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093B1 -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093B1
KR101610093B1 KR1020150102555A KR20150102555A KR101610093B1 KR 101610093 B1 KR101610093 B1 KR 101610093B1 KR 1020150102555 A KR1020150102555 A KR 1020150102555A KR 20150102555 A KR20150102555 A KR 20150102555A KR 101610093 B1 KR101610093 B1 KR 10161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tribution
earthquake
unit
do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규
황은동
Original Assignee
(주)제이케이알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케이알에스티 filed Critical (주)제이케이알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10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하는 배전기기로부터 지진 및 침수 상황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상태정보를 기초로 배전기기의 전력 차단과 지진이 발생한 배전기기와 인접한 타 배전기기의 전력을 관리하여 지진 및 침수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완벽히 배전기기의 개구를 밀폐할 수 있는 도어 구조 및 밀폐 구조를 제공하여 지진에 의한 침수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배전기기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전기기에서 감지된 지진 또는 침수 피해가 타 배전기기에 영향을 미치기 이전에 비상 관제 서버에서 배전기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배전기기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타 배전기기의 상태가 전환되도록 사전에 조치하여, 타 배전기기에서 지진 또는 침수에 의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ower distributor against earthquake and inundation}
본 발명은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하는 배전기기로부터 지진 및 침수 상황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상태정보를 기초로 배전기기의 전력 차단과 지진이 발생한 배전기기와 인접한 타 배전기기의 전력을 관리하여 지진 및 침수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이나 분전반과 같은 배전기기는 발전소로부터 고압의 전력을 전달받아 각종 전기설비 계통으로 배전하는 장치로서,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받아 저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전기구조물이 밀폐 형태의 컨테이너에 구성 및 배치되고 있는 배전기기의 특성상 민감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배전기기는 일반적인 결로 현상과 같은 미미한 환경 요인에 의해서도 내부 기자재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기기의 고장이나 화재와 같은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대규모의 천재지변이 발생한 경우 배전기기가 건물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일반적인 환경요인에 의한 사고와는 비교할 수 없는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기존 배전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전기기 하단에 탄성체 구조물을 구비하여 지진파에 의한 흔들림을 상쇄시켜 배전기기에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전기기의 내진 구성은 단순히 배전기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하므로, 배전기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지진파 충격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기기의 각종 기자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진에 의해 하수도 파손에 의한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배전기기 내부가 침수될 수 있어,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내부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된 배전기기의 내진 설계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배전기기는 이상 상황에 따른 지진에 대한 정보, 여진에 대한 정보, 복구에 대한 정보 등을 관리 센터에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 센터는 해당 배전기기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배전기기의 전력 차단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관리 센터는 지진을 감지하여 각종 정보를 전송하는 배전기기를 개별 관리하도록 구성되므로, 지진 관련 정보가 가장 먼저 전송된 배전기기와 인접하는 타 배전기기에 대해서도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나 이에 대배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타 배전기기에 지진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여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조치가 이루어지므로 지진에 의한 연쇄적인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데 비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진 및 침수가 발생한 배전기기와 연동하여 타 배전기기의 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3097호
본 발명은 지진 또는 침수 감지시 지진 또는 침수 감지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과 더불어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에 구성된 도어의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완벽히 배전기기의 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여 배전기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지진 또는 침수에 따른 배전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비상 관제 센터에서 상기 배전기기가 위치하는 지점과 인접한 지점에 배치된 타 배전기기의 상태를 제어하여 타 배전기기에서 지진 또는 침수가 감지되기 이전에 타 배전기기를 지진 또는 침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또는 침수가 발생한 배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지진의 등급정보와 침수 정보를 기초로 지진 및 침수가 완전히 해제되는 경우에 배전기기가 복구되도록 함과 더불어 여진이 예상되는 경우 복구를 지연하여 여진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기를 모니터링하여 지진 및 침수에 대비하기 위한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배전기기에 구성된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비상 전력으로 동작하여, 상기 배전기기에 구성된 차단기류를 순차 차단하고, 상기 배전기기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를 이동시켜 상기 배전기기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부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상기 차단바를 삽입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를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의 상태정보와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센싱정보 및 상기 배전기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배전기기 및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센싱정보 및 식별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배전기기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타 배전기기에 구성된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를 상기 상태정보와 동일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타 배전기기에 전송하는 비상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비상 관제 서버는 상기 배전기기에 대응되는 센싱정보에 따른 지진 감지 이후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에 따라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단기류 및 도어 차단부를 원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 정보를 상기 배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비상 관제 서버는 상기 타 배전기기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타 배전기기와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배전기기의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배전기기에서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배전기기로 상기 복구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전기기는 지진에 대한 감지신호를 진도 등급으로 변환한 진도 등급정보를 상기 센싱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상기 비상 관제 서버는 상기 진도 등급별로 상이한 여진 시간이 미리 설정되며, 지진 발생 이후에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정보에 포함된 진도 등급정보를 기초로 가장 큰 진도등급과 지진 해제 여부를 판단하고, 지진 해제 시점부터 상기 가장 큰 진도등급에 대응되는 여진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복구 정보를 상기 배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비상 관제 서버는 상기 여진 시간이 경과된 이후부터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및 침수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구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으로 상기 배전기기의 내부면에 일측이 축 결합되어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단바와, 상기 도어부의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1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1 차단바의 타측 일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방 이동을 통해 상기 제 1 차단바의 일부가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스크류 기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차단바를 이동시키는 제 1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단바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고정 브라켓과, 상기 