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944B1 - 컨텐츠 전송 방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컨텐츠 전송 방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944B1
KR101572944B1 KR1020090122693A KR20090122693A KR101572944B1 KR 101572944 B1 KR101572944 B1 KR 101572944B1 KR 1020090122693 A KR1020090122693 A KR 1020090122693A KR 20090122693 A KR20090122693 A KR 20090122693A KR 101572944 B1 KR101572944 B1 KR 10157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peripheral
peripheral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422A (ko
Inventor
한상준
나기욱
홍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74,841 priority Critical patent/US9830123B2/en
Priority to EP10162855.0A priority patent/EP2261793B1/en
Priority to CN201010200611.2A priority patent/CN101924675B/zh
Publication of KR2010013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컨텐츠 전송 방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디바이스의 컨텐츠 전송방법은,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을 파악하고,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를 수신할 다비이스를 보다 편하고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컨텐츠 수신 디바이스 선택과 컨텐츠 전송 명령을 하나의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테이블-탑, 컨텐츠, 드래그, 전송, 수신

Description

컨텐츠 전송 방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with intuitively displaying contents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을 원하는 컨텐츠를 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 공유 및 전달을 목적으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전달이 매우 빈번해졌다. 이와 함께, 컨텐츠를 수신하여 보유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도 매우 많아졌음은 물론 매우 다양화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할 때, 컨텐츠를 수신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을 복잡하게 한다. 주변에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이 많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그 많은 디바이스들 중 컨텐츠를 수신할 디바이스가 어느 디바이스인지 파악하여야 하며, 만약 잘못 파악한 경우에는, 원하지 않는 디바이스로 컨텐츠가 전송되는 문제 및 이를 삭제하기 위한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를 수신할 다비이스를 보다 편하고 직관적으로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을 파악하고,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가 어느 방향에 위치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는지를 직관적으로 알리기 위한 방안으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컨텐츠 전송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는 위치 파악단계; 상기 디바이스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을 파악하는 방향 파악단계; 및 상기 방향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컨텐츠 전송 방법은, 상기 위치 파악단계는,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의 정보들을 상기 디바이스의 각기 다른 측면들로 수신하여,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위치 파악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측면으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한 제1 주변-디바이스는 제1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측면으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한 제2 주변-디바이스는 제2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의 정보들은 적외선 통신, 음파 통신, 초음파 통신, RF 통신,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및 WiFi 통신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각기 다른 측면들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파악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컨텐츠 전송 방법은, 상기 위치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재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재파악 결과를 기초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된 방향을,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으로 파악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이동된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가상 테두리에 닿으면, 상기 컨텐츠가 닿은 상기 가상 테두리의 변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가 이동된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닿은 상기 가상 테두리의 변이 제1 측 변이면 상기 컨텐츠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된 것으로 파악하고, 상기 컨텐츠가 닿은 상기 가상 테두리의 변이 제2 측변이면, 상기 컨텐츠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이동된 방향이 2개의 방향이고 상기 2개의 방향 중 어느 특정 방향에만 주변-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된 방향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을 기초로,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방향 선택용 아이템 및 물리적인 방향 선택용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컨텐츠 전송 방법은, 상기 컨텐츠가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송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밖으로 사라지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라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은 상기 주변-디바이스에 인접한 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주변-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며,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라지는 위치와 상기 주변-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나타나는 위치는 서로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전송단계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닿기 전에, 상기 주변-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밖으로 사라지도록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단계는, 상기 컨텐츠 중 상기 디스플레이 밖으로 사라질 부분부터 상기 주변-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컨텐츠 전송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변-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는 부분을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는데 참고할 수 있다.
본 컨텐츠 전송 방법은, 상기 컨텐츠가 이동된 방향에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의 이동을 상기 디스플레이 내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 및 플릭 조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컨텐츠 수신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는 위치 파악단계; 상기 주변-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들 중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주변-디바이스에 인접한 변으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상기 컨텐츠가 나타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주변-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디바이스에 인접한 변에서 상기 컨텐츠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에서 상기 컨텐츠가 나타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마련된 발광소자들의 발광순서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고, 상기 디스 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을 파악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파악된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WiFi 네트워크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주변-디바이스들과 지향성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의 통신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변-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서 컨텐츠가 이동된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컨텐츠를 수신할 다비이스를 보다 편하고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 수신 디바이스 선택과 컨텐츠 전송 명령을 하나의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츠를 전송하는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컨텐츠가 어느 방향에 위치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들 간 컨텐츠 전송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직관적으로 입력하고, 컨텐츠 전송 과정을 사용자 입력에 적응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1. 바람직한 실시예
(1)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 파악
도 1은 주변에 위치하는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을 파악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에는 다수의 테이블-탑 기기들(100, 100-1, 100-2, 100-3 및 100-4)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는 않았지만, 테이블-탑 기기들(100, 100-1, 100-2, 100-3 및 100-4)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은 물론 무선(예를 들면, WiFi)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테이블-탑 기기들(100, 100-1, 100-2, 100-3 및 100-4)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탑 기기들(100, 100-1, 100-2, 100-3 및 100-4)에는, 상부에 터치-스크린(110, 110-1, 110-2, 110-3 및 10-4)이 마련되어 있고, 측면에는 적외선 송수신부(150-1 내지 150-4 및 150-11 내지 150-44)가 마련되어 있다.
