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676B1 - Power supply device of excavator for indoor work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device of excavator for indoor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676B1
KR101568676B1 KR1020140074777A KR20140074777A KR101568676B1 KR 101568676 B1 KR101568676 B1 KR 101568676B1 KR 1020140074777 A KR1020140074777 A KR 1020140074777A KR 20140074777 A KR20140074777 A KR 20140074777A KR 101568676 B1 KR101568676 B1 KR 10156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power supply
conveying
rail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0416A (en
Inventor
오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릴
Publication of KR2015000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로서, 실내작업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이송레일과, 제1이송레일에 결합 되어 제1이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수단과, 이송수단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 지지부와, 수직 지지부의 하단에 수평으로 힌지 결합 되고, 일단에 제1중량물이 힌지 결합 된 붐대와, 실내작업공간의 내측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이송레일과, 제2이송레일에 결합 되어 이송수단의 이동에 따라 연동 되어 제2이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하는 제2중량물과, 제2중량물에 일단이 연결되고, 실내작업공간의 상단 모서리에 설치된 고정 도르래에 권취 되며, 타단이 이송수단에 연결된 제1와이어 및 실내작업공간의 상단에 위치한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이송수단과, 수직 지지부 및 붐대를 거쳐 건설중장비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에 타단이 연결되어 건설중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포함하는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작업과정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건설중장비의 특성상 위치이동에 다른 유동시 천장레일에 장착된 이동수단을 통한 전원공급과정에서 전력공급용 전력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for indoor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for indoor work, which comprises a first conveyance rail installed on a ceiling of an indoor work space, A vertical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means,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horizontally hing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hinged to a first heavy member at one end thereof, A second conveying rail coupled to the second conveying rail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means and sliding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ing rail; ,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heavy object and is wound around a fixed sheave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indoor working spac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power unit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work space and connected to the pos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vy equipment via the conveying unit, the vertical support unit and the boom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electric power line for power supply constant during the power supply process through the moving means mounted on the ceiling rail when the electric current is heav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and further reduce unnecessary maintenance cost.

Description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Power supply device of excavator for indoor work}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an indoor work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의 실내작업 시 작업범위 내에서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for indoor work which can maintain the tension of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within a working range in a heavy equipment work such as an electric excavator .

일반적으로 굴삭기 및 크레인 등과 같은 건설중장비는 대부분 이동을 위한 주행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경유와 같은 연료를 연소시켜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필요한 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sinc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and a crane is equipped with traveling means for moving, it is constructed so that necessary power can be obtained by burning fuel such as light oil and driving the engine.

종래 이러한 굴삭기 등의 건설중장비는 건설현장, 주물공장 또는 폐기물 처리장 내에서 땅파기, 고철을 절단기 또는 압축기로 운반할 때 사용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such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has been used in a variety of fields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 the casting factory, or the waste disposal site for transporting the underground scrap or scrap metal to a cutter or a compressor.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굴삭기 등 건설중장비는 원거리를 주행할 필요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엔진을 구동하기 위하여 경유와 같은 연료를 사용한다.Construction heavy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used for the above purpose uses fuel such as light oil to drive the engine 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travel at a long distance.

그러면 엔진 가동시 소음이 발생이 심하고, 또 연료가 비싸기 때문에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엔진 가동시 매연 가스 발생으로 대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기름 및 오일 누출로 지반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noise is generat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ngin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high because the fuel is expensive, and pollution of the atmosphere is caused by the generation of the smoke gas when the engine is operat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il is contaminated by leakage of oil and oil.

그래서 일정한 반경 내에서 작업하는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중장비에 전기를 공급하여 모터로 유압펌프를 구동시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working in a certain radius, and the hydraulic pump is driven by a motor, so that it is modified and used so as to achieve a desired purpose.

그러나, 이렇게 개조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는 작업반경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선이 손상되어 전기공급이 중단되거나 전선에 방해를 받아 작업반경 내에서 원활히 이동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heavy equipment such as the excavator that has been modified in this way continuously moves within the working radi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wire is damaged and the electric supply is interrupted or the electric wire is interfered with, so that it can not smoothly move within the working radiu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특히 전선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 시소형의 경우에는 굴삭기가 작업반경을 벗어나더라도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단선이 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그에 따른 작업능률저하와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However, in the case of a seesaw type which is structurally complicated and particularly designed to enable the use of electric wires flexibly, there is no means to control the excavator even if it deviates from the working radius Therefore, there are frequent cases of disconnection,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and a high maintenance cost.

