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237B1 -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237B1
KR101572237B1 KR1020140026675A KR20140026675A KR101572237B1 KR 101572237 B1 KR101572237 B1 KR 101572237B1 KR 1020140026675 A KR1020140026675 A KR 1020140026675A KR 20140026675 A KR20140026675 A KR 20140026675A KR 101572237 B1 KR101572237 B1 KR 101572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ood
weight
preservative
pene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831A (ko
Inventor
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화학
Priority to KR102014002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23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에탄올아민 및 탄산동를 함유하는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소프로필알콜,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의 혼합물인 침투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방부제의 흡수량과침윤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방부효과를 가진 목재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목재방부제의 침투성을 증가시켜 목재방부제의 주입처리시 가압처리가 용이한 목재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Composition of Copper Wood Preservative with Improved Antibiosis and Permeation}
본 발명은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목재에 가압, 주입처리하여 부후 및 흰개미에 대한 저항력 등 방부 효과를 갖도록 하는 방부제 조성물로서, 침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낼 수 있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CA가 산업용목재 처리 외에는 규제된 시기인 2002년 이후에 ACQ방부제(구리-알킬암모니움 화합물)와 CUAZ방부제(구리아졸화합물)는 비산업용 목재 처리에 사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ACQ가 CCA(chromated copper arsenate)의 대체방부제로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아졸(azole) 기술의 우수성을 이용하여 CUAZ방부제(copper azole)가 주거용 목재방부제로서 중요한 입지에 올라섰다.
과거 데크 제작업체에서는 다양한 목재 방부제로 처리된 방부목을 도입 사용했다. 이 중 CUAZ방부제(Copper azole)는 주거용 방부목을 처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부제로 부각되었다. Copper azole은 목재에 흰개미(termaite)와 부후균(decay fungi)에 대한 장기간의 저항성을 가지게 한다.
Copper azole 방부제는 초창기 개발되었던 Type A(CUAZ-1)에서 붕산이 제거된 type B(CUAZ-2)로 발전되었고, 현재는 두 가지 아졸을 사용하는 type C(CUAZ-3)까지 기술이 개발되었다. CUAZ-3는 분산형(micronized 또는 dispersed), 용해형(dissolved) 또는 분산형과 용해형의 혼합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CUAZ-3방부제는 우수한 방부성능(효능)으로, CUAZ-3의 흡수량 기준이 다른 방부제에 비교하여 상당히 낮다. 처리된 목재 안에 방부제 흡수량(chemical retention)은 처리 후 목재 내에 유지되는 방부제의 양으로 정의된다. 흡수량은 미국에서 pcf(pound per cubic foot) 단위(국내에서는 kg/m3)로 계산된다. 방부제별로 사용환경에서 다른 방부제와 흡수량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방부제는 각각 다른 수준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아래의 AWPA(미국목재보존자협회) 기준에 따른 비교를 참조하면, CUAZ-3방부제(CA-C)는 목재보존을 위해 ACQ-2방부제(ACQ-D)에 비해 낮은 흡수량을 필요로 한다. 사용환경 H3(지상부, 지접부)에서 약 3분의 1의 흡수량이 기준으로, 이는 목재 내에 상대적으로 더 적은 화학물질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낮은 흡수량의 요인은 2가지 co-biocides(tebuconazole, propiconazole)의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s) 때문이다. 2가지 아졸을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2가지를 별개로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CUAZ-3방부제의 주 유효성분은 동전에서 파이프까지 매일 접하는 다양한 범위의 금속이며, 효과적인 살균제인 구리이다. 몇 가지 균은 구리에 저항성을 보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co-biocide가 필요하다. 아졸은 구리저항균으로부터 목재를 보호한다.