적외선 송수신부(150-1 내지 150-4 및 150-11 내지 150-44)는 인접한 테이블-탑 기기들 간의 적외선 통신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송수신부는 인접한 테이블-탑 기기들 중 마주보고 있는 테이블-탑 기기의 적외선 송수신부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탑 기기(100)의 서측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부-11(150-11)은 테이블-탑 기기-1(100-1)의 동측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부-1(150-1)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적외선 통신을 통해, 테이블-탑 기기들 간의 ID 교환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송수신부-11(150-11)은 테이블-탑 기기(100)의 ID_#0을 적외선 송수신부-1(150-1)로 전송하고, 적외선 송수신부-1(150-1)는 테이블-탑 기기-1(100-1)의 ID_#1를 적외선 송수신부-11(150-1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적외선 통신을 통한 ID 교환은, '적외선 송수신부-22(150-22)와 적외선 송수신부-2(150-2)', '적외선 송수신부-33(150-33)과 적외선 송수신부-3(150-3)' 및 '적외선 송수신부-44(150-44)과 적외선 송수신부-4(150-4)' 간에도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테이블-탑 기기들(100, 100-1, 100-2, 100-3 및 100-4)은 자신 주변의 어느 방향에 어느 테이블-탑 기기가 위치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테이블-탑 기기(100)는,
1) 적외선 송수신부-11(150-11)를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1(150-1)로부터 수신된 ID_#1를 기초로, 자신의 서쪽(W)에 테이블-탑 기기-1(100-1)이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2) 적외선 송수신부-22(150-22)를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2(150-2)로부터 수 신된 ID_#2를 기초로, 자신의 북쪽(N)에 테이블-탑 기기-2(100-2)가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하며,
3) 적외선 송수신부-33(150-33)를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3(150-3)으로부터 수신된 ID_#3를 기초로, 자신의 동쪽(E)에 테이블-탑 기기-3(100-3)이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4) 적외선 송수신부-44(150-44)를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4(150-4)로부터 수신된 ID_#4를 기초로, 자신의 남쪽(S)에 테이블-탑 기기-4(100-4)가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또한, 1) 적외선 송수신부-1(150-1)을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11(150-11)로부터 수신된 ID_#0를 기초로, 테이블-탑 기기-1(100-1)은 자신의 동쪽(E)에 테이블-탑 기기(100)가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2) 적외선 송수신부-2(150-2)를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22(150-22)로부터 수신된 ID_#0를 기초로, 테이블-탑 기기-2(100-2)는 자신의 남쪽(S)에 테이블-탑 기기(100)가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하며,
3) 적외선 송수신부-3(150-3)를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33(150-33)으로부터 수신된 ID_#0를 기초로, 테이블-탑 기기-3(100-3)는 자신의 서쪽(W)에 테이블-탑 기기(100)가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4) 적외선 송수신부-4(150-4)를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44(150-44)로부터 수신된 ID_#0를 기초로, 테이블-탑 기기-4(100-4)는 자신의 북쪽(N)에 테이블-탑 기기(100)가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에 대한 정보는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의 ID와 함께, 테이블로 저장된다. 테이블-탑 기기(100)에 저장되는 방향-ID 테이블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테이블은 이하에서 설명할, 컨텐츠 전송 과정에서 참조된다.
(2) 컨텐츠 드래그 방향에 위치한 주변 테이블-탑 기기로 컨텐츠 전송
도 3a 내지 도 3e에는 사용자의 이미지 드래그 조작에 의해, 이미지가 다른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3a 내지 도 3e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테이블-탑 기기들 중 중앙에 위치한 테이블-탑 기기(100)와 이 테이블-탑 기기(100)의 동쪽(E)에 위치한 테이블-탑 기기-3(100-3)만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블-탑 기기(100)는 이미지(I)를 전송하는 기기에 해당하고, 테이블-탑 기기-3(100-3)은 테이블-탑 기기(100)가 전송하는 이미지(I)를 수신하는 기기에 해당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에 의해 테이블-탑 기기(100)의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이미지(I)가 터치 된 후 동쪽(E) 방향(즉, 테이블-탑 기기-3(100-3)이 위치한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 내의 가상 테두리(115)에 닿게 되면, 테이블-탑 기기(100)는 사용자(U)에 의한 이미지(I)의 드래그 방향을 파악한다. 가상 테두리(115)는 터치-스크린(110)에 실제로 표시되지 않는 가상의 테두리이다.
