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609B1 - 선재코일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코일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609B1
KR101568609B1 KR1020140126171A KR20140126171A KR101568609B1 KR 101568609 B1 KR101568609 B1 KR 101568609B1 KR 1020140126171 A KR1020140126171 A KR 1020140126171A KR 20140126171 A KR20140126171 A KR 20140126171A KR 101568609 B1 KR101568609 B1 KR 10156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il
blowing
wire coil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중기
최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2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2045/0212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24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wire, rods, rounds,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는, 에어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구동수단; 및 상기 송풍구동수단과 연계되며, 선재코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이 구성되는 송풍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선재코일의 폭방향 위치에서의 적치밀도가 높을수록 송풍시간을 늘려서 송풍량을 증대시키도록, 개구부의 폭방향 형상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중앙부분에서 중앙양측부위로부터 중앙중심부위까지 대응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중앙중심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재코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도기 위해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을 구비하는 송풍가이드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위치에 따른 부위별 냉각능을 다르게 함에 따라 선재코일의 냉각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코일 냉각장치{Apparatus for cooling wire rod coil}
본 발명은 선재코일 냉각장치로서, 선재코일의 적치밀도에 따른 냉각 불균형을 해소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선재코일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각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선재는 압연(조압연, 중간조압연, 중간사상압연 및 사상압연)을 거쳐 수냉대에서 냉각된 후 권취(집적)후 정정라인에 투입되고, 이와 같은 선재는 직경 5.5~15mm 의 소구경 선재와 직경 15~42 mm의 대구경 선재를 생산하게 된다.
한편, 소구경 선재의 경우, 레잉헤드(laying head)를 통하여 나선형 코일형태로 형성시키면, 컨베이어의 이송과 병행하여 열처리를 수행한 후, 집적기(reform tube)를 통하여 집적한 다음, 검사라인으로 투입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기(11)에서 압연된 소재는 냉각수로 냉각하는 수냉대(12)에 의해 냉각되고, 권취기인 레잉헤드(13)를 거치면서 권취된다. 그리고 권취된 선재코일(1)은 컨베이어(20)의 이송롤러(20a)에 연속적으로 낙하 이송되고, 권취된 선재 코일은 컨베이어(20)를 통과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송풍유닛(14)으로부터 송풍되는 송풍에어에 의해 냉각된다. 그 다음, 컨베이어(20)와 연계된 집적기(15)에서 최종 제품으로 집적된다.
즉, 레잉헤드(13)에서 코일형태로 연속 권취되어 추출된 선재코일(1)은 컨베이어(20)에 낙하 이송되는 도중에, 컨베이어를 따라 다수개가 연이어 배열된 송풍유닛(14)에서 송풍되는 에어가 이송되는 선재코일(1)과 접촉하면, 선재코일은 집적전에 저온으로 냉각되면서 그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레잉헤드(13)에서 권취되면서 이송롤러(20a) 상에 낙하되는 때의 선재코일(1)의 온도는 대략 850~950 ℃정도이나, 냉각을 거친 선재코일(1)은 대략 150~300℃ 정도까지 냉각되는 것이다.
한편, 송풍유닛(14)은 송풍기(14a)가 하부에 설치된 에어덕트(14b)를 포함하고, 에어덕트(14b) 상에는 이송롤러(20)사이로 배치되는 개구부분 즉, 노즐개구(14c)가 제공되게 된다.