국내 기준에서도 CUAZ-3의 흡수량 기준은 다른 방부제에 비교하여 상당히 낮다. 처리된 목재 안에 방부제 흡수량(chemical retention)은 처리 후 목재 내에 유지되는 방부제의 양으로 정의된다. 흡수량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은 다른 방부제와 비교해서 우수한 방부성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목재 내에 상대적으로 더 적은 화학물질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방부처리재의 사용 여부는 단순 환경 위해성을 놓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목재 사용 전 과정 동안의 에너지와 물질의 양을 정량화하여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환경 개선의 방안을 모색하는 객관적이며 적극적인 전과정평가(LCA)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목재는 250kg/m3의 탄소로 구성되어 있는 고농도 이산화탄소의 축적체이다. 그러나 목재가 썩거나, 벌레 먹고, 불에 타게 되면 목재 중의 탄소는 다시 공기 중으로 환원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산화탄소의 통조림인 목재가 썩지 않고, 불에 타지 않도록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이 지구온난화 방지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작용을 감안하여 유엔 환경기구에서는 목재의 방부처리 사용을 의무화시켜야 하고, 탄소세 부과와 결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목재자급률이 5%에 불과한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목재를 방부처리하여 탄소를 목재 중에 오랫동안 고정시켜 두는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목재는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건축재료로 목제품을 생산 가공 이용하는데 소비되는 에너지(이산화탄소 배출)는 알루미늄 제품의 1/146, 플라스틱 제품의 1/44, 철골의 1/14, 석고보드의 1/4에 불과하므로, 우리나라와 같이 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철강, 플라스틱, 알루미늄이나 시멘트의 소비를 억제하고 목재를 더욱 많이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사용하는 목재는 반드시 방부처리를 하여 목재의 수명을 연장시켜야 한다.
우리 국민 1인당의 목재자원 보유량은 세계 평균의 1/18에 불과하며 목재 자급률도 펄프용재까지 포함한다면 6%에 불구한데 우리나라 인구 1,000인당 보존처리 목재사용량은 1.1m3로, 목재자원이 풍부하고 환경보존 선진국인 뉴질랜드의 1/260, 미국 및 스웨덴의 1/50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도 환경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당연히 방부처리 목재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목재에 장기간 내구력을 갖게 하는 방부처리제를 사용해야 한다.
야외 사용 목재의 가장 무서운 해충은 흰개미이다. 최근 국내에서 방부처리재조차도 흰개미의 피해를 입은 경우가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조역소재를 포함한 모든 목재류는 방부처리에 대한 각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부후 및 흰개미 피해재는 충격강도에 매우 약하다. 지진의 피해는 순간적이기 때문에 충격강도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특히 어린이 놀이시설에서도 강도유지의 필요성이 있는 재료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부재의 경우 강도의 손실은 안전사고와 직결되기 때문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목재의 내구 연한은 수종에 따라, 사용용도에 따라 야외에서 사용될 때와 실내에서 사용될 때 차이가 있다. 땅에 일부분이 묻혀 있는 소나무 말목은 보통 5~8년 정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방부처리를 하면 15~100년까지도 사용할 수 있다. 목재는 방부처리에 의해 사용 수명을 3~8배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이를 목재 사용량으로 환산하면 2/3 이상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실내에서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방부제 IPBC, IPBCP 및 BB를 제외하고, 적정한 약제 침윤도와 흡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가압처리 방법을 적용하지 않으면 안 되도록 목재의 방부· 방충처리 기준에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압주입 처리된 방부처리 목재는 부후균이나 흰개미 등의 열화생물에 대한 저항성이 있다.
현재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크롬 · 구리 비소화합물계(CCA) 목재방부제와 크레오소트가 있다.