사용자(U)의 드래그 방향은, 사용자(U)에 의해 드래그 되는 이미지(I)가 가상 테두리(115)의 어느 변에 닿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파악가능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에 의해 드래그 되는 이미지(I)가 가상 테두리(115)의 동측 변에 닿은 경우, 테이블-탑 기기(100)는 사용자(U)의 드래그 방향을 동쪽(E)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테이블-탑 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방향-ID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U)의 드래그 방향에 위치하는 테이블-탑 기기를 파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U)의 드래그 방향은 동쪽(E)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동쪽(E)에 위치하고 있는 테이블-탑 기기는 ID가 ID_#3인 테이블-탑 기기-3(100-3)이다.
이후, 테이블-탑 기기(100)는 사용자(U)에 의해 드래그 되고 있는 '이미지(I)에 대한 데이터'(이하, '이미지 데이터'로 약칭한다.)를 사용자(U)의 드래그 방향에 위치하는 테이블-탑 기기-3(100-3)으로 전송하기 시작한다.
이미지 데이터 전송은, 사용자(U)의 드래그 방향으로 이미지(I) 드래그가 계속될 경우 터치-스크린(110)에서 먼저 사라질 부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부터 시작된다.
테이블-탑 기기(100)와 테이블-탑 기기-3(100-3)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미지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테이블-탑 기기(100)에서 테이블-탑 기기-3(100-3)로 전송된다.
또한, 테이블-탑 기기(100)는 터치-스크린(110) 상에서 '이미지(I)가 표시된 상태에 대한 정보'(이하,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로 약칭한다.)를 테이블-탑 기기- 3(100-3)에 전송하기 시작한다. 터치-스크린(110) 상에서의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는 적외선 송수신부-33(150-33)에서 적외선으로 변조되어 적외선 송수신부-3(150-3)로 전송된다.
이후, 사용자(U)의 드래그에 의해 이미지(I)가 계속 동쪽(E)으로 이동하여 이미지(I)의 일부가 테이블-탑 기기(100)의 터치-스크린(110) 밖으로 사라지기 시작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진 이미지의 일부(Ib)가 테이블-탑 기기-3(100-3)의 터치-스크린-3(110-3)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때,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10) 상의 우측 변에서 이미지가 사라지는 위치(A~A')와, 테이블-탑 기기-3(100-3)에 마련된 터치-스크린-3(110-3) 상의 좌측 변에 이미지가 나타나는 위치(B~B')는, 서로 대응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 기기(100)와 테이블-탑 기기-3(100-3)이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10) 상의 우측 변에서 이미지가 사리지는 부분(A~A')과 터치-스크린-3(110-3) 상의 좌측 변에서 이미지가 나타나는 부분(B~B')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에 따라,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10) 상의 우측 변(터치-스크린(110)의 변들 중 테이블-탑 기기-3(100-3)에 인접한 변)에서 사리지는 이미지가 테이블-탑 기기-3(100-3)에 마련된 터치-스크린-3(110-3) 상의 좌측 변(터치-스크린-3(110-3)의 변들 중 테이블-탑 기기(100)에 인접한 변)에서 나타나게 되는 시각적인 효과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인 효과는 아래 2가지에 의해 가능하다.
첫째,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는 부분의 이미지 데이터는, 그 부분이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기 이전에 테이블-탑 기기-3(100-3)로 전송된다.
앞서,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질 이미지 데이터 전송은 이미지가 터치-스크린(110) 내의 가상 테두리(115)에 닿게 된 시점부터 시작된다고 하였다. 즉, 이미지 데이터 전송은 이미지(I)가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기 전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테이블-탑 기기-3(100-3)의 터치-스크린-3(110-3)에는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는 부분을 바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테이블-탑 기기(100)의 터치-스크린(110) 상에서 이미지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는 테이블-탑 기기-3(100-3)으로 전송된다. 이는 전술한 바 있다. 테이블-탑 기기(100)에서 테이블-탑 기기-3(100-3)으로 전송되는 이미지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는, 1)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부분(Ia)에 대한 정보, 2) 표시된 부분의 터치-스크린(110) 상 위치에 대한 정보, 3)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진 부분(Ib)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테이블-탑 기기-3(100-3)은 "2) 표시된 부분(Ia)의 터치-스크린(110) 상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이미지가 사라지는 위치(A~A')를 알아낼 수 있고, 이미지가 사라지는 위치(A~A')로부터 스크린-3(110-3)에서 이미지가 나타날 위치(B~B')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탑 기기-3(100-3)이 "3)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진 부 분(Ib)"을 산출된 위치(B~B')로부터 나타나도록 표시하면, 위에서 언급한 시각적인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3d에는 사용자(U)의 드래그에 의해 이미지(Ia + Ib)가 계속하여 테이블-탑 기기(100)의 터치-스크린(110)에서 테이블-탑 기기-3(100-3)의 터치-스크린-3(110-3)으로 이동 중인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3e에는 이미지(I) 전부가 테이블-탑 기기-3(100-3)의 터치-스크린-3(110-3)으로 이동 완료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3) 테이블-탑 기기(100)의 동작 절차
이하에서는, 테이블-탑 기기(100)가 동작하는 절차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전송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1) S405단계 내지 S410단계는 이미지 전송/수신을 위한 준비 과정이고, 2) S415단계 내지 S450단계는, 테이블-탑 기기(100)에서 다른 테이블-탑 기기로 이미지 전송을 위한 과정이며, 3) S460단계 내지 S480단계는, 테이블-탑 기기(100)가 다른 테이블-탑 기기로부터 이미지 수신을 위한 과정이다. 이하, "1)" 과정 및 "2)" 과정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테이블-탑 기기(100)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100-1 내지 100-4)과 ID를 교환한다(S405). S405단계에서의 적외선 통신을 통한 ID 교환은,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 부(150-11 내지 150-44)와 주변의 테이블-탑 기기들(100-1 내지 100-4)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부(150-1 내지 150-4) 간에 수행된다.
