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364B1 -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364B1
KR101573364B1 KR1020140044222A KR20140044222A KR101573364B1 KR 101573364 B1 KR101573364 B1 KR 101573364B1 KR 1020140044222 A KR1020140044222 A KR 1020140044222A KR 20140044222 A KR20140044222 A KR 20140044222A KR 101573364 B1 KR101573364 B1 KR 10157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ouch screen
sensor data
user
display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631A (ko
Inventor
윤재석
김재호
원광호
이상신
안일엽
송민환
최성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3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용 UI 제공 방법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제2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레벨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과 제어 레벨을 보다 편리하고 재미있게 변경하면서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IoT Device Control UI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IoT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다양하고 편리하며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IoT 서비스를 위한 전제는, 세상에 널리 퍼져 있는 다양한 많은 IoT 디바이스들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IoT 디바이스들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제어 내용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제어는, 오히려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될 뿐이다.
이에,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한 디바이스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디바이스 제어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를 위해,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UI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 제공되는 UI는 사용자에게 조작 상의 재미를 부여하는 것도 아울러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 방향에 따라 제어 내용과 제어 레벨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디바이스 제어용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용 UI 제공 방법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표시하는 제1 표시단계;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제2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레벨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3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표시단계는, 최선 순위로 추천하는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제2 표시단계는, 차선 순위로 추천하는 제어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단계는, 구형(球形) 터치 스크린에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제1 방향으로 조작은, 구형 터치 스크린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이고, 제2 방향으로 조작은, 구형 터치 스크린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일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단계는, 평면 터치 스크린에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제1 방향으로 조작은, 평면 터치 스크린을 제1 방향으로 플리커 하는 조작이고, 제2 방향으로 조작은, 평면 터치 스크린을 제2 방향으로 플리커 하는 조작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용 UI 제공 방법은, 시간 경과에 따라, 센서 데이터와 가동된 디바이스를 학습하는 단계; 및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다바이스를 자동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표시단계는,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다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제어 단계는, 현재의 센서 데이터와 동일한 과거 상황에서, 디바이스가 가동된 빈도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고, 제1 표시 단계는, 현재의 센서 데이터와 동일한 과거 상황에서, 디바이스가 가동된 빈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2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레벨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과 제어 레벨을 보다 편리하고 재미있게 변경하면서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황에 따른 디바이스 사용 패턴 학습을 통해 적정한 추천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최적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내용에 대해서는 시각과 청각으로 다양하게 안내하고, 추천 수용 역시 음성이나 터치로 다양하게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 인터랙션의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 홈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IoT 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제어 내용 변경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들,
도 5 내지 도 8은, 제어 레벨 변경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들,
도 9는 IoT 제어장치의 상세 블럭도,
도 10은 LSA 알고리즘에서 학습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학습 과정에 의한 학습 결과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추천 대상을 자동 제어 대상으로 승격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13은 다수의 추천 대상이 반영된 학습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 홈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 홈 서비스 시스템은, IoT 센서들(10-1, 10-2, ..., 10-n), IoT 디바이스들(20-1, 20-2, ..., 20-m) 및 IoT 제어장치(100)를 포함한다.
IoT 센서들(10-1, 10-2, ..., 10-n)은 가정에 실제로 설치된 센서들은 물론, 가상의 센서들도 포함한다. 가상의 센서란, 센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센서를 말한다. 즉, 가상의 센서가 제공하는 센서 데이터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기상청 서버가 가상의 날씨 센서인 셈이다.
IoT 디바이스들(20-1, 20-2, ..., 20-m)은 전등, 에어컨, 온풍기, 가습기 등과 같이, 가정에 마련되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및 IoT 제어장치(100)에 의한 자동 제어 모두가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말한다.
도 2는 IoT 제어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제어장치(100)의 외관에는, 마이크(110), 구형(球形) 터치 스크린(120) 및 스피커(160)를 포함한다.
LSA(Learn, Suggest and Auto control Algorithm) 알고리즘(140)은 IoT 제어장치(1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프로그램으로, IoT 제어장치(100)의 외관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IoT 제어장치(100)의 주요 구성으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더 도시하였다. IoT 제어장치(100)는 LS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IoT 홈 서비스 시스템을 운용하는, 시스템의 중심 장치이다. LSA 알고리즘(140)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SA 알고리즘(140)으로부터 "추천(suggestion)"이 있으면(①), 구형 터치 스크린(120) 및/또는 스피커(160)를 통해 시각/음성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추천 내용을 알린다(②).