예컨대, 이와 같은 송풍유닛(14)을 일명 스텔모어 냉각대(stelmor)라고도 하는데, 송풍력의 세기 또는 선재코일(1)의 이송속도 등 냉각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냉각능력을 제공하는 이점은 있으나, 선재코일(1)의 폭방향으로 동일한 송풍을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알려진 송풍유닛을 이용한 스텔모어 냉각대의 경우,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코일(1)의 적치시 선재코일(1)의 양측부분(가장자리 부분)(도 2의 A부분)과 중앙부분 간의 적치밀도가 상당부분 차이가 발생하고, 결국 도 4와 같이, 동일한 송풍환경 하에서는, 냉각되는 소재의 변태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최대 80℃까지의 선재코일(1) 중앙부분(M, Middle part)과 양측부분(E, Edge part) 간 온도차가 발생하는데, 특히 선재코일의 양측부분(E, Edge part)에서 측부내측부위(Ei, Edge inner part), 측부외측부위(Eo, Edge outer part)의 온도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선재코일의 적치시 선재코일(100)의 양측부분(E)(도 2의 ‘A’ 부분)과 중앙부분 간의 적치밀도가 도 3과 같이 상당부분 차이가 발생하고, 결국 도 4와 같이 동일한 송풍 환경하에서는 냉각되는 소재의 변태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최대 80 ℃ 정도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8%의 탄소를 포함하고 직경이 5.5mm인 선재코일의 경우, 레잉헤드(13)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재코일의 중앙중심부위(Mc, Middle center part), 중앙양측부위(Me, Middle edge part), 측부내측부위(Ei), 측부외측부위(Eo)의 온도이력에서 차이가 심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적치밀도 차이에 따른 선재코일의 부위별 냉각속도 차이에 의한 온도편차에 의하여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미세조직이 달라지고, 이는 결국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선재코일의 냉각편차에 의하여 선재코일의 미세조직이 차이가 나는 경우, 추가적인 열처리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생산원가의 증가를 야기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선재코일의 폭방향 온도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송풍유닛(14)의 에어덕트(14b) 구조에 있어서 송풍기(14a) 측 단부가 경사진 구조(14b')을 설치하여, 컨베이어(20) 상의 선재코일(1) 양측부분(가장자리부분)에 보다 집중적으로 에어 송풍량을 집중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분화된 부위별 냉각편차가 발생하여 실효성이 적은 문제가 있다.
이와 더불어,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 추가로 에어 또는 냉각수(미스트)를 분사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별도의 복잡한 설비가 필요하고, 냉각능 제어도 어려워 냉각 편차가 더욱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종래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2017호(선재코일 냉각장치, 2013.01.07 공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선재코일의 적치밀도에 따른 냉각 불균형을 해소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는, 에어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구동수단; 및 상기 송풍구동수단과 연계되며, 선재코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이 구성되는 송풍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선재코일의 폭방향 위치에서의 적치밀도가 높을수록 송풍시간을 늘려서 송풍량을 증대시키도록, 개구부의 폭방향 형상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서 측부내측부위로부터 측부외측부위까지 대응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측부외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는, 에어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구동수단; 및 상기 송풍구동수단과 연계되며, 선재코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이 구성되는 송풍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선재코일의 폭방향 위치에서의 적치밀도가 높을수록 송풍시간을 늘려서 송풍량을 증대시키도록, 개구부의 폭방향 형상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중앙부분에서 중앙양측부위로부터 중앙중심부위까지 대응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중앙중심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서 측부외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선재코일의 중앙부분에서 중앙중심부위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1.5배 내지 2배로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서 측부내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서 측부외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0.4배 내지 0.6배로 작은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은 상기 선재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복수 개의 롤러 사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는, 선재코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도기 위해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을 구비하는 송풍가이드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위치에 따른 부위별 냉각능을 다르게 함에 따라 선재코일의 냉각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선재코일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재코일 냉각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냉각대를 이용한 선재코일 냉각 시, 선재코일의 적치밀도 및 적치밀도에 따른 온도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레잉헤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선재코일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2의 냉각대를 이용한 선재코일 냉각 시, 선재코일의 폭방향 위치에 따른 송풍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의 냉각대에서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에서 노즐의 개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에서 노즐의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노즐 개구부를 부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 선재코일의 레잉헤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따라 냉각된 선재코일의 부위별 평균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송풍 냉각에 의한 열전달 효과는 아래 식에서와 같이 송풍에어의 속도와 연관이 있으므로 적치밀도가 심한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 많은 에어를 빠른 속도로 보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Figure 112014089896234-pat00001
(hf ,c : 강제대류열전달계수, Velocity : 속도)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코일의 양측부분(E)을 벗어나서 양옆으로 손실되는 에어가 많아,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 정확하게 높은 속도의 에어를 송풍시켜 주지 못한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밀한 온도측정을 통해 온도이력이 확인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선재코일의 부위별 냉각편차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종래에 활용되는 선재코일의 중앙부분과 양측부분의 2분법적 냉각방식으로는 선재코일의 불균일 냉각을 해소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 대한 냉각능을 높이더라도 적치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측부외측부위에 비하여 적치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측부내측부위가 과냉됨에 따라, 선재코일의 냉각편차를 가중시켜 재질편차로 야기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부위별 온도 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부위별로 송풍시간에 따른 송풍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에서 노즐의 개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노즐 개구부를 부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도 8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 선재코일의 레잉헤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울러, 도 12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따라 냉각된 선재코일의 부위별 평균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에어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구동수과, 상기 송풍구동수단과 연계되어 선재코일(1)을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송풍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송풍구동수단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에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기면 어떠한 기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가이드수단은 선재코일(1)을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이 구성된다.