따라서, 전기 굴삭기를 이용하여 실내에서의 작업시 환경규제에 따른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설치되는 전력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건축물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레일을 따라 전기 굴삭기를 전·후진하고, 동시에 붐(boom)의 회전운동방향에 따라 작업반경이 확보되는 실내용 전원공급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when an electric excavator is used, electric power is supplied through a power line installed along a rail mounted on a ceiling inside the building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in the indoor environment, and the electric excavator is driven along the rail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ilding A need has arisen for an indoor power supply device in which the operation radius is secur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oom.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7305호(2007년 06월 12일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27305 (published on June 12, 20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5381호(2010년 06월 22일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65381 (published on June 22, 20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5813호(2010년 05월 04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45813 (published on May 04,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6803호(2013년 06월 20일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76803 (published on June 20, 2013)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본 발명의 과제는, 실내작업과정에서 건설중장비의 위치 이동에 따른 유동시 전력선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power supply device for a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for indoor work that can maintain the tension of a power line when a moving heavy equipment is moved during an indoor work proces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로서, 실내작업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이송레일, 상기 제1이송레일에 결합 되어 상기 제1이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의 하단에 수평으로 힌지 결합 되고, 일단에 제1중량물이 힌지 결합 된 붐대, 상기 실내작업공간의 내측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이송레일, 상기 제2이송레일에 결합 되어 상기 이송수단의 이동에 따라 연동 되어 상기 제2이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하는 제2중량물, 상기 제2중량물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실내작업공간의 상단 모서리에 설치된 고정 도르래에 권취 되며, 타단이 상기 이송수단에 연결된 제1와이어 및 상기 실내작업공간의 상단에 위치한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수단과, 수직 지지부 및 붐대를 거쳐 상기 건설중장비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건설중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for indoor work, comprising: a first conveyance rail installed on a ceiling of an indoor work space; a first conveyance rail coupled to the first conveyance rail, A vertical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means, a horizontally hinged portion hing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 a boom frame hinged to a first weight at one end thereof, A second conveying rail coupled to the second conveying rail and interlocking with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means to vertically slid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ing rail, And is wound around a fixed sheave provided at an upper edge of the indoor working space, and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a first wire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os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through the conveying means,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and the boom frame to supply power to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

상기 붐대의 타단과 상기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wir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boom frame and the post.

상기 수직 지지부와 상기 붐대 간의 힌지 결합 위치는 상기 붐대의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제1중량물이 위치한 일측으로 더 치우쳐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ing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vertical supporting portion and the boom frame is a point where the first heavy object is positioned further toward the side where the first heavy object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om frame.

본 발명은 실내작업과정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건설중장비의 특성상 위치이동에 다른 유동시 천장레일에 장착된 이동수단을 통한 전원공급과정에서 전력공급용 전력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tension of the electric power line for power supply can be kept constant in the process of power supply through the moving means mounted on the ceiling rail when the electric current is heavy,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further reducing unnecessary maintenance costs.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all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ation.
1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for indo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for indoor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1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for indo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는 제1이송레일(10), 이송수단(20), 수직 지지부(30), 붐대(40), 제1중량물(41), 제2이송레일(50), 제2중량물(60), 고정 도르래(70), 제1와이어(80), 전원부(90) 및 전력선(1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4,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for indoor 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veying rail 10, a conveying unit 20, a vertical support unit 30, a boom unit 40, The first weight 41, the second conveying rail 50, the second weight 60, the fixed pulley 70, the first wire 80, the power supply 90 and the power line 100 And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건설중장비(E)는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굴삭기를 일예로 설명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electric excavator driven by electricity without using gasoline or diesel fuel.

상기 건설중장비(E)는 상기 전원부(90)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받기 위한 전력 수신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건설중장비(E)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포스트(P)가 상기 건설중장비(E)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E is provided with a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90. The post P enabling power to be supplied to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 is supplied to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E).

