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806B1 -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806B1
KR101572806B1 KR1020090010604A KR20090010604A KR101572806B1 KR 101572806 B1 KR101572806 B1 KR 101572806B1 KR 1020090010604 A KR1020090010604 A KR 1020090010604A KR 20090010604 A KR20090010604 A KR 20090010604A KR 101572806 B1 KR101572806 B1 KR 10157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natural gas
switching
compressed natural
satis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422A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8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13Switch-over from one fuel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연료 전환과 관련된 대기 모드를 설정하고, 대기 모드에서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연료 전환 조건이 만족할 경우 연료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 겸용 차량에서 연료 전환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배기가스 시험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시 엔진이 멈춰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BI-FUEL, 연료 전환

Description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FUEL OF BI-FUEL VEHICLES}
본 발명은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에서 연료 전환과 관련된 대기 모드를 설정하고, 대기 모드에서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연료 전환 조건이 만족할 경우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연료로서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는 가솔린(Gasoline)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가스 상태이기 때문에 각 실린더의 연료 분배가 균일하며, 배기가스도 가솔린에 비해 상대적으로 깨끗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압축 천연가스를 자동차 연료로서 사용할 때, 그 옥탄가가 높기 때문에 노킹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윤활유의 손실이 적고 워밍업도 빠른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가솔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장점이 있는 압축 천연가스는 택시 및 버스를 포함하는 영업용 자동차의 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한적으로 허가된 차량에 한하여 압축 천연가스와 가솔린을 연료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이 있으며, 이러한 겸용 차량은 모듈별로 구분되는 각 인젝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젝터는 액체와 가스를 사용하기 위한 노즐의 차이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압력에 따른 인젝션 제어가 상이하다.
따라서,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이 압축 천연가스에서 가솔린으로 연료 전환 시, 순간적인 토크(Torque)의 저감 유발 및 연료 공급량 저하에 따른 차량의 에미션(Emission)이 저하, 및 배기가스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에서 연료 전환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배기가스 시험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연료 전환과 관련된 대기 모드를 설정하고, 대기 모드에서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연료 전환 조건이 만족할 경우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이 제공 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의 종류를 확인하고,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압축 천연가스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대기 모드 설정부; 및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가솔린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가솔린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2 조건을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가솔린으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시스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3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연료 전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감지부는, 연료 탱크 상태 및 전환 대상 연료의 구동 관련 부품의 정상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전환 제어부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가솔린으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전환 제어부는, 엔진 스타트 시 냉각수의 설정 온도에서 촉매 온도 증가를 위한 대기 시간 경과 여부, 엔진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의 설정 온도 도달을 위한 대기 시간 경과 여부, 엔진 스타트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 여부, 및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 이하이며, 감 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3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의 종류를 확인하는 전환 대상 연료 확인 단계;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연료 공급 조건 확인 단계;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압축 천연가스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대기 모드 설정 단계;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가솔린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가솔린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2 조건을 만족하며, 상기 시스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3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대기 모드 경과 판단 단계; 및 상기 제 2 조건 및 제 3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각각 전환 대상 연료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연료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공급 조건 확인 단계는, 연료 탱크 상태 및 전환 대상 연료의 구동 관련 부품의 정상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기 모드 경과 판단 단계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기 모드 경과 판단 단계는, 엔진 스타트 시 냉각수의 설정 온도에서 촉매 온도 증가를 위한 대기 시간 경과 여부, 엔진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의 설정 온도 도달을 위한 대기 시간 경과 여부, 엔진 스타트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 여부, 및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3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전환과 관련된 대기 모드를 설정하고, 대기 모드에서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연료 전환 조건이 만족할 경우 연료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 겸용 차량에서 연료 전환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배기가스 시험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시 엔진이 멈춰버리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감지부(100);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대기 모드 설정부(200); 및 시스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연료 전환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차량 감지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의 종류를 확인하고,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감지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가 가솔린이고, 전환 대상 연료가 압축 천연가스로 확인될 경우, 예컨대, 연료 탱크의 충전 여부, 압축 천연가스 구동 관련 부품의 정상 여부, 배터리의 정상 상태 여부(V<6V,V>16V), 셧 오프(Shut-off) 벨브의 정상 여부, 인젝터(Injector) 제어 라인의 정상 여부, 압력 조절기(Pressure regulator)의 정상 여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 가능 상태를 확인한다. 한편, 차량 감지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가 압축 천연가스이고, 전환 대상 연료가 가솔린으로 확인될 경우, 예컨대, 연료 탱크의 충전 여부, 가솔린 구동 관련 부품의 정상 여부, 인젝터(Injector) 제어 라인의 정상 여부, 전자 연료 펌프 릴레이의 정상 여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가솔린의 공급 가능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대기 모드 설정부(200)는 차량 감지부(100)의 감지 동작에 따라,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압축 천연가스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연료 전환을 위한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대기 모드 설정부(200)는 전환 대상 연료가 가솔린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현재 사용중인 연료가 압축 천연가스임에 따라 별도의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다.