개구부의 상하방으로 상기 배전기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의 횡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 2 차단바를 횡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차단바의 일부가 상기 제 2 브라켓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배전기기를 모니터링하여 지진 및 침수에 대비하기 위한 배전기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배전기기가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비상 전력으로 동작하여, 상기 배전기기에 구성된 차단기류를 순차 차단하고, 상기 배전기기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를 이동시켜 상기 배전기기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부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상기 차단바를 삽입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를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의 상태정보와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센싱정보 및 상기 배전기기의 식별정보를 비상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 관제 서버가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센싱정보 및 식별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배전기기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타 배전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 관제 서버가 상기 각 타 배전기기에 구성된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를 상기 상태정보와 동일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각 타 배전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비상 관제 서버가 상기 배전기기의 센싱정보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에 따라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단기류 및 도어 차단부를 원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 정보를 상기 배전기기로 전송하는 복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구 단계는 상기 비상 관제 서버가 상기 배전기기의 센싱정보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에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정보에 포함된 진도 등급정보를 기초로 가장 큰 진도등급과 지진 해제 여부를 판단하고, 지진 해제 시점부터 상기 가장 큰 진도등급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여진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구 정보를 상기 배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진에 의한 배전기기의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완벽히 배전기기의 개구를 밀폐할 수 있는 도어 구조 및 밀폐 구조를 제공하여 지진에 의한 침수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배전기기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전기기에서 감지된 지진 또는 침수 피해가 타 배전기기에 영향을 미치기 이전에 비상 관제 서버에서 배전기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배전기기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타 배전기기의 상태가 전환되도록 사전에 조치하여, 타 배전기기에서 지진 또는 침수에 의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진이 멈춘 경우라 하더라도 후속되는 여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배전기기의 복구를 지연시킬 수 있으며, 소정의 여진 시간 경과 후에도 다시 배전기기에 대하여 지진이나 지진에 의한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지진 및 침수가 완전히 해제된 상황에서 배전기기를 복구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배전기기를 보호하고 여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차단부의 구성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관제 서버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관제 서버의 타 배전기기 제어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관제 서버의 복구 제어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차단부의 복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받아 저압으로 변환하여 배전선로와 같은 전력선을 통해 공급하는 배전기기(100)와, 상기 배전기기(1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하나 이상의 타 배전기기(101)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각 배전기기(100, 101)를 관리하는 비상 관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상 관제 서버(200)는 비상 관제 센터에서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을 지원하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기기(100)는 배전반, 분전반, 전동기 제어반, 자동 제어반,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반 등을 포함하며, 지진 발생시 상기 배전기기(1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배전기기(100)의 작동에 따라 잔류하는 충전 전력을 방전하여 지진으로 인해 내구성이 약해진 상기 배전기기(100)의 구성 요소를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기(100)를 배전반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분전반을 포함하는 다양한 배전기기(100)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배전반(100)은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된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비상 전력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100)은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배전반(100)에 구성된 차단기류를 순차 차단하고, 상기 배전반(100)을 구성하는 본체부(1)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door)부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bracket)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전반(100)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barrier bar)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를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의 상태정보와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센싱정보 및 상기 배전반(100)의 식별정보를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는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정보 및 식별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배전반(10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타 배전반(101)을 식별할 수 있으며, 타 배전반(101)에 구성된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를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에 따른 차단기류 및 도어 차단부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타 배전반(1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 배전반(101)은 상기 배전반(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타 배전반(101)은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배전반(100)과 마찬가지로 비상 전력으로 동작하며, 내부에 구성된 차단기류를 순차 차단하고 내부에 구성된 도어 차단부를 통해 타 배전반(101)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차단 및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전반(100)에서 감지된 지진 또는 침수 피해가 상기 타 배전반(101)에 영향을 미치기 이전에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에서 사전에 배전반(100)과 동일한 상태로 상기 타 배전반(101)의 상태가 전환되도록 조치하여, 타 배전반(101)에서 지진 또는 침수에 의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상기 배전반(100) 및 타 배전반(101)의 지진 및 침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상세 구성을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배전반(10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타 배전반(101) 역시 배전반(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은 기본적으로 배전반(100)의 본체를 구성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에 구성되는 내진 탄성 고정부(30), 전력 관리부(130), 차단부(120), 제어부(110), 축전부(140), 센서부(150), 도어부(10),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180) 및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본체부(1)는 외면에 보강부재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의 일례로 상기 본체부(1) 외면에 지진 발생시 내진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는 지진 발생시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지진 센서(151)와, 상기 본체부(1)의 일부에 부착되어 침수시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침수 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부(130)는 전력 인입선을 통해 송전된 전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전력을 변압하고, 상기 변압된 전력을 부하(또는 계통)으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전력 관리부(130)는 1차 차단기(131), 변압기(132) 및 하나 이상의 2차 차단기(13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관리부(130)는 상기 전력 관리부(130)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하기 위해서, 상기 변압기(132)의 1차측에 연결된 상기 1차 차단기(131)와 상기 변압기(132)의 2차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2차 차단기(133)를 포함하는 차단기류(131, 133)를 구성(또는 형성)한다.