그리고, 상기 제1이송레일(10)은 상기 건설중장비(E)가 작업하는 실내에 설치가 되는데, 일반적인 건물 등의 천장에 설치된다.The first conveyance rail 10 is installed in a room where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E works, and is installed on a ceiling of a general building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제1이송레일(10)에는 상기 이송수단(20)이 결합 되고, 끝단에는 상기 제1와이어(80)가 권취 되는 고정 도르래(70)가 설치된다.Here, the first conveying rail 10 is provided with the conveying means 20, and a fixed sheave 70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conveying rail 10, around which the first wire 80 is wound.

상기 이송수단(20)은 상기 제1이송레일(10)에 결합 된 상태로 상기 제1이송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된다.The conveying means 20 is slidab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ing rail 10 while being coupled to the first conveying rail 10.

상기 수직 지지부(30)는 상기 이송수단(20)의 하부에 결합 된 상태로 위치한다.The vertical support 30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means 20.

상기 붐대(40)는 상기 수직 지지부(30)의 하단에 수평으로 힌지 결합 되고, 붐대(40)의 일단에는 제1중량물(41)이 힌지 결합 된다.The boom table 40 is horizontally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30 and the first weight 41 is hinged to one end of the boom table 40.

그리고, 상기 실내작업공간의 내측 벽면에는 수직으로 설치된 제2이송레일(50)이 구비된다.A second conveyance rail 50 installed vertically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wall of the indoor work space.

상기 제2이송레일(50)에는 상기 이송수단(20)의 이동에 따라 연동 되어 상기 제2이송레일(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하는 제2중량물(6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2중량물(60)과 상기 이송수단(20) 간에는 제1와이어(80)가 연결되고, 상기 제1와이어(80)는 상기 고정 도르래(70)에 권취 된다.The second conveying rail 50 is provided with a second heavy object 60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ing rail 5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means 20, A first wire (80)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heavy object (60) and the conveying means (20), and the first wire (80) is wound on the fixed sheave (70).

상기 전력선(100)은 상기 실내작업공간의 상단에 위치한 전원부(9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수단(20)과, 수직 지지부(30) 및 붐대(40)를 거쳐 상기 건설중장비(E)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P)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건설중장비(E)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line 100 is connected at one end to a power source unit 90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indoor working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E via the conveying unit 20 and the vertical support unit 30 and the boom unit 40.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st P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E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E.

여기서, 상기 제1중량물(41)로 인해 상기 수직 지지부(30)와 상기 붐대(40) 간의 힌지 결합 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Here, the first heavy object 41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bout the hinge shaft hing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30 and the boom frame 40.

즉, 상기 붐대(40)의 일단의 무게로 인한 하중으로 인해 붐대(40)의 일단이 하강하면서 상기 붐대(40)와 상기 포스트(P)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선(100)의 장력이 유지되는 것이다.That is, one end of the boom frame 40 is lowered due to a load due to the weight of one end of the boom frame 40, and the tension of the power line 100 connected between the boom frame 40 and the post P is maintained .

이때, 상기 수직 지지부(30)와 상기 붐대(40) 간의 힌지 결합 위치는 상기 붐대(40)의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더 치우쳐진 지점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hing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30 and the boom frame 40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hinge is more biased toward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om frame 40.

또한, 상기 붐대(40)의 타단과 상기 포스트(P) 사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1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a second wire 110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boom frame 40 and the post P may be further provided.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4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for indo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4, an operation state of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for indoor 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2는 제2중량물(60)이 위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해서 건설중장비가 상기 제2중량물(60)이 위치한 지점으로 가까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건설중장비가 상기 제2중량물(60)에서 멀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S. 1 and 2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is brought close to a point where the second heavy object 60 is located on the basis of a point where the second heavy object 60 is located, and FIGS. 3 and 4 show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Is away from the second weight (60).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설중장비(E)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붐대(40)에 결합 된 상기 제1중량물(41)이 상승하여 상기 붐대(40)와 상기 포스트(P) 사이에 위치한 전력선(100)에 팽팽한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1와이어(80)에 연결된 제2중량물(60)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이송수단(20)이 상기 이송레일을 타고 상기 제2중량물(60)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when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 moves, the first heavy object 41 coupled to the boom frame 40 ascends and the space between the boom frame 40 and the posts P The second weight 60 connected to the first wire 80 is lowered so that the conveying means 20 can be moved along the conveying rail to the power line 100, And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heavy object 60 is located.

