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299B1 - 수신 신호 품질이 낮을 때 레귤레이터에 대한 펄스 주파수 변조(pfm) 모드 록아웃 - Google Patents

수신 신호 품질이 낮을 때 레귤레이터에 대한 펄스 주파수 변조(pfm) 모드 록아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299B1
KR101569299B1 KR1020147002079A KR20147002079A KR101569299B1 KR 101569299 B1 KR101569299 B1 KR 101569299B1 KR 1020147002079 A KR1020147002079 A KR 1020147002079A KR 20147002079 A KR20147002079 A KR 20147002079A KR 101569299 B1 KR101569299 B1 KR 10156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ceiver
supply
mode
suppl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349A (ko
Inventor
윌리암 피. 알버스
아민 더블유. 클롬스도르프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3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방법, 파워 스위칭 시스템 및 통신 장치는 트랜시버가 낮은 품질 신호를 프로세싱할 때마다 펄스 폭 변조(PWM) 모드에서 파워를 트랜시버에 공급한다. 파워 공급 모드(PSM) 유틸리티/제어기는 트랜시버에 의해 현재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품질을 결정하고, 신호의 품질이 미리 지정된 문턱 레벨보다 작으면, PSM 제어기는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그러나, 신호의 품질이 미리 지정된 문턱 레벨을 만족하면, PSM 제어기는 전원이 자율적으로 PFM 공급 모드와 PWM 공급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트랜시버에 의한 파워 요구를 동적으로 결정하고, 파워 요구가 미리 지정된 문턱 요구 레벨을 초과하면, 제어기는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Description

수신 신호 품질이 낮을 때 레귤레이터에 대한 펄스 주파수 변조(PFM) 모드 록아웃{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MODE LOCK OUT FOR REGULATORS WHEN RECEIVE SIGNAL QUALITY IS LOW}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장치의 파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에서, 2개의 파워 공급 방법론, 즉, 펄스 폭 변조(PWM) 및 펄스 주파수 변조(PFM) 중 하나가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방법론은 다양한 장치 동작 모드와 연관된 상이한 이점 및 단점을 갖는다. PWM의 주요 이점은, 스위칭 주파수가 일정하고 간섭을 피하도록 선택되거나 일반적으로 낮은 전자기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다. PWM의 주요 단점은 부하 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스위칭 효율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작은 부하에서, PWM 효율이 나쁘다. 반면에, PFM은 스위칭 주파수가 부하 전류에 응답하여 조절됨에 따라 낮거나 중간 정도의 부하 전류에서 더 좋은 효율을 제공한다. 그러나, 동작 주파수 및 RF(radio frequency) 회로 동작과 간섭할 수 있는 해당 EMI가 예측 불가능하다. 단일 통신 장치 내의 밴드/모드 조합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PFM 모드가 임의의 동작 조건에서 점점 성능이 절충된다.
기재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결합하여 판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재된 실시예의 특징이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기재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의 다른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스위칭 시스템을 이용하는 다수의 트랜시버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기능 모드에 대한 연관된 우선순위 및 선호 디폴트 전원 모드를 갖는 다양한 기능 및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가 낮은 품질 신호를 프로세싱할 때 펄스 폭 변조(PWM) 모드를 통해 트랜시버에 파워를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에 의한 하이 파워 요구가 있을 때 PWM 모드를 통해 트랜시버에 파워를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가 트랜시버 또는 액티브 트랜시버 모드에 있을 때 PWM 모드를 통해 트랜시버에 파워를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에 의해 핸들링되는 다수의 동시 동작 기능의 각각에 할당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원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시된 실시예는 장치가 (a) 트랜시버가 낮은 품질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것 및 (b) 트랜시버가 비교적 높은 파워 요구를 갖는 것 중에서 다수의 미리 지정된 동작 조건 중의 하나를 검출할 때마다 펄스 폭 변조(PWM) 모드에서 트랜시버에 파워를 배타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파워 스위칭 시스템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전원 모드(PSM) 유틸리티 또는 PSM 제어기는 트랜시버에 의해 현재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품질을 결정하고, 신호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문턱 레벨보다 작으면, PSM 제어기는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그러나, (a) 신호의 품질이 미리 설정된 문턱 레벨을 만족하고 (b) 트랜시버가 비교적 낮은 파워 요구를 가지면, PSM 제어기는 전원이 자율적으로 PFM 공급 모드 및 PWM 공급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트랜시버에 의해 파워 요구를 동적으로 결정하고, 파워 요구가 미리 설정된 문턱 요구 레벨을 초과하면, 제어기는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PSM 제어기는 장치가 동작의 액티브 트랜시버 모드에 있을 때 전원이 PWM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PSM 제어기는 특정 공급 모드에서 전원이 동작하도록 트리거하여 동시 동작 기능과 연관된 다수의 상이한 트랜시버 컴포넌트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PSM 제어기는, 각 레벨의 파워를 제공하여 동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다른 동시 동작 기능에 대하여 가장 높이 할당된 우선순위를 갖는 동작 기능의 선호 모드에서 전원이 동작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충분히 상세하게 기재되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행하게 하고,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논리적, 건축적, 프로그램적, 기계적, 전기적, 및 다른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이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상이한 도면의 설명에서, 유사한 엘리먼트에는 이전의 도면(들)과 유사한 이름 및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엘리먼트에 할당된 특정 번호는 설명을 돕기 위하여 제공되고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임의의 제한(구조적 또는 기능적)을 암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 기재된 실행 유틸리티/로직/펌웨어 등의) 특정한 컴포넌트, 장치 및/또는 파라미터 이름의 사용은 단지 예시적이며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암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제한없이 컴포넌트/장치/파라미터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상이한 명명법/용어로 설명될 수 있다.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 특징 또는 개념을 설명하는 임의의 특정 프로토콜 또는 상품명에 대한 참조는 단지 일 구현예의 예로서 제공되고, 이러한 참조는 주장하는 실시예를 상이한 엘리먼트, 특징 또는 개념 명칭이 이용되는 실시예로 확장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용어는 그 용어가 이용되는 문맥을 고려하여 가장 넓게 해석된다.
