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417B1 -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417B1
KR101568417B1 KR1020080116660A KR20080116660A KR101568417B1 KR 101568417 B1 KR101568417 B1 KR 101568417B1 KR 1020080116660 A KR1020080116660 A KR 1020080116660A KR 20080116660 A KR20080116660 A KR 20080116660A KR 101568417 B1 KR101568417 B1 KR 10156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st
oil
flow path
unit
preventiv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014A (ko
Inventor
유기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1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4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electrically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제품의 표면 부식 등의 방지를 위해 도포되는 방청유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청유 응고 방지장치가 구비된 도포장치는 방청유를 공급하는 방청유 공급펌프;와, 상기 방청유 공급펌프와 유로로 연결되어 방청유가 설정량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정량펌프;와, 도포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정량펌프와 유로로 연결되어 공급되는 방청유를 압연제품에 도포하는 분사부;와, 상기 정량펌프와 분사부를 연결하는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부의 토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분사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유로의 내부와 분사부의 토출구를 청소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 퍼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도포실의 외부에는 방청유의 회수를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회수된 방청유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포실이 장착되는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실리콘 스펀지; 및 상기 실리콘 스펀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접촉하게 제공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압연제품에 도포되는 방청유가 최대한 균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고, 유로 또는 분사부에 잔존하는 방청유를 강제로 배출하여 유로 또는 분사부의 토출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응고현상으로 인한 조업 중단을 최소화 할수 있어 생산성의 저하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방청유, 응고, 도포장치, 공기, 히터

Description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COATING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RESTRAINING CONGELATION OF RUST PREVENTIVE OIL}
본 발명은 압연제품의 표면 부식 등의 방지를 위해 도포되는 방청유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강판 등과 같은 압연제품의 표면에는 녹 방지와 윤활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종 생산 공정인 연속소둔 공정 및 정정공정 등에서 방청유를 도포하고 있다.
종래의 방청유를 도포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방청유 도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탱크(21)에서 방청유를 가열하여 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부(22)에 의해 분배부(23)를 거쳐 도포실(10)에 구비되는 분사부(13)를 통해 압연제품(S)에 방청유를 도포하고 있다.
이 경우, 방청유는 그 자체의 점도로 인한 특성상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동절기 등과 같이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응고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점도가 40℃ 기준으로 36~60cSt인 방청유의 경우에는 주위 온도가 5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심한 응고 현상이 발생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압연제품에 균일한 방청유의 도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방청유의 도포 작업시 방청유가 공급되는 유로가 막히거나 또는 분사부의 토출구가 막히게 되어 작업이 중단되는 등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고점도의 방청유를 도포(도유)한 후에 무도유 또는 경도유 작업시 분사부에 잔존해 있는 방청유가 응고되어 토출구의 막힘을 유발하게 되므로 폭간 도유 편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고점도의 방청유 도유 작업시에는 일반 방청유의 도유재를 편성하여 토출구의 막힘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소재 편성에도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도포후 도포공간(10a)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용부(12)에 떨어지는 여분의 방청유는 다시 탱크(21)로 회수되는 과정에서 방청유는 대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온도 저하로 인한 응고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방청유의 회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수용부(12) 등의 바닥에 뿌려진 방청유가 응고된 경우에는 도유 작업을 중지하고 수작업으로 방청유로 제거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응고된 방청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을 멈추어야만 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청유 도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압연제품에 도포되는 방청유가 균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방청유의 응고로 인해 유로 또는 분사부의 토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방청유가 공급되는 유로 또는 방청유를 도포시키기 위하여 배출시키는 분사부에 잔존하는 방청유를 강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방청유 또는 분사부에 잔존하는 방청유의 온도가 유동성을 갖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방청유가 유로를 통해 공급 또는 회수될 때, 응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방청유의 재사용을 위한 회수를 위하여 집유되는 과정에서 방청유가 응고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방청유의 응고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방청유의 응고로 인해 유로 또는 분사부의 토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는 방청유를 공급하는 방청유 공급펌프;와, 상기 방청유 공급펌프와 유로로 연결되어 방청유가 설정량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정량펌프;와, 도포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정량펌프와 유로로 연결되어 공급되는 방청유를 압연제품에 도포하는 분사부;와, 상기 정량펌프와 분사부를 연결하는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부의 토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분사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유로의 내부와 분사부의 토출구를 청소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 퍼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도포실의 외부에는 방청유의 회수를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회수된 방청유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포실이 장착되는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실리콘 스펀지; 및 상기 실리콘 스펀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접촉하게 제공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퍼지부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공기 공급부와 분사부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온/오프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분사부와 온/오프 밸브 사이의 유로에는 에어 퍼지부로 방청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밸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방청유를 분사부에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유로에는 방청유의 유동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유로를 가열하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분사부에는 