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003B1 - 유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003B1
KR101569003B1 KR1020107022252A KR20107022252A KR101569003B1 KR 101569003 B1 KR101569003 B1 KR 101569003B1 KR 1020107022252 A KR1020107022252 A KR 1020107022252A KR 20107022252 A KR20107022252 A KR 20107022252A KR 101569003 B1 KR101569003 B1 KR 101569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rod
valve body
pi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865A (ko
Inventor
유키노리 가리하라
Original Assignee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06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 G01P13/0026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by using deflection of baffle-plates
    • G01P13/0033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by using deflection of baffle-plates with electrical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1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check valves with a hinged or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2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 G01F1/2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of the valv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2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drag-force, e.g. vane type or impact flow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98Pivoted valves
    • Y10T137/7903Weight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 Y10T137/8225Position or extent of motion indicator
    • Y10T137/8242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밸브체(7)의 개방에 따라 회전하는 감지봉(11)의 변위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유수감지장치(A)에 있어서, 감지봉(11)을 축지하는 핀(P)을 항상 밸브체(7)의 밸브축(9)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어, 감지봉(11)이 밸브체(7)에 대하여 기울어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밸브체(7)의 개폐에 따른 감지봉(11)의 회전에 의한 유수의 감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유수감지장치(A)에는, 밸브체(7)의 밸브봉(9)과 평행하게 되도록 감지봉(11)의 핀(P)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핀(P)의 축받이(21A)를 형성한 리테이너(21)와, 리테이너(21)를 지지하여 볼트에 의하여 본체(1)에 부착하는 익스텐드 블록(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테이너(21)와 익스텐드 블록(22)에는 회전 제한부로서의 돌기(21B)와 홈(22C)이 형성되고, 이들은 서로 요철결합 한다. 따라서 감지봉(11)의 핀(P)을 항상 밸브체(7)의 밸브봉(9)과 평행하게 하여서 감지봉(11)이 밸브체(7)에 대하여 기울어서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감지봉(11)의 회전시의 변위량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의 내부에 유수가 발생하여 밸브체(7)가 개방된 것을 감지봉(11)의 회전변위에 의하여 항상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작동감지의 신뢰성이 높은 유수감지장치(A)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수감지장치{FLOWING-WATER DETECTOR}
본 발명은, 충수(充水)되어 있는 배관내의 유수(流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유수감지장치(流水感知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설비 배관(消火設備配管)상에 설치되는 유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수감지장치는 스프링클러 설비(sprinkler 設備)나 거품소화 설비 등의 소화설비 배관상에 설치되어, 배관내의 유수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유수감지장치의 내부는 첵크밸브 구조(check valve 構造)를 하고 있고, 밸브체(valve體)에 의하여 내부가 1차측실(1次側室)과 2차측실으로 나누어지고 밸브체는 항상 폐쇄상태(閉鎖狀態)에 있다. 1차측실 및 2차측실은 항상 충수되어 있고, 1차측실에 접속된 배관(이하, 「1차측 배관」이라고 한다)은 저수조(貯水槽) 등의 수원(水源)에 접속되고, 2차측실에 접속된 배관(이하, 「2차측 배관」이라고 한다)은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나 거품 헤드 등의 살포 헤드(撒布 head)에 접속되어 있다.
유수감지장치는 2차측 배관에 설치된 살포 헤드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어, 예를 들면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하면 2차측 배관에 충수되어 있는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방출(放出)됨으로써 2차측 배관의 관내의 압력이 감소한다. 그것에 의하여 유수감지장치의 2차측실의 내부의 압력도 감소하여 밸브체에 작용하는 압력의 힘의 균형이 무너지고, 1차측실측으로부터 밸브체에 작용하는 힘이, 2차측실측으로부터 밸브체에 작용하는 힘을 상회(上廻)하여 밸브체가 개방된다.
유수감지장치에는 이 밸브체의 개방을 감지하는 스위치 장치(switch 裝置)를 구비하고 있어, 스위치 장치가 작동하여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신호는 건물의 관리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장치와 접속되어 있어, 감시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관리인 등에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한 것을 알린다.
이러한 유수감지장치의 종래의 예로서는, 스윙척 구조(swing chuck 構造)의 밸브체를 구비하는 밸브 본체와, 밸브체의 개방과 연동하는 감지봉과, 밸브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밸브체의 개방과 연동하는 감지봉의 변위(變位)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을 갖추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유수감지장치는,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지봉으로서 막대 모양의 스위치 조작용 회전암(31)을 구비한다. 이 스위치 조작용 회전암(31)은, 그 일단(一端)에 설치된 패들부(paddle部)(3lb)가 밸브체(D)의 상부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회전암(31)의 타단(他端)측은 밸브 본체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고 스위치 캠부(31c)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캠부(31c)의 근방에는 신호출력이 가능한 리드 스위치(35)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암(31)은 밸브 본체와 리드 스위치(35) 사이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32)에 의하여 축지(軸支)되어, 패들부(3lb)가 밸브체(D)의 개방에 따라 변위하면 회전암(31)은 회전축(32)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여 스위치 캠부(31c)가 리드 스위치(35)를 작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55400호 공보
상기한 유수감지장치의 회전축(32)은, 밸브 본체(첵크밸브 케이싱(V))에 있어서 리드 스위치(35)를 부착하는 리드 스위치 부착용 슬리브(29)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드 스위치 부착용 슬리브(29)와 밸브 본체는 나사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용 슬리브(29)를 밸브 본체에 나사로 체결할 때에, 회전축(32)이 수평이 되지 않고 기운 상태로 설치될 우려가 있다. 혹은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축(32)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유지보수시에 상기 부착용 슬리브(29)를 떼었다가 다시 부착했을 때에도 수평이 되지 않고 기울어져 설치되어버릴 가능성이 있고, 그것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용 회전암(31)의 회전축(32)이 밸브체(D)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되지 않고 기울어져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 조작용 회전암(31)이 밸브체(D)에 대하여 기울어서 접촉하고 있으면, 밸브체(D)의 개방시에 스위치 조작용 회전암(31)이 생각하지 않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소정의 성능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배관의 내부에 유수가 발생하여 밸브체가 개방됨으로써 회전하는 감지봉의 변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유수감지장치에 대해서, 상기 감지봉의 회전축을 항상 밸브체의 회전축(밸브축)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수감지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유수감지장치를 제공한다.