이하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능적 특징의 구현은 프로세싱 장치/구조 내에서 제공되고, 장치에 특정 유틸리티를 제공하도록 실행하는 몇 개의 소프트웨어 레벨 구성(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펌웨어의 조합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시된 도면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 아키텍쳐 내의 하드웨어 컴포넌트 및 소프트웨어/로직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재된 실시예의 기능적 양태 중의 소정의 양태가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듀얼 안테나 무선 통신 장치(100)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간략화를 위해, 무선 통신 장치(100)는 두문자어(WCD)(100)로 간략히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셀룰러 폰, 스마트폰 또는 랩탑, 넷북 또는 태블릿 컴퓨터 또는 유사 장치 등의 모바일 장치이다. 이처럼, WCD(100)는 트랜시버와 가변 전원을 갖고 양방향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WCD(100)는 프로세서(110),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14)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11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 및 인터페이스 회로(112)는 신호 버스(102)를 통해 메모리 엘리먼트(104)에 접속된다. WCD(100)는 WCD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RF(radio frequency) 트랜시버 집적 회로(IC)(116)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트랜시버의 송수신 기능이 무선으로 발생하고 무선 통신은 트랜시버 IC(116)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예를 들어, 안테나(118A) 및 안테나(118B))에 의해 용이해진다. 안테나의 수는 장치마다 단일 안테나로부터 2 이상의 안테나까지 변경할 수 있고, 2개의 안테나의 WCD(100) 내의 표시는 단지 예이다. WCD(100)는 예를 들어 안테나(118A/118B)를 통해 베이스 트랜시버 시스템(BTS)(130)(또는 간략히 기지국)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WCD(100)는 또한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기(120) 및 전원 시스템(122)을 포함한다.
WCD(100)의 상술한 하드웨어 컴포넌트에 더하여, 기재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은, 제어기(예를 들어, 제어기(120)), 메모리(104) 또는 다른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되고 DSP(114) 및 프로세서(110) 중의 하나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또는 펌웨어) 코드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을 통해 완료 및/또는 지원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메모리(104) 내에는, 장치 동작 모드 우선순위 데이터(106)를 포함하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로직 컴포넌트(또는 모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04)는 또한 PSM 유틸리티(108)를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PSM 유틸리티(108)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 및/또는 제어기(120) 상에서 실행되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추가의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로직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기재된 실시예에서, PSM 유틸리(108)는 제어기(120)가 소정의 전원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소정의 실행가능 코드를 제공한다. PSM 유틸리티(108)와 연관된 기능의 추가의 세부사항은 도 2 및 그 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제시된다.
PSM 유틸리티(108)에 의해 지원 및/또는 제공되는 기능 중의 소정의 기능은 무선 장치 프로세서 및/또는 다른 장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 프로세싱 로직(또는 코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서, PSM 유틸리티(108)에 의해 제공되는(또한 프로그램 명령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으로 지칭되는) 소프트웨어 코드 중에는, (a) 정상 장치 동작 동안 트랜시버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하여 PWM 공급 모드 및 PFM 공급 모드 양자에서 교환가능하게 동작하도록 전원을 미리 구성하는 로직; (b)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로직; (c) 신호의 품질 레벨이 미리 확립된 문턱 성능 레벨보다 낮은 것에 응답하여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는 로직; (d) 동적으로 변하는 장치 동작과 연관된 전원 요구의 레벨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로직; 및 (e) 전원 요구의 레벨이 문턱 전원 레벨을 초과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는 로직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PSM 유틸리티는 또한 (f) 통신 장치의 상이한 기능적 동적 모드와 각각 연관되는 다수의 동시 액티브 장치 동작에 대한 전원 요구를 평가하는 로직; 다수의 액티브 장치 동작 각각의 개별 우선순위 레벨을 결정하는(또는 동작 모드 우선순위의 미리 지정된 세트로부터 검색하는) 로직; 및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액티브 장치 동작에 대한 최상의 공급 모드로서 미리 확립된 공급 모드에서 전원이 동작하도록 트리거하는 로직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WCD)의 다른 예가 제시된다. WCD(200)는 전원(230)에 결합된 트랜시버(210)를 포함한다. 전원(230)은 제1 전원(232) 및 제2 전원(234)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원을 나타낼 수 있다. 전원(230) 중의 하나 이상은 트랜시버(210)에 전용일 수 있다. 반면에, 전원(232, 234) 중의 하나 이상은 트랜시버(210)와 다른 트랜시버(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즉, WCD(200)는 다수의 트랜시버(예를 들어,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트랜시버는 다수의 트랜시버에 걸쳐 공유되거나 특정 트랜시버에 고유하게 할당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원으로부터 파워를 수신한다.