이때, 상기 1차 차단기(131)는 VCB(Vacuum Circuit Break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차단기(133)는 ACB(Air Circuit Break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가 상기 ACB를 대체하거나 또는 상기 2차 차단기(133)에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차단기(131)는 상기 ACB로 구성되고, 상기 2차 차단기(133)는 MCCB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120)는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차단기류(131, 133)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관리부(130)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지진 또는 침수 해제시 상기 차단기류(131, 133)를 복구시켜 다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배전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의 동작 구성에 대한 일례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지진 또는 침수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상기 차단기류(131, 133)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관리부(110)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전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비상전력을 축전하며, 지진 발생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로 비상전력(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부(140)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지진 발생시 상기 축전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비상전력으로 동작하며, 상기 전력 관리부(130)에 대한 관리 기능(또는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지진 센서(151)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지진 센서(151) 또는 침수 센서(153)의 감지신호를 미리 설정된 차단 기준과 비교하고 이에 따라 차단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차단기류(131, 133)를 순차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100)은 전력 관리부(130)의 차단기류(131, 133)에 의한 차단시 내부에 잔류하는 충전전력을 외부 접지로 선택적으로 방전시키는 접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력 관리부(130)의 차단기류(131, 133)에 포함된 각 차단기에 대한 차단 상태를 차단부(120)를 통하거나 직접 판단하여, 모든 차단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부를 통해 접지 스위치를 단락시켜 상기 전력 관리부(130)에 잔류하는 전력을 접지로 방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력 관리부(130)에 잔류하는 충전 전력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상기 배전반(10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 중 지진 센서(151)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구분하여, 지진 센서(15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감지된 진동을 진도 등급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각 진도 등급마다 여진 설정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지진 감지부(130)를 통해 측정된 진도 등급이 미리 설정된 진도 등급(예를 들어 4)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도 등급(예를 들어 4)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여진 설정 시간인 t시간 동안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본진 발생시 차단된 상기 차단기류(131, 133)의 차단 상태를 상기 t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진의 진도 등급이 증가할수록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여진 설정 시간이 증가하므로 상기 차단기류(131, 133)의 차단 상태를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더욱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의 하부에는 지진에 따른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지면에 부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배전반(100)의 본체를 연결하는 스프링부로 구성되는 내진 탄성 고정부(3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진 탄성 고정부(30)는 지진에 따른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부가 진동 방향에 따라 신장 및 수축되어 배전반(10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전반(100)의 내부 기기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의 전면부에는 상기 본체부(1) 내부에 대하여 출입 가능하도록 개구부(2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0)를 개폐하는 도어부(1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10)는 상기 본체부(1)의 개구부(20) 일측에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지진에 따른 진동이 배전반(100)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부(1)에 연결되는 도어부(10)가 흔들려 도어부(10)와 본체부(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예를 들어, 힌지부재)가 파손되거나 도어부(10)와 본체부(1) 사이의 상호 충격에 의해 도어부(10)가 찌그러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배전반(100)의 침수 수위가 높아질수록 배전반(100)에 가해지는 수압이 높아져 도어부(10)에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개구부(20)의 크기에 맞추어 개구부(20)에 결합된 도어부(10)에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뒤틀림이 발생한 도어부(10)와 개구부(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 파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른 배전반(100)의 침수 발생시 본체부(1)의 일부가 잠길 정도로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유격을 이루는 도어부(10)와 개구부(20) 사이의 틈새로 수분(물)이 유입되어 배전반(100)의 본체부(1) 내부가 침수될 수 있으며, 배전반(100)의 내부가 침수되는 경우 전력을 차단한 경우라도 각종 내부 기자재가 파손되어 중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지진과 침수의 복합적인 영향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부(10)에는 도어부(10)를 본체부(1)에 잠금시키는 도어락부(16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감지신호 수신시 상기 도어락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10)를 잠금시켜 상기 도어부(10)가 상기 개구부(20)를 폐쇄(밀폐)한 상태로 상기 본체부(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10)의 폐쇄시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진에 의한 뒤틀림에 따른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부(1)는 상기 개구부(20)를 구성하는 외주면 일부에 제 1 단턱부(40)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10)는 외주면에 상기 개구부(20) 폐쇄시 상기 제 1 단턱부(40)와 상호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제 2 단턱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턱부(40)와 마주보는 제 2 단턱부(11)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단턱부(40)와 제 2 단턱부(11)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12)는 고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12) 외면에는 방수가 가능한 재료가 추가 패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12)는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탄성부재 또는 밀폐부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1 단턱부(40) 및 상기 제 2 단턱부(11)는 종단이 갈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진 발생시에도 도어부가 본체부에 강하게 고정되어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탈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도어부(10)가 지진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10)가 상기 실링부재(12)를 압박하여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실링부재(12)가 탄성소재로 구성된 경우 상기 도어부(10)의 뒤틀림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본체부(1) 및 상기 도어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링부재(12)를 통해 유격을 방지하여 본체부(1)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전반(100) 내부 기자재에 대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수분이 배전반(100)의 본체부(1)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지진 또는 침수 해제 이후에도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상기 전력 관리부(130)의 차단기류(131, 133)가 복구되면 고압 전력이 흐르는 배전반(100)의 특성상 각종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배전반(100) 내부에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150)는 습도 센서(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습도정보)를 습도 측정치로 변환하고, 해당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 내부에 유입된 물기를 본체부(1) 외부로 배출하는 양수기(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습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 