(1)즉 본 발명은, 스윙척 구조의 밸브체를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축방향이 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는 감지봉과, 감지봉을 밸브체와 접촉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감지봉의 회전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로서, 감지봉을 축지하는 핀은 중공형상의 리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리테이너는 본체와 스위치 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리테이너에는 축방향이 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핀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 지지수단에 의하여 리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감지봉을 회전하도록 축지하는 핀의 축방향이 물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항상 교차하는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2)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지지수단으로서 리테이너의 표면에 돌기 또는 구멍이나 홈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와 스위치 수단 사이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수용부를 형성한 익스텐드 블록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 지지수단으로서 리테이너의 표면에는 돌기 또는 구멍이나 홈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가 익스텐드 블록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테이너의 위치 어긋남나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리테이너내에 설치된 핀의 축방향이 항상 물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3)또 본 발명은, 스윙척 구조의 밸브체와 밸브축을 구비하는 통 모양의 본체와,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밸브체의 개폐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감지봉과, 감지봉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핀과, 감지봉의 회전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에 대해서, 밸브체의 밸브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지지부재에 본체에 대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의 밸브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지지부재에 본체에 대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구비하므로, 감지봉의 회전축을 항상 밸브체의 밸브축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어, 밸브체의 개폐에 따른 감지봉의 회전에 의한 유수의 감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4)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지지부재가 핀을 지지하는 홈 또는 구멍을 구비하는 리테이너와 리테이너를 지지하여 본체에 부착하는 익스텐드 블록이며, 회전 제한부가 리테이너와 익스텐드 블록의 대향면에 형성한 돌기와 오목부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5)또한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지지부재가 핀을 지지하는 홈 또는 구멍을 구비하는 리테이너와 리테이너에 면하는 스위치 수단을 설치하는 케이싱이며, 회전 제한부가 리테이너와 케이싱과의 대향면에 형성한 돌기와 오목부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에 의하여 핀을 밸브체의 밸브축과 평행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 회전제한부재에 의하여 리테이너의 위치 어긋남이나 덜거덕거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6)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지지부재가 핀을 지지하는 홈 또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내부에 스위치 수단을 설치하는 케이싱이며, 회전 제한부가 케이싱과 본체와의 대향면에 형성한 돌기와 오목부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수단을 설치하는 케이싱에 의하여 핀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핀을 지지하는 위한 것 이외의 부품이 불필요 하고, 또 회전 제한부에 의하여 본체에 대한 케이싱의 위치 어긋남이나 덜거덕거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7)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밸브체가 열리는 방향으로 감지봉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의 개폐시의 회전에 감지봉의 회전을 연동시켜서 유수를 감지하면서도, 감지봉에 의하여 밸브체에 대하여 폐쇄하중을 부여하는 일이 없으므로, 대구경의 작동 밸브형의 유수감지장치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8)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스위치 수단을 수용하는 케이싱이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수단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본체와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케이싱측에 감지봉나 밀봉재(密封材)를 조립하도록 하여 본체와 독립된 유닛품(unit品)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9)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리테이너에는 밀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감지봉을 삽입하는 통 모양부와, 통 모양부의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과 리테이너의 일면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에 설치한 밀봉부재의 연결부의 일면과 워셔(washer)를 사이에 둔 리테이너의 일면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밀봉부재의 연결부가 유수감지장치의 본체로부터의 물의 압력을 받았을 때에 리테이너의 일면측으로 가압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결부와 리테이너의 밀착에 의하여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10)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리테이너에는 밀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감지봉을 삽입하는 통 모양부와, 통 모양부의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의 가장자리가 리테이너와 익스텐드 블록에 의하여 협지(挾持)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부재의 돌출부를 리테이너와 익스텐드 블록에 의하여 협지함으로써 감지봉의 회전에 의하여 밀봉부재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 밀봉부재가 빠져 물이 누설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11)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밀봉부재의 연결부와 리테이너 사이에는 2매의 워셔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2매의 워셔의 한 면 상호간이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봉이 회전할 때에 감지봉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2매의 워셔가 슬라이딩 함으로써 밀봉부재의 연결부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12)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워셔의 표면에 코팅을 실시한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셔의 슬라이딩 동작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13)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밀봉부재가 본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통 모양의 홀더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재가 본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4)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홀더의 구멍형상을 장공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의 구멍형상을 장공으로 함으로써, 감지봉이 유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나 유수방향과 평행하게 회전할 때의 회전량(각도)을 제한할 수 있다.