종래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의 개구부(14c)가 선재코일(1)의 폭방향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선재코일(1)의 폭방향과 대응되는 부분에 있어서 선재코일(1)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노즐의 개구부(100)는 선재코일(1)이 컨베이어의 이송롤러(20a)에 의해 이송진행되는 과정에서 송풍시간이 선재코일(1)의 폭방향의 어느 위치도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선재코일(1)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선재코일(1)의 모든 부분이 동일한 송풍시간에 의한 동일한 송풍량을 받기 때문에, 선재코일(1)의 적치밀도에 따라 선재코일(1)의 폭방향 각 위치에 따른 냉각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선재코일(1)에서 적치밀도가 중앙부분(M)보다 높은 양측부분(E)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전체적인 냉각균일효과를 구현할 수 없고, 나아가 선재코일(1)의 양측부분(E)에서 측부내측부위(Ei)보다 적치밀도가 높은 측부외측부위(Eo)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측부외측부위(Eo)를 강하게 냉각하는 경우 측부내측부위(Ei)가 과냉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노즐은 선재코일(1)의 폭방향 위치에서의 적치밀도가 높을수록 송풍시간을 늘려서 송풍량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즉, 상기 노즐은 선재코일(1)의 폭방향 위치에서의 적치밀도가 높을수록 송풍시간을 늘려서 송풍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개구부(100)의 폭방향 형상구조에 있어서 선재코일(1)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의 개구부(100)는 선재코일(1)의 양측부분(E)에서 측부내측부위(Ei)로부터 측부외측부위(Eo)까지 대응되는 부분(100Ei)(100Eo)에 있어서, 측부외측부위(Eo)에 대응되는 부분(100Eo)으로 갈수록 선재코일(1)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취한다.
즉, 상기 노즐의 개구부(100)에서 선재코일(1)의 측부내측부위(Ei)에 대응되는 부분(100Ei)으로부터 측부외측부위(Eo)에 대응되는 부분(100Eo)으로 갈수록, 선재코일(1)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커짐으로써 송풍시간이 늘어나 송풍량도 커짐에 따라, 선재코일(1)의 측부내측부위(Ei)로부터 측부외측부위(Eo)로 갈수록 냉각능을 더 높일 수 있다.
참고로, 선재코일(1)을 부위별로 설명하자면, 측부내측부위(Ei)는 양측부분(E)에서 중앙부분(M)에 가까운 측에 해당되는 부위이고, 측부외측부위(Eo)는 양측부분(E)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위로서, 선재코일(1) 측부내측부위(Ei)와 측부외측부위(Eo)에서의 온도차이가 큼에 따라 이와 같이 노즐의 개구부(100)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형상구조(선재코일 길이방향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의 개구부(100)는 선재코일(1)의 중앙부분(M)에서 중앙양측부위(Me)로부터 중앙중심부위(Mc)까지 대응되는 부분(100Me)(100Mc)에 있어서, 중앙중심부위(Mc)에 대응되는 부분(100Mc)으로 갈수록 선재코일(1)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취한다.