양수기(13)를 동작시켜 내부 물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전반(100) 본체부(1)에는 팬부(17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팬부(170)는 흡기팬 및 배기팬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이들 중 하나 혹은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 팬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기팬은 상부의 뜨거운 공기를 배기하고, 흡기팬은 외부의 찬 공기를 흡기하여 이슬점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어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부(170)는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을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도어는 제어 입력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팬부(170)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팬부(170)에 구성된 각 개폐도어를 폐쇄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본체부(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반(100) 주위 침수시 수분량이 증가하여 습도 센서(152)를 통해 측정된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본체부(1)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량 증가에 따른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배전반(100) 내부에 구성된 기자재를 파손시키거나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반(100)의 본체부(1) 내부에 남아있는 물기를 신속히 제거하고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팬부(170)를 제어하여 흡기팬 및 배기팬에 각각 대응되는 개폐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는 지진 및 침수 발생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침수에 따른 수분 유입을 최소화하여 배전반(100) 내부 기자재가 파손되거나 감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진 또는 침수 강도가 높아 상기 도어부(10)로 가해지는 충격이 상당한 경우 상기 도어부(10) 자체가 심각하게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전반(100)의 본체부(1)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에 대응되어 도어부(10)의 후면에 고정 구성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바를 일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차단바에 의해 상기 도어부(10)가 지지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18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바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각 도어 차단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상기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된 각 차단바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어부(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각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에 상기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부(10)를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차단바가 상기 도어부(10)의 고정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도어부(10)를 지지하여 지진 발생에 따른 충격을 상기 차단바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진 발생에 따른 진동 또는 침수 발생에 따른 수압이 도어부(10)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차단바가 상기 도어부(10)를 지지하여 도어부(1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차단부(180)의 상세 실시예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차단부(180)는 상기 개구부(20)의 하방으로 상기 본체부(1) 내부면에 일측이 축 결합되어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단바(181)와, 상기 도어부(10)의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고정 브라켓(182)과,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타측 일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방 이동을 통해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일부가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스크류 기어부(183) 및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차단바(181)를 이동(회동)시키는 제 1 모터부(18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상기 도어 차단부(180)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지진 발생시 상기 제 1 모터부(18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부(184)는 구동시 내부에 구성된 모터와 기어를 통해 상기 스크류(screw) 형태의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1) 내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와 타측 일부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상기 일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타측이 상부로(또는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부(10)의 하측에 구성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에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차단바(181)는 상기 도어부(10)와 반대되는 일면에 돌기부(18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은 상기 개방부에 상기 돌기부(1811)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요홈(18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로 삽입시 상기 돌기부(1811)가 상기 요홈(1821)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1 차단바(181)를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제 1 차단바(181)는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도어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하는 동시에 도어부(10)를 지지하여 도어부(10)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 차단바(181)는 일측에 구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하여 대각선 형태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82)은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상면과 접촉되는 일면이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홈 역시 사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바(181)의 배치 형태에 맞추어 안정적으로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제 1 고정 브라켓(182)의 개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어 차단부(18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차단부(180)는 상기 개구부(20)의 측방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단바(187)와, 상기 도어부(10)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고정 브라켓(189)과, 상기 개구부(20)의 상하방으로 상기 배전반(100) 본체부(1)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횡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횡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일부가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캠(cam)부 및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캠부(186)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도어 차단부(180)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0)의 상하방으로 상기 배전반(100)의 본체부(1) 내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188)을 포함하는 가이드부가 구성되며, 상기 각 가이드 레일(188)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88)의 안내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차단바(187)가 본체부(1)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제 2 모터부(185)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 2 모터부(185)는 동작시 상기 캠부(186)를 동작시켜 상기 캠부(186)를 구성하는 캠축과 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축의 회전에 따라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캠에 구성된 캠 노브가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횡방향으로 밀게 되며, 상기 제 2 차단바(187)는 상기 캠 노브에 의해 개구부(20) 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188)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어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20)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부(10)에 구성된 제 2 고정 브라켓(189)의 개방부로 삽입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차단바(187)가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차단바(187) 역시 제 1 차단바(181)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부(10)와 반대되는 일면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 역시 제 1 고정 브라켓(182)과 