트랜시버(210)에는 또한 제어기(220)가 결합된다. 전원(230)은 펄스 폭 변조(PWM) 모드 및 펄스 주파수 변조(PFM)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원(230)과 트랜시버(210) 사이에 접속된 파워 라인(들)(또는 버스 접속기(들))(260)은 하나 이상의 전원 전압 또는 전류를 트랜시버(210)에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파워 라인(260)은 하나 이상의 전원 전압 또는 전류를 트랜시버(210)에 각각 공급하는 개별 라인의 그룹을 나타낸다. 트랜시버(210) 및 제어기(220)를 접속하는 제어기-트랜시버 접속기(또는 버스)(240)는 트랜시버(210)에 의해 수신 및/또는 검출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특정 타입의 동작 정보 및/또는 신호를 제어기(22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20)에 제공되는 정보는 수신된 신호(들)(즉, 트랜시버(210)에 의해 수신 및/또는 프로세싱되는 하나 이상의 동시 발생 신호)의 품질에 대하여 제어기(220)에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품질 성능 메트릭은 (a) 수신 신호 강도 표시(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b) 정보 에러율; (c) 신호 대 잡음비(SNR) 및 (d)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변조 인덱스 중의 하나 이상과 연관된다. 이들 메트릭은 트랜시버(21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기(220)에 의해 동적으로 평가 및/또는 결정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어기(220)가 트랜시버(210)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품질이 문턱 레벨에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어기(220)는 제어기-전원 접속기(250)를 통해 전파된 제어 신호를 통해 전원(230)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그러나, 트랜시버(210)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품질이 문턱 레벨을 충족하면, 제어기(220)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제어기(220)가 이전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했고 제어기(220)가 후속으로 트랜시버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설정된 최소 기간 동안 문턱 레벨로 복귀한 것으로 결정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20)는 전원(230)이 정상 전원 모드로 복귀하도록 트리거하는 다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의 정상 전원 모드 동안, 제어기(220)가 전원(230)이 특정한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지 않으면, 전원(230)은 PWM 공급 모드와 PFM 공급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은 미리 확립된 기간 동안 제어기에 의해 (PWM 등의) 배타적 전원 모드로의 외부 스위칭이 허용되도록 설계된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은 배타적 동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제어기(220)로부터의 트리거의 수신 후에 미리 확립된 기간 만료 후에 정상 전원 모드(즉, 교번하는 및/또는 교대가능한 PWM 및 PFM 공급 모드)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제어기(220)에 의해 동시에 평가되는 실질적인 실시간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배타적 모드에서 전원이 동작하도록 주기적으로 트리거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20)는 또한 트랜비서(210)의 검출된 전원 요구에 기초하여 특정한 배타적 모드에서 전원이 동작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장치 트랜시버(예를 들어, 트랜시버(210))의 전원 요구가 통신 장치의 동작의 동적 변경 모드에 따라 변할 수 있고, 제어기는 동작의 현재 모드를 핸들링하는 트랜시버(들)의 파워 요구를 나타내는 실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기(220)는, 파워의 확립된 문턱 레벨보다 높은 소정의 파워 레벨이 트랜시버(들)(210)에 의해 요구될 때 PWM 공급 모드에서 전원(230)이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관련된 실시예에서, 제어기(220)는 장치(즉, WCD(200))가 (a) 트랜시버를 이용하는 제1 기능 모드 및 (b) 트랜시버를 이용하지 않는 제2 기능 모드 중의 하나에서 동작하는지를 검출한다. WCD(200)이 현재 제1 기능 모드에서 동작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어기(220)는 전원(230)이 PWM 공급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트리거한다. 그러나, 장치가 현재 제2 기능 모드에서 동작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어기(220)는 전원(230)이 PFM 공급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는 특정 트랜시버 컴포넌트의 특정 파워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트랜시버(210)의 상이한 컴포넌트들로의 파워의 그래뉼러 할당(granular assignment)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230)은 파워 라인(들)(260)(또는 버스 접속기)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전원 전압 또는 전류를 트랜시버(21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모드에서, 트랜시버(예를 들어, 트랜시버(210))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레벨의 전압 또는 전류를 요구 및/또는 이용하여 해당 트랜시버 집적 회로(IC) 내의 구성 회로 컴포넌트 중의 하나 이상에 동시에 파워를 공급한다. 상이한 레벨의 파워에 대한 트랜시버에 의한 이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전원(230)은 다수의 전원 라인(예를 들어, 파워 라인(260A, 260B, 260C))을 통해 트랜시버(210)에 접속하여 상이한 트랜시버 컴포넌트에 의해 요구되는 다양한 레벨을 동시에 제공한다. 제어기(220)는 트랜시버 RF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트랜시버 및/또는 다양한 트랜시버 컴포넌트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품질 레벨을 결정한다. 전원(230)을 트랜시버(210)에 접속하는 다수의 전원 라인은, 상이한 레벨의 파워를 요구하여 장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장치 기능을 제공하는 트랜시버 및 다양한 트랜시버 컴포넌트와 각각 연관된다. (트랜시버(210)의 제2 컴포넌트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제2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품질 레벨을 만족(즉, 충족 또는 초과)할 수 있지만, (트랜시버(210)의 제1 컴포넌트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제1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품질 레벨을 충족/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기(220)는 전원(230)이 제1 파워 라인을 통해 PWM 모드에서 트랜시버(210)의 제1 컴포넌트에 파워를 공급하도록 트리거한다. 