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603B1 -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603B1
KR101570603B1 KR1020140056986A KR20140056986A KR101570603B1 KR 101570603 B1 KR101570603 B1 KR 101570603B1 KR 1020140056986 A KR1020140056986 A KR 1020140056986A KR 20140056986 A KR20140056986 A KR 20140056986A KR 101570603 B1 KR101570603 B1 KR 10157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vehicle terminal
interfacing
vehicl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주) 비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앤디 filed Critical (주) 비앤디
Priority to KR102014005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은, 적어도 차량이 점유하는 범위를, 커버리지로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 됨에 따라,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SMART DEVICE AND TERMINAL FOR VEHICLES}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연결(Connectivity) 방식을 구현하여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하고, 공용 인터페이스(Common interface)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을 정의하여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 함으로써,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 자유로운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 단말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지도 안내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과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술 개발과 더불어, 지도 데이터의 정확도가 높아지면서 그 성능이 향상되어 많은 운전자들이 내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충돌 전후의 사고를 기록하여 사고 발생 시 정확 파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용 블랙박스(Event Data Recorder: EDR)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차량 내 장착이 점차 의무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 밖에도, 차량 내에 TV 시청을 위한 DMB 단말기, 고속도로 통행료 과금을 위한 하이패스 단말기 등 여러 종류의 차량 단말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 단말이 보급화가 진행 됨에 따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시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차량 단말과 연동하여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차량 단말은 제조 특성상 스마트 기기에서의 다양한 연결 방식을 지원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서의 연결 방식에 관한 급격한 기술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에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원하는 연결 방식의 상이함에 관계 없이,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 연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연결 방식을 구현하여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하고,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을 정의하여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 함으로써,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 자유로운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하여 스마트 기기에서의 연결 방식의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응 함으로써, 차량 단말에서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이 지원되지 않더라도, 차량 단말과 인터페이싱이 재설정된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은, 적어도 차량이 점유하는 범위를, 커버리지로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 됨에 따라,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는, 적어도 차량이 점유하는 범위를, 커버리지로 할당하는 커버리지 할당부, 상기 할당된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싱 설정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 됨에 따라,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연결 방식을 구현하여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하고,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을 정의하여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 함으로써,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 자유로운 연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하여 스마트 기기에서의 연결 방식의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응 함으로써, 차량 단말에서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이 지원되지 않더라도, 차량 단말과 인터페이싱이 재설정된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이 변경 됨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려는 사용자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기존에 출시된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여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 연동을 위한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차량 단말 및 스마트 기기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경우,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스마트 기기를 결정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차량 단말 및 스마트 기기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는, 차량(101) 내부에 탈부착 가능한 커넥트 모듈(connect module)(100)로서 구현 가능하다.
커넥트 모듈(100)은 차량(101)의 내부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장치, 차량용 블랙박스, DMB 단말기 등과 같은 차량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트 모듈(100)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케이블을 통해 차량 단말(120)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트 모듈(100)은 상기 케이블에 의한 접촉에 연동되어, 공용 인터페이스(common interface)(130) 기반의,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을 적어도 포함하여 차량 단말(120)과의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커넥트 모듈(100)은 컴포넌트 비디오(component video),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 등을 이용한 비디오 채널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120)과의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모듈(100)은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HDMI 등을 이용한 오디오 채널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120)과의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모듈(100)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I2C, USB 등을 이용한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120)과의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커넥트 모듈(100)은 상기 채널의 정의에 따라 차량 단말(120)과 연결되어, 공용 인터페이스(130)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커넥트 모듈(100)은 차량 단말(120)에 대한 화면 터치, 키버튼(예, 전원 온/오프키) 푸쉬, 사용자의 음성이나, 사용자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가 발생 함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에 관한 입력 정보를, 공용 인터페이스(130)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12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모듈(100)은 차량 식별번호, 차량운전자 정보, 차량 주행 여부, 차량 현위치 등에 관한 차량 정보를 공용 인터페이스(130)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12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모듈(100)은 인터페이싱이 설정되는 스마트 기기(11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비디오/오디오)를, 공용 인터페이스(130)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120)로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넥트 모듈(100)은 상기 스마트 기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주소록, 음성/영상 통화, 메시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관한 데이터를, 공용 인터페이스(130)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120)로 출력할 수 있다.