마찬가지로 상기 개방부에 상기 제 2 차단바(187)의 돌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차단바(187)가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의 개방부로 삽입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요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189)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 차단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도어부(10)와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지진 또는 침수에 따라 도어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부(1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 및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부(184, 185)를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가 일정 횟수만 회전하도록 하거나 상기 캠부(186)의 캠이 일정 각도만 회전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차단바(187)가 상기 도어부(10)를 차단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차단부(120)의 제어에 따른 차단기류(131, 133)의 차단 상태와 상기 각 도어 차단부(180)를 통한 상기 차단바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50)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기초로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각 도어 차단부(180)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차단바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도어 차단부(18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태정보 및 센싱정보를 상기 제어부(110)에 미리 설정된 상기 배전반(100)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로 통신부(19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상태정보 및 센싱정보를 식별정보와 함께 비상 관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센서부(150)를 통해 감지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라도 지진 센서 또는 침수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 미수신 상태에 대한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비상 관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는 상기 배전반(100)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 및 상태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배전반(100)과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타 배전반(101)을 제어하여 사전에 지진 또는 침수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진 또는 침수 상황이 완전히 해제된 이후에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조치하여 배전반(100)의 효과적인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6은 비상 관제 서버(200)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기기 관리부(210), 판단부(220) 및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에 포함된 각 구성부(210, 220, 230)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배전기기 관리부(210)는 각 배전반(100)으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상태정보 및 센싱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상기 판단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220)는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배전반(100)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배전기기 DB(201)에서 배전반(100)의 식별정보에 상기 상태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220)는 상기 배전반(100)의 차단기류(131, 133) 및 도어 차단부(180)에 대한 상태정보를 기초로 차단기류(131, 133)의 차단 여부와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도어부(10)의 차단 및 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부(220)의 판단 결과 배전반(100)의 차단기류(131, 133)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도어 차단부(180)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상기 처리부(230)는 상기 배전반(100)으로 상기 차단기류(131, 133)를 차단하거나 상기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도어부(10)를 차단 및 지지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전반(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전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90)를 통해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상기 차단기류(131, 133)를 순차 차단하거나, 상기 도어 차단부(180)를 동작시켜 상기 차단바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부(220)는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센싱정보와 함께 수신된 상태정보 및 식별정보를 상기 처리부(2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처리부(230)는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제공된 배전반(1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배전기기 DB(201)에서 배전반(1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230)는 지도 DB(202)에 저장된 지도정보에서 상기 배전반(10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타 배전반(101)을 상기 배전기기 DB(201)에 저장된 배전반(100)별 위치정보를 통해 식별하고, 식별된 각 타 배전반(101)의 식별정보를 배전기기 DB(201)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처리부(230)는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센싱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타 배전반(101)을 상기 상태정보에 따른 상기 배전반(100)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각 타 배전반(101)의 식별정보에 따라 각각의 상기 타 배전반(101)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를 도 7을 통해 설명하면, 상기 판단부(220)는 배전반 1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처리부(230)로 배전반 1의 식별정보와 상태정보를 처리부(2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처리부(230)는 배전반 1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지도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배전반 2 및 배전반 3을 식별하고, 배전반 1의 상태정보에 따른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배전반 2 및 배전반 3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배전반 2 및 배전반 3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배전반 2 및 배전반 3으로 해당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반(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각각의 상기 타 배전반(101)에 구성되는 제어부(110)는 통신부(190)를 통해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정보를 기초로 축전부(140)에서 제공되는 비상전력을 통해 동작하며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차단기류(131, 133)를 순차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차단바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부(10)가 차단 및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상기 타 배전반(101)은 배전반(100)과 동일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는 지진 또는 침수가 발생한 배전반(100)과 인접 배치된 타 배전반(101)을 배전반(100)과 동일한 상태로 제어하여 지진 및 침수가 타 배전반(101)에 발생하기 이전에 사전 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한 각각의 상기 타 배전반(101)의 제어부(110)는 상기 차단부(120) 및 도어 차단부(180)의 제어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부(150)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근거로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상태정보 및 센싱정보를 미리 설정된 타 배전반(101)의 식별정보와 함께 통신부(190)를 통해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 관제 서버(200)는 상기 타 배전반(101)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제어정보에 따른 상태 전환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다시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상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 관제 서버(200)는 타 배전반(101)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가 발생한 경우 타 배전반(101)과 인접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배전반(100)을 식별하고, 각각의 상기 또 다른 배전반(100)들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연쇄적인 사전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진 또는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에 속한 모든 배전반(100)의 안전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비상 관제 서버(200)의 상기 판단부(220)는 배전기기 관리부(210)를 통해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센싱정보 