도 2에는 "Light on?(전등을 켤 것)"을 구형 터치 스크린(120)과 스피커(160)를 통해 추천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110) 또는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 음성 또는 터치로 추천을 수용할 수 있다(③). 전자의 경우 "Yes."라고 발성함으로써 추천을 수용하고, 후자의 경우 구형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Light on?" 메시지를 터치함으로써 추천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을 수용하면, 마이크(110) 또는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 LSA 알고리즘(140)에 명령(추천 수용)이 전달되어(④), LSA 알고리즘(140)은 해당 추천 내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추천은 곧,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의미한다. 도 2에서 제어 내용은 "전등(Light)을 온(On)시키는 것"이다.
위 예에서 사용자는 IoT 제어장치(100)의 추천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을 상정하였지만, 제어 내용 및/또는 제어 레벨를 변경하여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터치 스크린(120)에 "Dimming?"이 표시된다.
"Dimming?"은 2순위 추천 내용이다.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 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에 표시되었던 "Light on?"은 2순위 추천 내용이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복원되어, 구형 터치 스크린(120)에는 "Light on?"이 표시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구형 터치 스크린(120)에는 3순위 추천 내용이 표시될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터치 스크린(120)에 "Dimming?"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Dimming 레벨을 높게 변경하며 그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 나타난다.
다른 한편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터치 스크린(120)에 "Dimming?"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Dimming 레벨을 낮게 변경하며 그 결과 역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 나타난다.
도 6과 도 8에서는, 레벨이 문구로 나타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회전 정도에 따라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즉, 회전이 크면 레벨도 크게 변할 것이고, 회전이 작으면 레벨도 작게 변할 것이다.
이하에서, IoT 제어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 9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IoT 제어장치(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제어장치(100)는, 마이크(110), 터치 스크린(120), 프로세서(130), 통신 인터페이스(150) 및 스피커(160)를 포함한다.
마이크(11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추천 수용 여부)을 입력받아 프로세서(130)에서 실행되는 LSA 알고리즘(140)으로 전달한다. 스피커(150)는 LSA 알고리즘(140)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추천 내용)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에 대한 시각 출력 및 터치 입력을 위한 수단이다. 도 4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구 형상인 것을 상정하였으나, 다른 타입, 예를 들면 평면형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 방향과 "↓" 방향의 회전은, "↑" 방향과 "↓" 방향의 플리커로 대체하고, "→" 방향과 "←" 방향의 회전은, "→" 방향과 "←" 방향의 플리커로 대체할 것이 요구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IoT 제어장치(100)와 IoT 센서들(10-1, 10-2, ..., 10-n) 간의 통신' 및 'IoT 제어장치(100)와 IoT 디바이스들(20-1, 20-2, ..., 20-m)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프로세서(130)는 LSA 알고리즘(140)을 실행하여, IoT 센서들(10-1, 10-2, ..., 10-n)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데이터들과 IoT 디바이스들(20-1, 20-2, ..., 20-m)의 가동 상태를 학습하고, 현재 센서 데이터들을 모니터링 하면서 추천 또는 자동 제어를 수행한다.
LSA 알고리즘(140)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펌웨어나 OS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LSA 알고리즘(140)은, IoT 디바이스들(20-1, 20-2, ..., 20-m)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한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되, 사용자의 의도가 확실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LSA 알고리즘(140)은, 학습(Learn) 추천(Suggest) 및 자동 제어(Auto control)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LSA 알고리즘(140)에서 학습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테이블에 따르면, 학습 과정에서는, 시간의 경과(1,2,3,4,5,6,7,...)에 따라,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센서-1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획득된 센서 데이터는, S11, S12, S13, S14, S15, S16, S17, ... 이고,
2) 센서-2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획득된 센서 데이터는, S21, S22, S23, S24, S25, S26, S27, ... 이며,
...
n) 센서-n으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획득된 센서 데이터는, Sn1, Sn2, Sn3, Sn4, Sn5, Sn6, Sn7, ... 이다.
한편, 시간 간격은 필요와 사양에 따라 정할 수 있으며,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테이블에 따르면, 학습 과정에서는, 센서 데이터에 따라, 가동된 디바이스들을 파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가동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가동은 물론, IoT 제어장치(100)의 자동 조작에 의한 가동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1) 센서 데이터가 [S12, S22, ... , Sn2]인 경우, 디바이스-3이 가동하였고,
2) 센서 데이터가 [S14, S24, ... , Sn4]인 경우,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이 가동하였으며,
3) 센서 데이터가 [S17, S27, ... , Sn7]인 경우, 디바이스-1, 디바이스-2 및 디바이스-3이 가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학습 과정에 의한 학습 결과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적하여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디바이스라도 가동된 경우, 가동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와 그 시점에서의 센서 데이터들을 테이블화하고, 발생 빈도를 산출하여 부가한다.