S405단계의 ID 교환 결과를 이용하여, 테이블-탑 기기(100)는 방향-ID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410). S410단계에서 생성되는 방향-ID 테이블은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100-1 내지 100-4)이 위치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이는 도 2에서 전술한 바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드래그가 수행되고(S415-Y), 드래그 되는 이미지가 터치-스크린(110)의 가상 테두리(115)에 닿으면(S420-Y), 테이블-탑 기기(100)는 드래그 되는 이미지가 가상 테두리(115)의 어느 변에 닿았는지를 판단한다(S425).
S425단계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테이블-탑 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한 이미지 드래그 방향을 파악한다(S430).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은, 드래그 되는 이미지가 닿은 가상 테두리(115)의 변이 어느 변인지를 기초로 파악가능하다. 예를 들어, 드래그 되는 이미지가 가상 테두리(115)의 동측 변에 닿은 경우, 테이블-탑 기기(100)는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을 동쪽(E)으로 파악한다.
이후, 테이블-탑 기기(100)는 방향-ID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테이블-탑 기기가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한다(S435). S435단계에서의 판단은, 방향-ID 테이블의 동쪽(E)에 대한 테이블-탑 기기의 ID가 수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S435단계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테이블-탑 기기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되면(S435-Y), 테이블-탑 기기(100)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드래그 되는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위치하는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하기 시작한다(S440).
이와 함께, 테이블-탑 기기(100)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터치-스크린(110) 상의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위치하는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하기 시작한다(S445).
S445단계에서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송수신부는,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위치한 테이블-탑 기기-3(100-3)을 바라보고 있는 적외선 송수신부-33(150-33)이다.
이후, 테이블-탑 기기(100)는 이미지가 터치-스크린(110) 상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서 터치-스크린(110) 밖으로 점차 사라지도록 처리한다(S450).
한편, S435단계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테이블-탑 기기가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435-N), 테이블-탑 기기(100)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한 이미지의 이동을 터치-스크린(110) 내로 제한한다(S455).
이 경우,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테이블-탑 기기가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 데이터 전송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테이블-탑 기기(100)가 다른 테이블-탑 기기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인 S460단계 내지 S480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테이블-탑 기기(100)가 주변 테이블-탑 기기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와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되면(S460-Y), 테이블-탑 기기(100)는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S470).
그리고, 테이블-탑 기기(100)는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를 기초로, 수신된 이미지가 나타날 위치를 산출한다(S475).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에는, 1) 주변 테이블-탑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부분에 대한 정보, 2) 표시된 부분의 터치-스크린 상 위치에 대한 정보, 3) 터치-스크린에서 사라진 부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전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S475단계에서 테이블-탑 기기(100)는 "2) 표시된 부분의 터치-스크린 상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주변 테이블-탑 기기의 터치-스크린에서 이미지가 사라지는 위치를 알아낼 수 있고, 이미지가 사라지는 위치로부터 자신의 터치-스크린(110)에 이미지가 나타날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테이블-탑 기기(100)는 주변 테이블-탑 기기로부터 사라지는 부분이 S475단계에서 산출된 위치로부터 점차 나타나도록 자신의 터치-스크린(110)를 제어한다(S480). 주변 테이블-탑 기기로부터 사라지는 부분은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로부터 알 수 있으므로, S480단계에서 테이블-탑 기기(100)는 이를 참조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드래그가 수행되고 있지 않고(S415-N), 주변 테이블-탑 기기로부터 이미지가 수신되지도 않는 경우(S460-N), 테이블-탑 기기(100)는 S405단계와 S410단계를 재수행하여, 저장된 방향-ID 테이블을 갱신한다. 이는, 주변 테이블-탑 기기의 배치가 변동되거나, 주변 테이블-탑 기기가 다른 기기로 변경된 경우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2.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이 모호한 경우
도 5a에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해 이미지(I)가 북동쪽(NE)으로 이동하여 터치-스크린(110)의 가상 테두리(115)의 두 변에 동시에 닿게 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5a에서 이미지(I)는 가상 테두리(115)의 북측 변과 동측 변 모두에 동시에 닿은 상태이다.