반면에, 제어기(220)는 전원(230)이 자율적으로 (a) PWM과 PFM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거나 (b) PWM 모드와 PFM 모드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트랜시버(210)의 제2 컴포넌트에 파워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러나, 트랜시버(210)의 제2 컴포넌트에 의한 파워 요구(의 레벨)가 미리 설정된 문턱 요구 레벨보다 크면, 제어기(220)는 전원(230)이 PWM 모드만을 통해서 제2 컴포넌트로 (전원(232)을 통해) 파워를 제공하도록 트리거함으로써 전원(230)의 자율적인 스위칭 제어를 무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컴포넌트에 의한 파워 요구의 문턱 레벨 미만은 전원(234)이 자율적인 스위칭 모드에서 PFM 모드에서 파워를 제2 파워 라인을 통해 트랜시버(210)의 제2 컴포넌트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동시에, 전원(232)은 PWM 모드에서 제1 파워 라인을 통해 트랜시버(210)의 제1 컴포넌트로 파워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220)는 다른 동작 조건을 모니터하여 전원(230)이 특정한 공급 모드에서 파워를 공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20)는 전원(230)이 PWM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여 활성화된 PFM 공급 모드의 자기화율(susceptibility)에 관련된 전자기 간섭(EMI)이 RF 회로 동작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스위칭 시스템을 이용하는 다수의 트랜시버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가 도시된다. WCD(300)는 제1 트랜시버(310), 제2 트랜시버(311) 및 제3 트랜시버(312)를 포함한다. WCD(300)는 또한 제어기(320)를 포함한다. 제어기(320)는 제1 제어기-트랜시버 접속기(또는 버스)(340), 제2 제어기-트랜시버 접속기(342) 및 제3 제어기-트랜시버 접속기(344)를 통해 각각 제1 트랜시버(310), 제2 트랜시버(311) 및 제3 트랜시버(312)에 접속하여, 제어기(320)가 각각의 개별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해당 신호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제1 트랜시버(310), 제2 트랜시버(311) 및 제3 트랜시버(312)는 각각 제1 파워 라인(또는 버스 접속기(들))(360), 제2 파워 라인(362) 및 제3 파워 라인(364)을 통해 전원(330)에 결합된다. WCD(300)는 또한 제1 트랜시버(310) 및 제2 트랜시버(311)에 결합된 제1 안테나(318A) 및 제3 트랜시버(312)에 결합된 제2 안테나(318B)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전용 안테나(예를 들어, 제2 안테나(318B))이지만,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중의 하나 이상이 다양한 트랜시버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318A)가 제1 트랜시버(310)와 제2 트랜시버(311) 사이에서 공유된다.
전원(330)은 PWM 모드 또는 PFM 모드에서 스위칭가능하게 또는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원 라인(360, 362, 364)의 각각은 부분적으로 각각의 트랜시버의 특정 사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전원 전압 또는 전류를 전원(330)으로부터 트랜시버(310, 311, 312)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1 트랜시버(310)는 통신 장치(300)에 셀룰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셀룰러 통신 모드에서, 제1 트랜시버(310)는 다수의 상이한 레벨의 전압 또는 전류를 요구하여 트랜시버(310) 및 트랜시버 컴포넌트의 적절한 동작을 집합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워 라인(360)은 제1 트랜시버(310) 및 특히 트랜시버 컴포넌트에 다수의 상이한 레벨의 공급 전압 또는 전류을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개별의 분리된 전원 라인들 또는 버스 접속기들의 그룹이다. 결과적으로, 파워 라인(들)(360)은 제1 트랜시버(310) 및 해당 트랜시버 컴포넌트에 의해 요구되는 상이한 레벨의 파워를 제공하여 통신 장치(300)로의 셀룰러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어기(320)가, 각각의 제어기-트랜시버 접속기를 통해 검출 및/또는 수신된 수신 신호 품질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트랜시버에서 수신된 신호의 품질이 품질 성능 메트릭의 문턱 레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하면, 제어기(320)는 전원(330)이 PWM 공급 모드에서 접속기(350)를 통해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330)은 집합적으로 파워를 다양한 트랜시버에 공급하는 전원(330A) 및 전원(330B)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원(330A)은 전원 라인(들)(364)을 통해 제3 트랜시버(312)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용 전원으로 도시된다. 전원(330B)은 각각 전원 라인(들)(360) 및 전원 라인(들)(362)을 통해 제1 트랜시버(310) 및 제2 트랜시버(311)에 파워를 공급하는 공유 전원으로서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전원이 다수의 상이한 레벨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레벨의 파워를 공급하면서, 단일 전원은 하나의 전원 모드(즉, PWM 모드 또는 PFM 모드)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원 중의 하나 이상이 2개 이상의 트랜시버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전원이 각 단일 트랜시버에 파워를 제공하도록 전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시버 중의 2개 이상이 WCD(300)의 다수의 동시 액티브 동작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1 트랜시버(310)는 WCD(300)에 셀룰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제2 트랜시버(31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 또는 블루투스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 트랜시버(312)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접속 또는 WiFi(wireless fidelity)를 제공할 수 있다.