커넥트 모듈(100)은 적어도 차량(101)이 점유하는 범위를 커버리지로 할당하고, 할당된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110)를 대상으로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트 모듈(100)은 차량(101) 내부로 진입하여 인터페이싱 요청을 발생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피시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110)에서 지원하는 연결 방식을 수집하고, 수집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스마트 기기(110)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커넥트 모듈(100)은 HDMI,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슬림 포트(Slimport), USB,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110)와 유무선 연결하고, 스마트 기기(110)에서 지원되는 예를 들면, HDMI, 미러링크(MirrorLink), 미라캐스트(Miracast), GPM(Google Projected Mode), 카 플레이(Car Play) 등과 같은 연결 방식에 따라, 스마트 기기(110)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커넥트 모듈(100)은 차량 단말(120)로부터 입력된 상기 입력 정보, 상기 차량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1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모듈(100)은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로 분리하고, 상기 정의된 비디오 채널과 오디오 채널을 통해, 분리된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 각각을 차량 단말(1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트 모듈(100)은 스마트 기기(110)에서 지원되는 연결 방식을 구현 함으로써, 차량 단말(120)과 스마트 기기(110)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커넥트 모듈(100)은 상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110)에서 연결 방식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스마트 기기(110)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트 모듈(100)과 스마트 기기(110) 간에 미러링크라는 연결 방식에 기초한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후, 스마트 기기(110)에서 연결 방식이 카 플레이(Car Play)로 변경될 경우, 커넥트 모듈(100)은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상응하여 스마트 기기(110)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 함으로써, 차량 단말(120)에 대한 변경 없이, 차량 단말(120)과 스마트 기기(110) 간의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커버리지 할당부(210), 인터페이싱 설정부(220) 및 통신 수행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채널 정의부(24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커버리지 할당부(210)는 적어도 차량이 점유하는 범위를, 커버리지로 할당한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할당부(210)는 차량의 운전석, 보조석, 또는 뒷좌석을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을 커버리지로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커버리지 할당부(210)는 차량의 도어(door)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10cm)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을 커버리지로 할당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상기 할당된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인터페이싱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상기 커버리지(일례로, 차량 내부)로 진입하여 인터페이싱 요청을 발생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시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연결 방식(일례로, HDMI, 미러링크, 미라캐스트, GPM, 카 플레이 등)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무선 인터페이싱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사이에 정보를 무선으로 교환하는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되는 미러링크, 미라캐스트, GPM, 카 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연결 방식에 기초한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USB 케이블(또는 HDMI 케이블)에 의한 접촉에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유선 인터페이싱 요청에 따라, 정보를 상기 USB 케이블(또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교환하는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와 연관된 제어 서버로부터 사전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상기 커버리지로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커버리지로 할당된 차량 내부에서 스마트 폰 A, 스마트 폰 B와 태블릿 피시와 같이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식별될 경우, 미러링크라는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가장 최근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스마트 폰 A와의 인터페이싱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에 관한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에 따라 식별되는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커버리지로 할당된 차량 내부에서 스마트 폰 A, 스마트 폰 B와 태블릿 피시와 같이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식별될 경우, 복수의 스마트 기기에 관한 리스트를, 각각의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되는 연결 방식을 포함하여 작성하고, 작성된 리스트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거나, 사전에 지정된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스마트 폰 A와의 인터페이싱을, 선택된 연결 방식 '미러링크'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통신 수행부(230)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 됨에 따라,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HDMI, USB 등과 같은 케이블을 통해 차량 단말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채널 정의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정의부(240)는 상기 케이블에 의한 접촉에 연동되어,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을 적어도 포함하여 상기 차량 단말과의 채널을 정의하고, 상기 채널의 정의에 따라,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차량 단말과 연결한다.