이 경우, 테이블-탑 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한 이미지(I) 드래그 방향을 어느 한 방향으로 파악할 수 없어, 이미지(I)를 주변에 위치하는 테이블-탑 기기들 중 어디로 전송할지 결정할 수 없다.
만약, 테이블-탑 기기(100)의 북쪽(N)과 동쪽(E) 중 어느 한 방향에만 테이블-탑 기기가 존재한다면, 테이블-탑 기기(100)는 그 방향에 존재하는 테이블-탑 기기로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테이블-탑 기기(100)의 북쪽(N)과 동쪽(E) 모두에 테이블-탑 기기들이 존재하는 경우, 테이블-탑 기기(100)는 사용자에게 이미지(I)를 어느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할지를 문의하기 위한 GUI를 터치-스크린(110) 상에 표시하고, 이 G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테이블-탑 기기로 이미지(I)를 전송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의도를 보다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테이블-탑 기기(100)의 북쪽(N)과 동쪽(S) 중 어느 한 방향에만 테이블-탑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테이블-탑 기기(100)는 북쪽(N)과 동쪽(E) 중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향(즉, 테이블-탑 기기가 존재하는 방향)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GUI를 제공한 후, 그 방향에 존재하는 테이블-탑 기기로 이미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드래그 방향의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해, 도 5b에서와 같이 가상 테두리(115)의 모서리 부근들을 보호구간들(G1 내지 G4)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미지(I)가 보호구간(G1 내지 G4)에 닿게 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미지(I)를 어느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할지를 문의하기 위함이다.
보호구간은 2개의 변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에게 이미지(I)를 어느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할지를 문의'하기 위한 필요조건은, 이미지(I)가 2개의 변 모두에 닿는 것일 필요는 없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I1, I2)가 보호구간(G2, G4)을 구성하는 2개의 변 중 어느 하나에 닿게 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이미지(I)를 어느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3. 이미지를 전송받을 테이블-탑 기기에 디스플레이가 없는 경우
도 6a에는 이미지를 전송받을 테이블-탑 기기-3(100-3)에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없고, 대신 LED 모듈(190-3)이 구비된 경우를 상정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모듈(190-3)에는 동측, 서측, 남측, 북측 및 중앙에 5개의 LED가 마련되어 있어, 발광순서에 따라 특정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모듈(190-3)에서의 "북측-LED 점등 → 중앙-LED 점등 → 남측-LED 점등"은 남쪽을 나타내며, LED 모듈(190-3)에서의 "동측-LED 점등 → 중앙-LED 점등 → 서측-LED 점등"은 서쪽을 나타낸다.
터치-스크린(110) 상의 이미지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탑 기기-3(100-3)으로 전송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테이블-탑 기기(100)의 동작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테이블-탑 기기-3(100-3)은 이미지 전송 경과에 따라 LED 모듈(190-3)의 발광순서를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이미지 전송 방향이 나타나도록 LED 모듈(190-3)의 발광순서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테이블-탑 기기-3(100-3)은 이미지를 전송하는 테이블-탑 기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파악한다. 파악된 방향의 역방향이 이미지 전송 방향이기 때문이다. 이미지를 전송하는 테이블-탑 기기(100) 파악은, 테이블-탑 기기(100)가 전송한 이미지의 헤더 부분에 수록되어 있는 테이블-탑 기기(100)의 ID_#0을 추출하고, 방향-ID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된 ID에 해당하는 방향을 알아내는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전송하는 테이블-탑 기기(100)는 테이블-탑 기기-3(100-3)의 서쪽에 위치하는데, 테이블-탑 기기(100)가 위치하는 서쪽의 역방향인 동쪽이 이미지 전송 방향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테이블-탑 기기-3(100-3)는 LED 모듈(190-3)에서 이미지 전송 방 향인 동쪽이 나타나도록 LED 모듈(190-3)의 발광순서를 제어하는데, 이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도 6b와 도 6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미지 전송 경과에 따라 "서측-LED 점등 → 중앙-LED 점등 → 동측-LED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미지 전송 방향이 동쪽(E)임(즉, 이미지가 서쪽(W)에 위치한 테이블-탑 기기(100)로부터 수신되고 있음)이 시각적으로 나타내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미지 전송이 완료된 시점에 테이블-탑 기기-3(100-3)은 효과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구현하였는데, 이는 생략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지 전송 중에도 효과음(♬)이 출력되도록 구현가능한데, 이미지 전송 중에 출력되는 효과음(♬)은 이미지 전송 완료 시점의 효과음(♬)과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테이블-탑 기기-3(100-3)에 LED 모듈(190-3)이 없다면, 효과음(♬) 만으로 이미지 전송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여러 색을 출력할 수 있는 다색-LED를 이용하여, 색 변화를 통해 이미지 전송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4. 파일을 묶음으로 전송하는 경우
도 7a 내지 도 7d에는 파일 리스트(L) 상에서 사용자(U)에 의해 선택된 여러 파일들(AAA, BBB 및 CCC)이 묶음으로 드래그 되어, 테이블-탑 기기(100)에서 테이블-탑 기기-3(100-3)으로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본 과정에서,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고, 테이블-탑 기기-3(100-3)에 마련된 터치-스크린-3(110-3)에서 나타나는 것은, 파일들의 묶음 자체가 아니라 이를 상징하는 아이콘(I)으로 상정하였다.