방청유의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는 온도로 분사부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가열된 절연유체를 순환시키는 보온부가 더 구비되고, 분사부는 보온부로부터 공급되는 절연유체가 순환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온부는 절연유체가 수용되며, 절연유체의 회수를 위해 분사부와 연결되는 탱크와; 탱크에 연결되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절연유체를 가열하는 히터와; 히터와 분사부 사이에 연결되어 가열된 절연유체를 분사부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보온부는 절연유체가 수용되며, 절연유체의 회수를 위해 분사부와 연결되는 탱크와; 탱크에 연결되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절연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공급펌프와 분사부 사이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절연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히터와 공급펌프 사이에는 게이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절연유체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분사부와 탱크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회수된 절연유체가 바로 공급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연제품에 도포되는 방청유가 최대한 균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청유가 공급되는 유로 또는 방청유를 도포시키기 위하여 배출시키는 분사부에 잔존하는 방청유를 강제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방청유의 응고로 인한 유로 또는 분사부의 토출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방청유 또는 분사부에 잔존하는 방청유의 온도가 유동성을 갖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방청유의 응고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청유가 유로를 통해 공급 또는 회수될 때, 응고현상이 억제되어 방청유의 회수가 지속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청유의 공급 또는 회수시 응고현상이 방지되어 조업의 중단을 최소화 할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 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방청유의 응고로 인해 유로 또는 분사부의 토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1)는 에어 퍼지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청유 도포장치(1)는 도포실(10)에 도포공간(10a)이 구비되고, 사기 도포공간(10a)에 둘 이상의 분사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포실(10)의 하부에는 분사부(13)로부터 분사된 방청유 중 압연제품에 도포되지 않은 방청유를 다시 회수하기 위하여 방청유를 집유하기 위한 수용공간(12a)이 형성된 수용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2)에는 집유된 방청유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21)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탱크(21)는 집유된 방청유 이외에도 압연제품에 도포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사부(13)로 공급되는 방청유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21)에는 방청유를 분사부(13)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등으로 구성되는 공급부(22)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공급부(22)에는 상기 각각의 분사부(13)로 방청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분배부(23)가 더 구비되어 방청유의 공급을 분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급부(22)에는 상기 각각의 분사부(13)가 분기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과 같이, 분배부(23)와 분사부(13)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정량펌프(24)가 더 구비되어 설정된 양의 방청유가 각 분사부(13)로 공급되어 도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각 분사부(13)와 정량펌프(24)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상기 분사부(13)의 토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공기를 공급하여 유로의 내부와 분사부(13)의 토출구에 잔유되는 방청유를 제거하도록 에어 퍼지부(1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에어 퍼지부(10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은 도포되는 방청유의 점도에 따라 다른 압력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에어 퍼지부(100)는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져 각 분사부(13)와 정량펌프(24) 사이의 각 유로에 분기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유로마다 독립된 에어 퍼지부(100)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퍼지부(100)의 구성에 관한 일 예로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온/오프 밸브(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부(110)는 방청유를 도포시키기 위한 공정 등에 구비되는 기존의 압축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독립된 압축기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에어 퍼지부(100)는 독립된 압축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하나의 압축기에 의해 고압의 공기가 분기되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온/오프 밸브(111)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각 압연제품의 도포과정이 종료할 때,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을 할 수 있다. 한편, 자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공정의 사이클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온/오프 밸브(111)는 수동과 자동조작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방청유의 도포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 종료한 후, 상기 온/오프 밸브(111)를 개방하여 유로 또는 분사부(13)의 토출구, 또는 유로와 분사부(13)의 토출구에 잔존하는 방청유를 제거하도록 공기를 분사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분사부(13)와 온/오프 밸브(111) 사이의 유로에는 방청유가 에어 퍼지부(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밸브(11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역류방지밸브(112)는 체크밸브 등과 같은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공급펌프(22)로부터 분사부(13)로 방청유를 공급하는 동안 방청유가 흐르는 유로는 대기 온도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저하되고, 이로 인해 방청유의 유동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방청유가 응고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청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펌프(22)와 분사부(13) 사이에 연결되는 유로에는 방청유의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터는 외부 환 경에 노출되는 유로의 영역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13)를 통해 분사된 후 공급펌프로 방청유를 회수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유로에도 방청유의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히터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유로의 영역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은 실리콘 부재가 구비되는 히터 또는 열선 등과 같은 발열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13)에는 방청유의 유동이 유지될 수 있는 온도로 분사부(13)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부(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온부(130)는 절연성 유체를 가열하여 온도가 상승된 절연유체(절연유체)가 분사부(13)에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부(13)는 내부에 상기 가열된 절연유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분사부(13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유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온부(130)의 구성에 관한 예로,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순환 유로(미도시)가 형성된 분사부(131)로 절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절연유체가 