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73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730B1
KR101573730B1 KR1020080123022A KR20080123022A KR101573730B1 KR 101573730 B1 KR101573730 B1 KR 101573730B1 KR 1020080123022 A KR1020080123022 A KR 1020080123022A KR 20080123022 A KR20080123022 A KR 20080123022A KR 101573730 B1 KR101573730 B1 KR 101573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ice
water
supply guid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536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7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유닛에 마련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제빙트레이 일측에 마련되어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빙트레이로 안내하는 급수안내부, 상기 급수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안내부에 급수된 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급수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급수안내부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급수안내부 사이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유닛의 제빙트레이에 마련되는 급수안내부에 공급되는 공급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안내부와 상기 커버부재를 조립하는 데 편리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제빙유닛, 커버부재, 급수안내부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제빙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빙유닛에 설치되는 급수장치에 커버부재를 결합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개선된 급수안내부와 커버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빙장치는 냉동 장치에 장착되어 냉기에 의해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특히, 냉장고를 비롯하여 정수기나 자동판매기, 얼음 제조장치 등(이하 "냉장고")에서 일정한 용기에 물을 담아 이를 빙점 이하로 냉각시켜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냉매의 응축과 증발을 통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냉각하는 냉각사이클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은 내부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냉각되고, 냉장실은 3~4도 정도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내에는 얼음을 얼리는 제빙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장치는 일반적으로 얼릴 물을 담는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 에서 제빙이 완료된 얼음을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배출시키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에 의해 배출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뱅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아이스뱅크에 얼음이 가득 찼는지를 감지하는 만빙감지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얼려진 얼음을 아이스뱅크로 이빙하기 전에 아이스뱅크 내에 얼음이 가득 찼는지를 감지하여 얼음이 가득 차있다면 이빙을 하지 않고 대기하며, 얼음이 가득 차 있지 않다면 얼음을 이빙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만빙감지기구가 아이스뱅크 내에 얼음이 가득 차 있는지 아닌지만 감지할 뿐이고 아이스뱅크 내에 얼음이 얼마나 있는지는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얼음의 저장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가 상기 아이스뱅크에서 만빙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에 설치되는 제빙유닛의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안내부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유닛(100)에 마련되는 제빙트레이(110), 상기 제빙트레이(110) 일측에 마련되어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안내하는 급수안내부(120), 상기 급수안내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안내부(120)에 급수된 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130) 및 상기 커버부재(130)와 상기 급수안내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130)와 상기 급수안내부(120)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재(130)와 상기 급수안내부(120)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안내부(120)와 상기 커버부재(130)가 결합되는 단부 상단 내측으로 급수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 층 이상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수안내부(120)는 단부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급수관홈(122)이 배치되고,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내부는 급수된 물이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흘러 내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급수안내부(120)가 단차지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의 삽입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급수안내부(120)와 결합되는 결합부(121)의 내측 접촉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1)와 상기 결합부(121)는 내측에서 접하는 면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는 커버돌기(133)와 커버돌기(133)걸림홈(1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31)와 결합되는 결합부(121)가 밀착되도록 상기 공급부와 누수방지부재에 구비되는 고정부(1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유닛의 제빙트레이에 마련되는 급수안내부에 공급되는 공급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안내부와 상기 커버부재를 조립하는 데 편리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고용 제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유닛에 구비되는 커버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커버부재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안내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고의 제빙유닛(100)에 마련되는 제빙트레이(110), 상기 제빙트레이(110) 일측에 마련되어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안내하는 급수안내부(120), 상기 급수안내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안내부(120)에 급수된 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130) 및 상기 커버부재(130)와 상기 급수안내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130)와 상기 급수안내부(120)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재(130)와 상기 급수안내부(120)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안내부(120)는 급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흘려보내 상기 제빙트레이(110)에서 유입된 공급수가 제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급수안내부(120)는 급수되는 물이 상기 급수안내부(120)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재(130)를 결합한다.
상기 급수안내부(120)와 상기 커버부재(130)가 결합되는 단부 상단 내측으로 급수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 층 이상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수안내부(120)는 단부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급수관홈(122)이 배치되고,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내부는 급수된 물이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흘러 내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으로 물받침(13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급수안내부(120)가 단차지는 형상 에 대응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의 삽입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1)의 일단은 결합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급수되는 물이 튀지 않도록 물받침(132)이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급수안내부(120)와 결합되고, 상기 물받침(132)의 타단 결합부(121) 내측 접촉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진 결합부(121)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결합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삽입부(131)와 상기 결합부(121)는 내측에서 접하는 면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는 커버돌기(133)와 커버돌기(133)걸림홈(1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돌기(133)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결합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돌기(133)걸림홈(123)은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결합면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돌기(133)는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결합부(121)에 끼워넣도록 결합되고, 상기 커버돌기(133)걸림홈(123)에 상기 커버돌기(133)가 끼워져서 상기 커버부재(130)의 결합부(121)가 상기 급수관홈(122)이 배치되는 개구방향을 제외하고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1)와 결합되는 결합부(121)가 밀착되도록 상기 공급부와 누수방지부재에 구비되는 고정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커버부재(130)를 패스너로 고정할 수 있는 제1고정부(142)와, 상기 급수안내부(120)에 돌기를 마련하여 상기 커버부재(130)가 밀착되도록 끼워 결합되는 제2고정부(144)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유닛(100)은 제빙트레이(110)를 구비하고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일측에 물을 급수하여 안내하는 급수안내부(120)가 배치된다.
상기 급수안내부(120)는 급수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재(130)가 결합되고, 상기 급수안내부(120)와 커버부재(130)가 결합되는 부분에 물이 튀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결합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1)는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상단에 내주면을 따라서 적어도 한 층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는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외주 두께가 상단으로 갈수록 얇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반사되어 튀지 않도록 경사지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공급이 원활하도록 경사부 하단은 물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내부 바닥면은 내부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결합부(121)에는 상기 급수관의 수압에 따라서 누수될 염려가 있으므로 커버부재(13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급수안내부(120)의 결합부(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급수안내부(120)를 덮어 씌우도록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재(130)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부(131)는 일측에 물받침(132)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안내부(120)에서 급수되는 물이 모여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안내되는 곳에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삽입부(131)의 타단은 상기 결합부(121)에 형성된 단차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130)와 급수안내부(120)가 결합된 내주면이 평평하여 물이 튀어도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1)와 삽입부(131)는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21)와 삽입부(131)는 서로가 밀착되도록 고정부(140)를 구비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1)와 삽입부(131)는 더욱 확실한 누수방지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121)와 삽입부(131)는 각각 커버돌기(133)걸림홈(123)과 커버돌기(133)를 마련하여 서로가 끼워 맞춰서 결합되어 밀폐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1)에는 상기 결합부(121)와 면접하는 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돌기(13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1)에는 상기 삽입부(131)와 면접하는 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커버돌기(133)걸림홈(123)을 형성하여 끼워맞춤결합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일측에 패스너로 고정하도록 제1고정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142)에 인접한 측면에는 상기 급수안내부(120)에 마련된 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130)가 끼워 넣어 밀착되도록 겹합되는 제2고정부(144)재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121)와 삽입부(131)에 형성되는 단차와 커버돌기(133)의 결합은 상기 급수안내부(120)에 공급되는 공급수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30)의 조립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안내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빙유닛 110 : 제빙트레이
120 : 급수안내부 121 : 결합부
123 : 커버돌기 걸림홈 130 : 커버부재
131 : 결합부 133 : 커버돌기
140 : 고정부

