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965B1 -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965B1
KR101641965B1 KR1020100014978A KR20100014978A KR101641965B1 KR 101641965 B1 KR101641965 B1 KR 101641965B1 KR 1020100014978 A KR1020100014978 A KR 1020100014978A KR 20100014978 A KR20100014978 A KR 20100014978A KR 101641965 B1 KR101641965 B1 KR 10164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ouch
destination
display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490A (ko
Inventor
이계철
최영수
심신호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9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image)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미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전송 방법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이미지(imag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의 터치를 인식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일시 중지하는 단계와, 터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방향에 설정된 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선택된 수신처로 해당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효율적인 이미지 전송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DIGITAL IMAGE FRAM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ICTURE THROUGH THE DIGITAL IMAGE FRAME}
본 발명은 이미지(image)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미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디지털 관련 제품이 개발중에 있다. 특히, 상기 디지털 제품 중에는 영상 또는 사진(이하 이를 '이미지(image)'로 통칭한다)을 저장하고 공유하는 장치도 개발중에 있으며, 이는 '전자액자', '디지털 이미지 프레임', '디지털 프레임', '거치형 전자 디스플레이'등으로 명명되어 개발되고 있다. 이하, 본 출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통칭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한다.
특히, 최근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이미지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동일 또는 유사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호 간에 있어서 네트워크을 통한 이미지 교환을 지원하는 기능과 같이, 보다 편리한 사용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한 효율적인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편리하게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전송을 가능하도록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미지 전송수신처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전송 방법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이미지(imag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의 터치를 인식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일시 중지하는 단계와, 터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방향에 설정된 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선택된 수신처로 해당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 방향은 상, 하, 좌, 우 4가지 방향으로 인식하되, 상기 4가지 드래그 방향에 각각 전송 인식존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택된 수신처로의 전송이 취소되면, 일시 중지된 디스플레이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 방향은 최소한 2개 이상이며, 상기 터치 방향에 따라 각각 수신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처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갖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관리 방법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이미지(imag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의 터치를 인식한 후, 터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터치 방향이 설정된 전송 인식존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미지 저장 명령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현재 설정된 저장 폴더를 디스플레이 제공하고, 선택된 폴더에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각 측면에는 이미지 전송 수신처가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 각 측면 상에 상기 설정된 전송 수신처를 표시하기 위한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상에 사용자 기능 버튼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네트워크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상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모듈과, 상기 터치 모듈을 통한 사용자 터치(touch)를 인식하면, 터치 방향을 판단하여, 해당 터치 방향에 설정된 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이미지를 선택된 수신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된 전송 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서브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분리하여 상기 프레임 상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그래픽 사용자 이미지(GUI)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전송 방법은, 이미지를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을 인식하면 기 설정된 모든 전송 수신처 정보를 서브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송 수신처중 선택된 수신처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은,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이미지를 기준 시간 이상 터치(touch)하는 경우에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은, 상기 프레임 상에 별도 구비된 기능 버튼의 실행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은,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둘러싸는 프레임 상에 구비된 서브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측면을 제1 분류 카테고리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 하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로 구성되는 제2 분류 카테고리를 계층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분류 카테고리내의 최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수신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분류 카테고리내의 최하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수신처가,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된 동일 네트워크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어드레스는 자동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 및 제2 분류 카테고리 설정을 위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각 계층의 개별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기능 박스(function box)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기능 박스는 터치 앤 무브 (touch and move)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종 설정 완료된 전송 수신처는, 상기 프레임 상에 구비된 서브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효율적인 이미지 전송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통신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수신처를 수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 및 7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에서 최종 수신처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저장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제공되어 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제공되는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통신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 부호 '10' 및 '20'은 각각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 의해 네트워크망이 구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DLNA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망으로 구성하거나, 전화선, 전력선을 이용한 유선 네트워크망으로 구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10, 20)내에는 다수의 디지털 기기가 메인 콘트롤러(14, 23, 예를 들어 'PC' 또는 'HMC')를 중심으로 네트워크을 구성하게 된다. 도 1 에서는 예를 들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지털 픽쳐 프레임(DPF: Digital Picture Frame, 11a, 11b, 11c, 21a, 21b), TV(13, 22) 및 도어모니터(Door, 12)등이 각각의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각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내(10, 20)에서는 메인 콘트롤러(14, 23)의 통제를 통해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가 자유롭게 수행되어 진다.