상기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가솔린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2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가솔린으로 연료 전환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연료 전환시 충격을 줄이기 위해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Threshold_1)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가솔린으로 연료 전환을 수행한다. 한편,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상기 시스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3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연료 전환을 위한 시스템 대기 모드가 설정되게 되면 일단 차량에 있는 CNG 램프를 간헐적으로 점등시켜 대기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린다. 이와 관련하여,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연료 전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최대 시간(Threshold_2)을 설정하고, 최대 시간을 넘을 경우 연료 변환 요청을 취소하기 위한 설정시간(Waiting Time_1)을 증가시킨다. 더 나아가,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엔진 스타트 시 냉각수의 설정 온도(20~30degC)에서 배기가스 관련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판단하고 촉매 온도 증가를 위한 대기 시간(Threshold_4) 경과 여부, 엔진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의 설정 온도 도달을 위한 대기 시간(Threshold_3) 경과 여부, 엔진 스타트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Delay time after start) 여부, 및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Threshold_1)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3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CNG 램프를 완전히 점등시키고,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화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의 종류를 확인한다(S110-S130). 바람직하게는, 차량 감지부(100)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의 종류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50-S170). 바람직하게는, 차량 감지부(100)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가 가솔린이고, 전환 대상 연료가 압축 천연가스로 확인될 경우, 예컨대, 연료 탱크의 충전 여부, 압축 천연가스 구동 관련 부품의 정상 여부, 배터리의 정상 상태 여부(V<6V,V>16V), 셧 오프(Shut-off) 벨브의 정상 여부, 인젝터(Injector) 제어 라 인의 정상 여부, 압력 조절기(Pressure regulator)의 정상 여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 가능 상태를 확인한다. 한편, 차량 감지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가 압축 천연가스이고, 전환 대상 연료가 가솔린으로 확인될 경우, 예컨대, 연료 탱크의 충전 여부, 가솔린 구동 관련 부품의 정상 여부, 인젝터(Injector) 제어 라인의 정상 여부, 전자 연료 펌프 릴레이의 정상 여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가솔린의 공급 가능 상태를 확인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압축 천연가스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대기 모드 설정부(200)가 차량 감지부(100)의 감지 동작에 따라,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압축 천연가스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연료 전환을 위한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대기 모드 설정부(200)는 전환 대상 연료가 가솔린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현재 사용중인 연료가 압축 천연가스임에 따라 별도의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상기 가솔린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2 조건 및 상기 시스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3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190-S210). 바람직하게는, 연료 전환 제어부(300)가 상기 시스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3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전환을 위한 시스템 대기 모드가 설정되게 되면 일단 차량에 있는 CNG 램프를 간헐적으로 점등시켜 대기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린다(S191). 이와 관련하여,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연료 전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최대 시간(Threshold_2)을 설정하고, 최대 시간을 넘을 경우 연료 변환 요청을 취소하기 위한 설정시간(Waiting Time_1)을 증가시킨다(S192). 더 나아가,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엔진 스타트 시 냉각수의 설정 온도(20~30degC)에서 배기가스 관련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판단하고 촉매 온도 증가를 위한 대기 시간(Threshold_4)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S193-S195). 그런 다음, 연료 변환 요청을 취소하기 위한 설정시간(Waiting Time_1)이 연료 전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최대 시간(Threshold_2) 미만인지를 확인하고, 엔진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의 설정 온도 도달을 위한 대기 시간(Threshold_3) 경과 여부, 그리고, 엔진 스타트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Delay time after start) 여부, 및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Threshold_1)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만족하는 지 확인한다(S196-S198). 이를 통해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제 2 조건 및 제 3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상기 CNG 램프를 완전히 점등시키고, 반대의 경우 CNG 램프를 소등한다(S199-S200). 한편, 연료 전환 제어부(300)는 연료 전환시 충격을 줄이기 위해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Threshold_1)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S210).
이후, 상기 제 2 조건 및 제 3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각각 전환 대상 연료로 연료 전환을 수행한다(S230-S250). 바람직하게는, 연료 전환 제어부(300)가 상기 제 2 조건 및 제 3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각각의 연료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제 2 조건 및 제 3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연료 전환 요청을 취소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에서 안정적인 연료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연료 전환과 관련된 대기 모드를 설정하고, 대기 모드에서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연료 전환 조건이 만족할 경우 연료 전환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 감지부
200: 대기 모드 설정부
300: 연료 전환 제어부

