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208B1 -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208B1
KR101568208B1 KR1020080047184A KR20080047184A KR101568208B1 KR 101568208 B1 KR101568208 B1 KR 101568208B1 KR 1020080047184 A KR1020080047184 A KR 1020080047184A KR 20080047184 A KR20080047184 A KR 20080047184A KR 101568208 B1 KR101568208 B1 KR 10156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formation
servo
light
storage medium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073A (ko
Inventor
정규일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20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 저장방법, 광정보 기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트랙 및 섹터로 구분되며 홀로그램 광정보가 기록되고,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각 섹터들에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에 대한 서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과 구분되며 상기 각 섹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리드인 영역을 구비하는 광정보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광정보 저장매체를 인식하고, 광정보를 저장 및 재생, 광정보 저장매체의 서보제어를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 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method for recognition of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method for recording of optical information, method for reproducing of optical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o}
본 발명은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 저장방법, 광정보 기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로그래피를 이용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에 광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 저장방법, 광정보 기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및 전산 산업의 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짐에 따라 대용량 저장 능력 및 데이터의 고속 입출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저장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광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저장 및 데이터의 고속 입출력이 가능한 광정보 저장매체로 컴팩트디스크(CD;Compact Disc), 디브이디(DVD;Digital Versatile Disc), 고품질 디브이디(HD-DVD;High Definition DVD), 블루레이 디스크(BD; Blue-ray Disc), 홀로그래픽 디지털 정보 저장장치(HDDS;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등이 각광받고 있다.
이 중 홀로그래픽 디지털 정보 저장장치를 이용한 광정보 처리장치(이하, '광정보 처리장치'라 함)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기준광(reference beam)과 신호광(signal beam)으로 분리시키고, 기준광과 신호광을 포토 폴리머(Photopolymer)와 같은 광 굴절성 재료의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교차시켜 발생되는 간섭무늬에 의해 광정보를 기록한다.
광정보 처리장치는 데이터의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광을 다중화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광을 다중화 시키는 방법으로는 각도 다중화(angular multiplexing), 위상코드 다중화(phase-code multiplexing), 파장 다중화(wavelength multiplexing), 쉬프트 다중화(shift multiplexing) 등의 방법이 있다. 여기서 각도 다중화 방법은 기준광의 입사각도를 변화시켜 다중화하는 것이고, 위상코드 다중화는 공간적으로 위상을 변조하여 다중화하는 것이고, 파장 다중화는 파장 가변 레이저를 이용하여 파장 변화에 따라 다중화하는 것이며, 쉬프트 다중화는 광정보 저장매체를 이동시키면서 기록을 다중화하는 방법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에 광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광정보 저장매체의 판독과, 광정보가 저장될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광정보를 기록한 광정보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위치를 광정보 저장매체 정확히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기록시에는 광정보 저장매체의 특정위치에 대한 데이터 기록유무를 판단하거나 또는 어느 위치에 데이터를 기록할 것인가를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록시와 재생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해서는 광정보 저장매체에 대한 특정 포맷을 미리 정의해두어야 하고, 이를 근거로 광정보 저장매체의 인식과 광정보의 저장 및 재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광정보가 저장되는 광정보 저장매체를 인식하기 위한 광정보 저장매체의 포맷과, 광정보 저장매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과, 광정보 저장매체에 광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과, 광정보 저장매체에 저장된 광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과, 광정보 저장매체의 서보제어방법의 개발이 대두되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는 다수의 트랙 및 섹터로 구분되며 홀로그램 광정보가 기록되고,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각 섹터들에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에 대한 서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과 구분되며 상기 각 섹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리드인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리드인 영역은 상기 섹터에 기록되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에 대한 처리정보(TOC; Table of contents)가 기록되는 처리정보 기록부를 구비한다.
상기 처리정보 기록부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의 저장 방식과 동일한 홀로그램으로 기록된다.
상기 기록유무 표시부는 유기염료로 형성된다.
상기 기록유무 표시부는 상변환(phase change)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트랙들의 사이에는 영역경계(zone boundary)가 형성된다.
상기 리드인 영역은 상기 섹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섹터 위치정보부를 구비한다.
상기 영역경계와 상기 섹터 위치정보부는 반사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트랙과 상기 섹터에 의해 영역이 구획되며, 상기 각 트랙에 사이에는 상기 트랙을 구분하기 위한 영역경계가 형성된다.
상기 트랙과 상기 섹터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포함되며, 신호광 및 기준광에 의해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 및 판독되는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트랙과 상기 섹터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이 포함되며, 서보광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정보가 형성되는 서보정보부를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되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 보의 모의 광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광 반응 결과를 제공하는 테스트 기록정보부를 구비한다.
상기 테스트 기록정보부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준광 및 신호광을 각각 반복 입사시켜 상기 모의 광정보를 복수 개로 중첩하여 기록한다.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모의 광정보는, 최초로 기록되는 상기 모의 광정보의 기록시간과, 이후 기록되는 상기 모의 광정보의 기록시간이 동일하도록 기록된다.