WCD(300)가 다수의 동시 동작 기능을 제공하지만 전체 장치에 단일 전원 모드만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이한 트랜시버에 대하여 상이한 전원 모드의 그래뉼러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아, 장치가 정상 전원 모드에 있거나 배타적으로 PFM 모드 또는 PWM 모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우선순위 방식이 제어기(300)에 의해 제공되어 장치에 대한 최상의 전체 전원 모드를 선택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기(320)는 WCD(300)의 상이한 동작 기능과 각각 연관된 이들 액티브 동시 장치 동작들 각각에 대한 전원 요구를 평가한다. 개별 장치 동작 기능들이 동시에 수행되면, 제어기(320)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액세스함으로써 액티브 장치 동작 기능들 각각의 개별 우선순위 레벨을 결정하고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액티브 장치 동작 기능에 대한 최상의 전원 모드로서 미리 확립된 공급 모드에서 전원이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동작 모드 및 특정 기능 동작 모드의 각각에 대한 해당 우선순위 및 연관된 선호 디폴트 전원 모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표가 도시된다. 3개의 동작 기능 또는 동작 모드 즉, WIFI, 셀룰러 통신 및 블루투스가 표(400)의 제1 열 내에서 식별된다. 표(400)에 의해 더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행(402)은, WIFI가 우선순위 "2"를 갖고 PFM이 WIFI 동작에 대한 선호 전원 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제2 행(404)은 셀룰러 통신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 즉, 우선순위 "1"을 갖고 PWM이 셀룰러 통신에 대한 선호 전원 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제3행(406)은, 블루투스가 우선순위 "3"을 갖고 PFM이 블루투스 동작에 대한 선호 전원 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기(320)가 장치가 세개의 모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검출 또는 수신하면, PSM 유틸리티를 이용하는 제어기는 장치 내의 저장 위치로부터 우선순위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현재 동작 기능 중의 어느 것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지를 결정하고, 그 가장 높은 우선순위 동작 기능과 연관된 선호 전원 모드를 식별하고, 전원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 동작 기능의 선호 전원 모드에 대응하는 전원 모드를 장치에 제공하도록 트리거한다. 표(400)의 특정 예에서(도 4), 제어기(320)는 제1 트랜시버(310)와 연관된 셀룰러 통신 서비스가 (3개의 트랜시버에 의해 집합적으로 인에이블된) 모든 동시 동작 중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즉, 우선순위 "1")를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어기(320)는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제어기(320)는 (셀룰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파워 요구의 현재 레벨이 미리 설정된 문턱 전원 레벨을 초과할 때에만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320)는 다른 미리 지정된 동작 모드 또는 동작 조건 및/또는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전원(230)이 특정한 공급 모드에서 파워를 공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320)는 낮은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 전원을 요구하는 장치 동작 모드에 대하여 PFM 모드를 (선호 모드로서) 지정할 수 있다. 특히, 제어기(320)는 PFM 전원 모드의 특정한 낮은 스위칭 주파수 공급 모드인 펄스 스킵핑 변조(PSM; pulse skipping modulation) 공급 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방법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되고 기재된 컴포넌트 및 기능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고 다양한 방법을 구현할 때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방법 중의 소정의 부분은 WCD(100/200/300)(도 1, 2 또는 3)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프로세서(110)/DSP(114)) 상에서 실행되는 PSM 유틸리티(108) 또는 제어기(320)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그 후,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WCD(100/200/300)의 특정 동작을 제어한다. 간략화를 위해, 방법을 설명할 때, 모든 방법 프로세스가 제어기(120/220/320)의 관점으로 기재된다. 또한, 도 5 내지 8의 다양한 방법은 제어기(120/220/320)에 의해 검출된 단일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전원 모드 선택을 예증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조건들 중 2개 이상이 동시에 제어기(120/220/320)에 의해 모니터될 수 있고 제어기(120/220/320)는 동작하는 장치에 대한 최상의 전원 모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검출된 중첩 조건 중의 어느 것이 우선권을 갖는지에 기초하여 어떤 전원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가 낮은 품질 신호를 프로세싱할 때 펄스 폭 변조(PWM) 모드를 통해 트랜시버에 배타적으로 파워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방법은 개시 블록(502)에서 시작하고, 트랜시버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이 PWM과 PFM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하는 정상 공급 모드에서 장치가 초기에 동작하는 블록(504)으로 진행한다. 정상 장치 동작 동안, 제어기(120/220/320)는 트랜시버의 현재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검출 및/또는 수신한다. 결정 블록(506)에서, 제어기(120/220/320)는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된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품질 레벨을 만족하지 못하는지를 결정한다. 결정 블록(506)에서, 제어기(120/220/320)가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된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품질 레벨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하면, 제어기(120/220/320)는 블록(5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미리 확립된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및/또는 신호 품질이 더이상 문턱 품질 레벨 미만이 아닌 것을 제어기(120/220/320)가 검출할 때까지 전원은 PWM 공급 모드에서 동작한다. 그러나, 결정 블록(506)에서,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품질 레벨 및 그 이상인 것으로 제어기(220/320)가 결정하면, 제어기는 전원을 조절하지 않고, 전원은 계속 정상 공급 모드에서 동작한다(블록 504). 프로세스는 블록(510)에서 종료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에 의한 높은 파워 요구가 있을 때 PWM 모드를 통해 파워를 트랜시버로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방법은 개시 블록(602)에서 시작하고, 트랜시버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이 PWM과 PFM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하는 정상 공급 모드에서 장치가 초기에 동작하는 블록(604)으로 진행한다. 