또한, 각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10, 20) 상호간에는 외부 네트워크망(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며, 상기 외부 네트워크망(30)에는 다양한 통신 방식이 존재함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외부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 특히, 이미지 전송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은 사각형 형태의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삼각형, 육각형 형태도 가능하며, 원(circle)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도 2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관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41)과 프레임 영역(42)으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1)은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제공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와의 인터액션(interaction)을 위한 그래픽/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데 활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영역(42)은 디스플레이 영역(41)을 둘러싸는 외곽을 구성하고, 프레임 영역(42)상에는 이미지 전송 수신처를 포함한 다양한 서브 화면을 제공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421b, 422b, 423b, 424b)을 포함한다.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1)을 '메인 디스플레이'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421b, 422b, 423b, 424b)을 '서브 디스플레이'로 각각 명명한다.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421b, 422b, 423b, 424b)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일예로, 비활성(non-active) 상태에서는 프레임 영역(42)과 동일 색상 및 외관을 유지하나, 활성화(active) 상태에서는 외부적으로 빛을 발하여 해당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421b, 422b, 423b, 424b)가 활성화(active)된 상태를 '라이팅 영역(lighting area)'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421b, 422b, 423b, 424b)가 라이팅 영역이 되기 위해서는 프레임 영역(42)의 각 측면(421a, 422a, 423a, 424a, 예를 들어, 상,하,좌,우 4가지 방향의 측면)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 (touch and drag) 기능이 인식된 경우라 할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즉,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421b, 422b, 423b, 424b)은 프레임 영역(42)의 각 측면(421a, 422a, 423a, 424a)에 대응하여 구성되어 지며, 특정 측면이 활성화되면, 대응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이 라이팅 영역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영역(42) 상에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 버튼(425)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장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네트워크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52)과, 터치 스크린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3)와,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이미지 터치(touch)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drag)를 인식가능한 터치 모듈(54)과, 장치내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51, controller or microprocesso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58), 그래픽 사용자 이미지(GUI)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6), 오디오 출력을 수행하는 오디오 출력부(59), 전원을 제공하는 파워수단(57) 및 전술한 프레임 영역(42)상의 서브 디스플레이(421b, 422b, 423b, 424b) 영역을 라이팅 영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프레임 라이트부(55, frame ligh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련하여, 상기 통신수단(52)은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수단(521, wireless LAN transceiver)과 유선 네트워크을 지원하는 커넥터(522, wire network connector)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3)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메인 디스플레이(531, display)와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는 비디오 메모리(532, video memory)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디오 출력부(59)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해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를 조절하는 오디오 변환부(592, audio DAC/AMP)와 스피커(591, speaker)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파워수단(57)은 전원 소스(571, power)와 사용가능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572, power converter)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터치 모듈(54)을 통한 사용자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를 인식하면, 상기 터치된 이미지의 드래그 방향을 판단하여, 해당 드래그 방향에 설정된 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이미지를 선택된 수신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하 상기 제어부(51)의 제어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전송수신처 설정 방법 및 이미지 전송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a ~ 도 6b를 참조하여, 이미지 전송을 위한 이미지 전송수신처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미지 전송수신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41)을 통해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되는 메뉴에 따라 설정하게 된다.