및 상태정보를 배전기기 DB(201)에서 상기 배전반(100)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누적 저장하거나 기존 센싱정보 및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220)는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전반(100)에서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전기기 DB(201)에서 상기 배전반(100)의 식별정보와 매칭된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전반(100)의 차단기류(131, 133) 및 도어 차단부(180)가 차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단기류(131, 133) 및 도어 차단부(180)를 원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전반(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부(220)는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부(230)를 제어하여 상기 처리부(230)를 통해 복구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배전반(1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처리부로 제공하여 상기 처리부(230)가 상기 복구정보를 상기 배전반(100)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지진의 경우 본진이 발생한 이후에 지진이 멈춘 경우라도 본진과 연계된 여진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여진에 의한 배전반(100)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00)을 여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한 구성을 상술한 비상 관제 서버(200) 및 배전반(100)의 구성을 기초로 도 8을 통해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의 제어부(110)는 센서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지진에 대한 감지신호를 진도 등급으로 변환한 진도 등급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도 등급정보를 상기 센싱정보에 포함시켜 통신부(190)를 통해 비상 관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 관제 서버(200)의 판단부(220)는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정보를 배전기기 DB(201)에 배전반(100)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판단부(220)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도 등급별로 상이한 여진 시간이 미리 설정된 테이블이 미리 저장(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부(220)는 지진 발생 이후에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수신되어 배전기기 DB(201)에 누적 저장된 센싱정보들에 포함된 진도 등급정보들 중에서 가장 큰 진도 등급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판단부(22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100)에서 전송되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최초 지진이 발생한 본진 발생 시점부터 센싱정보를 지속 수신하며,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이 감지되지 않는지 여부(지진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단부(220)는 지진이 감지되지 않는 시점(지진 해제 시점)에서 배전기기 DB(201)에 상기 배전반(100)의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누적 저장된 하나 이상의 센싱정보를 개별 확인하여, 각 센싱정보에 포함된 진도 등급정보를 기초로 가장 큰 진도 등급을 식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판단부(220)는 본진 이후 발생하는 여진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지진 해제 시점부터 가장 큰 진도 등급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여진 시간을 상기 배전반(100)에 대응되어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장 큰 진도 등급이 4인 경우 상기 판단부(220)는 진도 등급 4에 대응되어 여진시간을 4t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단부(220)는 상기 지진 해제 시점에 복구 정보를 상기 배전반(100)으로 전송하지 않고, 지진 해제 시점부터 진도 등급에 대응되어 설정한 여진 시간인 4t 동안 복구정보의 전송을 지연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220)는 지진 해제 시점부터 상기 배전반(100)에 대응되어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장 큰 진도 등급에 대응되어 설정된 여진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복구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판단부(220)는 상기 여진시간이 경과된 시점부터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복구정보를 상기 배전반(100)으로 전송하여 상기 배전반(100)에서 차단기류(131, 133) 및 도어 차단부(180)의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부(220)는 여진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즉시 복구 정보를 배전반(100)으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성에서, 도어 차단부(180)의 차단 상태는 도어 차단부(180)가 상기 차단바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시킨 상태를 의미하며, 도어 차단부(180)의 복구 상태는 상기 차단바를 고정 브라켓에서 이탈시켜 원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기류(131, 133)의 차단 상태는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차단부(120)의 제어에 의해 차단기류(131, 133)가 상기 전력 관리부(130)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차단기류(131, 133)의 복구 상태는 지진 또는 침수 해제시 상기 차단기류(131, 133)가 복구되어 상기 전력 관리부(130)를 통해 다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판단부(220)는 상기 배전반(100)으로 복구정보 전송 이전에 상기 배전기기 DB(201)에서 상기 배전반(10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도 DB(202)에 저장된 지도정보에서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타 배전반(101)을 상기 배전기기 DB(201)에 저장된 타 배전반(101)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식별하고, 식별된 타 배전반(101)에 각각 대응되는 타 배전반(101)의 식별정보를 배전기기 DB(201)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판단부(220)는 상기 식별된 타 배전반(101)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배전반(100)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전반(100)에 대하여 지진 또는 침수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복구정보를 상기 배전반(10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판단부(220)는 배전반(100)의 일시적인 지진 또는 침수 미감지나 상기 배전반(100)에 구성된 센서부(150)의 오작동에 의한 지진 또는 침수 미감지시에도, 상기 배전반(100)의 주위에 위치하는 타 배전반(101)에서 여전히 지진 또는 침수가 감지되는 경우 지진 또는 침수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전반(100)의 복구를 지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는 본진이 멈춘 경우라 하더라도 후속되는 여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배전반(100)의 복구를 지연시킬 수 있으며, 소정의 여진 시간 경과 후에도 다시 배전반(100)을 통해 지진이나 지진에 의한 침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지진 및 침수가 완전히 해제된 상황에서 배전반(100)을 복구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배전반(100)을 보호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는 배전반(100)과 인접 위치하는 타 배전반(101)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타 배전반(101)에 여전히 지진 또는 침수 우려가 있는 경우 배전반(10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전반(100) 주위의 모든 타 배전반(101)에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배전반(100)의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하게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전반(100)은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로부터 복구 정보를 수신하여 지진 또는 침수 해제시에 상기 차단기류(131, 133)와 도어 차단부(180)를 복구시켜 다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관리자가 배전반(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배전반(100) 내부의 각종 기자재의 피해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전반(100)의 제어부(110)는 지진 또는 침수 해제시에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차단기류(131, 133)를 복구시켜 다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로부터 상기 통신부(190)를 통해 상기 복구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차단부(120)를 통해 1차 차단기(131)에서 상기 2차 차단기(133) 순으로 순차 복구함으로써, 상기 2차 차단기(133)를 먼저 기동시키거나 상기 1차 차단기(131)와 상기 2차 차단기(133)를 동시에 복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1차 차단기(131)측으로 순간적인 돌입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돌입 전류로 인하여 상기 1차 차단기(131)가 파손되거나 선로와 상기 1차 차단기(131)의 접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진 또는 침수 상황 해제시에 상기 제 1 차단바(181) 및 제 2 차단바(187)를 원위치로 복구시켜 도어부(10)의 차단을 해제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성을 도 9를 통해 설명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에는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켜 