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454B1 -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454B1
KR101569454B1 KR1020150072937A KR20150072937A KR101569454B1 KR 101569454 B1 KR101569454 B1 KR 101569454B1 KR 1020150072937 A KR1020150072937 A KR 1020150072937A KR 20150072937 A KR20150072937 A KR 20150072937A KR 101569454 B1 KR101569454 B1 KR 101569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information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문석환
유선진
Original Assignee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30Simulation of view from aircraft
    • G09B9/301Simulation of view from aircraft by computer-processed or -generated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실제 관광지의 복수 코스를 무인 비행체로 비행하면서 촬영되는 영상을 화면으로 제공받아 현실적 비행 체험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제 항공기 운행과 같은 전문성과 높은 비용이 필요하지 않고, 항공 시뮬레이션보다 현실적인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실제 관광지의 현재 시점 배경을 기반으로 가상 비행 체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lying experience using drone}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실제 관광지의 복수 코스를 무인 비행체로 비행하면서 촬영되는 영상을 화면으로 제공받아 현실적 비행 체험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는 초기에는 전장 탐색이나 비행 시뮬레이션을 위한 군용으로 활용되었으나, 최근 대중 보급을 위한 무인 비행체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무인 비행체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영상 제작을 위한 용도로 활용하거나 상품 배송을 위한 용도로까지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무인 비행체의 용도는 단순 영상 획득에 치중되어 사용자가 무인 비행체를 통해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을 극히 한정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무인 비행체의 활용 극대화가 여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행 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0340호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에 탑재된 카메라와 무인 비행체의 비행에 따른 자세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관광지의 복수 코스를 실제로 비행하는 느낌에 근접한 극사실적인 체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관광지 체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관광지에 대한 비행 체험 중 바람이나, 향기, 물 등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인 효과를 가미하여 사용자의 체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의 다양한 조작을 통해 기존의 실제 비행기에 탑승하여 체험할 수 없는 다양한 기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러한 기동에 따른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은 카메라의 영상과 자세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평면 또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와 연결된 복수 개의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의자의 자세가 제어되는 모션 체어 장치 및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관광지 코스 중 선택된 선택 코스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경로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원격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인 비행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모션 체어 장치를 제어하는 체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바람, 물방울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물리 효과를 발생하는 물리 효과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물리 효과 장치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물리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코스별 비행 범위가 설정된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 코스에 대응되는 비행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무인 비행체, 디스플레이 장치, 모션 체어 장치 및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코스 변경시 변경된 코스에 대응되는 다른 무인 비행체를 제어 중인 타 체험 장치와 연동하여 무인 비행체의 제어권을 상호 교환하고, 상기 제어권 교환에 따라 상기 다른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 중 특수 기동이 가능한 지점에 대한 지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점정보에 따른 지점 도착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특수 기동에 대응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각 코스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특정 지점별로 도착시간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무인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코스의 상기 특정 지점에 설정된 도착시간과 상기 무인 비행체의 운행에 따른 경과시간을 비교하여 도착시간보다 늦은 경우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른 수동 운행을 중단하고 상기 경로정보에 따른 자동 운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경과 시간이 도착시간보다 늦은 경우 상기 특정 지점에서 미리 설정된 체험시간 동안만 상기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운행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체험시간이 설정된 특정 지점 도착시 상기 체험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체험 시간의 카운트에 따른 잔여 시간에 대한 잔여 시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선택 코스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 코스를 선택한 타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를 다른 경로정보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타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 선택시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에 따라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영상과 자세 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무인 비행체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체험 제어 장치를 이용한 비행 체험 방법은, 상기 체험 제어 장치가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관광지 코스 중 선택된 선택 코스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경로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원격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체험 제어 장치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체험 제어 장치와 연결된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체험 제어 장치가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와 연결된 복수 개의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의자의 자세가 제어되는 모션 체어 장치를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세 정보를 기초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 항공기 운행과 같은 전문성과 높은 비용이 필요하지 않고, 항공 시뮬레이션보다 현실적인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실제 관광지의 현재 시점 배경을 기반으로 가상 비행 체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광지에 대하여 항공 시점 형태로 관광지를 여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빠른 시간 내에 넓은 관광지를 효과적으로 둘러볼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광 자원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관광 자원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매크로 기능을 통해서 실제 비행에서 체험하기 힘든 다양한 특수 기동 체험을 제공하여 익스트림 체험 효과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비행 범위 제한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제어권 