일례로, 채널 정의부(240)는 컴포넌트 비디오, LVDS, DVI, HDMI 등을 이용한 비디오 채널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과의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정의부(240)는 S/PDIF, I2S, HDMI 등을 이용한 오디오 채널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과의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정의부(240)는 UART, I2C, USB 등을 이용한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과의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통신 수행부(230)는 상기 채널의 정의에 따라 차량 단말과 연결되어,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수행부(230)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수행부(230)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주소록, 음성/영상 통화, 메시지, SNS에 관한 데이터를,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수행부(230)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 각각을, 정의된 비디오 채널과 오디오 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수행부(230)는 화면 터치, 키버튼 푸쉬, 음성 및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통신 수행부(230)는 차량 단말에 대한 화면 터치, 키버튼(예, 전원 온/오프키) 푸쉬, 사용자의 음성이나, 사용자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가 발생 함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에 관한 입력 정보를,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수행부(230)는 차량 식별번호, 차량운전자 정보, 차량 주행 여부, 차량 현위치 등에 관한 차량 정보를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수행부(230)는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되는 연결 방식을 구현 함으로써,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수행부(230)는 제1 스마트 기기와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접속되는 제2 스마트 기기가 상기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스마트 기기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 단말과 상기 제2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수행부(230)는 스마트 폰 A와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폰 A와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에 의해 접속된 태블릿 피시가, 상기 커버리지로 설정된 차량 내부에 진입할 경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폰 A를 경유하여 차량 단말과 상기 태블릿 피시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상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링크라는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되어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이 카 플레이(Car Play)로 변경될 경우,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상응하여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연결 방식의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차량 단말에서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이 끊김 없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싱 설정부(220)는 차량 단말에 대한 변경 없이,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의 호환성을 증대시켜, 기존에 출시된 차량 단말과 새롭게 출시되는 스마트 기기 간의 연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 연동을 위한 개발 비용과 개발 기간을 축소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커넥트 모듈(300)로 구현될 수 있다.
커넥트 모듈(300)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장치, 차량용 블랙박스, DMB 단말기 등과 같은 차량 단말(320)과 HDMI, USB 등과 같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모듈(300)은 커버리지로 할당된 차량 내부로 진입하여 인터페이싱 요청을 발생하는 스마트 기기(310)에서 지원하는 연결 방식(330)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310)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모듈(300)은 미러링크(331)라는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스마트 기기(310)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되어 차량 단말(320)과 스마트 기기(310)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스마트 기기(310)에서 연결 방식이 카 플레이(Car Play)(332)로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상응하여 스마트 기기(310)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트 모듈(300)은 차량 단말(320)에 대한 변경 없이, 차량 단말(320)과 스마트 기기(310) 간의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경우,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스마트 기기를 결정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커넥트 모듈(400)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ⅰ)을 참조하면, 커넥트 모듈(400)은 차량(401)에 장착된 차량 단말(402)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트 모듈(400)은 커버리지로 할당된 차량(401)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403, 404, 405)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스마트 폰 A(403)와의 인터페이싱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커넥트 모듈(400)은 접속 이력으로부터 확인한 스마트 폰 A(403)에서 사용된 연결 방식 '미러 링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싱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4의 (ⅱ)를 참조하면, 커넥트 모듈(400)은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403, 404, 405)에 관한 리스트(406)를, 각각의 스마트 기기(403, 404, 405)에서 지원되는 연결 방식을 포함하여 작성하고, 작성된 리스트(406)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거나, 사전에 지정된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커넥트 모듈(400)은 상기 리스트(406)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스마트 폰 A(403)와의 인터페이싱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결 방식 '미러링크'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은 상술한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적어도 차량이 점유하는 범위를, 커버리지로 할당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차량의 운전석, 보조석, 또는 뒷좌석을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을 커버리지로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차량의 도어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10cm) 이내에 해당하는 부분을 커버리지로 할당할 수도 있다.
단계(520)에서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상기 할당된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인터페이싱을 설정한다.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상기 커버리지로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에 관한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에 따라 식별되는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530)에서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 됨에 따라,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주소록, 음성/영상 통화, 메시지, SNS에 관한 데이터를,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 각각을, 정의된 비디오 채널과 오디오 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차량 단말에 대한 화면 터치, 키버튼(예, 전원 온/오프키) 푸쉬, 사용자의 음성이나, 사용자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가 발생 함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에 관한 입력 정보를,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차량 식별번호, 차량운전자 정보, 차량 주행 여부, 차량 현위치 등에 관한 차량 정보를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차량 단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되는 연결 방식을 구현 함으로써,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상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링크라는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되어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연결 방식이 카 플레이(Car Play)로 변경될 경우,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200)는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상응하여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서의 연결 방식의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차량 단말에서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이 끊김 없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단말에 대한 변경 없이,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의 호환성을 증대시켜, 기존에 출시된 차량 단말과 새롭게 출시되는 스마트 기기 간의 연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차량 단말과 스마트 기기 간 연동을 위한 개발 비용과 개발 기간을 축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210: 커버리지 할당부