결정 블록(606)에서, 제어기(120/220/320)는 트랜시버(들)의 검출된 전원 요구가 문턱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결정 블록(606)에서, 제어기(120/220/320)가 파워 요구 레벨이 문턱 레벨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어기(120/220/320)는 블록(6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PWM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그 후, 결정 블록(610)에서, 제어기(120/220/320)(또는 전원)는, PWM 모드로의 진입 후의 미리 설정된 기간(또는 타이머)이 만료했는지를 체크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량이 만료되면, 제어기는 다시 파워 요구 레벨이 문턱 레벨을 여전히 초과하는지를 체크한다(606). 그러나, 결정 블록(606)에서, 제어기(120/220/320)가 파워 요구 레벨이 문턱 레벨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면, 제어기는 계속 조건을 모니터하고 전원은 계속 정상 전원 모드에서 동작한다(604).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가 트랜시버 또는 액티브 트랜시버 모드에 있을 때 PWM 모드를 통해 트랜시버에 파워를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방법은 개시 블록(702)에서 시작하고, 트랜시버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이 PWM과 PFM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하는 정상 공급 모드에서 장치가 초기에 동작하는 블록(704)으로 진행한다. 결정 블록(706)에서, 제어기(120/220/320)는 통신 장치가 (액티브) 트랜시버 모드에 있는지, 즉, 트랜시버가 임의의 신호를 프로세싱하지 않는 패시브 트랜시버 모드에 비해 트랜시버가 액티브하게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결정 블록(706)에서, 제어기(120/220/320)는 통신 장치가 액티브 트랜시버 모드에 있지 않고 대신 패시브 트랜시버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전원은 계속 정상 공급 모드에서 동작한다(블록 704). 그러나, 결정 블록(706)에서, 제어기(120/220/320)가 통신 장치가 액티브 트랜시버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어기(120/220/320)는 블록(7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그 후, 제어기(120/220/320)는, 트랜시버가 액티브 트랜시버 모드에 진입한 것을 제어기(120/220/320)가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전원이 PWM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선택적으로 트리거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들)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는 다수의 동시 동작 기능 또는 동작 모드의 각각에 할당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원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방법은 개시 블록(802)에서 시작하고, 상이한 전압/전류를 트랜시버(들) 및/또는 트랜시버 컴포넌트에 제공하여 다수의 동시 액티브 동작 기능에 파워를 공급하는데 단일 전원, 예를 들어, 전원(232)이 요구되는 것을 제어기가 검출하는 블록(804)으로 진행한다. 블록(806)에서, 제어기(120/220/320)는 동시 동작 기능에 대한 저장된 미리 확립된 기능 우선순위 데이터를 검색한다. 블록(808)에서, 제어기(120/220/320)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액티브 동작 기능을 식별한다. 블록(810)에서, 제어기(120/220/320)는 전원 모드로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동작 기능의 선호 전원 모드를 선택한다. 블록(812)에서, 제어기(120/220/320)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액티브 동작 기능의 선호 전원 모드에서 전원이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한다. 전원, 예를 들어, 전원(232)은 블록(8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액티브 동작 기능의 선택된 선호 공급 모드를 통해 모든 동시 동작 기능에 각각의 레벨의 요구 파워를 제공한다. 프로세스는 블록(816)에서 종료한다.
여기에 제시되고 기재된 다양한 도면에서의 플로우챠트 및 블록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예의 아키텍쳐, 기능 및 동작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플로우챠트 또는 블록도 내의 각각의 블록은 특정한 논리적 기능(들)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임의의 다른 구현예에서, 블록에 기재된 기능은 도면에 기재된 순서를 벗어나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함되는 기능에 따라, 계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블록이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 프로세스가 특정 시퀀스로 기재되고 도시되지만, 프로세스의 특정 시퀀스의 사용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암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프로세스의 시퀀스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시퀀스의 사용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동등믈로 확장된다.
임의의 구현예에서, 방법의 소정의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동시 또는 상이한 순서로 결합 또는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블록도 및/또는 플로우챠트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플로우챠트 내의 블록의 조합은 특정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동등물이 그 엘리먼트를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그 필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에 특정 시스템, 장치 또는 컴포넌트를 적응시키기 위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용어 "제1", "제2" 등의 사용은 임의의 순서 또는 중요성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용어 "제1", "제2" 등은 하나의 엘리먼트를 다른 엘리먼트와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할 목적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컨텍스트가 명백히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기재된 특징, 완전체, 단계, 동작, 엘리먼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완전체, 단계, 동작, 엘리먼트, 컴포넌트 및/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의 청구범위 내의 모든 수단 또는 단계 플러스 기능 엘리먼트의 해당 구조, 물질, 동작 및 그 동등물은 특별히 주장되는 다른 청구 엘리먼트와 결합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구조, 물질 또는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며, 개시된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많은 변형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제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가장 잘 설명하고 특정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본 발명을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기재된 것이다.