교환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운행시간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운영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무인 비행체에 대한 수동 제어 잔여시간 표시 및 특수기동 제공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관제 서버를 통한 우선 제어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모션 체어 장치(120) 및 물리 효과 장치(130)를 제어하는 체험 제어 장치(100)를 포함하는 비행 체험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관광지를 비행하는 드론(Drone)과 같은 무인 비행체(10)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행 체험 제어 시스템은 개별 체험 부스 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행 체험 제어 시스템이 구성된 체험 부스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비행체(10)는 카메라 및 자세 제어를 위한 각종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카메라의 영상 및 자세 정보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인 비행체(10)에 복수 개의 스테레오 카메라가 설치된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10)는 입체 영상을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한 무인 비행체(1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가 관광지 코스를 비행하면서 얻어지는 영상정보 및 무인 비행체(10)의 비행 움직임에 따른 자세 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영상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모션 체어 장치(12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영상정보를 분할한 후 분할된 각 영상을 대응되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고해상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드 화면으로 관광지에 대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일반 평면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로부터 상기 스테레오 영상을 받아 입체 영상으로 표현해 주는 3D(3 dimension)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션 체어 장치(120)에 착석한 사용자는 무인 비행체(10)의 비행 자세와 비행 영상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제 비행에 근접한 현실감을 체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행 체험 제어 시스템은 바람이나 물방울, 향기 등과 같은 물리 효과를 발생하는 물리 효과 장치(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비행 위치에 따른 환경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리 효과 장치(130)를 제어하여 물리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4D 체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행 체험시 현실감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기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RF 통신(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10)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인 비행체(10)는 카메라부(11), 위치 측정부(12), 자세 측정부(13), 통신부(15), 기동부(16) 및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통신부(15)를 통해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기동부(16)를 제어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10)를 비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5)는 상기 통신망에 따른 통신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시 상기 카메라부(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5)를 통해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11)는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카메라부(11)로부터 스테레오 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른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여 자세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부(13)를 통해 측정된 센싱값을 기초로 자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5)를 통해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부(12)를 통해 측정된 위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5)를 통해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험 부스 내에 구성된 체험 제어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10), 모션 체어 장치(120) 및 물리 효과 장치(130)와 연결되어 각 장치(110, 120, 1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 또는 장치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조이스틱(joystick),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1인 조종이나 보조 조종이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조종 방식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서 1인 조정을 위한 장치만을 활성화하거나, 1인 조정 및 보조 조정을 위한 장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관광지의 코스별 경로정보, 관광지의 지도정보, 관광지의 지점별 환경정보, 무인비행체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DB(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최초 동작시 상기 관광지의 지도정보와 코스별 경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광지 코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코스에 대한 경로정보를 DB(15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경로정보에 따른 경로로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로정보에는 상기 선택 코스의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와 더불어 상기 선택 코스에 대응되는 경로로 상기 무인 비행체(10)를 비행시키기 위한 자동 조작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자동 조작정보를 상기 제어정보로 상기 무인 비행체(10)에 전송하여 상기 선택 코스에 대한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광지의 코스별로 복수의 무인 비행체(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DB(150)에 저장된 무인 비행체(10) 식별정보를 기초로 선택 코스에 가장 인접한 무인 비행체(10)를 선택하고, 선택된 무인 비행체(10)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비행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화면 상 미리 지정된 영역에 상기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정보에 따른 지도 상에 상기 경로정보에 따른 선택 코스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한 사용자 조작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사용자 조작정보를 상기 무인 비행체(10)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정보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는 상기 제어 정보 수신시 상기 자동 조작정보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라 기동하여 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 및 자동 조작 정보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기동(회전, 승강 등) 조작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무인 비행체(10)에 구성된 카메라의 관찰 각도 조작이나 PTZ(PAN/TILT/ZOOM) 제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체(10)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 또는 자동 조작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시 상기 무인 비행체(10)로부터 영상정보, 자세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영상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여 관광지를 항공 시점(버드아이 뷰: bird’s eye view)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에 따른 자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자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착석하는 모션 체어 장치(120)를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자세(움직임)에 대응되어 제어하기 위한 자세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션 