관련하여,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송수신처 설정의 특징은, 사용자가 전송수신처를 계층적으로 구분하여 설정함에 있다 할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전술한 도 2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와 같이 프레임(42)을 구성하는 4군데의 측면(421a, 422a, 423a, 424a)을 구비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측면을 제1 분류 카테고리(62, 63, 64, 65, Level2)로 설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 하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로 구성되는 제2 분류 카테고리들(Level3, Level4)을 계층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관련하여, 도 4a는 상기 제2 분류 카테고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 분류 카테고리중 62, 63, 64 하위에는 각각 두 단계의 계층적 서브 카테고리를 구성하고, 제1 분류 카테고리중 65 하위에는 서브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 62 하위에는 서브 카테고리로 'family'(621)를 설정하고, 해당 서브 카테고리(621) 하위에는 다시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로서 'Mom'(6211), 'Dad'(6212), 'Grandparents'(6213)을 각각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가 설정되면, 각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6211a, 6212a, 6213a)를 입력함에 의해, 제1 분류 카테고리 62 에 대한 전송수신처 설정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 63 하위에는 서브 카테고리로 'friends'(631)를 설정하고, 해당 서브 카테고리(631) 하위에는 다시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로서 'Bob'(6311), 'Alice'(6312)를 각각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가 설정되면, 각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6311a, 6312a)를 입력함에 의해, 제1 분류 카테고리 63 에 대한 전송수신처 설정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 64 하위에는 서브 카테고리로 'Room'(641)를 설정하고, 해당 서브 카테고리(641) 하위에는 다시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로서 'Living room'(6411), 'Door'(6412)를 각각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상기 서브 카테고리 'Room'(641)은 해당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 내부 네트워크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장치들로서 별도의 네트워크 어드레스(6411a, 6412a)를 입력하지 않고도 제어부(51)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 어드레스(6411a, 6412a)가 자동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b는 이미지 전송수신처를 설정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 62 하위에만 복수의 서브 카테고리들(621, 622, 623, 624)을 구성하고, 나머지 제1 분류 카테고리들 63, 64, 65에는 하위 서브 카테고리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서브 카테고리들(621, 622, 623, 624)의 구성 및 이에 대응하는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들(6211, 6212, 6213, 6221, 6222, 62331, 6232)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4a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의 일 예로서, 실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의 설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41),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421b, 422b, 423b, 424b) 및 기능 버튼(425)을 구비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41) 상에 이미지 전송수신처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화면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제1 분류 카테고리 및 제2 분류 카테고리를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도구로서 기능 박스(function box, 81,82,83,84,71,72,73,711,712,713)를 제공한다. 상기 기능 박스내에는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문자(text)의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각 기능 박스는 사용자의 터치 앤 무브 (touch and move)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관련하여,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능 박스(81,82,83,84)와 제2 분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능 박스(71,72,73,711,712,713)는 사용 태양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특정 기능(예를 들어 터치 앤 무브 (touch and move))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분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능 박스(81,82,83,84)에는 적용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설정이 완료된 기능 박스와 설정이 미완료된 기능 박스간의 구별을 위해, 예를 들어, 설정 완료된 기능 박스(예, 81, 71, 711, 712, 713)와 설정 미완료된 기능 박스(예, 82, 83, 84, 72, 73)간의 색상을 달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미완료된 기능 박스들 중 현재 설정이 진행중인 기능 박스(예, 82, 72)의 경우는 주변과 구별되는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박스의 