그 다음, 도 2와 같이 건설중장비(E)가 멈추게 되어 작업을 진행하면, 상기 붐대(40)에 결합 된 상기 제1중량물(41)이 하강하여 상기 붐대(40)와 상기 포스트(P) 사이에 위치한 전력선(100)에 팽팽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2, the first heavy object 41 coupled to the boom frame 40 is lowered and the first heavy object 41 coupled to the boom frame 40 is lowered between the boom frame 40 and the posts P, A tight tension is generated in the power line 100 located in the power line 100.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 상태로 인해 상기 전력선(100)의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tension of the power line 100 can be kept tight due to the operating state as described above.

이와 반대로 도 3과 같이 건설중장비(E)가 이동하게 되면 건설중장비(E)의 포스트(P)에 연결된 전력선(100)을 끌어당겨 장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장력이 발생하면 붐대(40)의 일단에 결합 된 제1중량물(41)이 상승하여 상기 붐대(40)의 타단이 상기 건설중장비(E)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3, when th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E is moved, tension is generated by pulling the power line 100 connected to the post P of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 and when such tension occurs, The other end of the boom frame 40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 as shown in FIG.

이와 동시에 제1이송레일(10)에 결합 된 이송수단(20)이 상기 제1이송레일(10)을 타고 상기 건설중장비(E)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와이어(80)의 일단에 연결된 제2중량물(60)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conveying means 20 coupled to the first conveyance rail 10 moves along the first conveyance rail 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 is located, The second weight 60 connected to the second weight 60 is raised.

그 다음, 도 4와 같이 건설중장비(E)가 멈추게 되어 작업을 진행하면, 상기 붐대(40)에 결합 된 상기 제1중량물(41)이 하강하여 상기 붐대(40)와 상기 포스트(P) 사이에 위치한 전력선(100)에 팽팽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4, the first heavy load 41 coupled to the boom frame 40 is lowered and the load P between the boom frame 40 and the posts P is lowered, A tight tension is generated in the power line 100 located in the power line 100.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 상태로 인해 상기 전력선(100)의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tension of the power line 100 can be kept tight due to the operating state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제1이송레일
20: 이송수단
30: 수직 지지부
40: 붐대
41: 제1중량물
50: 제2이송레일
60: 제2중량물
70: 고정 도르래
80: 제1와이어
90: 전원부
100: 전력선
110: 제2와이어
P: 포스트
E: 건설중장비
10: 1st feed rail
20: conveying means
30: vertical support
40: Boom
41: 1st weight
50: 2nd feed rail
60: second weight
70: Fixed Pulley
80: first wire
90:
100: Power line
110: second wire
P: Post
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Claims (3)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로서,
실내작업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1이송레일(10);
상기 제1이송레일(10)에 결합 되어 상기 제1이송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송수단(20);
상기 이송수단(20)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 지지부(30);
상기 수직 지지부(30)의 하단에 수평으로 힌지 결합 되고, 일단에 제1중량물(41)이 힌지 결합 된 붐대(40);
상기 실내작업공간의 내측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이송레일(50);
상기 제2이송레일(50)에 결합 되어 상기 이송수단(20)의 이동에 따라 연동 되어 상기 제2이송레일(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하는 제2중량물(60);
상기 제2중량물(6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실내작업공간의 상단 모서리에 설치된 고정 도르래(70)에 권취 되며, 타단이 상기 이송수단(20)에 연결된 제1와이어(80); 및
상기 실내작업공간의 상단에 위치한 전원부(9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수단(20)과, 수직 지지부(30) 및 붐대(40)를 거쳐 상기 건설중장비(E)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P)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건설중장비(E)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100)을 포함하는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
As a power supply device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for indoor work,
A first conveyance rail 10 installed on a ceiling of an indoor work space;
Conveying means (20) coupled to the first conveying rail (10) and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ing rail (10);
A vertical support 3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means 20;
A boom table 40 horizontally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30 and hinged to the first heavy load 41 at one end;
A second conveyance rail (50)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indoor work space;
A second heavy material 60 coupled to the second conveying rail 50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means 20 to slid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ing rail 50;
A first wire (80) connected at one end to the second heavy object (60), wound around a fixed sheave (70) provided at an upper edge of the indoor working sp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veying means (20); An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90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indoor working space and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 through the conveying unit 20, the vertical support unit 30, And a power line (100) connected to the post (P) at the other end to supply power to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40)의 타단과 상기 포스트(P) 사이에 연결된 제2와이어(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ire (110)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boom rope (40) and the post (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30)와 상기 붐대(40) 간의 힌지 결합 위치는 상기 붐대(40)의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제1중량물(41)이 위치한 일측으로 더 치우쳐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ng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30 and the boom frame 40 is a point where the first heavy object 41 is more inclined toward a side where the first heavy object 41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om frame 40. [ Power supply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KR1020140074777A 2013-06-21 2014-06-19 Power supply device of excavator for indoor work KR1015686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377 2013-06-21
KR20130071377 2013-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16A KR20150000416A (en) 2015-01-02
KR101568676B1 true KR101568676B1 (en) 2015-11-13