Claims (10)

  1. 통신 장치로서,
    트랜시버;
    펄스 폭 변조(PWM) 공급 모드 및 펄스 주파수 변조(PFM) 공급 모드 중의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트랜시버에 전자적으로 결합되어 동작의 액티브 공급 모드에 따라 트랜시버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전원 및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되고 상기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된 신호의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성능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고, 그 외의 경우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원이 특정한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은 상기 PWM 공급 모드와 PFM 공급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어기는 동적으로 변하는 장치 동작들과 연관된 전원 요구의 레벨을 동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원 요구의 레벨이 문턱 전원 레벨을 초과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는, 통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레벨은 (a) 수신 신호 강도 표시(RSSI); (b) 정보 에러율(information error rate); (c) 신호 대 잡음비(SNR) 및 (d) 상기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변조 인덱스 중의 하나 이상과 관련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FM 공급 모드는 동작의 펄스 스킵핑 변조(PSM; pulse skipping modulation) 공급 모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a) 트랜시버를 이용하는 제1 기능 모드 및 (b) 상기 트랜시버를 이용하지 않는 제2 기능 모드 중의 하나에서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기능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트리거하고,
    상기 장치가 상기 제2 기능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PFM 공급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트리거하는, 통신 장치.
  6. 통신 장치로서,
    트랜시버;
    펄스 폭 변조(PWM) 공급 모드 및 펄스 주파수 변조(PFM) 공급 모드 중의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트랜시버에 전자적으로 결합되어 동작의 액티브 공급 모드에 따라 트랜시버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전원 및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되고 상기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된 신호의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성능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고, 그 외의 경우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원이 특정한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은 상기 PWM 공급 모드와 PFM 공급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장치의 기능 동작 모드들과 각각 연관된 액티브 동시 장치 동작 기능들에 대한 전원 요구들을 평가하고, 액티브 장치 동작 기능들의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을 결정하고,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액티브 장치 동작 기능에 대한 최상의 공급 모드로서 미리 확립된 공급 모드에서 상기 전원이 동작하도록 트리거하는, 통신 장치.
  7. 파워 스위칭 시스템으로서,
    파워를 트랜시버로 공급하기 위하여 PWM 공급 모드 및 PFM 공급 모드 중의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원; 및
    상기 전원 및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되고 상기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된 신호의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성능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고, 그 외의 경우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원이 특정한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은 상기 PWM 공급 모드와 PFM 공급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어기는 동적으로 변하는 장치 동작들과 연관된 전원 요구의 레벨을 동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원 요구의 레벨이 문턱 전원 레벨을 초과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는, 파워 스위칭 시스템.
  8. 파워 스위칭 시스템으로서,
    파워를 트랜시버로 공급하기 위하여 PWM 공급 모드 및 PFM 공급 모드 중의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원; 및
    상기 전원 및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되고 상기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된 신호의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성능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고, 그 외의 경우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원이 특정한 공급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은 상기 PWM 공급 모드와 PFM 공급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어기는,
    통신 장치의 기능 동작 모드들과 각각 연관된 액티브 동시 장치 동작 기능들에 대한 전원 요구들을 평가하고, 액티브 장치 동작 기능들의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을 결정하고,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액티브 장치 동작 기능에 대한 최상의 공급 모드로서 미리 확립된 공급 모드에서 상기 전원이 동작하도록 트리거하는, 파워 스위칭 시스템.
  9. 파워 스위칭 시스템에서의 방법으로서,
    액티브 공급 동작 모드에 따라 트랜시버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하여 PWM 공급 모드 및 PFM 공급 모드 중의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전원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시버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의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품질 레벨이 문턱 성능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와 PFM 공급 모드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스위칭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
    동적으로 변하는 장치 동작들과 연관된 전원 요구의 레벨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요구의 레벨이 문턱 전원 레벨을 초과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PWM 공급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파워 스위칭 시스템에서의 방법.
