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910B1 -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910B1
KR101568910B1 KR1020130151117A KR20130151117A KR101568910B1 KR 101568910 B1 KR101568910 B1 KR 101568910B1 KR 1020130151117 A KR1020130151117 A KR 1020130151117A KR 20130151117 A KR20130151117 A KR 20130151117A KR 101568910 B1 KR101568910 B1 KR 10156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electric motor
crane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056A (ko
Inventor
김은태
김호경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605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scaffolding win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66D1/34Attachment of ropes or cables to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장에 설치되는 본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 상기 전기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과부하나 전원차단시 작동하도록 된 브레이크;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상기 본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타워부; 상기 타워부 상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크레인부;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를 크레인부를 통해 작업장으로 안내하는 도르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An apparatus for pulling up the scaffolding using electric motor}
본 발명은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균일한 작업속도와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출력축에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과부하나 전원 차단시 발판과 같은 비계류가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다층의 건축물은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를 이용하여 한 층을 형성시키고, 그 층 위에 다른 층들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건조된다.
흔히,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운반하는 공정은 각 층의 슬라브 형성시에 공동부를 미리 형성시키고 그 공동부를 통해 작업자들이 인력을 이용하여 직접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옮긴 후 그 공동부를 다시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메우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공정은 번거롭고 복잡할 뿐 아니라 건축자재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와 낙하된 건축자재의 손상 및 이에 따른 경비 증가를 야기한다.
이와 달리, 종래에는 크레인으로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인양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짧은 층간 거리의 건축자재 운반에 크레인을 매번 이용한다는 점에서 시공의 지연을 야기하며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56598호의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크레인에 의해 전체적으로 인양 가능하며, 건축물의 외벽에 가설되어 건축자재(m)의 층간 운반에 이용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의 고정부(11)가 건축물의 발코니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채 건축물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가설되는 가설대(10)와; 상기 가설대(10)의 수평 지지대(14)에 일단이 고정 지지된 채 상기 건축물의 각 층을 가로질러 수직으로 부설된 가이드수단(20)과; 상기 가이드 수단(2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박스(30)와; 상기 가이드 수단(20)의 위쪽에 마련된 채 상기 인양박스(30)를 상하로 인양하는 윈치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정해진 구간에서 승강되는 인양박스로써 건축자재를 인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크레인만으로 건축자재를 인양하던 종래의 기술에 시공의 지연 및 비효율성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며, 통상의 건축시공시 갱폼 또는 안전난간 등의 가설물 설치를 위해 필요한 가설대를 이용하므로 경제적으로도 매우 저렴하다는 효과를 갖는 반면에 높이에 대한 가변을 위해 설치시 기구부의 높이를 조절 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건축물의 외측을 이용하여 인양은 가능하나 건축물의 내부의 자재를 인양하는 구조로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고, 설치 및 이동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를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56598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균일한 작업속도와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출력축에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과부하나 전원 차단시 발판과 같은 비계류가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저가은 도르레부의 회전도르레를 좌우 15도씩 총 3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비계를 등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쉽게 적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드럼의 상부에 와이어 정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드럼에 와이어가 일정한 형태로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와이어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드럼의 동심원 외측에 푸싱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작업장에 설치되는 본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 상기 전기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과부하나 전원차단시 작동하도록 된 브레이크;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상기 본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타워부; 상기 타워부 상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크레인부;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를 크레인부를 통해 작업장으로 안내하는 도르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에 와이어가 일정한 형태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정렬하는 와이어정렬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의 동심원 외측에서 와이어를 드럼 측으로 가압시켜 자중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푸싱롤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르레부는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를 크레인부에 안내하는 고정도르레; 및 상기 고정도르레에 연결된 와이어를 크레인부 끝단에서 수직방향 으로 안내하는 회전도르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도르레는 좌우 15도씩 총 30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균일한 작업속도와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출력축에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과부하나 전원 차단시 발판과 같은 비계류가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르레부의 회전도르레를 좌우 15도씩 총 3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비계를 등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쉽게 적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드럼의 상부에 와이어 정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드럼에 와이어가 일정한 형태로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와이어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드럼의 동심원 외측에 푸싱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자재 인양장치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양장치의 전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전기모터 및 회전드럼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드럼 및 와이어정렬장치 관계를 도시한 확대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드럼 및 푸싱롤러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도르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양장치의 전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본체(110), 전기모터(120), 브레이크(130), 와이어 드럼(140), 타워부(170), 크레인부(180), 도르레부(190)를 포함한다.
먼저, 작업장에 설치되는 본체(110)가 개시된다. 상기 본체(110)는 금속골조 및 판넬 조합으로 이루어진 박스형태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내에는 각종 전기 부속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전기모터(120), 브레이크(130), 와이어 드럼(140), 타워부(170), 크레인부(180), 도르레부(190)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구조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120)가 본체(110)에 설치된다. 상기 전기모터(120)는 전력공급에 의해 회전동력이 발생되며, 출력축의 정/역방향 회전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기모터(120)를 이용한 동력수단은 소음이 작아 정숙성을 보장할 수 있고, 속도제어가 쉽기 때문에 균일한 작업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모터(120)의 출력축에 브레이크(130)가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130)는 전기모터(120)의 과부하나 전원 차단시 작동되어 회전축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기모터(12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인양 중이던 비계류가 자유 낙하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130)의 전방에 전기모터(12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140)이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140)은 원통형 몸체에 금속재 와이어(W)를 권선하게 되는데, 와이어(W)가 일정한 형태로 감기도록 하기 위한 안내홈이 몸체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타워부(170)가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타워부(170) 상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크레인부(180)가 연장 설치된다. 상기 타워부(170) 및 크레인부(180)의 높이나 길이, 형태는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드럼(140)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를 크레인부(180)를 통해 작업장으로 안내하는 도르레부(190)가 설치된다.
상기 도르레부(190)는 전기모터(120)의 회전력으로 비계류를 인양할 때, 이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2의 전기모터 및 회전드럼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드럼 및 와이어정렬장치 관계를 도시한 확대사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140)에 와이어(W)가 일정한 형태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정렬하는 와이어정렬장치(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정렬장치(150)는 와이어 드럼(14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트래비스(151)와, 상기 트래비스(151)를 와이어 드럼(14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스크류(153)와, 상기 이송스크류(153)를 정/역회전시켜 트래비스(151)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정역스위치(155)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드럼 및 푸싱롤러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140)의 동심원 외측에서 와이어(W)를 드럼(140) 측으로 가압시켜 자중에 의해 와이어(W)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푸싱롤러(1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푸싱롤러(160)는 와이어 드럼(14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롤러를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부재(161)의 탄력을 받아 와이어 드럼(140) 측에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르레부(190)는 와이어 드럼(140)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를 크레인부(180)에 안내하는 고정도르레(191) 및 상기 고정도르레(191)에 연결된 와이어(W)를 크레인부(180)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회전도르레(19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도르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도르레(193)는 좌우 15도씩 총 3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비계를 등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쉽게 적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균일한 작업속도와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출력축에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과부하나 전원 차단시 발판과 같은 비계류가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드럼의 상부에 와이어 정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드럼에 와이어가 일정한 형태로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와이어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를 제한적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20: 전기모터
130: 브레이크 140: 와이어 드럼
150: 와이어정렬장치 151: 트래비스
153: 이송스크류 155: 정역스위치
160: 푸싱롤러 161: 스프링부재
170: 타워부 180: 크레인부
190: 도르레부 191: 고정도르레
193: 회전도르레