(15)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리테이너에 있어서 케이싱측의 선단이 케이싱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에 있어서 케이싱측의 선단이 케이싱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리테이너내의 핀에 의하여 축지되어 있는 감지봉과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나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의 위치관계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16)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감지봉에 있어서 케이싱측의 끝에 탄성체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는 감지봉상에 설치된 스프링 시트와 케이싱에 설치된 스프링 시트에 장착되고, 스프링 시트에는 감지봉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량 제한수단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봉에 있어서 본체측의 단부가 밸브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무리하게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17)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감지봉에 있어서 본체측의 선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테두리가 둥근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가 개방동작을 할 때에 감지봉도 그것에 따라 회전동작을 하는데, 감지봉이 밸브체의 돌출부로부터 떨어질 때까지는 돌출부의 표면을 플랜지부가 미끄러지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그 때의 미끄러짐 동작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유수감지장치에 의하면, 감지봉의 회전축을 항상 밸브체의 밸브축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어, 감지봉이 밸브체에 대하여 기울어서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감지봉의 회전시의 변위량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의 내부에 유수가 발생하여 밸브체가 개방된 것을 감지봉의 회전변위에 의하여 항상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작동감지의 신뢰성이 높은 유수감지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일반 빌딩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 크기(유수감지장치의 검정세칙(檢定細則)에 기재되어 있는 「크기의 명칭」)가 65A(2-1/2")∼200A(8")(JIS규격)인 정도의 비교적 대구경(大口徑)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작동감지의 신뢰성이 높은 작동 밸브형의 유수감지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유수감지장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X-X 단면도.
도3은, 도2의 Y-Y 단면도.
도4는, 도3의 케이싱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5는, 도4의 리테이너와 그 주변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6은, 도5의 밀봉부재와 그 주변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7은, 도5의 감지봉이 밸브체의 개방에 따라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8은, 익스텐드 블록과 리테이너와의 부분 조립도.
도9는, 홀더의 구멍형상이 장공으로 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10은, 리테이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1은, 핀을 지지하는 케이싱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2는, 밀봉부재와 워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13은, 밀봉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14는, 종래의 유수감지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 실시예를 도1에서부터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유수감지장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X-X 단면도, 도3은 도2의 Y-Y 단면도, 도4는 도3의 케이싱 부분의 확대도, 도5는 도4의 리테이너 부근의 확대도, 도6은 도5의 밀봉 부근의 확대도, 도7은 도5에 있어서의 감지봉이 회전한 상태, 도8은, 익스텐드 블록과 리테이너의 부분 조립도, 도9는 홀더의 구멍형상을 장공으로 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10은 리테이너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11은 핀을 지지하는 케이싱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12는 밀봉부재와 워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13은 밀봉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다.
도1에서부터 도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유수감지장치(A)는, 본체(1), 케이싱(2), 배수밸브(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는 중공통 형상(中空筒形狀)으로서 내부는 분리벽(分離壁)(4)에 의하여 1차측실(1次側室)(I)과 2차측실(II)로 나누어져 있다. 분리벽(4)에는 연통구멍(5)이 형성되어 있고, 그 2차측실(II)의 측에는 환상(環狀)의 밸브 시트(valve sheet)(6)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6)의 위에는 원반형상(原盤形狀)의 밸브체(valve體)(7)가 착좌(着座)하고 있고, 밸브체(7)의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원통 모양의 축받이(8)가 형성되어 있고, 축받이(8)에는 밸브봉(valve棒)(9)이 삽입되어 있다. 밸브봉(9)은 본체(1)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가설됨과 아울러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밸브체(7)는 밸브봉(9)을 축으로 하여 2차측실(II)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첵크밸브 구조로 되어 있어, 밸브체(7)가 2차측실(II)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 시트(6)로부터 떨어짐으로써 1차측실(I)의 유체가 환상의 밸브 시트(6)의 안을 통하여 2차측실(II)로 통과 가능하게 된다.
밸브체(7)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한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다(도2, 도3). 돌출부(10)에 있어서 밸브 시트(6)의 측의 면에는 감지봉(感知棒)(11)의 단부(11A)가 접촉하고 있다. 이 감지봉(11)은 중간에서 핀(P)에 의하여 축지(軸支)되어 있고(도4), 도면에 있어서 상하로 회전동작 가능한 구성이다. 감지봉(11)의 단부(11A)가 밸브체(7)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감지봉(11)은 대략 수평상태로 되어 있다.
감지봉(11)의 단부(11A)의 선단에는 플랜지부(F)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F)의 테두리는 둥근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둥근 형상을 함으로써, 밸브체(7)가 개방동작을 할 때에 감지봉(11)도 그것에 따라 회전동작을 하지만, 감지봉(11)이 밸브체(7)의 돌출부(10)로부터 떨어질 때까지는 돌출부(10)의 표면을 플랜지부(F)가 미끄러지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돌출부(10)에 대한 감지봉(11)의 미끄러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랜지부(F)는 원반 형상이 아니라 구체(球體) 형상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감지봉(11)에 있어서 밸브체(7)와 접촉하고 있는 끝과 반대측의 단부(11B)는, 본체(1)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고 케이싱(2)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도4,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부(11B)에는, 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기둥 모양의 스프링 시트(spring sheet)(12)가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 시트(12)에 있어서 도면에서 상방에는 베이스(B)에 부착되는 스프링 시트(13)가 설치되어 있다. 양 스프링 시트(12, 13) 사이에 탄성체로서 코일 스프링(coil spring)(14)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12)는 기둥 모양이며, 그 일단에는 수나사(12A)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12A)는 감지봉(11)의 단부(11B)에 형성된 암나사(11C)에 나사결합 된다. 수나사(12A)와 암나사(11C)는 핀(P)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 시트(12)의 중간부에는 코일 스프링(14)의 단부가 착좌하는 단차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12B)로부터 코일 스프링(14)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둥부(12C)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13)에도 스프링 시트(12)와 마찬가지로 수나사(13A), 단차부(13B) 및 기둥부(13C)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부(12C, 13C)의 선단은, 감지봉(11)의 단부(11A)가 밸브체(7)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약간의 간격(틈)을 사이에 두고 근접하고 있는 상태로 있다. 그리고 밸브체(7)가 개방하여 감지봉(11)의 단부(11A)가 밸브체(7)와 분리된 상태가 되면,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지봉(11)의 단부(11B)가 코일 스프링(14)의 가압력(탄성력)을 받아서 핀(P)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보다 하측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둥부(12C)가 기둥부(13C)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평상시에 있어서 기둥부(12C, 13C)의 선단을 접촉 혹은 근접 시키도록 설치하고 있는 것은, 감지봉(11)의 단부(11B)의 비정상적인 회전에 의하여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limit swithc 加壓片)(15)이나 접촉자(接觸子)(16)를 부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즉 예를 들면 감지봉(11)의 단부(11A)와 밸브체(7)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서 감지봉(11)의 단부(11A)가 수평보다 분리벽(4)의 측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기둥부(12C)와 기둥부(13C)가가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감지봉(11)이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4)은 감지봉(11)의 단부(11B)를, 평상시에 있어서 도면에서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부(11B)의 반대측의 단부(11A)는, 핀(P)을 회전축으로 하여 도면에서 상방, 즉 밸브체(7)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코일 스프링(14)의 가압력(탄성력)은 밸브체(7)가 개방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힘이다.