이 경우, 파일 자체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테이블-탑 기기(100)에서 테이블-탑 기기-3(100-3)으로 전송되고, '아이콘(I)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와 '아이콘(I)의 터치-스크린(110) 상에서의 표시상태 정보'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테이블-탑 기기(100)에서 테이블-탑 기기-3(100-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아이콘(I)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는 용량이 크지 않으므로, 적외선 통신을 통해 충분히 빠른 속도로 가능하다.
5. 다른 변형예
(1) 적외선 송수신부 관련
위 실시예들에서는,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 파악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테이블-탑 기기들(100, 100-1, 100-2, 100-3 및 100-4)의 측면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부들(150-1 내지 150-4 및 150-11 내지 150-44)을 이용하였다.
적외선 통신의 지향성 통신의 일종이므로, 적외선 송수신부(150-1 내지 150-4 및 150-11 내지 150-44)는 지향성이 있는 다른 통신수단으로 대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외선 송수신부'는, 1) 지향성이 있는 스피커&마이크, 2) 지향 성이 있는 초음파 송수신부' 및 3) 지향성이 있는 RF 송수신부로 대체가능하다. 이에 의해서도, 마주 보고 있는 것들 간에 ID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주변 테이블-탑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수신강도가 가장 높은 수단이 그 주변 테이블-탑 기기를 마주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면, 지향성이 약하거나 없는 수단으로도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이용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한 인접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 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테이블-탑 기기들 간의 ID 교환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이 경우, 테이블-탑 기기에 마련된 적외선 송신부가 순차적으로 주변 테이블-탑 기기에 ID를 요청하면, ID 요청을 수신한 테이블-탑 기기가 자신의 ID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에 따르는 것이다.
이 경우, 테이블-탑 기기(100)의 적외선 송신부-11(150-11)이 적외선으로 ID 요청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테이블-탑 기기-1(100-1)의 적외선 송신부-1(150-1)이 네트워크로 자신의 ID_#1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테이블-탑 기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ID_#1가 수신되므로, 적외선 송신부-11(150-11)과 마주 보고 있는 테이블-탑 기기(즉, 서쪽(W)에 위치하고 있는 테이블-탑 기기)는 ID가 ID_#1인 테이블-탑 기기-1(100-1)임을 파악하게 된다.
한편, 테이블-탑 기기들 간의 교환되는 ID는 다른 정보, 예를 들면, 테이블-탑 기기들의 S/N, 네트워크 어드레스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2)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의 수동 설정
위 실시예들에서는, 테이블-탑 기기가 적외선 송수신부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 파악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입력으로 파악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1)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과 2) 주변 테이블-탑 기기들의 ID들을 수동으로 입력할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방향-ID 테이블은, 사용자의 입력 내용을 기초로 생성되게 된다.
(3) 이미지 데이터 전송 관련
위 실시예들에서, 이미지(I)는 가상 경계선(115)에 닿은 후에도 사용자(U)에 의해 지속적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져야,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고 터치-스크린(110-3)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U)의 드래그에 의해 이미지(I)가 가상 경계선(115)에 닿 은 경우라면, 이후 사용자(U)에 의한 지속적인 드래그가 없더라도 이미지(I)가 터치-스크린(110)에서 자동으로 사라지고 터치-스크린(110-3)에서 자동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한편, 위 실시예들에서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테이블-탑 기기 상에서 이미지가 사라지는 위치'와 '이미지를 수신하는 테이블-탑 기기 상에서 이미지가 나타나는 위치'는 서로 마주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이미지를 수신하는 테이블-탑 기기 상에서 이미지가 나타나는 위치'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테이블-탑 기기 상에서 이미지가 사라지는 위치'와 서로 마주보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10) 상의 우측 변(터치-스크린(110)의 변들 중 테이블-탑 기기-3(100-3)에 인접한 변)에서 이미지가 사라지게 될 경우, 이미지는 테이블-탑 기기-3(100-3)에 마련된 터치-스크린-3(110-3) 상의 중앙에 나타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미지가 나타나는 터치-스크린-3(110-3) 상의 중앙은 다른 위치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탑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가 테이블-탑 기기-3(100-3)에 마련된 터치-스크린-3(110-3) 상의 중앙이 아닌 다른 위치(예를 들면, 상부, 하부, 좌부 또는 우부)에 나타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U)의 드래그 속도에 의해 이미지(I) 전송이 이루어지도 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미지(I)가 가상 경계선(115)에 닿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자(U)의 드래그가 속도가 매우 빨라 임계 속도를 넘은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U)가 이미지(I)에 대해 플릭(flick) 조작을 한 경우)라면, 사용자(U)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이미지(I) 전송 절차가 진행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다른 변형으로, 이미지(I)가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고 터치-스크린(110-3)에서 나타나는 절차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이 완료 후에 수행되도록 구현가능하다. 이 경우, 이미지(I)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지지 않고 정지해 있게 된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의 이미지 전송은, 이미지 이동은 물론 이미지 복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미지 복사의 경우, 터치-스크린(110)에서 이미지(I)가 사라지고, 이미지 데이터가 테이블-탑 기기-3(100-3)으로 전송되었다 하더라도, 테이블-탑 기기(100)는 여전히 이미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다.