제 1 차단바(181)를 하부로(또는 하방으로) 이동(회동)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어로 구성된 연결 기어부(51)와 상기 연결 기어부(51)를 회전시키는 제 1 수동 밸브(52)로 구성된 제 1 수동 복원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어부(51)는 대표적인 기어 하나가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기어 조합으로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도시된 경우는 스크류 기어부(183)의 후방에 추가되는 베벨 기어, 스크류 기어, 기어비 조정을 위한 기어 블럭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제 1 수동 복원부에 포함된 수동 밸브(52)를 회전하여 상기 연결 기어부(51)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기어부(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가 통신부(190)를 통해 상기 복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모터부(184)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 기어부(183)를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단바(18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바(187)를 원위치 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 10을 통해 설명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차단바(187)와 상기 본체부(1)에 각각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61)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롤러(61)가 지지줄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수동 복원부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5의 구성에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에 따라 상기 제 2 차단바(187)가 상기 도어부(1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에 구성된 롤러(61)에 권취되는 지지줄이 제 2 차단바(187)의 이동방향으로 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에 구성된 롤러(61)의 일부가 본체부(1)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지진 또는 침수 해제시 본체부(1) 외부에 노출된 롤러(61)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되는 롤러(61)가 지지줄을 감아 제 2 차단바(187)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90)를 통해 상기 복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모터부(185)를 회전하여 상기 캠부(186)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도어부(10)를 차단하고 있는 제 1 차단바(181) 및 제 2 차단바(187)를 용이하게 원위치시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지진 또는 침수 해제 후 배전반(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센서부(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미수신되어 지진 또는 침수가 종료되거나 상기 감지신호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의 여진만이 예상되는 경우에 복구하는 것으로 복구 조건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복구 정보와 관계없이 상기 복구 조건에 따라 상기 차단기류(131, 133) 및 도어 차단부(180)를 복구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배전반(100)의 비상 관제 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력의 제공이 가능한 상태로 복구 가능함과 동시에 도어부(10)를 폐쇄하고 있는 차단바를 도어 차단부(180)를 통해 원위치시켜 배전반(100)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상기 배전반(100)은 상기 배전반(100)에 구성된 센서부(150)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비상 전력으로 동작하여, 상기 배전반(100)에 구성된 차단기류(131, 133)를 순차 차단하고, 상기 배전반(100)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부(10)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전반(100)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180)를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류(131, 133)와 도어 차단부(180)의 상태정보와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센싱정보 및 상기 배전기기의 식별정보를 비상 관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는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센싱정보 및 식별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S1)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배전반(10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타 배전반(101)을 식별할 수 있다(S2).
다음,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는 상기 각 타 배전반(101)에 구성된 차단기류(131, 133)와 도어 차단부(180)를 상기 상태정보와 동일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각 타 배전반(101)에 전송할 수 있다(S3).
한편, 상기 비상 관제 서버(200)는 상기 배전반(100)의 센싱정보에 따른 지진 발생 이후 상기 배전반(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에 따라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S4) 상기 차단기류 및 도어 차단부를 원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 정보를 상기 배전반(100)로 전송하여 상기 배전반(100)을 복구시킬 수 있다(S5).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본체부 10: 도어부
110: 제어부 120: 차단부
130: 전력 관리부 140: 축전부
150: 센서부 160: 도어락부
170: 팬부 180: 도어 차단부
100: 배전반 200: 비상 관제 서버

Claims (10)

  1. 배전기기를 모니터링하여 지진 및 침수에 대비하기 위한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기기에 구성된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비상 전력으로 동작하여, 상기 배전기기에 구성된 차단기류를 순차 차단하고, 상기 배전기기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를 이동시켜 상기 배전기기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부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상기 차단바를 삽입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를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의 상태정보와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센싱정보 및 상기 배전기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전기기; 및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센싱정보 및 식별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배전기기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타 배전기기에 구성된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를 상기 상태정보와 동일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타 배전기기에 전송하는 비상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으로 상기 배전기기의 내부면에 일측이 축 결합되어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단바;
    상기 도어부의 하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1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고정 브라켓;
    상기 제 1 차단바의 타측 일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방 이동을 통해 상기 제 1 차단바의 일부가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스크류 기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류 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차단바를 이동시키는 제 1 모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관제 서버는 상기 배전기기에 대응되는 센싱정보에 따른 지진 감지 이후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에 따라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단기류 및 도어 차단부를 원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 정보를 상기 배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상 관제 서버는 상기 타 배전기기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타 배전기기와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배전기기의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배전기기에서 지진 및 침수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배전기기로 상기 복구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전기기는 지진에 대한 감지신호를 진도 등급으로 변환한 진도 등급정보를 상기 센싱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상기 비상 관제 서버는 상기 진도 등급별로 상이한 여진 시간이 미리 설정되며, 지진 발생 이후에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정보에 포함된 진도 등급정보를 기초로 가장 큰 진도등급과 지진 해제 여부를 판단하고, 지진 해제 시점부터 상기 가장 큰 진도등급에 대응되는 여진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복구 정보를 상기 배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상 관제 서버는 상기 여진 시간이 경과된 이후부터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기초로 지진 및 침수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구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모니터링 시스템.