체어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션 체어 장치(12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자세를 다양한 자세로 변형하기 위한 구동축 및 해당 구동축을 제어하는 유압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인원이 탑승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션 체어 장치(120)는 상기 자세 제어 정보에 따라 유압 장치 및 구동축이 제어되어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의자를 구동시키며 이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자세에 대응되도록 상기 의자의 자세를 변형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을 통해 얻어지는 영상과 자세를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모션 체어 장치(120)를 통해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관광지를 비행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지도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B(150)에는 상기 지도정보에 미리 설정된 각 지점에 대응되어 바람 세기, 수분 정도, 향기 등에 대한 환경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지도정보의 각 지점을 비교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의 환경정보를 DB(150)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환경정보에 대응되어 바람, 물방울, 향기 등과 같은 물리 효과를 제공하는 물리 효과 장치(130)를 제어하기 위한 물리 효과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물리 효과 제어 정보를 상기 물리 효과 장치(130)로 제공하며, 상기 물리 효과 장치(130)는 상기 물리 효과 제어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바람, 물방울, 향기 등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무인 비행체(10)의 비행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10)의 조작을 통한 비행 체험과 더불어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에 따라 제공되는 영상을 통해 관광지를 항공시점에서 관광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이에 더하여 해당 관광지의 환경정보에 따른 물리 효과를 제공하여 관광지를 4D로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비행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기상 서버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무인 비행체(10)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기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현재 기상에 대응되는 물리 효과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물리 효과 장치(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제 서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제 서버(200)는 사용자의 조작 미숙에 따른 무인 비행체(10)의 이상 발생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는 상기 관제 서버(200)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비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제 서버(200)는 무인 비행체(10)의 조작 전문가로부터 입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입력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인 비행체(10)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10)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은 안전하고 원활한 비행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비행 체험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지도정보에서 무인 비행체(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 코스에 대응되어 비행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른 무인 비행체(10)의 비행 제어시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현재 위치가 상기 비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비행 범위 내로 상기 무인 비행체(10)를 복귀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비행 범위 내로 복귀시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른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제어를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른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를 포함하는 비행 체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개별 독립 부스마다 설치되어 복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체험 제어 장치(100)는 각각 서로 다른 코스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간 현재 제어 중인 무인 비행체(10)를 상호 교환하여 사용자가 현재 체험 중인 관광지 코스를 다른 관광지 코스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이를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험 제어 장치 A(101)는 코스 A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 A(10a)를 제어할 수 있으며, 체험 제어 장치 B(102)는 코스 B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 B(10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체험 제어 장치 A(101)의 사용자가 코스 A를 체험하는 중에 코스 B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체험 제어 장치 A(101)는 코스 B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 B(10b)를 제어 중인 체험 제어 장치 B(102)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코스 B를 비행 중인 무인 비행체 B(10b)의 제어권을 체험 제어 장치 B(102)로부터 양도받기 위한 질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험 제어 장치 B(102)는 상기 질의 정보 수신시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해 질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체험 제어 장치 B(102)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코스 교환 승낙여부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체험 제어 장치 A(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체험 제어 장치 A(101)는 상기 응답정보를 기초로 상기 코스 교환이 승낙된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 A(10a)에 대한 통신을 중단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 B(10b)와의 통신 세션을 연결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 B(10b)를 이용하여 코스 B를 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체험 제어 장치 B(102)는 상기 응답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인 비행체 B(10b)와 상기 체험 제어 장치 A(101) 사이의 통신 연결 이전까지 무인 비행체 B(10b)에 대하여 자동 비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체 B(10b)에 구성된 제어부(14)는 자동 비행 설정시 체험 제어 장치 A(101)로부터 제어 정보 수신 이전까지 미리 설정된 조작정보에 따라 자동 비행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험 제어 장치 A(101)는 무인 비행체 A(10a)와의 통신 중단 이전에 무인 비행체 A(10a)에 대해서 자동 비행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후 체험 제어 장치 B(102)는 무인 비행체 A(10a)와의 통신 세션을 연결하여 무인 비행체 A(10a)를 제어하고, 코스 A를 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체험 중인 코스를 다양한 코스로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관광지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조작에 따른 무인 비행체(10) 조작시 동일 코스에 대하여 운행 시간이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운행 시간을 설정하여 한정된 운행 시간 내에서만 무인 비행체(10)의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광지 코스에 대응되는 경로정보에는 총 운행시간과 코스에 속한 미리 설정된 복수의 특정 지점별로 도착시간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코스의 상기 특정 지점에 설정된 도착시간과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실제 운행에 따른 경과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도착시간보다 늦은 경우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른 수동 운행을 중단하고 상기 경로정보에 따른 자동 조작정보를 기초로 자동 운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른 무인 비행체(10)의 운행 