일부에서는 크로오소트유 처리 폐목침목을 이용하여 주거시설에 사용하는 곳이 있으나 이는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크레오소토는 철도침목, 전신주, 교량, 말뚝 등과 같은 산업 용도에 사용된다. 크레오소트 처리한 목재는 암갈색이며 강한 냄새가 나며, 페인트, 스테인류 그리고 마감재를 처리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수용성 방부제는 물을 용매로 하며 가압주입 처리 후 목재 내의 물은 건조에 의해 외부로 날아가고 방부제의 유효성분이 목재세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수용성 방부제는 산화금속염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부제에는 크롬 · 구리 비소화합물계(CCA) 목재방부제, 산화크롬 · 구리화합물계(ACC) 목재방부제, 크롬 · 플루오르화 구리 아연화합물계(CCFZ) 목재방부제, 크롬 · 구리 붕소화합물계(CCB) 목재방부제, 구리 알킬암모늄화합물계(ACQ) 목재방부제가 있으며, 금속염을 갖지 않는 알킬암모늄화합물계(AAC) 목재방부제도 있다. 지금까지 이들 수용성 방부제 중 CCA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세계 시장의 약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수용성 방부제는 방부제의 유효성분이 목재와 반응하거나 목재 내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물에 녹지 않는 성분으로 고정돼 용탈에 대한 저항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방부처리 후 양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데크와 울타리 같은 주거시설에 보통 사용된다. 이 약제는 활엽수재보다 침엽수재에 주로 사용된다. 수용성 방부제는 부식을 쉽게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CCA처리재는 냄새가 나지 않고, 처리시 증기압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처리재의 표면에 도장이 쉽다. 또 목재 내에 방부제의 유효성분이 목재조직과 결합하고 물에 불용해성으로 바뀌기 때문에 물이나 토양과 접하는 곳에 사용해도 용탈이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약제성분 중에 비소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OECD를 중심으로 그 사용을 신중하게 검토중에 있으며, 미국 환경보건성(EPA)에서는 2004년부터 CCA처리재를 산업용 방부처리에만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을 발표하였다. 미국과 일본 등에서는 CCA의 대체 방부제로 ACQ와 CUAZ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고시 "목재의 방부·방충처리 기준"에서, 다음과 같은 용어의 정의를 내리고 있다.
"약액(藥液)"이라 함은 주입처리에 사용하는 유용성, 수용성, 유화성 목재방부제로 침윤도와 흡수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농도(질량백분율로서 표시)이상의 용액으로 한 것을 말한다.
"흡습성(吸濕性)"이라 함은 목재방부제로 처리된 목재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말한다.
"흡수량(吸收量, kg/㎥)" 이라 함은 처리목재의 단위 재적 당 함유된 방부제의 유효성분량을 말한다.
"침투성(浸透性)"이라 함은 목재방부제가 목재에 침투하는 성능을 말한다.
"침윤도(浸潤度)" 라 함은 방부제의 목재 내 침투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험편의 단면적에 대한 정색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위와 같이 목재방부제는 그 효과의 발휘를 위하여 사용시 일정 기준 이상의 침윤도과 흡수량을 요구하고 있으며, 방부 효과의 발휘가 잘 되게 하기 위하여 기준치 이상의 우수한 침윤도와 흡수량의 범위를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44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목재방부제의 흡수량과 침윤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방부효과의 목재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재방부제의 침투성을 증가시켜 목재방부제의 주입처리시 가압처리가 용이한 목재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모노에탄올아민 및 탄산동를 함유하는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소프로필알콜,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의 혼합물인 침투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구성성분의 함유량은 방부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모노에탄올아민 60 ~ 70중량%, 탄산동 20 ~ 30중량%, 침투보조제 8 ~ 12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투보조제의 구성성분의 함유량은 전체 침투보조제를 기준으로, 이소프로필알콜 7 ~ 13중량%,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15 ~ 25중량%, 물 25 ~ 35중량% 및 옥토시놀 35 ~ 4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조성물을 100중량부로 하여 사이프로코나졸 10 ~ 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조성물을 100중량부로 하여 디알킬디메틸암모늄 0.01 ~ 0.4 중량부 및 NMP 2 ~ 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방부제의 흡수량과 침윤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방부효과를 가진 목재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목재방부제의 침투성을 증가시켜 목재방부제의 주입처리시 가압처리가 용이한 목재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노에탄올아민 및 탄산동를 함유하는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소프로필알콜,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의 혼합물인 침투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목재방부란 목재에 수분, 양분 등 목재부후균의 생육에 필요한 조건을 차단해 목재가 부후되는 것을 막아 사용연한을 연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방부처리를 하지 않은 목재에 비하여 방부처리를 한 목재는 사용기한을 3 ~ 8배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방부제 조성물의 방부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목재방부제가 목재 깊숙히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수치화하여 흡수량 및 침윤도의 정도로 나타내며, 규격에 맞추기 위한 일정수준 이상의 흡수량 및 침윤도를 요구한다.
