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298B1 - 헤드셋 - Google Patents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298B1
KR101570298B1 KR1020140116793A KR20140116793A KR101570298B1 KR 101570298 B1 KR101570298 B1 KR 101570298B1 KR 1020140116793 A KR1020140116793 A KR 1020140116793A KR 20140116793 A KR20140116793 A KR 20140116793A KR 101570298 B1 KR101570298 B1 KR 10157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unit
frame
printed circuit
button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이건우
김재영
유현선
정정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헤드셋은, 사용자의 목에 감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며, 전자 부품 및 사용자 입력 버튼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프레임 및 인쇄회로기판을 둘러싸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푸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셋{Headset}
본 발명은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가 단말기의 주요 기능으로 내장됨에 따라 단말기를 통하여 여러 가지 컨텐츠 등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사용자는 외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음향출력장치인 헤드셋을 사용한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헤드셋과 연결되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헤드셋 자체로 출력되는 소리의 세기, 종류 등을 제어하기 위해 헤드셋에는 사용자 조작유닛이 구비된다. 종래의 헤드셋에 의하면, 사용자 조작유닛으로서 버튼부를 헤드셋의 일측에 구비하여 버튼부가 클릭되는 횟수 또는 푸쉬 입력되는 시간을 통해 소리의 세기, 종류 등을 조작하거나, 휠키를 이용하여 음향의 세기를 조절하였다.
상기의 버튼부 또는 휠키를 이용한 조작방식은 헤드셋의 디자인 및 구조에 변화를 주기 어려워 제품의 디자인 변화에 제약이 있다. 또한, 버튼부의 잦은 푸쉬로 인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사용자가 의도한 작동 명령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오류도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유닛이 구비된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며, 전자 부품 및 사용자 입력 버튼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프레임 및 인쇄회로기판을 둘러싸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푸쉬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어느 지점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다른 지점에 구비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는 헤드셋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수의 기능을 구비한 조작유닛이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제어 입력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작부의 회동을 통해 버튼을 푸쉬하기 때문에, 조작 명령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헤드셋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가 조작부로서 구비되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이 심플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셋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분해 사시도.
도 4는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과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유닛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유닛의 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유닛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선감기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선감기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림턱과 스톱바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유닛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를 우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를 좌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단면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성기판부의 사시도.
도 18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성기판부 및 버튼부의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헤드셋(Headset) 이라 함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이어폰, 헤드폰 등의 음향출력장치를 통칭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헤드셋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헤드셋(1)은 통신부(30), 음향출력부(201), 조작부(220, 230), 배터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헤드셋(1)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30)는, 헤드셋(1)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헤드셋(1)과 단말기(일 예로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헤드셋(1)과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0)는, 상기 헤드셋(1)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201)는 청각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달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조작부(220, 230)는 상기 음향 출력부(201)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작부(220, 230)의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201)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조절된다. 즉, 상기 조작부(220, 230)의 제어 명령이 제어부(10)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음향 출력부(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제어 한다.
제어부(10)는 통상적으로 헤드셋(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헤드셋(1)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4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헤드셋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1)은, 사용자의 신체에 감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음향출력부에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조작유닛(200) 및 제 2 조작유닛(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대략 'C' 형태로 굽어져 사용자의 신체(일 예로 목)에 감긴다. 상기 본체(100)는 소성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를 굽어진 상태로 사출하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이 외에도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조작유닛(200) 및 제 2 조작유닛(30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양측 단부(112, 114) 는 상기 제 1 조작유닛(200) 및 제 2 조작유닛(3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기 위해, 단부쪽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 단부(112, 114)에 상기 제 1 조작유닛(200) 및 제 2 조작유닛(30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1 조작유닛(200)와 제 2 조작유닛(300)는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조작유닛(2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조작유닛(200)은 메인 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조작부(220) 및 제 2 조작부(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210)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210)의 외부를 향하여 음향출력부(201)가 연장된다.