또한 감지봉(11)의 단부(11B)에는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15)에 접촉하는 접촉자(16)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접촉자(16)는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15)을 리미트 스위치(1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접촉자(16)는 상기의 스프링 시트(12)와 감지봉(11)의 단부(11B)로 협지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접촉자(16)가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15)을 가압하는 방향에는 지연기구(遲延機構)(18)가 설치되어 있다. 지연기구(18)는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15)의 동작을 느리게 하는 작용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에어 댐퍼(air damper)나 오일 댐퍼(oil damper)를 사용한 구조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지연기구(18)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4에서부터 도8에 나타내는 감지봉(11)을 축지하는 핀(P)은, 판자 모양이고 중앙에 구멍(20)을 구비하는 리테이너(21)의 구멍(20)의 중심과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21)의 일면(一面)측에는 핀(P)을 수용하는 홈 모양의 축받이(21A)가 형성되어 있다. 핀(P)은 후술하는 워셔(washer)(27)에 의하여 축받이(21A)로부터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테이너(21)는 케이싱(2)의 베이스(B)와 익스텐드 블록(extend block)(22) 사이에 설치된다. 익스텐드 블록(22)은 본체(1)와 케이싱(2)을 접속하는 부재다. 익스텐드 블록(22)은, 유수감지장치(A)의 본체(1)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가 삭감되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독립된 부품으로서 형성하여 케이싱(2)에 조립함으로써 케이싱(2)을 유닛품(unit品)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본체(1)로부터 케이싱(2)을 분리하여 점검하거나 교환하거나 할 수 있다.
익스텐드 블록(22)에는 복수의 볼트에 의하여 본체(1)에 접속하기 위한 볼트 관통구멍(22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본체(1)에는 볼트 관통구멍(221)과 대응하는 위치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익스텐드 블록(22)의 내부에는 본체(1)의 2차측실(II)과 통하는 구멍(22A)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22A)의 중간부에 형성된 단차(22B)에 리테이너(21)가 밀봉부재(23)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이 밀봉부재(23)는 충수된 본체(1)의 내부를 케이싱(2)의 내부에 대하여 액체가 새지 않게 지지하는 것이다.
익스텐드 블록(22)에 있어서 케이싱(2)의 측의 면에는, 리테이너(21)를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리테이너 지지수단」으로서 홈(22C)이 형성되어 있고, 리테이너(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1B)와 결합함으로써 리테이너(21)가 익스텐드 블록(22)의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1)의 위치 어긋남이나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리테이너(21)의 축받이(21A)에 설치된 핀(P)의 축은 유수감지장치(A)의 안을 흐르는 수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핀(P)에 의하여 축지되는 감지봉(11)은, 그 단부(11A, 11B)가 상기 수류방향과 평행한 흔들림 동작을 할 수 있다.
리테이너(21)와 익스텐드 블록(22)의 결합구조는 상기 실시예 이외에, 리테이너(21)의 외형측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그것과 대응하는 결합돌기를 익스텐드 블록(22)에 형성하는 것이나, 리테이너(21)의 외형을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하여 익스텐드 블록(22)에도 동일한 형상의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혹은 리테이너(21)와 익스텐드 블록(22)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켜서 복수의 비스(vis) 등에 의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밀봉부재(23)는 통 모양으로 고무 등의 탄성을 구비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감지봉(11)의 회전동작에 대하여 변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밀봉부재(23)의 통부에는 감지봉(11)이 삽입된다. 밀봉부재(23)는 밀봉부재(23)의 성형시에 감지봉(11)을 삽입하여 성형함으로써 일체의 성형체로 하여도 좋다. 감지봉(11)에 있어서 밀봉부재(23)가 설치되는 표면에 널링(knurling)을 실시하면 밀봉부재(23)의 빠짐이 방지된다.
밀봉부재(23)에 있어서 리테이너(21)측의 끝에는 통부의 축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확장하는 얇은 두께의 연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4)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익스텐드 블록(22)의 측으로 돌출하는 단면이 볼록한 모양의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5)는 리테이너(21)와 익스텐드 블록(22)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다.