또한 방부제의 투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물리적인 가공인 인사이징 가공을 행하기도 하는데, 이는 방부제를 깊숙히 주입하거나 균질한 방부제의 침윤층을 얻을 목적으로 하여 약재주입전 목재표면을 칼날이나 바늘로 자상하는 가공법이다. 인사이징은 방부약제의 침투율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건조율의 향상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물리적인 공정 이외에 목재용 방부제의 흡수량 및 침윤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침투보조제를 첨가하여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의 우수한 침투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은 모노에탄올아민, 탄산동, 용매를 함유하는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로서, 여기에 침투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목재내부로 침투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상기 침투보조제는 이소프로필알콜,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을 구성성분으로 하여,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매는 물, NMP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의 구성성분의 함유량은 방부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모노에탄올아민 60 ~ 70중량%, 탄산동 20 ~ 30중량%, 침투보조제 8 ~ 1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침투보조제의 구성성분의 함유량은 전체 침투보조제를 기준으로, 이소프로필알콜 7 ~ 13중량%,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15 ~ 25중량%, 물 25 ~ 35중량% 및 옥토시놀 35 ~ 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프로필알콜은 침투보조제에서 용매로서 사용되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점도와 흐름성 등에서 원하는 물성이 구현되지 않는다.
상기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과 옥토시놀의 혼합물에 의하여 침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만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옥토시놀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조성물의 침투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같은 혼합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침투보조제를 목재용 방부제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방부제 조성물의 흡수량 및 침윤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의 함유량은 15 ~ 25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옥토시놀의 함유량은 35 ~ 45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인 침윤도 및 흡수량에서 만족할 만한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방부제 조성물은 방부제 조성물을 100중량부로 하여 사이프로코나졸 10 ~ 1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방부제 조성물을 100중량부로 하여 디알킬디메틸암모늄 0.01 ~ 0.4 중량부 및 NMP 2 ~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프로코나졸을 포함하는 방부제 조성물은 구리 · 아졸화합물계 방부제 중 CUAZ-2로서 성능이 우수하여 소량의 약제를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방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포함하는 방부제 조성물은 구리 · 알킬암모늄화합물계 방부제 중 ACQ-2로서 암모니아수를 용매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암모니아의 세포벽 팽윤 효과 때문에 난주입수종의 처리에서도 개선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ACQ-2 방부제 조성물(H-2)
탄산동을 모노에탄올아민에 녹인 후 열을 가하여 이온화시킨다. 이온화가 완료된 후 디알킬디메틸암모늄와 함께 물에 용해시키고, 침투보조제로서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의 혼합물을 첨가, 혼합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구성성분의 함량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비교예 1]
상기 침투보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침투보조제를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및 물의 혼합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탄산동 MEA DDAC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옥토시놀
실시예 1 5.99 16 3 972.61 0.24 0.48 0.72 0.96
비교예 1 5.99 16 3 975.01 0 0 0 0
비교예 2 5.99 16 3 973.57 0.24 0.48 0.72 0
* 단위: 중량 1,000kg 기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약제의 국립산립과학원 고시 방부·방충처리 기준에 의한 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법에 따라서 H-2등급에 준하는 침윤도 및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 분석표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 료 명 침윤도(%) 흡수량(kg/) 합 계
구리화합물 DDAC
실시예 1 1-1 98% 1.3 0.6 1.9
1-2 99% 1.3 0.6 1.9
1-3 99% 1.4 0.7 2.1
비교예1 1-1 81% 0.9 0.4 1.3
1-2 80% 0.8 0.5 1.3
1-3 80% 0.8 0.6 1.4
비교예2 2-1 80% 0.8 0.5 1.4
2-2 80% 0.9 0.4 1.3
2-3 82% 0.8 0.5 1.3
ACQ-2 :흡수량 기준표 H-2 : 1.3kg/이상 / 침윤도 80%이상
[실시예 2] ACQ-2 방부제 조성물(H-3)
탄산동을 모노에탄올아민에 녹인 후 열을 가하여 이온화시킨다. 이온화가 완료된 후 디알킬디메틸암모늄와 함께 물에 용해시키고, 침투보조제로서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의 혼합물을 첨가, 혼합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구성성분의 함량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비교예 3]
상기 침투보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침투보조제를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및 물의 혼합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탄산동 MEA DDAC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옥토시놀
실시예 2 11.98 32 6 945.22 0.48 0.96 1.44 1.92
비교예 3 11.98 32 6 950.02 0 0 0 0
비교예 4 11.98 32 6 947.14 0.48 0.96 1.44 0
* 단위: 중량 1,000kg 기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약제의 국립산립과학원 고시 방부·방충처리 기준에 의한 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법에 따라서 H-3등급에 준하는 침윤도 및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 분석표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 료 명 침윤도(%) 흡수량(kg/) 합 계
구리화합물 DDAC
실시예 2 2-1 95% 2.7 1.2 3.9
2-2 97% 2.9 1.1 4.0
2-3 98% 2.7 1.1 3.8
비교예 3 3-1 80% 1.8 0.8 2.6
3-2 82% 1.7 1.0 2.7
3-3 81% 1.8 0.8 2.6
비교예4 4-1 80% 1.7 0.9 2.6
4-2 80% 1.7 0.9 2.6
4-3 82% 1.7 0.8 2.5
ACQ-2 :흡수량 기준표 H-3 : 2.6kg/이상 / 침윤도 80%이상
[실시예 3] CUAZQ-2 방부제 조성물(H-2)
탄산동을 모노에탄올아민에 녹인 후 열을 가하여 이온화시킨다. 이온화가 완료된 후 사이프로코나졸과 함께 물에 용해시키고, 침투보조제로서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의 혼합물을 첨가, 혼합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구성성분의 함량은 다음의 표 5와 같다.