Claims (7)

  1. 제빙유닛에 마련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제빙트레이 일측에 마련되어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빙트레이로 안내하는 급수안내부;
    상기 급수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안내부에 급수된 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급수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급수안내부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급수안내부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
    상기 급수안내부와 상기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단부 상단 내측으로 급수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 층 이상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안내부는 단부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급수관이 배치되고, 상기 급수안내부의 내부는 급수된 물이 상기 제빙트레이로 흘러 내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급수안내부가 단차지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ㄷ"자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급수안내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의 내측 접촉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결합부는 내측에서 접하는 면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는 커버돌기와 커버돌기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삭제
KR1020080123022A 2008-12-05 2008-12-05 냉장고 KR10157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022A KR101573730B1 (ko) 2008-12-05 2008-12-0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022A KR101573730B1 (ko) 2008-12-05 2008-12-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536A KR20100064536A (ko) 2010-06-15
KR101573730B1 true KR101573730B1 (ko) 2015-12-02

Family

ID=4236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022A KR101573730B1 (ko) 2008-12-05 2008-12-0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570B1 (ko) 2016-04-08 2017-11-1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20190125113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제빙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886B1 (ko) 2007-02-02 2008-01-21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886B1 (ko) 2007-02-02 2008-01-21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536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0564B1 (en) Refrigerator and icemaker
KR101669420B1 (ko) 냉장고
EP2610562B1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apparatus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US8534089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20023997A1 (en) Refrigerator
KR20100056293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JP4603895B2 (ja) 冷蔵庫
KR101573730B1 (ko) 냉장고
US10415877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monitoring device
KR20160149022A (ko) 냉매 유로 일체형 제빙 트레이 및 방법
JP6735436B2 (ja) 冷蔵庫
KR100751106B1 (ko) 제빙실이 구비된 냉장실도어
US20100251747A1 (en) Ice mak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0909466B1 (ko) 냉장고의 급수관 설치구조
CN115127278B (zh) 一种冰箱
KR101519877B1 (ko) 제빙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JP6439133B2 (ja) 冷蔵庫
KR101507847B1 (ko) 냉장고
KR20100063241A (ko) 제방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2005241139A (ja) 冷蔵庫
JP3783725B1 (ja) 冷蔵庫
KR20120007198A (ko) 냉장고
KR101057062B1 (ko) 제빙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200604679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