감지봉(11)의 회전에 의하여 밀봉부재(23)에 부하가 가해져도, 연결부(24)의 탄성에 의하여 밀봉부재(23)가 탄성변형 하기 때문에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4)의 가장자리의 돌출부(25)는 리테이너(21)와 익스텐드 블록(22)에 의하여 협지되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감지봉(11)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밀봉부재(23)가 빠져서 물이 누설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24)와 익스텐드 블록(22) 사이에는 원통 모양의 홀더(H)가 설치된다. 유수감지장치(A)를 설치하는 때는 2차측의 배관을 충수하지만, 이 때에 2차측의 배관에는 에어 포켓(air pocket)의 영향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잔류해버린다. 이 압축공기는 유수감지장치(A)의 유수를 감지하는 감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그 영향이 걱정되는 경우에는 충수후에 2차측의 배관을 진공펌프로 진공처리 하여 잔류공기를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그 2차측의 배관의 진공처리에 의하여 밀봉부재(23)가 본체(1)의 2차측실(II)의 방향으로 당겨져서 정규의 부착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밀봉부재(23)가 정규의 부착위치로부터 벗어나면, 2차측의 배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홀더(H)는 그러한 밀봉부재(23)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홀더(H)의 일단은 연결부(24)에 대하여 접촉 또는 근접 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홀더(H)의 외주부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이것을 익스텐드 블록(22)의 단차부(22B)와 결합시키도록 하여 홀더(H) 그 자체와 밀봉부재(23)의 불필요한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홀더(H)의 내주부는 본체(1)를 향하여 깔때기 모양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taper形狀)으로 되어 있고, 회전동작 하는 감지봉(11)과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홀더(H)의 내주부의 구멍 형상은 정원형(正圓形)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은 장공(H1)로서 형성하면 더 바람직하다. 이 장공(H1)에 대해서는 그 폭을 감지봉(1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회전하는 감지봉(11)이 유수방향과 직교방향으로 떨리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유수감지장치(A)에서는 밸브체(7)의 개방과 연동하는 감지봉(11)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리미트 스위치(17)에 의한 신호의 발생을 제어한다. 그런데 감지봉(11)이 유수방향과 직교방향으로 불안정 하게 흔들리면서 회전해버리면, 감지봉(11)의 회전량이 밸브체(7)의 회전량에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게 되어서 리미트 스위치(17)에 의한 신호의 발생에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장공(H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회전하는 감지봉(11)을 접촉시킴으로써 유수방향과 평행하게 회전할 때의 회전량(각도)을 제한할 수 있다.
밀봉부재(23)의 연결부(24)와 리테이너(21) 사이에는, 감지봉(11)을 삽입한 2매의 워셔(26, 27)가 부착되어 있다. 2매의 워셔(26, 27)는 대향면을 접촉시킨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워셔(26, 27)를 삽입시킴으로써 감지봉(11)의 회전동작시에 워셔(26, 27)의 접촉면 상호간이 슬라이딩 하여 감지봉(11)의 회전동작을 매끄럽게 함과 아울러 감지봉(11)이 회전할 때에 연결부(24)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고 있다. 리테이너(21)와 접촉하는 워셔(27)는, 수압이 작용하는 밀봉부재(23)의 연결부(24)를 요철이 없는 평평한 평면으로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워셔(27)가 없다면, 본체(1)의 측으로부터의 수압에 의하여 연결부(24)가 리테이너(21)의 축받이(21A)를 파고 들어가서 파단(破斷)할 우려가 있지만, 워셔(27)에 의하여 축받이(21A)를 포함하는 리테이너(21)의 요철을 연결부(24)에 대하여 노출시키지 않는 본 실시예에서는 그 단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워셔(27)의 외경은 연결부(24)의 외경과 같은 것으로 하고 있다. 한편, 워셔(27)의 내경은 감지봉(11)의 회전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간격(틈)이 생길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밀봉부재(23)와 접촉하는 워셔(26)는, 내경이 감지봉(11)과 같은 정도이고, 외경이 워셔(27)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워셔(26)가 없을 경우에, 수압을 받는 연결부(24)가 워셔(27)와 감지봉(11) 사이의 간격(틈)을 파고 들어가서 파단할 우려가 있지만, 내경이 감지봉(11)과 같은 정도의 워셔(26)에 의하여 그 간격(틈)을 막는 본 실시예에서는 그 단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워셔(26, 27)의 표면에는 수지 코팅(樹脂 coating)이 실시되어 있다. 수지 코팅은 워셔(26, 27) 상호간의 윤활성(潤滑性)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실시되어 있어, 감지봉(11)이 회전할 때에 워셔(26, 27) 상호간의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해져 감지봉(11)의 회전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수지 코팅 이외에 워셔(26, 27) 상호간의 슬라이딩을 매끈하게 하는 작용을 가지는 도금처리(鍍金處理)나 도장·피막(塗裝·皮膜)을 실시하여도 좋다.
밀봉부재(23)의 연결부(24)의 일면과 워셔(26, 27)를 사이에 둔 리테이너(21)의 일면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연결부(24)가 본체(1)내의 물의 압력을 받았을 때에 연결부(24)와 돌출부(25)가 워셔(27), 익스텐드 블록(22)에 밀착하여 방수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리테이너(21)에 있어서 베이스(B)와의 대향면에는, 구멍(20)의 가장자리로부터 베이스(B)의 방향으로 단차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30)가 베이스(B)의 구멍(B1)에 삽입되어 있고, 베이스(B)상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17) 등과의 위치관계가 적절하게 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30)내의 구멍은 감지봉(11)의 단부(11B)를 향하여 확대되는 테이퍼(taper)가 형성되어 있고, 감지봉(11)이 회전동작 했을 때에 단차부(30)의 내주면과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배수밸브(3)는, 점검이나 유지보수시에 본체(1)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로서, 케이싱(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배수밸브(3)의 내부는 앵글 밸브 구조(angle valve 構造)로 되어 있고, 배출구는 도1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배수밸브(3)의 개폐조작을 하는 핸들은 전방측에 설치되어, 핸들의 조작이 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계속하여 본 실시예의 유수감지장치(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유수감지장치(A)는 소화설비 배관에 설치되고, 1차측실(I)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펌프 등의 급수장치 및 저수조 등의 수원과 통하는 배관에 접속되고, 2차측실(II)에 접속된 배관의 말단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되어 있다.