[비교예 5]
상기 침투보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침투보조제를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및 물의 혼합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탄산동 MEA 사이프로코나졸 NMP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옥토시놀
실시예 3 3.58 8.70 0.032 985.948 0.44 0.13 0.26 0.39 0.52
비교예 5 3.58 8.70 0.032 987.248 0.44 0 0 0 0
비교예 6 3.58 8.70 0.032 986.468 0.44 0.13 0.26 0.39 0
* 단위: 중량 1,000kg 기준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약제의 국립산립과학원 고시 방부·방충처리 기준에 의한 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법에 따라서 H-2등급에 준하는 침윤도 및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 분석표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시 료 명 침윤도(%) 흡수량(kg/) 합 계
구리화합물 Cyproconazole
실시예 3 3-1 97% 0.910 0.024 0.934
3-2 98% 0.812 0.032 0.844
3-3 97% 0.841 0.023 0.864
비교예 5 5-1 80% 0.492 0.015 0.507
5-2 81% 0.512 0.017 0.529
5-3 80% 0.481 0.015 0.496
비교예 6 6-1 79% 0.491 0.019 0.510
6-2 80% 0.514 0.013 0.527
6-3 80% 0.480 0.011 0.491
CUAZ-2 :흡수량 기준표 H-2 : 0.5kg/이상 / 침윤도 80%이상
[실시예 4] CUAZQ-2 방부제 조성물(H-3)
탄산동을 모노에탄올아민에 녹인 후 열을 가하여 이온화시킨다. 이온화가 완료된 후 사이프로코나졸과 함께 물에 용해시키고, 침투보조제로서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의 혼합물을 첨가, 혼합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구성성분의 함량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비교예 7]
상기 침투보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침투보조제를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및 물의 혼합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방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탄산동 MEA 사이프로코나졸 NMP 아이소프로판올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옥토시놀
실시예 4 7.19 17.39 0.064 971.876 0.88 0.26 0.52 0.78 1.04
비교예 7 7.19 17.39 0.064 974.476 0.88 0 0 0 0
비교예 8 7.19 17.39 0.064 972.916 0.88 0.26 0.52 0.78 0
* 단위: 중량 1,000kg 기준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약제의 국립산립과학원 고시 방부·방충처리 기준에 의한 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법에 따라서 H-3등급에 준하는 침윤도 및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 분석표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시 료 명 침윤도(%) 흡수량(kg/) 합 계
구리화합물 Cyproconazole
실시예 4 4-1 96% 1.482 0.042 1.524
4-2 95% 1.523 0.051 1.574
4-3 97% 1.502 0.048 1.550
비교예 7 7-1 80% 0.982 0.030 1.012
7-2 81% 0.994 0.028 1.022
7-3 81% 0.957 0.024 0.981
비교예 8 8-1 80% 0.980 0.028 1.008
8-2 81% 0.992 0.027 1.019
8-3 79% 0.953 0.026 0.979
CUAZ-2 :흡수량 기준표 H-3 : 1.0kg/이상 / 침윤도 80%이상
위의 실험 데이터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투보조제를 포함한 방부제 조성물은 비교예들의 방부제 조성물에 비하여 침윤도 및 흡수량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Claims (5)

  1. 모노에탄올아민 및 탄산동를 함유하는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소프로필알콜,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물 및 옥토시놀의 혼합물인 침투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구성성분의 함유량은 방부제 조성물을 기준으로,
    모노에탄올아민 60 ~ 70중량%, 탄산동 20 ~ 30중량%, 침투보조제 8 ~ 12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보조제의 구성성분의 함유량은 전체 침투보조제를 기준으로,