  6. 삭제
  7. 배전기기를 모니터링하여 지진 및 침수에 대비하기 위한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기기에 구성된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비상 전력으로 동작하여, 상기 배전기기에 구성된 차단기류를 순차 차단하고, 상기 배전기기 내부에 형성된 차단바를 이동시켜 상기 배전기기의 전면부에 구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부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상기 차단바를 삽입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도어 차단부를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의 상태정보와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센싱정보 및 상기 배전기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전기기; 및
    상기 배전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센싱정보 및 식별정보를 기초로 지진 또는 침수 발생시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배전기기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타 배전기기에 구성된 차단기류와 도어 차단부를 상기 상태정보와 동일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타 배전기기에 전송하는 비상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차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단바;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고정 브라켓;
    상기 개구부의 상하방으로 상기 배전기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차단바의 횡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 2 차단바를 횡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 2 차단바의 일부가 상기 제 2 브라켓의 개방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02555A 2015-07-20 2015-07-20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55A KR101610093B1 (ko) 2015-07-20 2015-07-20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55A KR101610093B1 (ko) 2015-07-20 2015-07-20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093B1 true KR101610093B1 (ko) 2016-04-11

Family

ID=5580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55A KR101610093B1 (ko) 2015-07-20 2015-07-20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09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77B1 (ko) * 2016-10-31 2017-04-11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KR101877289B1 (ko) * 2017-02-03 2018-07-12 대동산전주식회사 복전으로 인한 2차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등에 구성된 지진감진모듈
KR101907587B1 (ko) * 2018-04-26 2018-10-12 임헌청 차단기 제어 장치
KR101907586B1 (ko) * 2018-04-26 2018-10-12 임헌청 차단기 제어 시스템
KR20190058056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나래트랜드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2135127A (ja) * 2021-03-04 2022-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地震感知時の運転方法
KR102617959B1 (ko) * 2022-12-21 2023-12-27 (주)엔지피 수배전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KR102638354B1 (ko) * 2023-08-28 2024-02-21 (주)서전기전 IoT 기반 스마트 진단을 통한 화재감지/초기진압 및 원격 도어락 기능을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102651732B1 (ko) * 2023-10-30 2024-03-28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수밀 및 건조 기능 향상을 위한 공동주택용 배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84B1 (ko) 2014-06-24 2014-09-16 (주)제이케이알에스티 내진 배전기기를 포함하는 비상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84B1 (ko) 2014-06-24 2014-09-16 (주)제이케이알에스티 내진 배전기기를 포함하는 비상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77B1 (ko) * 2016-10-31 2017-04-11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KR101877289B1 (ko) * 2017-02-03 2018-07-12 대동산전주식회사 복전으로 인한 2차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등에 구성된 지진감진모듈
KR20190058056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나래트랜드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8018B1 (ko) 2017-11-21 2019-08-06 주식회사 나래트랜드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07587B1 (ko) * 2018-04-26 2018-10-12 임헌청 차단기 제어 장치
KR101907586B1 (ko) * 2018-04-26 2018-10-12 임헌청 차단기 제어 시스템
JP2022135127A (ja) * 2021-03-04 2022-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地震感知時の運転方法
KR102617959B1 (ko) * 2022-12-21 2023-12-27 (주)엔지피 수배전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KR102638354B1 (ko) * 2023-08-28 2024-02-21 (주)서전기전 IoT 기반 스마트 진단을 통한 화재감지/초기진압 및 원격 도어락 기능을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102651732B1 (ko) * 2023-10-30 2024-03-28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수밀 및 건조 기능 향상을 위한 공동주택용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093B1 (ko)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4289B1 (ko) 지진 및 침수 대비 배전기기
EP2549610B1 (en) Circuit breaker trip no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EP2506379A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utility network security and reliability
KR101438084B1 (ko) 내진 배전기기를 포함하는 비상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35351B1 (ko) 전기 설비 유지보수 방법 및 디바이스
CA2812710C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 transfer inhibitor
CA3079889C (en) Substation electromagnetic mitigation module
CN105406601A (zh) 一种智能配电柜监控系统及监控方法
WO20141246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on of a fault in a protected unit
EP3118954B1 (en) Structure of switchgear with arc eliminator
EP1971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ult protection in compact secondary substations
CN103354352A (zh) 一种基于分布式智能的配电网安全保护方法
WO2021173324A1 (en) Fire risk mitigation in electric power systems
KR101545977B1 (ko) 비콘을 이용한 배전기기 기반의 비상 상황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상황 관리 시스템
EP1569314B1 (en) Automatic reset device particularly for residual current-operated circuit breakers and the like
KR20160000393A (ko) 내진 배전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29555A (ko) 차단기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20150117033A (ko) 지진 감지형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JP2010252425A (ja) 機器電源制御装置
KR101084058B1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US7256977B2 (en) Device for protection from thunder
CN105529737A (zh) 电网解列装置及方法
KR101877289B1 (ko) 복전으로 인한 2차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등에 구성된 지진감진모듈
CN105471095B (zh) 一种低压交流环网回路电源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