상기 신호광은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의 처리를 위한 광학기기들의 정렬 데이터가 적재된다.
상기 테스트 기록정보부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의 선단에 형성된다.
상기 서보정보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초기위치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서보정보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어드레스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서보정보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서보제어를 위한 서보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의 중앙부에서 상기 트랙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상기 트랙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트랙의 중앙부에서 상기 트랙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각각 상,하,좌,우로 대칭되는 4개의 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 1, 2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로 기울져 형성되는 제 3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 1, 2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일측으로 돌출되는 꺽쇠 형상의 제 3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 1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직교하게 마련되고, 상기 트랙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 2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인식방법은 다수의 트랙 및 섹터로 구분되며 홀로그램 광정보가 기록되고,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각 섹터들에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에 대한 서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과 구분되며 상기 각 섹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리드인 영역을 구비하는 광정보 저장매체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식방법은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리드인 영역을 판독하여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특정정보(SDI)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특정정보가 판독되면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상기 섹터에 대한 광 정보 저장상태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광정보의 저장상태가 판독되면, 상기 각 섹터에 저장된 광정보 데이터의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특정정보(SDI)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상기 리드인 영역에 마련된 저장매체 정보부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섹터에 대한 광정보 저장상태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상기 리드인 영역에 마련된 섹터정보부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각 섹터에 저장된 광정보 데이터의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상기 리드인 영역에 마련된 섹터정보부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저장방법은 다수의 트랙 및 섹터로 구분되며 홀로그램 광정보가 기록되고,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각 섹터들에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에 대한 서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과 구분되며 상기 각 섹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리드인 영역을 구비하는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저장방법은, 상기 리드인 영역에서 상기 광정보를 저장하고자 하는 상기 섹터의 저장유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섹터에 저장될 상기 광정보의 처리정보를 상기 리드인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광정보가 저장될 상기 섹터의 상기 서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섹터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서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섹터의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섹터에 광정보가 적재된 신호광과 기준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섹터의 저장유무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상기 리 드인 영역에 마련된 섹터정보부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광정보의 처리정보를 상기 리드인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광정보 저장매체의 상기 리드인 영역에 마련된 기록유무표시부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섹터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섹터에 마련되는 서보정보부를 판독하여 상기 해당 섹터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섹터의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섹터에 마련되는 서보정보부를 판독하고, 상기 서보정보부에서 반사되는 서보광을 검출하여 판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섹터의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검출되는 상기 서보광의 광세기를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섹터의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검출되는 상기 서보광드의 검출 시간차를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광정보의 처리정보를 상기 리드인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이후, 상기 광정보가 저장된 상기 섹터의 타임 스케쥴을 작성하고, 이를 리드인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섹터의 타임 스케쥴을 작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섹터에 기록?? 상기 광정보의 처리정보를 상기 리드인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재생방법은 다수의 트랙 및 섹터로 구분되며 홀로그램 광정보가 기록되고,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각 섹터들에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에 대한 서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과 구분되며 상기 각 섹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리드인 영역을 구비하는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재생방법은,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광정보가 저장된 상기 섹터를 상기 리드인 영역에서 판독하는 단계,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광정보가 저장된 상기 섹터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섹터의 상기 서보정보에 따라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섹터에 기준광을 조사하여 상기 섹터에 저장된 광정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섹터를 상기 리드인 영역에서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리드인 영역에 저장된 상기 섹터정보부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광정보가 저장된 상기 섹터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섹터에 마련되는 서보정보부를 판독하여 상기 해당 섹터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섹터에 마련되는 서보정보부를 판독하고, 상기 서보정보부에서 반사되는 서보광을 검출하여 판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검출되는 상기 서보광의 광세기를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검출되는 상기 서보광드의 검출 시간차를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이용한 서보제어방법은 신호광 및 기준광에 의해 데이터 기록부에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고, 서보광에 의해 상기 데이터 기록부 선단에 위치한 서보정보부의 서보 제어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의 서보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서보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보정보부로 서보광을 입사시키는 단계, 상기 서보정보부에 형성된 다수의 서보 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서보광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신호광 및 상기 기준광의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트랙의 중앙부에서 상기 트랙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상기 트랙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트랙의 중앙부에서 상기 트랙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위치보상 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의 광세기와, 상기 제 2위치보상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의 광세기를 상호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트랙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각각 상,하,좌,우로 대칭되는 4개의 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각 위치보상패턴에서 반사되는 상기 서보광의 광세기를 상호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트랙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 1, 2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로 기울저 형성되는 제 3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3위치보상 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의 시간차와, 상기 3, 2위치보상 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의 시간차를 상 호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보 패턴은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트랙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 1, 2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일측으로 돌출되는 꺽쇠 형상의 제 3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3위치보상 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의 시간차와, 상기 3, 2위치보상 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의 시간차를 상호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 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에 따르면 홀로그램 광정보 및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의 기본적인 포맷을 제공하여 홀로그램 광정보 및 공정보의 서보제어를 위한 정보를 구비함으로써 광정보 저장매체의 인식, 기록, 재생, 서보제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다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 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 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 것으로,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이용하는 광정보 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준광(R)과 신호광(S)을 광정보 저장매체(200)에서 교차시켜, 간섭무늬를 형성하고, 광정보 저장매체(200)로부터 재생되는 재생광(P)을 검출하는 기록재생 광학계(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감광성 매질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기록층에서 기준광(R)과 신호광(S)을 교차시켜 광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신호광(S)에는 온 픽셀(on pixel)/오프 픽셀(off pixel)로 구분되는 데이터페이지(datapage)가 적재된다.