    이소프로필알콜 7 ~ 13중량%, 숙신산설포- 1,4-비스(2-에틸헥실) 에스터나트륨염 15 ~ 25중량%, 물 25 ~ 35중량% 및 옥토시놀 35 ~ 4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조성물을 100중량부로 하여 사이프로코나졸 10 ~ 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조성물을 100중량부로 하여 디알킬디메틸암모늄 0.01 ~ 0.4 중량부 및 NMP 2 ~ 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KR1020140026675A 2014-03-06 2014-03-06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KR101572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75A KR101572237B1 (ko) 2014-03-06 2014-03-06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75A KR101572237B1 (ko) 2014-03-06 2014-03-06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31A KR20150104831A (ko) 2015-09-16
KR101572237B1 true KR101572237B1 (ko) 2015-11-30

Family

ID=5424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675A KR101572237B1 (ko) 2014-03-06 2014-03-06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434B1 (ko) * 2020-12-18 2021-05-21 (주) 서일특수목재 목재 보존용 조성물
KR102260276B1 (ko) * 2021-01-19 2021-06-03 (주)서일특수목재 목재 보존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21B1 (ko) 2008-11-26 2009-06-25 주식회사 에코웰 목재 보존제 조성물
KR101110669B1 (ko) 2003-04-09 2012-02-17 오스모스 인코포레이티드 미세화된 목재 방부제 제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669B1 (ko) 2003-04-09 2012-02-17 오스모스 인코포레이티드 미세화된 목재 방부제 제형
KR100904721B1 (ko) 2008-11-26 2009-06-25 주식회사 에코웰 목재 보존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31A (ko)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rell Protection of wood-based materials
AU2009220030B2 (en) Micronized Wood Preservative Formulations
Walker et al. Wood preservation
US7959723B2 (en) Use of biocide compositions for wood preservation
ZA200508085B (en) Micronized wood preservative formulations
CN102990743A (zh) 一种木材防腐剂
KR101572237B1 (ko) 항균성 및 침투성이 향상된 목재용 구리화합물 방부제 조성물
US20080131666A1 (en) Penetration improvement of copper amine solutions into dried wood by addition of carbon dioxide
CN112277115A (zh) 一种含疏水剂的木竹材防腐剂及其制备应用方法
Tascioglu et al. Biological Decay and Termite Resistance of Post-Treated Wood-Based Composites under Protected Above-Ground Conditions: A Preliminary Study after 36 Months of Exposure.
Liu et al. Leachability of ACQ-D after three different preservative treatments
CN104972533A (zh) 一种铜三唑木材防腐剂及其制造方法
Schultz et al. Recent patents and developments in biocidal wood protection systems for exterior applications
JP5150202B2 (ja) 防蟻組成物、防蟻材料及び防蟻方法
KR20090035800A (ko) 목재 보존제
PL208336B1 (pl) Sposób powierzchniowego i/lub wgłębnego zabezpieczania drewna, w szczególności dla ochrony przed grzybami, z wykorzystaniem hydrofobowych azotanowych (V) cieczy jonowych
JPS5837881B2 (ja) 木材の防腐処理方法
EP2700310B1 (en) Preservatives for protection against fungi and algae and methods of wood protection against fungi and algae using those preservatives
CN102990738A (zh) 一种木材防腐方法
Freeman et al. Wood preservative systems containing copper and borates: efficacy and synergy
JPS5925308A (ja) 木質材料処理方法
Mankowski et al. Incising and site effects on long-term durability of pressure-treated refractory wood species
FI128496B (fi) Menetelmä puukappaleen käsittelemiseksi
US20050037221A1 (en) Penetration improvement of copper amine solutions into dried wood by addition of carbon dioxide
Mankowski et al. PRESERVATIVE TREATMENT OPTIONS AND SPECIF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