Claims (5)

  1. 작업장에 설치되는 본체(110);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120);
    상기 전기모터(120)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과부하나 전원차단시 작동하도록 된 브레이크(130);
    상기 전기모터(12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140);
    상기 와이어 드럼(140)에 와이어(W)가 일정한 형태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정렬하는 와이어정렬장치(150);
    상기 와이어 드럼(140)의 동심원 외측에서 와이어(W)를 드럼(140) 측으로 가압시켜 자중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푸싱롤러(160);
    상기 본체(1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타워부(170);
    상기 타워부(170) 상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크레인부(180); 및
    상기 와이어 드럼(140)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를 크레인부(180)를 통해 작업장으로 안내하는 도르레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정렬장치(150)는 와이어 드럼(14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트래비스(151)와, 상기 트래비스(151)를 와이어 드럼(14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스크류(153)와, 상기 이송스크류(153)를 정/역회전시켜 트래비스(151)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정역스위치(15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레부는 와이어 드럼(140)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W)를 크레인부(180)에 안내하는 고정도르레(191); 및
    상기 고정도르레(191)에 연결된 와이어(W)를 크레인부(180) 끝단에서 수직방향 으로 안내하는 회전도르레(1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도르레(193)는 좌우 15도씩 총 30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KR1020130151117A 2013-12-06 2013-12-06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KR10156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17A KR101568910B1 (ko) 2013-12-06 2013-12-06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17A KR101568910B1 (ko) 2013-12-06 2013-12-06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56A KR20150066056A (ko) 2015-06-16
KR101568910B1 true KR101568910B1 (ko) 2015-11-12

Family

ID=5351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117A KR101568910B1 (ko) 2013-12-06 2013-12-06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600A (zh) * 2019-08-24 2020-01-17 巨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板材吊运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533B1 (ko) 2001-04-18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치의 케이블 정렬 장치
KR100872198B1 (ko) 2008-05-01 2008-12-09 곽노근 건축물의 외벽용 폼 인양 권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533B1 (ko) 2001-04-18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치의 케이블 정렬 장치
KR100872198B1 (ko) 2008-05-01 2008-12-09 곽노근 건축물의 외벽용 폼 인양 권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600A (zh) * 2019-08-24 2020-01-17 巨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板材吊运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56A (ko)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6195B1 (ja) 作業用足場装置
JP6076031B2 (ja) 仮設構造物の荷上げ装置
JP2013518785A (ja) 昇降用装置
KR101568910B1 (ko) 전기모터를 이용한 비계류 인양장치
CN203794533U (zh) 一种轻型便携移动式吊装设备
KR20210119683A (ko) 천정 슬라브 드릴링 장치
KR102560658B1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CN106553968A (zh) 一种可带负荷变幅的起重臂升降装置
KR101504235B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20220048897A (ko)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KR100967174B1 (ko) 케이지 리프트
KR20090132825A (ko) 회전 가능한 크레인 후크 장치
CN109267739B (zh) 升降吊篮设备的卷筒装置
KR101743095B1 (ko) 곤돌라용 승강장치
KR101977909B1 (ko) 건물 실내 작업용 곤도라
KR101500606B1 (ko) 공연장용 이동식 승강장치
CN214570286U (zh) 一种便捷型条板墙安装辅助器具
KR101842183B1 (ko) 건설용 리프트의 케이블 보호장치
KR101359556B1 (ko) 툴박스가 구비된 호이스트
JP6512952B2 (ja) 斫り装置
CN203022639U (zh) 升降折叠式打孔装置
EP3024773B1 (en) Gripper device and hoisting device for a trash rake cleaner, trash rake cleaner and method therefor
CN213060122U (zh) 一种装配式房屋预制构件翻转装置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CN203903826U (zh) 建筑室外装修材料吊运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