수용되는 탱크(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탱크(132)는 절연유체의 회수를 위해 상기 분사부(131)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132)에는 상기 분사부(131)로 공급되는 절연유체를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133)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133)에는 가열된 절연유체를 상기 분사부(131)로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펌프(13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펌프(134)는 각 분사부(131)로 절연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되는 상태로 상기 분사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온부(130)의 다른 구성에 관한 예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순환 유로(미도시)가 형성된 분사부(131)로 절연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절연유체가 수용되는 탱크(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탱크(132)는 절연유체의 회수를 위해 상기 분사부(131)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132)에는 절연유체를 상기 분사부(131)로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펌프(134)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급펌프(134)에는 상기 분사부(131)로 공급되는 절연유체를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133)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133)에는 각 분사부(131)로 절연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되는 상태로 상기 분사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유체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분사부(131)와 탱크(132)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회수된 절연유체가 바로 공급펌프(13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13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히터(133)와 공급펌프(134) 사이에는 압력 게이지(135)가 더 구비되어 공급되는 절연유체의 압력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보온부(130)는 상기 에어 퍼지부(100)와 같이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거나, 자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보온부(130)를 작동하거나, 또는 외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보온부(130)가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자동으로 보온부(130)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상기 분사부(131) 또는 분사부(131)와 인접한 유로에 온도 검출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131,13)를 통해 분사된 방청유를 회수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청유 도포장치(1)가 구성되는 경우, 도포실(10)의 수용부(12)를 통해 집유되는 방청유는 외부의 온도 및 수용부(12) 온도의 영향을 받아 응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유되는 방청유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12)에는 가열부(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2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열부(120)는 상기 수용부(12)의 하부(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열부(120)는 실리콘 스펀지(122)의 상부에 히터(123)가 구비되고, 상기 실리콘 스펀지(122)의 하부에 보온재(121)가 구비되는 가열부(1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120)는 도포실(10)이 장착되는 베이스(1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120)의 상부에 도포실(10)의 수용부(12)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120)는 수용부(12)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열부(12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12)에 가열부(12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열부(120)는 방청유의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당 방청유의 점도에 따라 적정한 온도로 방청유가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청유 도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방청유도포장치 10 ... 도포실
10a ... 도포실 12 ... 수용부
13,131 ... 분사부 21,132 ... 탱크
22 ... 방청유 공급펌프 24 ... 정량펌프
100 ... 에어 퍼지부 110 ... 공기 공급부
111 ... 온/오프 밸브 112 ...역류방지밸브
120 ... 가열부 121 ... 보온재
122 ... 실리콘 스펀지 123,133 ... 히터
130 ... 보온부 134 ... 절연유체 공급펌프
135 ... 게이지 136 ... 방향전환밸브

Claims (10)

  1. 방청유를 공급하는 방청유 공급펌프;
    상기 방청유 공급펌프와 유로로 연결되어 방청유가 설정량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정량펌프;
    도포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정량펌프와 유로로 연결되어 공급되는 방청유를 압연제품에 도포하는 분사부;
    상기 정량펌프와 분사부를 연결하는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부의 토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분사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유로의 내부와 분사부의 토출구를 청소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 퍼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도포실의 외부에는 방청유의 회수를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회수된 방청유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도포실이 장착되는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온재;
    상기 보온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실리콘 스펀지; 및
    상기 실리콘 스펀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접촉하게 제공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퍼지부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공기 공급부와 분사부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온/오프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와 온/오프 밸브 사이의 유로에는 에어 퍼지부로 방청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방청유를 분사부에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유로에는 방청유의 유동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유로를 가열하는 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에는 방청유의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는 온도로 분사부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가열된 절연유체를 순환시키는 보온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분사부는 보온부로부터 공급되는 절연유체가 순환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는
    절연유체가 수용되며, 절연유체의 회수를 위해 분사부와 연결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연결되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절연유체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와 분사부 사이에 연결되어 가열된 절연유체를 분사부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는
    절연유체가 수용되며, 절연유체의 회수를 위해 분사부와 연결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연결되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절연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와 분사부 사이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절연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공급펌프 사이에는 게이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체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분사부와 탱크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회수된 절연유체가 바로 공급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도포장치.