도 11에서 첫 번째 엔트리에 대한 발생 빈도가 95%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센서 데이터가 [S17, S27, ... , Sn7]인 경우 디바이스-1, 디바이스-2 및 디바이스-3이 가동된 비율이 95%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과거 센서 데이터가 [S17, S27, ... , Sn7]인 상황이 20회 있었는데, 1회를 제외한 19회에 디바이스-1, 디바이스-2 및 디바이스-3이 가동된 경우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센서 데이터가 [S14, S24, ... , Sn4]인 경우,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이 가동된 비율이 75%이고, 센서 데이터가 [S12, S22, ... , Sn2]인 경우, 디바이스-3이 가동된 비율이 55%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Suggest) 대상과 자동 제어(Auto control) 대상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발생 빈도가 90% 이상'인 경우는 '자동 제어 대상'으로 선정하고, '발생 빈도가 90% 미만이지만 70%를 초과'하는 경우는 '추천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학습 결과에 따르면, 현재 획득된 센서 데이터가 [S17, S27, ... , Sn7]인 경우, IoT 제어장치(100)는 디바이스-1, 디바이스-2 및 디바이스-3을 자동으로 가동시킨다. 센서 데이터가 [S17, S27, ... , Sn7]인 경우와 동일한 과거 상황에서 디바이스-1, 디바이스-2 및 디바이스-3이 가동된 빈도가 90%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디바이스-1, 디바이스-2 및 디바이스-3을 자동으로 가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현재 획득된 센서 데이터가 [S14, S24, ... , Sn4]인 경우, IoT 제어장치(100)는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을 가동시킬 것을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센서 데이터가 [S14, S24, ... , Sn4]인 경우와 동일한 과거 상황에서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이 가동된 빈도가 90%를 초과하지 않았으므로 자동 제어 대상은 아니지만, 70%를 초과하여 추천 대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에 대한 가동을 추천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추천을 수용하면 IoT 제어장치(100)는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을 가동시킨다. 하지만, 사용자가 추천을 수용하지 않으면, IoT 제어장치(100)는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을 가동시키지 않는다.
추천에 대해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IoT 제어장치(100)는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을 가동시키지 않음이 바람직하지만, 구현에 따라서는 가동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IoT 제어장치(100)는 사용자의 추천 결과를 누적하여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이 이루어졌었던 상황(센서 데이터 및 가동 디바이스)을 테이블화하고, 추천 수용 빈도를 산출하여 부가한다.
도 12에서 첫 번째 엔트리에 대한 추천 수용 빈도가 90%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센서 데이터가 [S14, S24, ... , Sn4]인 경우에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에 대한 가동 추천을 사용자가 수용한 비율이 90%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과거 센서 데이터가 [S14, S24, ... , Sn4]이어서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의 가동을 추천하였던 상황이 10회 있었는데, 1회를 제외한 9회에 대해 사용자가 추천을 수용한 경우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센서 데이터가 [S19, S29, ... , Sn9]인 경우에 디바이스-2와 디바이스-3에 대한 가동 추천을 사용자가 수용한 비율이 40%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추천 결과를 기반으로 추천(Suggest) 대상을 자동 제어(Auto control) 대상으로 승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추천 수용 빈도가 80% 이상인 경우는 자동 제어 대상으로 승격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후 센서 데이터로 [S14, S24, ... , Sn4]가 획득된 경우,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에 대한 가동 추천을 하는 것이 아니라,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3을 바로 가동(즉, 자동 제어)하게 된다.
반면, 센서 데이터로 [S19, S29, ... , Sn9]가 획득된 경우에 디바이스-2와 디바이스-3에 대한 가동은, 추천 수용 빈도가 80% 미만인 40%에 불과하므로, 자동 제어 대상으로 승격하지 않고 추천 대상으로 유지시킨다.
지금까지 설명한 LSA 알고리즘(140)에서 센서 데이터에 대한 추천 대상을 하나만 상정하였는데, 이는 알고리즘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대상은 다수이며, 좌측이 우선 순위가 가장 높고 우측이 우선 순위가 가장 낮다.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1) 센서 데이터가 [S14, S24, ... , Sn4]인 경우,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 3을 가동'하는 것이 1순위 추천 대상이고, '디바이스-4와 디바이스 5를을 가동'하는 것이 2순위 추천 대상이며, '디바이스-1과 디바이스 2를 가동'하는 것이 3순위 추천 대상이고,
2) 센서 데이터가 [S18, S28, ... , Sn8]인 경우, '디바이스-1(전등)을 On'하는 것이 1순위 추천 대상이고, '디바이스-1(전등)을 Dimming' 하는 것이 2순위 추천 대상이다.