또한, 이미지 전송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은,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이외의 다른 조작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도 가능하다.
한편, 위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드래그 방향을 기초로, 이미지를 전송할 주변 테이블-탑 기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다르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 기기(100)의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이미지(I)의 주변에 방향 선택용 아이템(▲,▼,◀,▶)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방향을 입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에 위치한 주변 테이블 -탑 기기로 이미지가 전송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서 방향 선택용 아이템(▲,▼,◀,▶)은 터치-스크린(110)에 GUI로 제공되는 경우를 상정하였으나, 이를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4)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 관련
위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는, 1)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 부분(Ia)에 대한 정보, 2) 표시된 부분의 터치-스크린(110) 상 위치에 대한 정보, 3) 터치-스크린(110)에서 사라진 부분(Ib)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는, 테이블-탑 기기(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10)의 어느 곳에서 이미지의 어느 부분이 사라졌는지에 대한 정보를 표현할 수만 있다면, 위에서 예시한 정보들과 다른 정보가 수록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위 실시예들에서 이미지 표시상태 정보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전달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5) 전송 대상
위 실시에에서는, 이미지 또는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를 상정하였는데,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해당한다. 이미지, 파일 이외의 다른 컨텐츠를 전 송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그래픽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컨텐츠에는, 텍스트, 동영상, 플래시 이미지, 아이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윈도우, '사용자가 수기로 작성한 텍스트, 이미지, 도형, 마크 등'도 컨텐츠에 포함된다.
사용자가 수기로 작성한 텍스트, 이미지, 도형, 마크 등은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거나, 그래픽 정보(형상, 벡터, 색상)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기로 작성한 텍스트, 이미지, 도형, 마크 등을 다른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거나 그래픽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전송할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6.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
위 실시예들에서는 테이블-탑 기기들 간의 컨텐츠 전송을 설명하였는데, 테이블-탑 기기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의 경우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휴대용 PC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는 물론, 전자액자, IP-TV, 데스크탑 PC, 전자 칠판과 같은 거치형 디바이스의 경우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이 모두 동종일 필요는 없으며, 이종의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테이블-탑 기기와 휴대폰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기능 블럭(1010), 터치-스크린(1020), 제어부(1030), 저장부(1040), 적외선 송수신부(10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60)을 구비한다.
기능 블럭(1010)은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테이블-탑 기기인 경우 기능 블럭(1010)은 디지털 회의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디바이스가 휴대폰인 경우 기능 블럭(1010)은 휴대 전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스크린(1020)은 컨텐츠가 나타나고 사라지는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과, 터치, 드래그 등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040)에는 터치-스크린(1020)에 표시,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적외선 송수신부(1050)는 전술한 바 있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60)는 전술한 바 있는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030)는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수행하여, 디바이스들 간의 컨텐츠 전송 또는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주변에 위치하는 테이블-탑 기기들이 위치한 방향을 파악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테이블-탑 기기에 저장되는 방향-ID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e은 사용자의 이미지 드래그 조작에 의해, 이미지가 다른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전송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이 모호한 경우에 대한 부연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이미지를 전송받을 테이블-탑 기기에 디스플레이가 없는 경우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파일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여러 파일들이 묶음으로 드래그 되어,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이미지가 다른 테이블-탑 기기의 특정 위치로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사용자의 방향 입력 조작에 의해, 이미지가 다른 테이블-탑 기기로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9)

  1. 디바이스의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는 위치 파악단계;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가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에지에 접촉하는 방향을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으로 파악하는 방향 파악단계; 및
    상기 방향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파악단계는,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의 정보들을 상기 디바이스의 각기 다른 측면들로 수신하여,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파악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측면으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한 제1 주변-디바이스는 제1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측면으로 자신의 정보 를 전송한 제2 주변-디바이스는 제2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의 정보들은 적외선 통신, 음파 통신, 초음파 통신, RF 통신,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및 WiFi 통신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각기 다른 측면들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파악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재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재파악 결과를 기초로,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된 방향을,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으로 파악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이동된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내의 가상 테두리에 닿으면, 상기 컨텐츠가 닿은 상기 가상 테두리의 변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가 이동된 방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닿은 상기 가상 테두리의 변이 제1 측변이면 상기 컨텐츠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된 것으로 파악하고, 상기 컨텐츠가 닿은 상기 가상 테두리의 변이 제2 측변이면, 상기 컨텐츠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이동된 방향이 2개의 방향이고 상기 2개의 방향 중 어느 특정 방향에만 주변-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된 방향을 상기 특정 방향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을 기초로,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파악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방향 선택용 아이템 및 물리적인 방향 선택용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송됨을 시각적으 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밖으로 사라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라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은 상기 주변-디바이스에 인접한 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주변-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며,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라지는 위치와 상기 주변-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나타나는 위치는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단계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닿기 전에, 상기 주변-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밖으로 사라지도록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단계는,
    상기 컨텐츠 중 상기 디스플레이 밖으로 사라질 부분부터 상기 주변-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변-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는 부분을 상기 주변-디바이스가 자 신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내는데 참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2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이동된 방향에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의 이동을 상기 디스플레이 내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2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 및 플릭 조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전송 방법.