시작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총 운행시간이 90분인 코스를 비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무인 비행체(10)가 지점 2에 도착한 시점에 측정된 경과 시간이 지점 2에 설정된 도착시간보다 늦어진 경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른 수동 운행을 중단하고, 현재 운행 중인 코스에 대응되는 경로정보를 DB(150)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경로정보에 따른 자동 조작 정보를 기초로 무인 비행체(10)를 자동 운행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체험 제어 장치(100)는 지점 3에 설정된 도착시간에 맞추어 무인 비행체(10)가 도착한 경우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수동 전환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도착시간보다 늦은 경우 상기 특정 지점에서만 미리 설정된 체험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른 무인 비행체(10)의 수동 운행을 허용할 수 있으며, 체험 시간이 경과한 경우 다시 경로정보에 포함된 자동 조작정보에 따른 자동 운행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체험시간이 적용되는 특정 지점 도착시 상기 체험 시간을 카운트하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험 시간의 카운트에 따른 잔여 시간에 대한 잔여 시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잔여 시간을 참고하여 적절하게 무인 비행체(10)를 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특정 지점과 같이 코스에 대응되어 무인 비행체(10)의 특수 기동(곡예 기동)이 가능한 복수의 지점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대한 지점 정보를 경로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지점 정보에 따른 지점 도착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기동이 가능한 지점임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특수 기동에 대응되는 메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 정보는 각 특수 기동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의 입력에 대한 입력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메뉴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특수 기동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해당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특수 기동에 대한 특수 기동 조작 정보(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특수 기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수 기동은 루프, 롤링, 스냅롤, 스톨턴, 스핀 등과 같은 다양한 기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특수 기동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체(10)로부터 제공되는 자세 정보 및 영상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해당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특수 기동에 대응되어 수신된 자세 정보를 기초로 모션 체어 장치(12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인 비행체(10)의 특수 기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체험 제어 장치(100)는 관광지 코스에 위치하는 다양한 증강현실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도정보에 포함된 POI(Point Of Interest) 정보와,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현재 위치정보 및 자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되는 다양한 시설물이나 배경에 증강현실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관광지 코스를 비행 체험하는 사용자에게 관광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선택 코스에 대한 사용자의 비행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수신된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합하여 사용자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DB(150)에서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경로정보에는 시간별 사용자 조작 정보에 대응되는 무인 비행체(10)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선택 코스를 선택한 타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를 다른 경로정보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타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 선택시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체(10)를 조작하여 타 사용자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체험 내용에 따라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체험 제어 장치(100)는 타 사용자가 비행 체험 중에 사용자의 조작 정보에 따른 비행을 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에서 타사용자의 무인 비행체(10) 운행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사용자 조작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10)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순서대로 다음 사용자 조작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타 사용자의 비행 체험 중에 다양한 사용자 경로정보를 제공하여, 이 중에서 선택된 사용자 경로정보에 따라 무인 비행체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타 사용자가 다양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비행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관광지 체험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더불어,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른 영상 정보를 녹화하여 녹화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경로정보와 매칭하여 DB(1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녹화 영상을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 및 녹화 영상에 대한 체험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녹화영상을 자신의 블로그나 SNS를 통해 자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자신의 조작 내용에 대한 체험 식별자를 홍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체험 제어 장치(100)는 다른 사용자가 4D 체험 시 해당 체험 식별자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경우 해당 체험 식별자에 대응하는 자동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기존 조작한 내용과 동일한 조작에 따른 사용자가 체험한 영상과 동일한 '현재' 영상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코스에 대응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체험을 상호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광지 체험의 폭을 크게 넓힐 수 있다.
한편, 바람이 많이 불고 기상 예측이 쉽지 않은 관광지의 경우 단순 자동 고도 유지나 자동 항법 수단 만으로는 무인 비행체(10)의 안전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행 체험 시 보조 운행 기사가 존재하여 무인 비행체(10)의 제어권을 일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10)의 제어부는 체험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기초로 운행을 제어하되, 상기 관제 서버(200)로부터 제어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의 제어 정보에 우선하여 상기 관제 서버(200)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무인 비행체(10)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 비행체(10)의 실속(失速)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무인 비행체(1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10)를 이용한 비행 체험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카메라의 영상과 자세 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10) 및 상기 무인 비행체(1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체험 제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관광지 코스 중 선택된 선택 코스에 대응되어(S1) 미리 저장된 경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2).
이후,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자동 조작 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체(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로 전송하며, 이를 통해 원격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10)를 제어할 수 있다(S3).