상기 음향출력부(201)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귀에 꼽혀 음향이 출력되는 출력단자(20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자(201a)의 내부 일측에는 자력부(2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자력부(202)에 의한 자력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자력부(202)가 외부에 노출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상기 출력단자(201a)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작유닛(200)의 일 단부에는 상기 자력부(202)가 자력에 의해 접촉되도록 금속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음향출력부(201)의 배선을 상기 제 1 조작유닛(200)의 내부로 감을 수 있고, 이때 상기 자력부(202)와 금속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출력단자(201a)가 상기 제 1 조작유닛(200)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1)을 미사용시에도 상기 음향 출력부(201) 및 출력단자(201a)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조작유닛(200)에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과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유닛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조작유닛(200)은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일면에 결합되며 헤드셋의 구동을 위한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40)과, 상기 프레임(210)을 둘러싸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220, 23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유닛(200, 300)은 상기 본체(100)의 양측 단부(112, 114)에 형성된 결합홀(113, 115)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210)은 판 형상의 프레임 본체(211)와, 상기 프레임 본체(211)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부(212, 214, 2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본체(211)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240)이 안착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211) 상에는 탄성체(250)가 삽입되는 제 1 결합홀(213, 215, 217)이 각각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212, 214, 216)는 상기 프레임 본체(211)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부(212)와, 상기 제 1 결합부(212)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어느 지점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214)와, 상기 제 2 결합부(21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다른 지점에 구비되는 제 3 결합부(216)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212, 214, 216)는 상기 프레임 본체(211)의 상, 하면에서 단면이 반원형의 형상으로 각각 상, 하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복수의 결합부(212, 214, 216)의 전체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이 상기 프레임 본체(211)의 일면 상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제 2 결합부(214) 및 제 3 결합부(216)에는 상기 제 2 결합부(214) 및 제 3 결합부(216)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거리 함몰되는 함몰부(214a, 216a)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은 상기 함몰부(214a, 216a)를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211)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211)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결합부(212)에는 음향출력부(201)의 배선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할 권선감기모듈(260)로부터 연장되는 음향출력부(201)의 배선이 상기 제 1 결합부(212)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에는 각종 전자부품(미도시)이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상기 프레임(210)의 제 1 결합홀(213, 215, 21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2 결합홀(246, 247, 24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250)가 상기 제 2 결합홀(246, 247, 248) 및 제 1 결합홀(213, 215, 217)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10) 및 인쇄회로기판(24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칭하여 사용자 입력 버튼(242, 243, 244, 245)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버튼부(242, 243)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버튼부(242, 243)와 이격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다른 지점에 상기 제 2 버튼부(244, 24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212)와 상기 제 2 결합부(214)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40) 상에는 제 1 버튼부(242, 243)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결합부(214)와 상기 제 3 결합부(216)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제 2 버튼부(244, 245)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버튼부(242, 243)는 제 1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입력부로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제 2 버튼부(244, 245)는 제 2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체(250)는 탄성체 본체(251)와 상기 탄성체 본체(251)의 양측에 구비되는 스프링(252)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탄성체 본체(251)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 본체(251)의 상, 하면에 상기 스프링(25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 본체(251)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게 상기 제 1 결합홀(213, 215, 217) 및 제 2 결합홀(246, 247, 248)의 홀 형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 본체(251)가 상기 결합홀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252)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40) 및 프레임(210)의 상부 및 하부에 노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체(250)가 제 1 탄성체(253), 제 2 탄성체(255), 제 3 탄성체(257)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210)의 제 1 결합부(212)와 제 2 결합부(214)의 사이에는 권선감기모듈(260)가 배치된다. 