  22. 디바이스의 컨텐츠 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는 위치 파악단계;
    상기 주변-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가 이동되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에지에 접촉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들 중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주변-디바이스에 인접한 변으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상기 컨텐츠가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주변-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디바이스에 인접한 변에서 상기 컨텐츠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에서 상기 컨텐츠가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마련된 발광소자들의 발광순서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디바 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방법.
  27.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고,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가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에지에 접촉하는 방향을 상기 컨텐츠를 이동시킬 방향으로 파악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파악된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WiFi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9.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주변-디바이스들과 지향성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의 통신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주변에 있는 주변-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있는 방향들을 파악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변-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주변-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컨텐츠가 이동되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에지에 접촉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090122693A 2009-06-09 2009-12-10 컨텐츠 전송 방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1572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74,841 US9830123B2 (en) 2009-06-09 2010-05-06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ing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EP10162855.0A EP2261793B1 (en) 2009-06-09 2010-05-14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ed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CN201010200611.2A CN101924675B (zh) 2009-06-09 2010-06-08 显示内容发送方向的发送内容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851 2009-06-09
KR20090050851 2009-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422A KR20100132422A (ko) 2010-12-17
KR101572944B1 true KR101572944B1 (ko) 2015-12-14

Family

ID=4350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693A KR101572944B1 (ko) 2009-06-09 2009-12-10 컨텐츠 전송 방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65B1 (ko) * 2010-02-19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KR102437373B1 (ko) * 2014-10-31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의 진동을 출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기계적 진동을 이용한 디바이스 간의 통신 방법
CN105760127A (zh) * 2016-02-19 2016-07-13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传屏方法、传屏装置及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3931A1 (en) * 2002-09-12 2004-10-14 Broadcom Corporation Using signal-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and list available devices
US20060146765A1 (en) * 2003-02-19 2006-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ad hoc sharing of content items between portable devices and interaction methods therefor
US20070233759A1 (en) * 2006-03-28 2007-10-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latform for seamless multi-device interactive digital cont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3931A1 (en) * 2002-09-12 2004-10-14 Broadcom Corporation Using signal-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and list available devices
US20060146765A1 (en) * 2003-02-19 2006-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ad hoc sharing of content items between portable devices and interaction methods therefor
US20070233759A1 (en) * 2006-03-28 2007-10-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latform for seamless multi-device interactive digital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422A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79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ed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EP27121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EP256576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77071B2 (ja) 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送受信システム
KR101785332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장치의 연결 방법
US20150062051A1 (en) File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JP6174491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た携帯端末機の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AU20132607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ree dimensional gestures to initiate and complete the transfer of application data between networked devices
KR20130061711A (ko) 통신 기기들 사이에서 정보 아이템들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182149A1 (zh) 一种悬浮窗位置控制的方法及终端
KR20080109869A (ko)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과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
KR20070113025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572944B1 (ko) 컨텐츠 전송 방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WO2012093779A2 (ko) 사용자 터치와 입김을 활용한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 지원 사용자 단말과 그 제어 방법
CN107102789A (zh) 用于在移动终端中提供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KR102655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30328892A1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7128986A1 (zh) 多媒体菜单项的选择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20045220A (ko) 아이콘 표시 방법 및 단말
KR102095039B1 (ko)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634631B (zh) 基于遥控触摸屏的图标选定方法及系统
KR102066226B1 (ko) 전자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KR101432483B1 (ko) 제어영역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JP2011107933A (ja) 通信システム
KR20130038523A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