220: 인터페이싱 설정부
230: 통신 수행부
240: 채널 정의부

Claims (15)

  1. 차량이 점유하는 범위를, 커버리지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커버리지로 진입하여 인터페이싱 요청을 발생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연결 방식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 됨에 따라,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차량 단말에서 지원되지 않는 연결 방식으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와는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하되,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이 상기 차량 단말에서 지원되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차량 단말과 상기 인터페이싱이 재설정된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로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로 복수의 스마트 기기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기기에 관한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에 따라 식별되는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마트 기기와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접속되는 제2 스마트 기기가 상기 커버리지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스마트 기기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 단말과 상기 제2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무선 인터페이싱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사이에 정보를 무선으로 교환하는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USB 케이블에 의한 접촉에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유선 인터페이싱 요청에 따라, 정보를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교환하는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 또는
    화면 터치, 키버튼 푸쉬, 음성 및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 각각을, 정의된 비디오 채널과 오디오 채널을 통해, 상기 차량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에 의한 접촉에 연동되어,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을 적어도 포함하여 상기 차량 단말과의 채널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의 정의에 따라, 공용 인터페이스(Common interface)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차량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11. 차량이 점유하는 범위를, 커버리지로 할당하는 커버리지 할당부;
    상기 커버리지로 진입하여 인터페이싱 요청을 발생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지원하는 연결 방식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싱 설정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이 설정 됨에 따라, 연결되고 있는 차량 단말과 상기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수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인터페이싱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에서, 상기 차량 단말에서 지원되지 않는 연결 방식으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싱 설정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는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싱을 재설정하고,
    상기 통신 수행부는,
    상기 변경된 연결 방식이 상기 차량 단말에서 지원되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차량 단말과 상기 인터페이싱이 재설정된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행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로 출력하거나, 또는 화면 터치, 키버튼 푸쉬, 음성 및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장치는,
    케이블에 의한 접촉에 연동되어,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을 적어도 포함하여 상기 차량 단말과의 채널을 정의하고, 상기 채널의 정의에 따라, 공용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차량 단말과 연결하는 채널 정의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KR1020140056986A 2014-05-13 2014-05-13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KR10157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986A KR101570603B1 (ko) 2014-05-13 2014-05-13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986A KR101570603B1 (ko) 2014-05-13 2014-05-13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603B1 true KR101570603B1 (ko) 2015-11-19

Family

ID=5484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986A KR101570603B1 (ko) 2014-05-13 2014-05-13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340A1 (ko) * 2016-03-30 2017-10-0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제어 방법
CN111885573A (zh) * 2020-07-29 2020-11-03 广州小鹏车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座舱交互的方法和智能座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340A1 (ko) * 2016-03-30 2017-10-0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803521B1 (ko) * 2016-03-30 2017-11-3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제어 방법
EP3437935A4 (en) * 2016-03-30 2019-1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US10913353B2 (en) 2016-03-30 2021-02-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vehicle infotainment system
CN111885573A (zh) * 2020-07-29 2020-11-03 广州小鹏车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座舱交互的方法和智能座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4286B1 (en) Selecting vehicle pickup location
US1088042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3491399B (zh) 服务提供系统及其提供服务的方法
US11204753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in-vehicle device
CN107783930B (zh) 用于usb附件的usb通信控制方法
US20090231431A1 (en) Displayed view modification in a vehicle-to-vehicle network
CN109429096B (zh) 车辆的音响主机,具有该音响主机的车辆及车辆控制方法
CN104053127A (zh) 用于包括动态poi识别的增强驾驶体验的方法和设备
JP2014134483A (ja) 情報処理装置、音声操作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音声操作方法
CN107835398A (zh) 一种基于投屏的定制化导航信息显示方法、装置
CN107783928B (zh) 用于usb主机的usb通信控制方法
US11589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ed on-demand localized video sharing
KR101570603B1 (ko)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방법, 및 스마트 기기와 차량 단말과의 연동 장치
CN104935875A (zh) 基于车辆的媒体内容捕捉和远程服务整合
CN111079034A (zh) 一种共享导航实现方法、终端设备和计算机设备
US10661652B2 (en) Vehicle multimedia device
KR102368388B1 (ko)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장치 및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방법
KR20200094452A (ko) 그룹 메시지의 전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5246048B (zh) 车辆计算系统经由辅助端口与移动装置通信的方法和系统
CN104477110B (zh) 配备有触摸显示屏的车载改装系统及改装方法
US10864889B2 (en) Vehicle operating method and vehicle operating apparatus
CN103745582A (zh) 移动终端与车机的互联方法及一种车机
JP6064872B2 (ja) 車載器
JP6712753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6094999B2 (ja) 電子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イコ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