소화설비 배관내는 충수된 상태로 있고, 유수감지장치(A)의 본체(1)도 1차측실(I) 및 2차측실(II)의 안은 충수상태로 있다. 평상시에 있어서, 밸브체(7)는 밸브 시트(6)의 위에 착좌하고 있어, 1차측실(I)로부터 2차측실(II)에 대한 통수는 차단되어 있다. 또 밸브체(7)에 접촉하고 있는 감지봉(11)은 대략 수평상태로 있다.
화재가 발생하여 2차측실(II)측의 배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하면, 2차측실(II)측의 배관내의 물은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방출되므로 점차로 압력이 내려간다. 밸브체(7)를 폐쇄하고 있던 2차측실(II)의 물의 압력이 감소함으로써 1차측실(I)의 물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체(7)를 밀어올려 밸브봉(9)을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밸브체(7)가 밸브 시트(6)로부터 떨어져서 개방함으로써 1차측실(I)의 물은 2차측실(II)로 보내진다. 그와 함께 밸브체(7)에 접촉하고 있던 감지봉(11)도 코일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하여 핀(P)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2)측에 있어서 감지봉(11)의 단부(11B)가 수평보다 하측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감지봉(11)의 단부(11B)의 측의 접촉자(16)가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15)으로부터 떨어지고,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15)이 리미트 스위치(1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지연기구(18)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경과 후에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15)은 리미트 스위치(17)에 도달하여 리미트 스위치(17)를 작동시켜, 리미트 스위치(17)의 신호는 케이싱(2)의 안에 있는 단자대에 접속된 도선을 통하여 관리인실에 설치된 감시장치에 보내진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17)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의 펌프가 기동되어, 화재에 의하여 작동한 스프링클러 헤드에 대하여 수원으로부터 물이 보내져서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는 연속하여 물이 살포되어 불을 끈다.
다음에, 이미 설명된 것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의 유수감지장치(A)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유수감지장치(A)에는, 밸브체(7)의 밸브봉(9)과 평행하게 되도록 감지봉(11)의 핀(P)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리테이너(21)와, 리테이너(21)를 지지하여 볼트에 의하여 본체(1)에 부착하는 익스텐드 블록(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테이너(21)와 익스텐드 블록(22)에는 「회전 제한부」로서 돌기(21B)와 홈(22C)이 형성되고, 이들은 서로 요철결합(凹凸結合) 하고 있다. 따라서 감지봉(11)의 회전축이 되는 핀(P)을 항상 밸브체(7)의 밸브축이 되는 밸브봉(9)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감지봉(11)이 밸브체(7)에 대하여 기울어서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감지봉(11)의 회전시의 변위량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의 내부에 유수가 발생하여 밸브체(7)가 개방된 것을 감지봉(11)의 회전변위에 의하여 항상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작동감지의 신뢰성이 높은 유수감지장치(A)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일반 빌딩에 설치되는 것이 많은, 65A(1-1/2")∼200A(8")인 정도의 비교적 대구경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작동감지의 신뢰성이 높은 작동 밸브형의 유수감지장치(A)를 실현할 수 있다.
유수감지장치(A)에는, 밸브체(7)가 열리는 방향으로 감지봉(11)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1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밸브체(7)의 개폐시의 회전에 감지봉(11)의 회전을 연동시켜서 유수를 감지하면서도, 감지봉(11)에 의하여 밸브체(7)에 폐쇄하중을 부여하는 일이 없으므로, 이 점에서도 비교적 대구경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작동감지의 신뢰성이 높은 작동 밸브형의 유수감지장치(A)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이미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 의한 유수감지장치(A)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21)의 돌기(21B)와 익스텐드 블록(22)의 홈(22C)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리테이너(21)를 회전을 제한하고, 감지봉(11)을 축지하는 핀(P)을 밸브체(7)의 밸브봉(9)과 평행하게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21)에 있어서 케이싱(2)의 베이스(B)와의 대향면에 돌기(21B)를 형성하고, 베이스(B)에는 이것과 결합하는 구멍(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을 형성하고, 그들의 회전 제한부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리테이너(21) 및 핀(P)의 회전을 제한하더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감지봉(11)을 축지하는 핀(P)을 리테이너(21)에 형성한 축받이(21A)로 지지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2)의 베이스(B)에 핀(P)을 지지하는 축받이용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21)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밀봉부재(23)의 연결부(24)와 리테이너(21) 사이에 2매의 워셔(26, 27)를 장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12, 도13과 같은 실시예로 함으로써 워셔(26, 27)의 사용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도12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 모양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23)에 리테이너(21)의 구멍(20)을 막는 통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워셔(26)의 사용을 생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감지봉(11)의 회전변위를 저지하지 않도록 워셔(27)와 감지봉(11) 사이에 간격(틈)을 설정하고, 그 간격(틈)에 밀봉부재(23)가 파고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워셔(26)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감지봉(11)의 회전변위를 간격(틈)에 의하여 허용하는 구성이 아니라, 밀봉부재(23)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감지봉(11)의 회전변위를 허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워셔(26)의 사용을 생략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밀봉부재(23)에 형성하는 상기 돌출부에는 핀(P)을 삽입하는 관통구멍이 돌출부의 통축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
또한 도13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워셔(26, 27) 자체의 사용을 생략하여 부품수의 삭감을 실현시킨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21)에 케이싱(2)의 베이스(B)의 측으로부터 핀을 지지하는 홈모양의 축받이(21A)를 형성하도록 한다. 워셔(27)를 사용하는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측의 수압에 의하여 밀봉부재(23)의 연결부(24)가 리테이너(21)에 형성한 홈모양의 축받이(21A)를 파고 들어가서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축받이(21A)의 뚜껑으로서 워셔(27)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13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축받이(21A)가 밀봉부재(23)의 연결부(24)에 면하고 있지 않고 베이스(B)의 측으로 개구하는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단점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워셔(27)의 사용을 생략하고, 또한 밀봉부재(23)에 도12와 동일한 통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워셔(26)의 사용도 생략하고 있다. 또, 도13과 같은 베이스(B)의 측으로 개구하는 홈모양의 축받이(21A) 대신에, 리테이너(21)의 통축(筒軸)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워셔(26, 27)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13에 나타내는 밀봉부재(23)에 형성하는 상기 돌출부에도 핀(P)을 삽입하는 관통구멍이 돌출부의 통축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
본 발명은, 첵크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에 사용하는 것 이외에 감지봉의 선단에 패들을 설치하여 배관내의 유수에 의한 패들의 진동동작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플로우 스위치(flow switch)에도 적용할 수 있다.