즉, 상기 노즐의 개구부(100)에서 선재코일(1)의 중앙양측부위(Me)에 대응되는 부분(100Me)으로부터 중앙중심부위(Mc)에 대응되는 부분(100Mc)으로 갈수록, 선재코일(1)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커짐으로써 송풍시간이 늘어나 송풍량도 커짐에 따라, 선재코일(1)의 중앙양측부위(Me)에 대응되는 부분(100Me)으로부터 중앙중심부위(Mc)에 대응되는 부분(100Mc)으로 갈수록 냉각능을 더 높일 수 있다.
참고로, 선재코일(1)을 부위별로 설명하자면, 중앙중심부위(Mc)는 중앙부분(M)에서 중심에 해당되는 부위이고, 중앙양측부위(Me)는 중앙부분(M)에서 양측부분(E) 측에 가까운 부위로서, 선재코일(1) 중앙중심부위(Mc)와 중앙양측부위(Me)에서의 온도차이가 남에 따라 이와 같이 노즐의 개구부(100)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형상구조(선재코일 길이방향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직한 일례로서 온도측정수단(미도시)에 의한 선재코일(1)의 폭방향 위치에 따른 온도측정결과치를 고려할 때, 상기 노즐의 개구부(100)는 선재코일(1)의 양측부분(E)에서 측부외측부위(Eo)에 대응되는 부분(100Eo)이, 선재코일(1)의 중앙부분(M)에서 중앙중심부위(Mc)에 대응되는 부분(100Mc)보다, 선재코일(1)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1.5배 내지 2배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코일(1)의 적치밀도에 따라 선재코일(1)의 측부외측부위(Eo)의 온도가 중앙중심부위(Mc)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으로써, 이를 고려하여 적정한 수치로 노즐의 개구부(100) 길이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의 개구부(100)는 선재코일(1)의 양측부분(E)에서 측부내측부위(Ei)에 대응되는 부분(100Ei)이, 선재코일(1)의 양측부분(E)에서 측부외측부위(Eo)에 대응되는 부분(100Eo)보다, 선재코일(1)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0.4배 내지 0.6배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코일(1)의 적치밀도에 따라 선재코일(1)의 측부내측부위(Ei)의 온도가 측부외측부위(Eo)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작음으로써, 이를 고려하여 적정한 수치로 노즐의 개구부(100) 길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의 개구부(100)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람직하게 선재코일(1)의 측부외측부위(Eo)에 대응되는 부위(100Eo)가 가장 길게 형성되고, 선재코일(1)의 측부내측부위(Ei)에 대응되는 부위(100Ei)가 가장 짧게 형성되고, 선재코일(1)의 중앙양측부위(Me)에 대응되는 부위(100Me), 중앙중심부위(Mc)에 대응되는 부위(100Mc) 순서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노즐은, 선재코일(1)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복수 개 롤러 사이 각각에 배치됨으로써, 선재코일(1)이 이송진행되는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냉각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실제 선재코일(1)의 부위별 온도측정결과를 모델링화한 것으로서, 종래의 온도 측정 결과인 도 5에 비해 부위별 냉각편차를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종래 과냉이 발생했던 측부내측부위(Ei)의 송풍시간을 감소시켜 송풍량을 줄임으로써 과냉을 막을 수 있었으며, 측부외측부위(Eo)의 송풍시간을 늘려서 송풍량을 크게 함으로써 냉각능이 증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편차 감소로 인하여 재질편차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었는데, 도 12는 실제 생상된 8개의 선재코일(1)을 12등분으로 잘라서 부위별로 인장실험을 실시하여 평균 인장강도를 나타낸 결과로서, 재질편차가 편차가 약 35%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즐 개조에 투자비용이 크지 않았고, 노즐개조로 인한 조업 중 작업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선재코일(1)을 균일하게 냉각하도기 위해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을 구비하는 송풍가이드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선재코일(1)의 폭방향 위치에 따른 부위별 냉각능을 다르게 함에 따라 선재코일(1)의 냉각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선재코일 20 : 컨베이어
20a : 이송롤러 100 : (노즐의) 개구부
100M : (개구부에서) 선재코일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부분
100Mc : (개구부에서) 선재코일의 중앙중심부위에 대응되는 부분
100Me : (개구부에서) 선재코일의 중앙양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
100E : (개구부에서)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 대응되는 부분
100Ei : (개구부에서) 선재코일의 측부내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
100Eo : (개구부에서) 선재코일의 측부외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
M : 선재코일의 중앙부분 (Middle part)
Mc : 선재코일의 중앙중심부위 (Middle center part)
Me : 선재코일의 중앙양측부위 (Middle edge part)
E : 선재코일의 양측부분 (Edge part)
Ei : 선재코일의 측부내측부위 (Edge inner part)
Eo : 선재코일의 측부외측부위 (Edge outer part)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에어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구동수단; 및
