation cabin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21B1 (ko) 2012-06-29 2012-10-09 주식회사 에너솔라 모듈형 제어 시스템을 가지는 배전반
KR101438084B1 (ko) 2014-06-24 2014-09-16 (주)제이케이알에스티 내진 배전기기를 포함하는 비상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21B1 (ko) 2012-06-29 2012-10-09 주식회사 에너솔라 모듈형 제어 시스템을 가지는 배전반
KR101438084B1 (ko) 2014-06-24 2014-09-16 (주)제이케이알에스티 내진 배전기기를 포함하는 비상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9806A (zh) * 2017-09-30 2019-03-08 新昌县鼎瑞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散热槽大小的配电箱
CN109449806B (zh) * 2017-09-30 2021-01-01 江西怀博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散热槽大小的配电箱
KR101864292B1 (ko) * 2017-11-21 2018-06-04 (주)원테크 내진용 수배전반 시스템
KR101957409B1 (ko) * 2018-10-25 2019-03-14 김병근 지진 감지 및 자기진단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CN110112663A (zh) * 2019-06-26 2019-08-09 无锡旭浦能源科技有限公司 一体化智慧型电力配电柜系统
CN112736679A (zh) * 2020-12-27 2021-04-30 徐付超 一种电力设备用低压配电柜
CN113054545A (zh) * 2021-04-13 2021-06-29 二工防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碰撞的防爆配电箱
KR102388973B1 (ko) * 2021-07-06 2022-04-21 대평엔지니어링(주) 내진 시설을 구비한 주배선반 시스템
KR102623588B1 (ko) * 2023-03-14 2024-01-10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내진에 강인한 배전반 시스템
CN117712894B (en) * 2024-01-30 2024-04-30 福建光宇电力设备有限公司 High-safety cable installation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289B1 (ko)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KR101610093B1 (ko)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1435B1 (ko) 내진 기능 및 진동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20160081716A (ko) 직류차단기 및 이의 차단방법
US10020643B2 (en) Structure of switchgear with arc eliminator
NO338357B1 (no) Permanent forseglet kompakt sekundær understasjon
JP2016015236A (ja) 転流式直流遮断器及びその監視方法
US20100254053A1 (en) Power disconnect system and method
KR102269853B1 (ko) 배전반 변압기실의 변압기 위치조절 방지장치
US20060139835A1 (en) Device for protection from thunder
KR101543224B1 (ko) 확장형 차단기 차단아크 확산방지장치
KR101084058B1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JP2002027654A (ja) ブレーカの自動投入遮断装置及びブレーカ操作機構
KR102077651B1 (ko)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KR100902925B1 (ko) 송 변전설비의 가스절연개폐장치용 가스밸브 오 조작감지장치
RU2406199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ШНЫХ И КАБЕЛЬНЫХ ЛИНИЙ ДЛЯ СИСТЕМ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35 кВ
KR102619190B1 (ko)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안전형 보호배전반
KR20210063083A (ko) 가스 저압경보기의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JP2005006417A (ja) 雷害保護装置
RU88856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ШНЫХ И КАБЕЛЬНЫХ ЛИНИЙ ДЛЯ СИСТЕМ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35 кВ
CN211296301U (zh) 通风机防干扰保护系统
JPH05122835A (ja) 電力系統における逆潮流防止装置
JP5877612B2 (ja) 停電時電源切替システム
KR102619189B1 (ko) 이상체크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보호배전반
EP2620969B1 (en) High-voltage electrical switch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