A 유수감지장치
1 본체
2 케이싱
3 배수밸브
6 밸브 시트
7 밸브체
8 축받이
9 밸브봉
11 감지봉
12, 13 스프링 시트
14 코일 스프링
15 리미트 스위치 가압편
16 접촉자
17 리미트 스위치
18 지연기구
21 리테이너
22 익스텐드 블록
23 밀봉부재
26, 27 워셔

Claims (17)

  1. 스윙 체크 밸브 구조(swing check valve 構造)의 밸브체(valve體)를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축방향이 물의 이동방향과 교차(交叉)하는 핀(pin)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軸支)되는 감지봉(感知棒)과,
    감지봉을 밸브체와 접촉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加壓手段)과,
    감지봉의 회전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switch 手段)을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로서,
    감지봉을 축지하는 핀은 중공형상(中空形狀)의 리테이너(retainer)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리테이너는 본체와 스위치 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리테이너에는 축방향이 물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핀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설치하고, 지지수단으로서의 리테이너의 표면에 돌기 또는 구멍이나 홈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와 스위치 수단 사이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수용부(受容部)를 형성한 익스텐드 블록(extend block)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2. 스윙 체크 밸브 구조의 밸브체와 밸브축(valve軸)을 구비하는 통 모양의 본체와,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밸브체의 개폐(開閉)와 연동(連動)하여 회전하는 감지봉과,
    감지봉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핀과,
    감지봉의 회전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에 있어서,
    밸브체의 밸브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支持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부재에 본체에 대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回轉制限部)를 설치하고,
    지지부재가 핀을 지지하는 홈 또는 구멍을 구비하는 리테이너와 리테이너를 지지하여 본체에 부착하는 익스텐드 블록으로서,
    회전 제한부가 리테이너와 익스텐드 블록의 대향면(對向面)에 형성한 돌기와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3. 스윙 체크 밸브 구조의 밸브체와 밸브축(valve軸)을 구비하는 통 모양의 본체와,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밸브체의 개폐(開閉)와 연동(連動)하여 회전하는 감지봉과,
    감지봉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핀과,
    감지봉의 회전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에 있어서,
    밸브체의 밸브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支持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부재에 본체에 대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回轉制限部)를 설치하고,
    지지부재가 핀을 지지하는 홈 또는 구멍을 구비하는 리테이너와 리테이너에 면(面)하는 스위치 수단을 설치하는 케이싱으로서,
    회전 제한부가 리테이너와 케이싱의 대향면에 형성한 돌기와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4. 스윙 체크 밸브 구조의 밸브체와 밸브축(valve軸)을 구비하는 통 모양의 본체와,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밸브체의 개폐(開閉)와 연동(連動)하여 회전하는 감지봉과,
    감지봉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핀과,
    감지봉의 회전에 의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에 있어서,
    밸브체의 밸브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支持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부재에 본체에 대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回轉制限部)를 설치하고,
    지지부재가, 핀을 지지하는 홈 또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내부에 스위치 수단을 설치하는 케이싱으로서,
    회전 제한부가, 케이싱과 본체의 대향면에 형성한 돌기와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체가 열리는 방향으로 감지봉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 수단을 수용하는 케이싱이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에는 밀봉부재(密封部材)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감지봉을 삽입하는 통 모양부와, 통 모양부의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과 리테이너의 일면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테이너에는 밀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감지봉을 삽입하는 통 모양부와, 통 모양부의 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확장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의 가장자리가 리테이너와 익스텐드 블록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밀봉부재의 연결부와 리테이너 사이에는 2매의 워셔(washer)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2매의 워셔의 한 면 상호간이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워셔의 표면에 코팅(coating)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밀봉부재가 본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통 모양의 홀더(hold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홀더의 구멍형상이 장공(長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리테이너에 있어서 케이싱측의 선단이 케이싱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감지봉에 있어서 케이싱측의 끝에 탄성체(彈性體)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는 감지봉상에 설치된 스프링 시트(spring sheet)와 케이싱에 설치된 스프링 시트에 장착되고, 스프링 시트에는 감지봉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량 제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봉에 있어서 본체측의 선단에는 플랜지부(flange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의 테두리가 둥근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07022252A 2008-06-04 2009-06-04 유수감지장치 KR101569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7095 2008-06-04
JPJP-P-2008-147095 2008-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865A KR20110018865A (ko) 2011-02-24
KR101569003B1 true KR101569003B1 (ko) 2015-11-13

Family

ID=4139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252A KR101569003B1 (ko) 2008-06-04 2009-06-04 유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11338B2 (ko)