크기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해당 기능 박스(예, 82, 72)를 더 밝게 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된 제1 분류 카테고리 박스(예, 82)를 깜빡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수신처를 수정 또는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a는 제1 분류 카테고리 81 하위의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중 하나인 기능 박스 713 을, 또 다른 제1 분류 카테고리 84 하위의 제2 분류 카테고리 74 하위로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설정의 변경 또는 수정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101)는 설정 변경을 원하는 기능 박스(예, 713)을 터치 앤 무브 (touch and move) 동작을 통해 최종 설정 변경 위치 (예, 74 하위)로 이동 시킴에 의해 편리하게 설정 변경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b 는 상기 사용자(101)에 의한 설정 변경후의 화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이미지 전송수신처의 최종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51)는 사용자가 설정한 전송수신처가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421b, 422b, 423b, 424b)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분류 카테고리 81, 82, 83, 84 각각에 일대일 대응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 421b, 422b, 423b, 424b 을 구비하고, 해당 제1 분류 카테고리내 하위의 제2 분류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서브 카테고리들을 전송수신처로 표시하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수신처의 설정이 완료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이미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41) 상에 특정의 이미지(411)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바,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은 슬라이드 쇼 또는 버튼 플레이 방식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제어부(51)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도중 사용자(101)에 의해 특정 이미지(411)에의 터치(touch)를 인식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일시 중지하고, 이미지 전송을 위한 준비단계로 대기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 터치 방식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기준 시간(T1) 이상으로 터치가 계속 감지되는 경우를 이미지 전송을 위한 터치 명령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 터치가 계속 감지되는 경우를 이미지 전송을 위한 터치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명령를 이미지 전송 준비단계로 인식하는 경우에, 제어부(51)는 터치 모듈(54)상에 기설정된 전송 인식존(421c, 422c, 423c, 424c)중 어느 하나 내로 사용자의 터치 방향 예를 들어 드래그(drag) 동작(421d, 422d, 423d, 424d)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의 터치 방향(예, 드래그 동작)이 상기 설정된 인식존(421c, 422c, 423c, 424c)중 어느 하나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설정된 전송수신처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421b, 422b, 423b, 424b) 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관련하여, 도 7b 및 7c는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421b, 422b, 423b, 424b) 상에 전송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최종 수신처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도 7b는 예를 들어 전술한 도 7a에서 사용자의 이미지 드래그 방향이 왼쪽(421d)에 해당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이 해당 방향으로 설정된 전송 인식존(421c) 내에 포함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어부(51)는 해당 드래그 방향으로 기설정된 전송 수신처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가 이미지 전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도 7b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드래그한 왼쪽 방향(421d)에 설정된 전송 수신처로서, 전술한 제2 분류 카테고리로서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가 'Mom'(4211), 'Dad'(4212) 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서브 카테고리 'Mom'(4211), 'Dad'(4212)는 해당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421b)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이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예를 들어, 도 7b는 'Dad'를 선택한 경우) 해당 전송수신처를 최종 수신처로 인식하고 관련 기능 버튼으로 'Transferring'(425a) 및 'Cancel'(425b)를 제공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Transferring'(425a) 버튼을 실행하면, 제어부(51)는 최종 수신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네트워크 어드레스(예, 도 4a의 '6212a')를 참조하여 해당 어드레스로 이미지를 전송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Cancel'(425b) 버튼을 실행하면, 제어부(51)는 이미지 전송 단계를 중지하고, 이미지 전송을 위해 일시 중지했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재개(resume)하게 된다.