상기 권선감기모듈(260)는 음향출력부(201)의 배선을 감거나 푸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배선을 당기거나 미는 동작에 의해 배선이 상기 권선감기모듈(260)에 감기거나,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1)을 통해 음악을 들을 때는 상기 배선을 당김으로써 상기 음향출력부(201)를 외부에 길게 연장시킬 수 있고, 음악 청취를 종료한 뒤에는 당겨진 배선을 다시 당김으로써, 상기 권선감기모듈(260)에 배선이 감기도록 하여 배선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권선감기모듈(260)의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향출력부(201)로 출력되는 음향이 제어된다. 상기 권선감기모듈(260)의 자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210)의 제 2 결합부(214)와 제 3 결합부(216)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210)의 하부에는 배터리(280)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280)는 상기 헤드셋(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각 전자부품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280)는 일측에 구비된 충전단자(미도시)를 통해 충전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1 결합부(212)와 상기 제 2 결합부(2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210) 및 인쇄회로기판(240)의 일부를 감싸는 제 1 조작부(220)와 상기 제 2 결합부(214)와 상기 제 3 결합부(21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210) 및 인쇄회로기판(240)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 2 조작부(2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조작부는 상기 프레임(210) 및 인쇄회로기판(240)을 감싸는 케이스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의 결합모습을 상기 제 1 조작부(22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 1 조작부(220)는 상기 프레임(210) 및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케이스(222)와 상기 제 1 케이스(2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케이스(2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스(222)와 상기 제 2 케이스(22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상기 프레임(210) 및 인쇄회로기판(24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케이스(222)의 내주면 하측에는 결합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224)의 내주면 상측에는 걸림돌기(225)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25)가 상기 결합홈(2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케이스(222) 및 제 2 케이스(224)가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유닛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 1 케이스(222)의 외주면이 바닥에 접하도록 상하 방향을 반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케이스(222)의 내주면(229) 상측에는 탄성체 결합부(226)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 결합부(226)는 상기 스프링(252)이 삽입되는 결합홈(226a)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케이스(222)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스프링(252)이 상기 제 1 케이스(222)와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조작부(220)가 회동할 경우 상기 탄성체(25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222)의 내주면(229)에는 푸쉬부(227, 228)가 구비된다. 상기 푸쉬부(227, 228)는 상기 내주면(229)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푸쉬부(227)와 상기 제 1 푸쉬부(227)에 대칭하여 상기 내주면(229)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 2 푸쉬부(228)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227, 228)는 상기 제 1 케이스(222)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 구비될 때, 상기 제 1 버튼부(242, 243)와 함께 동일한 원주를 갖는 가상을 원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조작부(220)가 회동할 경우 좌, 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푸쉬부(227, 228)가 상기 제 1 버튼부(242, 243) 중 어느 하나를 푸쉬하게 된다.
상기 제 2 조작부(230)의 내주면에도 푸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조작부(230)의 회전에 따라 제 2 버튼부(244, 245)를 푸쉬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권선감기모듈(2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선감기모듈의 결합 사시도 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선감기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림턱과 스톱바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권선감기모듈(260)은, 프레임(210)에 고정되는 베이스(811)와, 상 기 베이스(811)의 한쪽 면에서 원 기둥 형태로 돌출된 고정 부재(813),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고정 부재(813)가 끼워지도록 끼움 구멍(815)이 관통되며 외부 둘레 면에 음향출력부(201)가 감기는 감김 부재(817), 상기 감김 부재(817)와 일체로 결합 되고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 부재(821)가 내부 설치되는 탄성 부재 수용부(819), 롤(Roll) 형태로 감겨져 탄성 부재 수용부(819)에 내부 설치되고 끼움 구멍(815)을 통해 탄성 부재 수용부(819)로 인입된 고정 부재(813)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탄성 부재 수용부(819)에 고정되어 감김 부재(817)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수축되는 탄성 부재(821), 및 상기 감김 부재(817)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된 상태 에서 음향출력부(201)가 조작부(200)의 바깥으로 당겨져 감김 부재(817)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 둘레면이 복귀 수단에 갖추어진 스톱바(827)를 올라타면서 회전되다가 음향출력부(201)가 조작부(200) 바깥으로 당겨지지 않아 감김 부재(817)가 탄성 부재(8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될때에는 각진 걸림턱(825)이 스톱바(827)에 걸쳐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복귀 저지 수단(82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귀 수단은, 탄성력에 의해 복귀 저지 수단(829)의 외부 둘레면을 탄력적으로 누르고 있는 스톱바(827)를 포함하며, 상기 스톱바(827)는 스위치 동작에 따라 걸림턱(825)을 빠져나옴으로써 감김 부재(817)가 탄성 부재(8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감김 부재(817)의 외부 둘레 면에는 풀어진 음향출력부(201)이 감기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821)의 일단은, 반원 형상으로 굽어진 반원형 끼움부(833)가 갖추어지고, 상기 고정 부재(813)의 상단 면에는, 일자 형태로 오목하게 파진 일자 홈(35)이 갖추어져 상기 반원형 끼움부(33)가 일자 홈(35)에 끼움 고정된다. 