  10. 삭제
KR1020080116660A 2008-11-24 2008-11-24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 KR10156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660A KR101568417B1 (ko) 2008-11-24 2008-11-24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660A KR101568417B1 (ko) 2008-11-24 2008-11-24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14A KR20100058014A (ko) 2010-06-03
KR101568417B1 true KR101568417B1 (ko) 2015-11-12

Family

ID=4235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660A KR101568417B1 (ko) 2008-11-24 2008-11-24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0209B (zh) * 2013-05-08 2015-12-23 长沙长泰机器人有限公司 一种用于铸型快干涂料的机器人自动喷涂系统
CN112076915B (zh) * 2020-09-02 2022-05-10 天津新伟祥工业有限公司 铸件防锈雾化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0217A (ja) * 2004-11-29 2006-06-15 Lui Kk 高粘度用静電式ブレード型塗布ノズル
KR100667496B1 (ko) * 2005-10-07 2007-01-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폐열회수보일러의 핀 튜브 방청설비
KR100711430B1 (ko) * 2006-05-26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가열장치를 갖는 방청유 분사용 오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0217A (ja) * 2004-11-29 2006-06-15 Lui Kk 高粘度用静電式ブレード型塗布ノズル
KR100667496B1 (ko) * 2005-10-07 2007-01-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폐열회수보일러의 핀 튜브 방청설비
KR100711430B1 (ko) * 2006-05-26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가열장치를 갖는 방청유 분사용 오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14A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363B1 (ko) 강판의 제어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KR101568417B1 (ko) 방청유 응고 방지구조가 구비된 방청유 도포장치
KR101139303B1 (ko) 롤 윤활 방법 및 그 장치
US201000440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cooling
US20120241125A1 (en) Injectio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heat medium for injection molding device
JP4377873B2 (ja) 鋼板の制御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CN104690097A (zh) 一种冷轧平整机吹扫辅助装置
US94339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lubricating the cylinders of a roll stand
US10137482B2 (en) Stripping device and display substrate production line
US20180169689A1 (en) Preservation installations for vehicle bodies, method for the preservation of a vehicle body and vehicle body
KR100711430B1 (ko) 에어가열장치를 갖는 방청유 분사용 오일러
CN101204696B (zh) 涂布方法
JP2015100281A (ja) 容器熱処理装置
CN104386043B (zh) 一种内设防锈防腐层的汽车淋水箱及防锈防腐层设置方法
US20100288462A1 (en) Casting system with a device for applying fluid onto a cast strip
RU2009129614A (ru) Способ разогрева и слива вязких и застывших продуктов из ем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11872615B2 (en) Cooling device for cooling a material to be cooled
KR20100107603A (ko) 용접 강관 냉각 장치
KR101087340B1 (ko) 연주 설비용 냉각수 수처리방법
KR101566769B1 (ko) 소재 냉각 장치
US9709336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oling a digestion vessel of a calorimeter after use
KR101940429B1 (ko) 후강판의 제조 방법
KR20110120522A (ko) 열연 강판의 균일 냉각 장치
KR101461752B1 (ko) 가스 와이핑 장치
KR101188325B1 (ko) 진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탈가스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