다음,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카메라의 영상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
이에 따라, 상기 체험 제어 장치(100)는 상기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와 연결된 복수 개의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의자의 자세가 제어되는 모션 체어 장치(120)의 자세를 상기 무인 비행체(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세 정보를 기초로 제어할 수 있다(S5).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광지를 항공 시점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시에 현실적인 비행 체험을 극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인 비행체 100: 체험 제어 장치
110: 디스플레이 장치 120: 모션 체어 장치
130: 물리 효과 장치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50: DB 200: 관제 서버

Claims (10)

  1. 카메라의 영상과 자세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평면 또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와 연결된 복수 개의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의자의 자세가 제어되는 모션 체어 장치; 및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관광지 코스 중 선택된 선택 코스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경로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원격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세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인 비행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모션 체어 장치를 제어하는 체험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코스별 비행 범위가 설정된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 코스에 대응되는 비행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람, 물방울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물리 효과를 발생하는 물리 효과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물리 효과 장치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물리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 디스플레이 장치, 모션 체어 장치 및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코스 변경시 변경된 코스에 대응되는 다른 무인 비행체를 제어 중인 타 체험 장치와 연동하여 무인 비행체의 제어권을 상호 교환하고, 상기 제어권 교환에 따라 상기 다른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 중 특수 기동이 가능한 지점에 대한 지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지점정보에 따른 지점 도착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특수 기동에 대응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각 코스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특정 지점별로 도착시간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무인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코스의 상기 특정 지점에 설정된 도착시간과 상기 무인 비행체의 운행에 따른 경과시간을 비교하여 도착시간보다 늦은 경우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른 수동 운행을 중단하고 상기 경로정보에 따른 자동 운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경과 시간이 도착시간보다 늦은 경우 상기 특정 지점에서 미리 설정된 체험시간 동안만 상기 사용자 조작정보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운행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체험시간이 설정된 특정 지점 도착시 상기 체험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체험 시간의 카운트에 따른 잔여 시간에 대한 잔여 시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상기 선택 코스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 코스를 선택한 타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를 다른 경로정보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타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 선택시 상기 사용자 경로정보에 따라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10. 카메라의 영상과 자세 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무인 비행체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체험 제어 장치를 이용한 비행 체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체험 제어 장치가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관광지 코스 중 선택된 선택 코스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경로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원격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체험 제어 장치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체험 제어 장치와 연결된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체험 제어 장치가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와 연결된 복수 개의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의자의 자세가 제어되는 모션 체어 장치를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세 정보를 기초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체험 제어 장치는 코스별 비행 범위가 설정된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 코스에 대응되는 비행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방법.
KR1020150072937A 2015-05-26 2015-05-26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 KR10156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37A KR101569454B1 (ko) 2015-05-26 2015-05-26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37A KR101569454B1 (ko) 2015-05-26 2015-05-26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454B1 true KR101569454B1 (ko) 2015-11-17

Family

ID=5478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937A KR101569454B1 (ko) 2015-05-26 2015-05-26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454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178A (ko) * 2015-07-16 2017-01-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멀티콥터 및 그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CN106898187A (zh) * 2017-04-17 2017-06-27 金陵科技学院 一种旋翼无人机用起飞降落训练平台
KR101790592B1 (ko) * 2016-04-29 2017-11-20 용비에이티(주) 관광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관광 시스템 및 방법
JP2017215849A (ja) * 2016-06-01 2017-12-07 清水建設株式会社 見学会説明システム
WO2018105839A1 (ko) * 2016-12-06 2018-06-14 주식회사 상화 체험장치
KR20180064744A (ko) * 2016-12-06 2018-06-1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방법 및 장치
KR20180133629A (ko) * 2017-06-07 2018-12-17 김헌일 모바일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45532A (ko) * 2017-10-24 2019-05-03 (주)플레이솔루션 모션 시뮬레이터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체험 시스템