또, 상기 감김 부재(817)의 상부에는 감김 부재(817)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턱(831)이 갖추어져 감김 부재(817)에 감긴 음향출력부(201)이 환형 턱(831)을 넘어서지 못하도록 한다. 또, 상기 탄성 부재(821)의 타단은 사각 형상으로 굽어진 사각형 끼움부(837)가 갖추어지고,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819)의 외부 둘레 면에는 탄성 부재 수용부(819)의 외부 둘레 면을 절개한 2개의 절개부(839)가 갖추어지며, 상기 절개부(839) 사이에는 고정 턱(841)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사각형 끼움부(837)는 고정 턱(841)에 끼움 고정된다. 또,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819)의 상단 면에는, 덮개(843)가 씌워지며, 상기 덮개(843)의 중앙에는 고정 부재(813)가 통과되도록 끼움 구멍(845)이 갖추어지고, 상기 끼움 구멍(845)을 통해 덮개(843) 바깥으로 돌출되는 고정 부재(813)에는 고정 부재(813)의 외부 둘레 면을 따라 고정 부재(813)의 안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환형 홈(847)이 갖추어진다. 상기 환형 홈(847)에는 'C' 형태의 C형 클립(849)이 끼워져 일체로 조립된 감김 부재(817)와 탄성 부재 수용부(819), 탄성 부재(821), 및 덮개(843)가 고정 부재(813)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 상기 베이스(811)와 감김 부재(817) 사이에는, 외부에서 전달된 음성 신호를 브러쉬 터미널(855)로 전달하는 PCB(857)(Print Circuit Board)가 장착되고, 상기 PCB(857)를 마주보는 감김 부재(817)의 밑면에는 감김 부재(817)에 고정된 채 감김 부재(817)를 따라 회전되며, 일단이 음향출력부(201)의 신호 선(Line)과 연결되고, 끝단이 PCB(857) 패드에 접촉한 채 PCB(857)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음향출력부(201)로 전달하는 브러쉬 터미널(855)이 장착된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한손으로 상기 조작부(200, 30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출력 단자(201a)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상기 출력 단자(201a)와 일체로 연결된 음향출력부(201)가 당겨진 길이만큼 상기 조작부(200, 300)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상기 음향출력부(201)를 다시 상기 권선감기모듈(260)로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음향출력부(201)가 내부로 휘감겨 들어가면서 서로 엉키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조작유닛의 조작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를 우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를 좌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227, 228)와 상기 제 1 버튼부(242, 243)는 동일한 원주를 갖는 가상의 원을 형성된다.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조작부(220)를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우측의 푸쉬부(228)가 상기 우측 버튼부(243)를 푸쉬할 때까지, 상기 제 1 조작부(220)가 이동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우측의 버튼부(243)가 푸쉬됨을 감지하여, 해당된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우측의 버튼부(243)의 푸쉬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 1 조작부(220)를 손에서 내려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25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조작부(220)는 도 8의 상태로 복원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조작부(220)를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조작부(220)는 상기 좌측의 푸쉬부(227)가 상기 좌측의 버튼부(242)를 푸쉬할 때까지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좌측의 버튼부(242)가 푸쉬됨을 감지하여, 해당된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좌측의 버튼부(242)의 푸쉬가 수행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 1 조작부(220)를 손에서 내려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25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조작부(220)는 도 8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헤드셋(1)을 착용한 상태로 상기 제 1 조작부(220) 및 제 2 조작부(230)를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버튼부(242, 243)와 관련된 제 1 기능은 음악의 재생 시 이전곡, 다음곡으로 향하는 이동기능일 수 있고, 상기 제 2 버튼부(244, 245)와 관련된 제 2 기능은 음악의 재생 및 정지와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조작유닛(300)의 경우에도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이 각각 제 3 버튼부(미도시), 제 4 버튼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버튼부는 음향의 세기를 조절하는 볼륨버튼과 관련된 제 3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 4 버튼부는 제 4 기능인 상기 헤드셋(1)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권선감기모듈과, 조작유닛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10)은 사용자의 신체에 감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음향출력부에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 3 조작유닛(400) 및 제 4 조작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서는 상기 권선감기모듈(260)가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음향출력부(201)를 외부로 연장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에 노출된 권선감기모듈(2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음향출력부(201)를 상기 권선감기모듈(260)의 내부로 감거나 외부로 연장시키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선감기모듈(260)는 권선감기모듈 케이스(261)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본체(100)의 양측 단부에는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 3 조작유닛(400) 및 제 4 조작유닛(500)이 구비된다.