도 7c의 경우는, 전술한 도 7b의 예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드래그한 왼쪽 방향(421d)에 전송수신처로서 전술한 제2 분류 카테고리로서 서브 카테고리가 계층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즉, 예를 들어, 1차 서브 카테고리가 'family'(4213) 및 'friend'(4214)이고, 해당 1차 서브 카테고리 하위에는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가 더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제어부(51)는 사용자가 1차 서브 카테고리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예, 'friend'(4214)), 상기 1차 서브 카테고리 하위의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 (예, 'Bob'(4214a), 'Alice'(4214b))를 더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최하위 서브 카테고리중 어느 하나가 최종 수신처로 선택되고(예, 'Alice'(4214b)), 'Transferring'(425a) 버튼을 실행하면, 해당 최종 수신처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네트워크 어드레스(예, 도 4b의 '6222a')를 참조하여 해당 어드레스로 이미지를 전송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Cancel'(425b) 버튼을 실행하면, 제어부(51)는 이미지 전송 단계를 중지하고, 이미지 전송을 위해 일시 중지했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재개(resume)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41)에 다수의 이미지(411, 412, ..., 41n)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이미지 또는 복수의 이미지 또는 디스플레이된 전체 이미지를 선택한 후 이를 전술한 도 7a의 방법과 동일하게 원하는 수신처가 설정된 전송 인식존 내로 드래그함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 드래그 이후의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및 최종 전송 수신처 선택에 따른 이미지 전송 동작은 전술한 도 7a ~ 도 7c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도 4a ~ 도 6b에 따라 전송수신처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의 이미지(411)를 전송하고자 하나, 설정된 전송수신처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거나 또는 전송 수신처를 설정한 이전 사용자와 상이한 사용자인 경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현재 사용자는 프레임(42) 각 측면으로 기설정된 전송 수신처의 내용을 알지 못하거나 또는 기억하지 못하므로, 전술한 도 7a와 같이 터치 앤 드래그 동작으로 드래그 방향을 결정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더라도 원하지 않는 수신처가 선택될 가능성이 높아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을 설정하여, 제어부(51)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상기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을 인식하면, 기설정된 모든 전송 수신처 정보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421b, 421b, 423b, 424b)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421b, 421b, 423b, 424b) 전체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전송 수신처 정보를 참고하여, 이중 원하는 전송 수신처 한 곳을 선택하여 (예, 'Alice'(4231b)),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은,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41)상의 이미지(411)를 기준 시간(T2) 이상 터치하는 경우(예, 101a)에, 제어부(51)가 인식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 상기 기준 시간(T2)은, 예를 들어 전술한 도 7a에서의 이미지 전송을 위한 터치 기준 시간(T1)보다 더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51)는 사용자의 이미지 터치 시간(T)이, 'T1 < T < T2' 구간에 존재하면 이미지 전송을 위한 단계로 인식하고, 'T2 < T' 이면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는,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을 이미지 터치 시간으로 결정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42)상에 별도 구비된 기능 버튼(425)의 실행(예, 101b)에 의해 인식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관리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근거하여 전송 수신처 설정 및 이미지 전송이 수행가능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이미지 또는 촬영된 이미지를 장치 내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a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 장치에 해당된다면, 상기 장치의 제어부(51)는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및 이미지 관련 정보를 메모리에 일시저장하고, 이미지의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수신된 이미지의 송신처, 데이터 종류 등을 확인하고, 수신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면 도 10a와 같은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수행되어 진다. 이후, 사용자가 수신된 이미지를 장치내 메모리(58)에 영구 저장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a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스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이미 저장된 이미지의 저장 환경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아래 동작에 따라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0a를 참조하면, 이미 전송 인식존(421c, 422c, 423c, 424c)이 설정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전송 인식존(421c, 422c, 423c, 424c) 이외의 방향(예, '1001')으로 이미지를 드래그하면, 제어부(51)는 이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장치내 메모리(58)에 저장하는 명령으로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51)는 상기 저장 명령을 인식하면, 예를 들어 도 10b와 같이 현재 메모리(58) 내에 관리중인 저장 폴더들(1011, 1012, 1013)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특정의 폴더를 선택하면 해당 선택된 폴더내에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메모리(58)를 제어한다. 관련하여, 또 다른 예로서, 이미지 저장 명령을 사용자에 의한 특정 드래그 방향(예, '1001')으로 인식하지 않고, 프레임(42) 상의 기능 버튼(425)중 어느 하나를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기재한 실시예는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뿐, 발명 내용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들을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로 본 발명이 실현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1 :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42 : 프레임
421b, 422b, 423b, 424b :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
425 : 기능 버튼 51 : 제어부 (microprocessor)
52 : 통신수단 53 : 디스플레이부
54 : 터치 모듈 58 : 메모리
55 : 프레임 라이팅부

Claims (21)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이미지(imag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의 터치를 인식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일시 중지하는 단계와,
    터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방향에 설정된 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선택된 수신처로 해당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방향은 상, 하, 좌, 우 4가지 방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4가지 터치 방향에 각각 전송 인식존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수신처로의 전송이 취소되면, 일시 중지된 디스플레이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방향은 최소한 2개 이상이며, 상기 터치 방향에 따라 각각 수신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카테고리를 갖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7.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이미지(imag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의 터치를 인식한 후, 터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터치 방향이 설정된 전송 인식존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미지 저장 명령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현재 설정된 저장 폴더를 디스플레이 제공하고, 선택된 폴더에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관리 방법.