KR102021492B1 (ko) 2018-05-25 2019-09-1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드론을 통한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2077A (ko) 2018-04-19 2019-10-29 이길호 드론을 이용한 구면 공간 영상 촬영할 때의 수평 보정 방법
KR102069674B1 (ko) * 2019-03-19 2020-01-23 김정수 초경량비행장치(드론) 비행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51359A (ko)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리얼테크 Vr·ar 융합 항공 촬영 플랫폼 시스템
KR20210136225A (ko) * 2020-05-06 2021-11-1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실감형 콘텐츠 기반 열기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75865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가마 움직이는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20134694A (ko)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헬리캠과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간접여행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093B1 (ko) * 2011-10-14 2012-04-03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지리정보를 이용한 4d 기반의 비행선 체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093B1 (ko) * 2011-10-14 2012-04-03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지리정보를 이용한 4d 기반의 비행선 체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806B1 (ko) 2015-07-16 2022-11-0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멀티콥터 및 그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KR20170009178A (ko) * 2015-07-16 2017-01-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멀티콥터 및 그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KR101790592B1 (ko) * 2016-04-29 2017-11-20 용비에이티(주) 관광드론을 이용한 증강현실 관광 시스템 및 방법
JP2017215849A (ja) * 2016-06-01 2017-12-07 清水建設株式会社 見学会説明システム
KR101922677B1 (ko) * 2016-12-06 2019-02-20 주식회사 상화 체험장치
WO2018105839A1 (ko) * 2016-12-06 2018-06-14 주식회사 상화 체험장치
KR20180064744A (ko) * 2016-12-06 2018-06-1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방법 및 장치
KR20180064850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상화 체험장치
KR101881227B1 (ko) * 2016-12-06 2018-07-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방법 및 장치
CN106898187B (zh) * 2017-04-17 2019-05-24 金陵科技学院 一种旋翼无人机用起飞降落训练平台
CN106898187A (zh) * 2017-04-17 2017-06-27 金陵科技学院 一种旋翼无人机用起飞降落训练平台
KR20180133629A (ko) * 2017-06-07 2018-12-17 김헌일 모바일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4190B1 (ko) * 2017-06-07 2019-04-30 김헌일 모바일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45532A (ko) * 2017-10-24 2019-05-03 (주)플레이솔루션 모션 시뮬레이터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체험 시스템
KR101991772B1 (ko) * 2017-10-24 2019-06-21 (주)플레이솔루션 모션 시뮬레이터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체험 시스템
KR20190122077A (ko) 2018-04-19 2019-10-29 이길호 드론을 이용한 구면 공간 영상 촬영할 때의 수평 보정 방법
KR102119521B1 (ko) * 2018-04-19 2020-06-05 이길호 드론을 이용한 구면 공간 영상 촬영할 때의 수평 보정 방법
KR102021492B1 (ko) 2018-05-25 2019-09-1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드론을 통한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1359A (ko)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리얼테크 Vr·ar 융합 항공 촬영 플랫폼 시스템
KR102069674B1 (ko) * 2019-03-19 2020-01-23 김정수 초경량비행장치(드론) 비행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44151B1 (ko) 2020-05-06 2022-09-28 동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실감형 콘텐츠 기반 열기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6225A (ko) * 2020-05-06 2021-11-1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실감형 콘텐츠 기반 열기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75865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가마 움직이는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20134694A (ko)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헬리캠과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간접여행 시스템
KR102578260B1 (ko) * 2021-03-25 2023-09-15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헬리캠과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간접여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54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체험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940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imbal simulation
US1139445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communication coverage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1276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ight simulation
KR101683275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비행 체험 시스템
JP6510677B2 (ja) 飛行体制御装置、飛行体、飛行許可空域設定装置、飛行体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810452B (zh) 用于无人驾驶飞机的远程分布式控制的系统和方法
CN109002051B (zh) 使用无人飞行器实现的虚拟观光系统及方法
CN106200681B (zh) 可移动物体的起飞辅助的方法以及系统
CN105912288A (zh) 一种监控无人机飞行状态的综合处理显示方法及系统
CN105278362B (zh) 无人侦查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6796761A (zh) 用于支持模拟移动的系统和方法
CN105759833A (zh) 一种沉浸式无人机驾驶飞行系统
CN109219785A (zh) 简单的多传感器校准
KR20180000767A (ko) 무인항공기의 항로와 비행 스케쥴을 운항 지상국 소프트웨어를 통해 공유하여 무인항공기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WO2021135823A1 (zh) 飞行控制方法及装置、无人机
WO2018020853A1 (ja) 移動体操縦システム、操縦シグナル送信システム、移動体操縦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22188151A1 (zh) 影像拍摄方法、控制装置、可移动平台和计算机存储介质
KR102578260B1 (ko) 헬리캠과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간접여행 시스템
JP2024000049A (ja) 複数飛行体の飛行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IT201600080323A1 (it) Metodo e sistema di trasmissione di flussi di dati d'immagine e/o video e drone accoppiato a detto siste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