상기 제 3 조작유닛(400)과 상기 제 4 조작유닛(500)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제 3 조작유닛(40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분해사시도 이다.
상기 제 3 조작유닛(400)은 프레임과(410)과, 상기 프레임(410)의 일면에 구비되어 헤드셋의 구동을 위한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440)과, 상기 프레임(410) 및 인쇄회로기판(440)을 둘러싸는 조작부(420, 43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420, 430)는 프레임(410)의 제 1 결합부(412)와 제 2 결합부(4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40)을 커버하는 제 1 조작부(420)와, 상기 프레임(410)의 제 2 결합부(414)와 제 3 결합부(41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40)을 커버하는 제 2 조작부(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조작부(430)는 제 1 실시 예의 제 2 조작부(230)와 동일한 구성 및 형태로 구비되나, 상기 제 1 조작부(420)는 상기 제 1 실시 예와 다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 1 조작부(420)는 상기 프레임(410)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고, 상기프레임(41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 1 조작부(420)는 상기 프레임(410) 및 인쇄회로기판(440)을 커버하는 케이스로서만 역할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작부(420)의 단부에는 버튼부(450)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450)는 상기 제 1 조작부(420)의 단부에 형성되는 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40)에는 연성기판부(460)가 구비되고, 상기 연성기판부(460)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40)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버튼부(450)의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450)의 푸쉬 입력이 상기 연성기판부(460)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440)으로 전달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성기판부의 사시도 이고, 도 18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성기판부 및 버튼부의 확대도 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연성기판부(4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440)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부(462)와, 상기 버튼부(450)의 후면에 접촉되는 제 2 접촉부(464)와, 상기 제 1 접촉부(462)와 제 2 접촉부(464)를 연결하는 연결부(467)를 포함한다.
상기 연성기판부(460)는 재질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플렉서블(Flexible)소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성기판부(460)는 상기 제 1 장착부(412)에 형성된 통과홀(미도시)을 상기 연결부(467)가 통과하여 상기 제 1 조작부(4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촉부(464)에서 상기 버튼부(450)와 마주하는 면에는 키들(465)이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450)의 푸쉬 입력을 감지한다.
즉, 상기 버튼부(450)의 후면에는 푸쉬에 의해 상기 키들(465)에 압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장부(452)가 돌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푸쉬입력에 따라 상기 키들(465)이 상기 버튼부(450)의 푸쉬입력이 전달된다.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버튼부(250)의 푸쉬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은 전술한 상기 제 1 기능 내지 제 4 기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 조작유닛(400) 및 제 4 조작유닛(500)에 구비되는 버튼부(250)의 푸쉬를 통해 상기 헤드셋(10)의 출력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본체와,음향출력부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50)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조작유닛(200)과, 상기 조작유닛(200)의 일단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음향출력부(201)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출력부(201)의 단부에는 출력단자(20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자(201a)의 후면에는 터치센서(2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203)는 사용자 입력부의 일 예로서 통화, 종료등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부일 수 있다.