JP (1) JP5351890B2 (ko)
KR (1) KR101569003B1 (ko)
CN (1) CN102037365B (ko)
WO (1) WO2009147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94B1 (ko) * 2011-02-25 2013-07-11 주식회사 마스테코 소방용 알람밸브의 유수 검지장치
ITVI20110151A1 (it) * 2011-06-09 2012-12-10 Tyco Valves & Controls S R L Valvole di non ritorno e sistemi e metodi di operazione delle stesse
EP2754485B1 (en) 2011-09-06 2019-08-07 Kabushiki Kaisha Powrex Coating device
CN103032609A (zh) * 2011-09-30 2013-04-10 江苏神通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防倒流可视流动指示器
US9677691B2 (en) * 2013-04-29 2017-06-13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mpany Sprinkler fitting bracket
JP5934402B2 (ja) * 2015-02-05 2016-06-15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KR101773000B1 (ko) * 2016-07-29 2017-08-30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US11698079B2 (en) * 2017-09-09 2023-07-11 Luraco, Inc. Fluid sealing member and fluid pump and motor having fluid sealing member
CN106730534A (zh) * 2016-12-06 2017-05-31 中国航天建设集团有限公司 组网式温度控制悬挂灭火系统
KR101900040B1 (ko) * 2017-06-09 2018-09-19 최영표 리드스위치 감도조절형 알람밸브
JP7197127B2 (ja) * 2018-12-28 2022-12-27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US11874149B2 (en) 2020-04-27 2024-01-16 Rain Bird Corporation Irrigation flow sensor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irrigation flow
CN112881634B (zh) * 2021-01-26 2023-09-08 河北海恩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拦截排污结构的管道安装用智能检测仪表
CN116086564B (zh) * 2023-04-10 2023-06-16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山东省地矿工程勘察院) 用于水工环地质的测量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5406A1 (en) * 2005-10-31 2007-05-03 Colton G A P Jr Side-mounted position indicator for flapper check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0858A (en) * 1953-07-24 1956-04-03 Gen Electric Flow switch
US3448442A (en) * 1965-04-30 1969-06-03 American District Telegraph Co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flow including a non-instantaneously recycling retard element
US3501605A (en) * 1968-06-26 1970-03-17 Harold D Hutchinson Flow responsive switch means
US3731025A (en) * 1971-07-14 1973-05-01 Sloan Valve Co Breath operated flushing arrangements
US3729604A (en) * 1971-11-19 1973-04-24 Caterpillar Tractor Co Diaphragm seal with fluid filled cavity for paddle or fluid flow responsive switch
US3845259A (en) 1973-05-11 1974-10-29 Notifier Co Flow controlled switch, operated by a pivotal shaft
US4074097A (en) 1976-10-18 1978-02-14 Hutchinson Harold D Fluid responsive sealed pivot arm means
US4614122A (en) * 1984-12-31 1986-09-30 Emhart Industries, Inc. Fluid flow detector with adaptor
US4725700A (en) 1987-06-29 1988-02-16 Dwyer Instruments, Inc. Airflow switch for air ducts
US4805665A (en) * 1988-01-04 1989-02-21 League Billy E Fluid flow check device
JP2834548B2 (ja) * 1990-07-10 1998-12-09 株式会社ツムラ 液体処理プラントにおける管路の自動切換装置
JP3679477B2 (ja) * 1995-11-21 2005-08-03 ホーチキ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JP4026986B2 (ja) 1999-06-22 2007-12-26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及び流水検知装置
US6152173A (en) * 1999-07-28 2000-11-28 Val-Matic Valve And Manufacturing Corp. Position indicating check valve
JP3877140B2 (ja) * 2001-10-04 2007-02-07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及び流水検知用アッセンブリィ
JP2005253640A (ja) * 2004-03-11 2005-09-22 Senju Sprinkler Kk 流水検知装置
JP3865745B2 (ja) * 2004-08-20 2007-01-10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JP4106372B2 (ja) 2005-06-24 2008-06-25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JP2007029584A (ja) 2005-07-29 2007-02-08 Maeda Corp 流水検知装置における軸の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5406A1 (en) * 2005-10-31 2007-05-03 Colton G A P Jr Side-mounted position indicator for flapper check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1338B2 (en) 2013-08-20
CN102037365A (zh) 2011-04-27
US20110079301A1 (en) 2011-04-07
WO2009147860A1 (ja) 2009-12-10
JPWO2009147860A1 (ja) 2011-10-27
JP5351890B2 (ja) 2013-11-27
CN102037365B (zh) 2013-04-03
KR20110018865A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003B1 (ko) 유수감지장치
KR101820706B1 (ko) 유수검출장치
RU2420388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349355B (zh) 流体控制阀
TWI554703B (zh) 閥裝置
KR101900040B1 (ko) 리드스위치 감도조절형 알람밸브
JP2007050067A (ja) 流水検知装置
US20110272168A1 (en) Fuse type sprinkler
CN110953368A (zh) 阀门
TWI503145B (zh) Water detection device
JP2018187218A (ja) 流水検知装置
JP6924988B2 (ja) 流水検知装置
JP2010506152A (ja) 流体分析用のセンサーを当該流体を収容する本体部に対して分離可能に連結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装置
JP6945932B2 (ja) 漏水検知装置
JP6118785B2 (ja) バルブ装置
CN219504671U (zh) 喷雾器的组装装置
JP6924987B2 (ja) 流水検知装置
KR102029904B1 (ko) 릴리프밸브
KR102002588B1 (ko) 용접 팁 드레싱 검사장치
GB2399613A (en) Expanding pipe stopper with anti-tilt member and cam
CN214662057U (zh) 一种自关断阀体
CN218031632U (zh) 过流量保护阀
RU2397392C1 (ru) Напорный клапан
RU173788U1 (ru) Заглушка фланца
KR200396811Y1 (ko) 누수 방지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