  8.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의 각 측면에 대응하여 이미지 전송 수신처가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의 각 측면 상에는 설정된 전송 수신처를 표시하기 위한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에 사용자 기능 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0. 네트워크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상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모듈과,
    상기 터치 모듈을 통한 사용자 터치(touch)를 인식하면, 터치 방향을 판단하여, 해당 터치 방향에 설정된 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이미지를 선택된 수신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전송 수신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서브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분리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화면은 프레임 상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그래픽 사용자 이미지(GUI)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14.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둘러싸는 프레임 상에 구비된 서브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이미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을 인식하면, 기설정된 모든 전송 수신처 정보를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송 수신처 중 선택된 수신처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은,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이미지를 기준 시간 이상 터치(touch)하는 경우에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신처 디스플레이 명령은, 상기 프레임 상에 별도 구비된 기능 버튼의 실행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전송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00014978A 2010-02-19 2010-02-19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KR10164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978A KR101641965B1 (ko) 2010-02-19 2010-02-19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978A KR101641965B1 (ko) 2010-02-19 2010-02-19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490A KR20110095490A (ko) 2011-08-25
KR101641965B1 true KR101641965B1 (ko) 2016-07-25

Family

ID=4493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978A KR101641965B1 (ko) 2010-02-19 2010-02-19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0216A1 (en) 2014-10-19 2016-04-20 Zoom.Me Sp. z o.o. Digital photo frame
EP3010217A1 (en) 2014-10-19 2016-04-20 Zoom.Me Sp. z o.o. Digital photo frame
KR102233008B1 (ko) * 2019-05-02 2021-03-30 지현종 이미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7108A1 (en) 2004-12-01 2006-06-01 Richard Salisbury Touch screen control
US20080049253A1 (en) 2001-01-19 2008-02-28 Chang William H System and method for data outpu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44B1 (ko) * 2009-06-09 201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전송 방향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컨텐츠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9253A1 (en) 2001-01-19 2008-02-28 Chang William H System and method for data output
US20060117108A1 (en) 2004-12-01 2006-06-01 Richard Salisbury Touch scree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490A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8887049B2 (en) Device, method and timelin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JP6199903B2 (ja) 光源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
CA283509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US20160269671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display apparatus
US20140173455A1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EP2744216B1 (en)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network server
US200802467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digital devices
US20170265286A1 (en) Light Control Apparatus and Light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100414A (ko) 컨텐츠 전송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기기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방법
US9948979B2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28320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9626144B2 (en) Computer system
CN117581191A (zh) 显示设备及多设备投屏同屏显示的控制方法
US1005148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WO2020042921A1 (zh) 屏幕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31451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files.
KR101641965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장치를 활용한 이미지 전송 방법 및 전송 수신처 설정 방법
KR101759935B1 (ko)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WO2023138024A1 (zh) 一种显示设备、分屏显示及分屏应用切换方法
CN113784186B (zh) 终端设备、服务器和通信控制方法
WO2022222724A1 (zh) 一种音频输出通道的切换控制方法及显示设备
CN114286153B (zh) 一种基于蓝牙aoa的窗口调节方法以及显示设备
CN115243085A (zh) 显示设备及设备互联方法
CN114915833A (zh) 一种显示器控制方法及显示设备、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