  10. 삭제
KR1020147002079A 2011-07-29 2012-07-23 수신 신호 품질이 낮을 때 레귤레이터에 대한 펄스 주파수 변조(pfm) 모드 록아웃 KR101569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94,503 2011-07-29
US13/194,503 US8937987B2 (en) 2011-07-29 2011-07-29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mode lock out for regulators when receive signal quality is low
PCT/US2012/047814 WO2013019447A1 (en) 2011-07-29 2012-07-23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mode lock out for regulators when receive signal quality is 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49A KR20140036349A (ko) 2014-03-25
KR101569299B1 true KR101569299B1 (ko) 2015-11-13

Family

ID=4675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079A KR101569299B1 (ko) 2011-07-29 2012-07-23 수신 신호 품질이 낮을 때 레귤레이터에 대한 펄스 주파수 변조(pfm) 모드 록아웃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7987B2 (ko)
EP (1) EP2737615B1 (ko)
KR (1) KR101569299B1 (ko)
CN (1) CN103733492B (ko)
WO (1) WO2013019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2819A (ja) * 2012-10-30 2014-06-19 Yokogawa Electric Corp 無線機器、入出力ユニット、無線ユニット、及び無線機器の設定方法
US9425619B2 (en) 2013-03-15 2016-08-23 Merlin Technology, Inc. Advanced inground device power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JP5898642B2 (ja) 2013-05-20 2016-04-06 横河電機株式会社 無線機器
US10228751B2 (en) 2014-08-06 2019-03-12 Apple Inc. Low power mode
US9647489B2 (en) 2014-08-26 2017-05-09 Apple Inc. Brownout avoidance
TWI580293B (zh) * 2015-11-03 2017-04-2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控制系統、無線通訊控制方法及移動裝置
US20170244245A1 (en) 2016-02-18 2017-08-24 Apparent Energy, Inc. Dielectric energy converter
ES2646931B2 (es) * 2016-06-17 2018-03-28 Universidad De Las Palmas De Gran Canaria Sistema de control redundante multifrecuencia para vehículos no tripulados
US11363133B1 (en) 2017-12-20 2022-06-14 Apple Inc. Battery health-based power management
KR20210043337A (ko) * 2019-10-11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변환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087140B (zh) * 2020-07-31 2022-01-04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多模式自动切换的两级谐振dc-dc转换器
US11994023B2 (en) 2021-06-22 2024-05-28 Merlin Technology, Inc. Sonde with advanced battery power conservation and associate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3591A (ja) * 2007-07-30 2009-02-12 Kyocera Corp 携帯端末
US20090230934A1 (en) * 2008-03-12 2009-09-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witched mode voltage converter with low-current mode and methods of performing voltage conversion with low-current mode
JP2011114992A (ja) * 2009-11-30 2011-06-09 Casio Computer Co Ltd 電子機器、及び電源回路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220A (en) 1997-04-25 2000-11-14 Triquint Semiconductor, Inc. Battery life extending technique for mobile wireless applications
JP4110926B2 (ja) * 2002-07-11 2008-07-02 富士電機デバ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2004173421A (ja) * 2002-11-20 2004-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c/dcコンバータ
US7173404B2 (en) * 2004-08-11 2007-02-06 Niko Semiconductor Co., Ltd. Auto-switching converter with PWM and PFM selection
WO2006102931A1 (en) 2005-04-01 2006-10-0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oltage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7679433B1 (en) 2007-02-02 2010-03-1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RF power amplifier power regulation and modulation envelope tracking
US7826815B2 (en) 2007-07-13 2010-11-02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selection of oscillation signal frequency for power converter
US7592791B2 (en) * 2007-08-07 2009-09-22 Newport Media, Inc. High efficiency DC-DC converter using pulse skipping modulation with programmable burst duration
CN101504541B (zh) 2008-02-05 2013-07-10 夏燕江 被触感再现系统及方法
US7746673B2 (en) 2008-05-10 2010-06-29 Active-Semi, Inc. Flyback constant voltage converter having both a PWFM mode and a PWM mode
CN101540541B (zh) * 2009-03-06 2011-07-20 电子科技大学 功率变换器的psm或pwm双模调制切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3591A (ja) * 2007-07-30 2009-02-12 Kyocera Corp 携帯端末
US20090230934A1 (en) * 2008-03-12 2009-09-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witched mode voltage converter with low-current mode and methods of performing voltage conversion with low-current mode
JP2011114992A (ja) * 2009-11-30 2011-06-09 Casio Computer Co Ltd 電子機器、及び電源回路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33492A (zh) 2014-04-16
KR20140036349A (ko) 2014-03-25
US20130028300A1 (en) 2013-01-31
EP2737615B1 (en) 2016-05-18
WO2013019447A1 (en) 2013-02-07
US8937987B2 (en) 2015-01-20
EP2737615A1 (en) 2014-06-04
CN103733492B (zh)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299B1 (ko) 수신 신호 품질이 낮을 때 레귤레이터에 대한 펄스 주파수 변조(pfm) 모드 록아웃
JP6700319B2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の切換えおよび負荷分散のための方法
KR101310558B1 (ko)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의 자원 공유
US11012139B2 (en) Adaptive multiplexing and transmit/receive diversity
US201500299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carrier supporting operation
US20140226502A1 (en) Coexistence of cellular and connectivity networks with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CA2944268C (en) Method and converged communication device for enhancing broadband and narrowband communication
KR20110121297A (ko) 이중 모드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자동 심카드 선택을 위한 장치및 방법
KR20150105969A (ko) 공통 전원에 커플링된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2009089052A (ja) 無線通信装置
US20130176876A1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US100640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load balancing in wireless networks
US9271170B1 (en) Channel adaptation in sensor networks
US955433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230276226A1 (en) Capability reporting and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apparatus, and medium
KR102057899B1 (ko) 이종망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7104033A (ja) 無線lanシステムを構成するステーション
US9049582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onitor power management efficiency
EP2618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PAN) device
CN103188770A (zh) 电子设备的模式切换方法和电子设备
CN108141805B (zh) 最小化在网络连接切换期间的用户中断的技术
US9363848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07318698A (ja) 通信管理方法及び管理サーバ
US9301130B2 (en) Base st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N115119220A (zh) 检测窗口确定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