지금까지,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사용자 UI 수단으로 제시한 터치 스크린은 다른 UI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다이얼과 디스플레이로 대체될 수 있고, 2축 조이스틱과 디스플레이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수평 방향 조작은 제어 내용을 변경하는 것으로, 수직 방향 조작은 제어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변경 대상인 제어 내용과 제어 레벨을 다른 것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위 실시예에서 상정한 IoT 홈 서비스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든 일 예에 불과하다. 홈 서비스 이외의 다른 종류의 IoT 서비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1, 10-2, ..., 10-n : IoT 센서
20-1, 20-2, ..., 20-m : IoT 디바이스
100 : IoT 제어장치 140 : LSA 알고리즘
110 : 마이크 120 : 터치 스크린
160 : 스피커

Claims (8)

  1. 시간 경과에 따라, 센서 데이터와 가동된 디바이스를 학습하는 단계;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다바이스를 자동 제어하는 단계;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1 표시단계;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2 표시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제2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레벨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3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자동 제어 단계는,
    현재의 센서 데이터와 동일한 과거 상황에서, 디바이스가 가동된 빈도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고,
    제1 표시 단계는,
    현재의 센서 데이터와 동일한 과거 상황에서, 디바이스가 가동된 빈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용 UI(User Interface)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표시단계는,
    최선 순위로 추천하는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제2 표시단계는,
    차선 순위로 추천하는 제어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용 UI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용 UI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표시단계는, 구형(球形) 터치 스크린에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제1 방향으로 조작은, 구형 터치 스크린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이고,
    제2 방향으로 조작은, 구형 터치 스크린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용 UI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1 표시단계는, 평면 터치 스크린에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표시하고,
    제1 방향으로 조작은, 평면 터치 스크린을 제1 방향으로 플리커 하는 조작이고,
    제2 방향으로 조작은, 평면 터치 스크린을 제2 방향으로 플리커 하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용 UI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2 방향으로 조작이 있으면 제어 레벨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센서 데이터와 가동된 디바이스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다바이스를 자동 제어하거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결정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
    현재의 센서 데이터와 동일한 과거 상황에서, 디바이스가 가동된 빈도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자동 제어를 수행하고,
    현재의 센서 데이터와 동일한 과거 상황에서, 디바이스가 가동된 빈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내용을 결정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KR1020140044222A 2014-04-14 2014-04-14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 KR10157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22A KR101573364B1 (ko) 2014-04-14 2014-04-14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22A KR101573364B1 (ko) 2014-04-14 2014-04-14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31A KR20150118631A (ko) 2015-10-23
KR101573364B1 true KR101573364B1 (ko) 2015-12-03

Family

ID=5442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222A KR101573364B1 (ko) 2014-04-14 2014-04-14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3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68B1 (ko) 2016-05-11 2017-01-18 이영재 IoT 네트워크 기반 메인 컨트롤러 제공 시스템
WO2017164706A1 (en) * 2016-03-24 2017-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WO2017164708A1 (en) * 2016-03-24 2017-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9218B1 (en) * 2016-07-01 2024-02-14 INTEL Corporation Dynamic user interface in machine-to-machine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525A (ja) * 2009-04-15 2010-11-0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52201B1 (ko) * 2012-09-11 2014-01-22 넥스트리밍(주)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정보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525A (ja) * 2009-04-15 2010-11-0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52201B1 (ko) * 2012-09-11 2014-01-22 넥스트리밍(주)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정보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K 뉴스 기사 "다가오는 사물인터넷의 세계…투덜대는 신발·인사하는 냉장고" 2014년02월10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706A1 (en) * 2016-03-24 2017-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WO2017164708A1 (en) * 2016-03-24 2017-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0170075B2 (en) 2016-03-24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0289085B2 (en) 2016-03-24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1151961B2 (en) 2016-03-24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1697568B1 (ko) 2016-05-11 2017-01-18 이영재 IoT 네트워크 기반 메인 컨트롤러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31A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157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KR101573364B1 (ko) IoT 디바이스 제어용 UI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어장치
JP6980702B2 (ja) 電気光学窓制御システム
CN105765514B (zh) 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US11334208B2 (en) Control apparatus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13718B2 (en) User action remote control
WO2016110003A1 (zh) 一种无线遥控的控制方法及系统
US10648685B2 (en) Network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of the same
CN104135683A (zh) 一种智能设备的遥控方法及相关设备、系统
CN107143980B (zh) 一种送风导向装置及其控制方法、空调
CN102957582A (zh) 电器远程控制系统及方法
CN110413016B (zh) 智能家居的湿度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80173416A1 (en) Distributed networking of configurable load controllers
WO2019196458A1 (zh) 空调控制器、空调
JP2017060096A (ja) 操作器及び通信システム
CN103940034A (zh) 一种功能启动的方法、空调和移动电子设备
WO2016090935A1 (zh) 工作状态调整方法、装置及控制面板
KR101499618B1 (ko) LSA 알고리즘을 이용한 IoT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8279546A (zh) 一种电器的信息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器
CN104075413A (zh) 空调器遥控器及其应用方法
KR102113185B1 (ko)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359489A (zh) 一种面板开关、智能家居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5065585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060069742A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등 원격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