Claims (8)

  1.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의 종류를 확인하고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현재 사용중인 연료가 가솔린이고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압축 천연가스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대기 모드 설정부; 및
    상기 시스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3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연료 전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전환 제어부는,
    엔진 스타트 시 냉각수의 설정 온도에서 촉매 온도 증가를 위한 대기 시간 경과 여부, 엔진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의 설정 온도 도달을 위한 대기 시간 경과 여부, 엔진 스타트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 여부, 및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3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연료 탱크 상태 및 전환 대상 연료의 구동 관련 부품의 정상 상태를 포함하는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환 제어부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제 2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가솔린으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4. 삭제
  5. 압축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가솔린(Gasoline)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연료 전환 요청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연료의 종류를 확인하는 전환 대상 연료 확인 단계;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연료 공급 조건 확인 단계;
    상기 현재 사용중인 연료가 가솔린이고 상기 전환 대상 연료가 압축 천연가스이며, 상기 전환 대상 연료 공급 가능 여부 판단 결과, 상기 압축 천연가스의 공급이 가능할 경우, 시스템 대기 모드를 설정하는 대기 모드 설정 단계;
    상기 시스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제 3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대기 모드 경과 판단 단계; 및
    제 3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압축 천연가스로 연료 전환을 수행하는 연료 전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모드 경과 판단 단계는,
    엔진 스타트 시 냉각수의 설정 온도에서 촉매 온도 증가를 위한 대기 시간 경과 여부, 엔진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의 설정 온도 도달을 위한 대기 시간 경과 여부, 엔진 스타트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른 대기 시간 경과 여부, 및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상기 제 3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조건 확인 단계는,
    연료 탱크 상태 및 전환 대상 연료의 구동 관련 부품의 정상 상태를 포함하는 제 1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환 대상 연료의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 경과 판단 단계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 이하이며, 감속 상태(Fuel Cut)를 포함하는 제 2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8. 삭제
KR1020090010604A 2009-02-10 2009-02-10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57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604A KR101572806B1 (ko) 2009-02-10 2009-02-10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604A KR101572806B1 (ko) 2009-02-10 2009-02-10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422A KR20100091422A (ko) 2010-08-19
KR101572806B1 true KR101572806B1 (ko) 2015-11-30

Family

ID=4275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604A KR101572806B1 (ko) 2009-02-10 2009-02-10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8905B (zh) * 2011-01-14 2013-04-0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油气两用车燃料转换的同步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463B1 (ko) * 2007-06-20 2008-09-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463B1 (ko) * 2007-06-20 2008-09-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422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60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in a bi-fuel vehicle running on two fuels, I.E. gasoline and LPG
US20110132306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ngine with a Fuel Reformer
US10480382B2 (en) Method for detecting catalyst deterioration of vehicle
JP4131419B2 (ja) ガスエンジンの燃料漏れ検出装置
CN101984234A (zh) 一种甲醇/汽油双燃料发动机系统的控制方法
EP2912293A1 (en) Fuel system protection in a multi-fuel engine
JP5105001B2 (ja) 車両制御装置
JP3787826B2 (ja) ガスエンジンの燃料漏れ検出装置
KR101572806B1 (ko) 압축 천연가스-가솔린 겸용 차량의 연료 전환 시스템 및 그방법
WO2017055299A1 (en) Exhaust gas after treatment system for a dual-fuel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2859150A (zh) 用于内燃机的燃料供给控制装置
KR101557866B1 (ko) 바이-퓨얼 차량의 연료 분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60541A (ja) 車両の燃料補給安全装置
CN105179092A (zh) 一种甲醇、生物柴油、柴油多燃料发动机系统控制方法
EP2108801A1 (en) An electronic control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two fuel systems based on engine conditions
US99453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hange of fuel in bi-fuel vehicle
JP4131418B2 (ja) ガスエンジンの燃料漏れ検出装置
JP4863119B2 (ja) 内燃機関の運転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10671A (ko) 냉간 시동시 연료 전분사 제어 장치 및 방법
JP5983541B2 (ja) 電子制御装置
US9784203B2 (en) Method for limiting engine torque when error occurs in water sensor of fuel filter
CN114370345B (zh) 气体燃料喷射量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存储介质
CN104234846A (zh) 车辆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KR100725698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차단 스위치 상태 검출 방법
KR10106511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 누설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