Family

ID=5247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777A KR101568676B1 (en) 2013-06-21 2014-06-19 Power supply device of excavator for indoor 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6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525B1 (en) * 2021-09-24 2022-06-28 이문성 Power supply for electric fork cra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027B1 (en) 2011-01-31 2011-04-25 주식회사 3국산업 Power supply device and use of hybrid excavator
KR101099607B1 (en) 2011-07-01 2011-12-29 황대연 Work conveniene apparatus for electric heavy vehicle
KR200468586Y1 (en) 2012-12-24 2013-08-26 이한준 Apparatus for lifting power supply cable of excabator
KR101448863B1 (en) 2014-04-17 2014-10-14 주식회사 코릴 Excavator having powe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027B1 (en) 2011-01-31 2011-04-25 주식회사 3국산업 Power supply device and use of hybrid excavator
KR101099607B1 (en) 2011-07-01 2011-12-29 황대연 Work conveniene apparatus for electric heavy vehicle
KR200468586Y1 (en) 2012-12-24 2013-08-26 이한준 Apparatus for lifting power supply cable of excabator
KR101448863B1 (en) 2014-04-17 2014-10-14 주식회사 코릴 Excavator having power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16A (en)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369B1 (en) That is indoor work excavator that use electricity
KR101031027B1 (en) Power supply device and use of hybrid excavator
CN102425318B (en) Self-moving steel structure workshop
KR102149670B1 (en) Winding apparatus for 3-phase power cable and installing system for 3-phase power cable having the same
KR100727305B1 (en) Power supply device of excavator electricity by power train
CN105965685B (en) A kind of concrete tubular pile automatic open modular system
CN101793000B (en) Hydraulic multifunctional delivery trestle of multifunctional self-elevating supporting platform for ocean oil field
KR101568676B1 (en) Power supply device of excavator for indoor work
KR101448863B1 (en) Excavator having power supply device
KR101715302B1 (en) Latching devices for hoist crane
CN103227401A (en) Slide rail power supply device
CN103047394B (en) Rotary drilling rig and guide pulley yoke device thereof
US20200239288A1 (en) Vertical lifting device and method
CN203218680U (en) Slide guide-type power supply apparatus
CN203944624U (en) A kind of portable dredging machine
CN202249006U (en) Self-moving type steel structure workshop
KR101276803B1 (en) A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heavy
JP5851774B2 (en) Low head drilling rig with variable feed stroke
CN108100896B (en) Pipeline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and method
CN217632324U (en) Electric oil pipe conveying device
CN110984170B (en) Semi-automatic foundation pit steel support installation method and steel support installation auxiliary device
KR20180011956A (en) Electrical supply system for electric forklifts for indoor work
CN207258609U (en) Ground type L-type feeding cart
JP2005141970A (en) Traveling type lighting system
KR20040060072A (en) Lift using vehicle maintenance d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