상기 조작유닛(200)은, 메인 프레임(미도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조작부(220) 및 제 2 조작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조작부(220)와 상기 제 2 조작부(230)는 상기 결합부(214)를 사이에 두고, 각각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조작부(220) 및 제 2 조작부(230)의 기능 및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 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조작부(220)의 단부에는 버튼부(450)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450)는 상기 제 2 실시 예의 버튼부(450)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 조작부의 일 예로서 기능한다. 상기 버튼부(450)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 2 실시 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유닛(200)의 감춤 출력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춤 출력단자(미도시)는 상기 제 1 조작부(220)를 상기 결합부(214)에 대하여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출력단자(201a)를 통해 한쪽으로만 음향을 수신하다가, 양쪽 귀에 모두 음향을 수신할 경우, 상기 감춤 출력단자를 외부로 꺼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며, 전자 부품 및 사용자 입력 버튼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프레임 및 인쇄회로기판을 둘러싸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이 푸쉬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어느 지점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다른 지점에 구비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는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대칭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의 내주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푸쉬부; 및
    상기 제 1 푸쉬부와 대칭하여 상기 조작부의 내주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푸쉬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 1 푸쉬부 및 제 2 푸쉬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푸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버튼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3 결합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버튼부를 포함하는 헤드셋.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 1 버튼부를 푸쉬하기 위한 푸쉬부를 구비하는 제 1 조작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3 결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 2 버튼부를 푸쉬하기 위한 푸쉬부를 구비하는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헤드셋.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버튼은,
    전원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제 1 기능, 음악의 재생 및 정지를 수행하는 제 2 기능,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 3 기능, 이전곡 및 다음곡으로 전환되기 위한 제 4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 및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조작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회동 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의 단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버튼부가 더 포함되는 헤드셋.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푸쉬입력을 전달받는 연성기판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의 배선을 감거나 풀기 위한 권선감기모듈을 더 포함하는 헤드셋.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의 배선을 감거나 풀기 위한 권선감기모듈을 더 포함하는 헤드셋.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프레임 및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주면 하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주면 상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음향이 출력되는 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단자의 일측에는 자력을 가진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유닛의 단부에는 금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자력부와 상기 금속부가 자력에 의해 탈, 부착됨으로써, 상기 음향출력부가 상기 조작유닛의 단부에 탈,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KR1020140116793A 2014-09-03 2014-09-03 헤드셋 KR10157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793A KR101570298B1 (ko) 2014-09-03 2014-09-03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793A KR101570298B1 (ko) 2014-09-03 2014-09-03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298B1 true KR101570298B1 (ko) 2015-11-18

Family

ID=5483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793A KR101570298B1 (ko) 2014-09-03 2014-09-03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2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926B1 (ko) 2013-11-25 2014-02-24 주식회사 블루콤 넥밴드 및 헤드폰 겸용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926B1 (ko) 2013-11-25 2014-02-24 주식회사 블루콤 넥밴드 및 헤드폰 겸용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1309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WO2015022766A1 (ja) ヘッドフォン型音響装置
US9060225B2 (en) Wireless earphone
US10306351B2 (en) Portable sound device
US10491983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CN204993760U (zh) 耳机
US7601032B2 (en) Apparatus for altering poles on an accessory
CN104837082A (zh) 电子设备
US20120177243A1 (en) Earphone connector of mobile terminal
KR102104897B1 (ko) 무선음향기기
CN109391865B (zh) 便携式音响设备
JP7006615B2 (ja) スピーカー装置
US8059854B2 (en) Earphone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KR101570298B1 (ko) 헤드셋
KR1007033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fm 송신용 안테나 장치
US10244305B2 (en) Portable sound device
WO2018188205A1 (zh) 带骨传导扬声器的手机
KR101826083B1 (ko) 와이어 자동 감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KR101615240B1 (ko) 무선음향기기
KR101862571B1 (ko) 와이어 감김 장치
KR20190069755A (ko) 휴대용 음향기기
CN213815540U (zh) 一种音频播放设备
KR20170116376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432588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