    상기 송풍구동수단과 연계되며, 선재코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이 구성되는 송풍가이드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선재코일의 폭방향 위치에서의 적치밀도가 높을수록 송풍시간을 늘려서 송풍량을 증대시키도록, 개구부의 폭방향 형상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서 측부내측부위로부터 측부외측부위까지 대응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측부외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4. 에어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구동수단; 및
    상기 송풍구동수단과 연계되며, 선재코일을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송풍시간 조절에 의한 송풍량 제어용 노즐이 구성되는 송풍가이드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선재코일의 폭방향 위치에서의 적치밀도가 높을수록 송풍시간을 늘려서 송풍량을 증대시키도록, 개구부의 폭방향 형상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중앙부분에서 중앙양측부위로부터 중앙중심부위까지 대응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중앙중심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서 측부외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선재코일의 중앙부분에서 중앙중심부위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1.5배 내지 2배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개구부는, 상기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서 측부내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선재코일의 양측부분에서 측부외측부위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기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의 길이가 0.4배 내지 0.6배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선재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복수 개의 롤러 사이 각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20140126171A 2014-09-22 2014-09-22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56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171A KR101568609B1 (ko) 2014-09-22 2014-09-22 선재코일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171A KR101568609B1 (ko) 2014-09-22 2014-09-22 선재코일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609B1 true KR101568609B1 (ko) 2015-11-12

Family

ID=5461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171A KR101568609B1 (ko) 2014-09-22 2014-09-22 선재코일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60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611392A2 (pt) método e linha de produção para fabricar fitas metálicas de cobre ou ligas de cobre
KR101449180B1 (ko) 고강도강의 형상 교정 및 압연 방법과 형상 교정 장치
CN102310118A (zh) 一种高强度扁线的生产工艺及设备
KR101568609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568608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KR101271997B1 (ko)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
CN107250393B (zh) 钢管的淬火方法、钢管的淬火装置、钢管的制造方法及钢管的制造设备
KR101259243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795966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0815922B1 (ko) 선재의 균일 냉각을 위한 선재 냉각 장치의 롤러 배열방법
KR101242956B1 (ko) 다단 송풍형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0847030B1 (ko) 선재 균일 냉각 장치 및 균일 냉각 방법
KR101490600B1 (ko) 선재 제조방법
KR101259289B1 (ko)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1289181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299815B1 (ko) 선재코일의 균일 냉각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59237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568602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299738B1 (ko) 선재코일의 균일 냉각 시스템
KR101359114B1 (ko) 고탄소 강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30331B1 (ko) 고탄소강 선재 균일 냉각 제조 방법
KR101546275B1 (ko) 선재코일용 냉각장치
US20150298190A1 (en) Mandrel of coil box
KR101594706B1 (ko) 선재코일 균일냉각장치
KR20160077494A (ko) 선재 코일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