또한,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광정보 기록시 사용된 기준광(R)을 간섭무늬 로 입사시키고, 간섭무늬에서 재생광(P)을 검출함으로써, 광정보를 재생시킨다.
한편,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광정보 기록 및 재생 이전에,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위치와 기준광(R) 및 신호광(S)의 입사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서보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서보광(T)을 제공하는 서보광원(120)과, 서보광원(120)에서 제공되는 서보광(T)의 편광에 따라 서보광(T)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편광 광분리기(130)와, 편광 광분리기(130)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의 편광을 원편광으로 변경시키는 λ/4 파장판(140)과, 서보광(T)을 광정보 저장매체(200)로 집광시키는 집광렌즈(150)를 구비한다.
한편, 광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신호광(S)과 기준광(R)은 532.0 nmㅁ 0.1nm 파장대의 녹생광 레이저일 수 있다. 그리고 트랙킹 및 어드레싱과 같은 서보 제어를 위해서 사용되는 서보광(T)은 655 nm 내외의 파장대를 가지는 적색광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보제어를 위하여 다른 파장대의 광을 사용하는 이유는 트랙킹 및 어드세싱을 위하여 광정보 저장매체(200)에 광을 입사할 때 서보광(T)에 의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에 형성된 광정보 기록층이 반응하는 것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광정보 기록층의 물질은 서보광(T) 즉, 레드 레이저에 의하여 광반응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광정보 저장매체(200)로 서보광(T)이 입사되어 반사되는 서보광(T)의 경로에 서보광(T)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서보광 검출기(160)를 구비한다. 이러한 서보광 검출기(160)는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를 검출할 수 있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보광 검출기(160)의 검출영역은 적어도 2~4개 이상으로 분할되며, 분할되는 검출영역은 좌, 우 대칭 또는 상, 하, 좌, 우 대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서보광원(120)으로부터 P편광의 서보광(T)을 제공한다. P편광의 서보광(T)은 편광 광분리기(130)에 반사되어, λ/4 파장판(140)을 거치면서 원편광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원편광으로 변경되는 서보광(T)은 집광렌즈(150)에 의해 광정보 저장매체(200)로 입사된다. 광정보 저장매체(200)로 입사되는 서보광(T) 중,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서보 정보부(225)에 포함되는 각 패턴으로 입사되는 서보광(T)은 반사되고, 데이터 영역(220)으로 입사되는 서보광(T)은 광정보 저장매체(200)를 투과하여 광정보를 재생한다.
여기서, 서보 정보부(225)의 각 패턴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은 집광렌즈(150)와 λ/4 파장판(140)을 거치면서 원평광에서 S편광으로 변경되어, 편광 광분리기(130)를 투과한다. 편광 광분리기(130)를 투과한 서보광(T)은 서보광 검출기(160)에 의해 검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트랙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리드-인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섹터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섹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200)는 중심부에 클램핑 홀(201)을 가지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클램핑 홀(201)의 주변부는 클램핑 존(202)으로 구분되고, 클램핑 존(202)의 외경 방향으로의 소정 폭은 리드인 영역(210)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리드인 영역(210)의 외측부는 데이터 영역(220)으로 구분된다. 또한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최외곽 테두리 부분은 리드아웃 영역(2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 영역(220)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홀로그램 형태로 기록된다. 홀로그램은 기준광(R)과 신호광(S)을 데이터 영역(220)에서 교차시킴으로써 신호광(S)에 포함된 광정보가 간섭무늬로 기록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영역(2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210)의 외측으로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다수의 트랙(222a, 222b, 222c, 222d)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트랙은 다수개의 섹터(223a, 223b, 223c, 223d)로 구분된다.
여기서,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트랙들(222a, 222b, 222c, 222d)의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외경 측으로 갈수록 각각의 트랙들(222a, 222b, 222c, 222d)에 포함되는 섹터들(223a, 223b, 223c, 223d)의 숫자는 더욱 많아질 수 있다(m은 섹터의 개수이고, a, b 그리고 c는 양의 정수이며, a < b < c 이다).
또한, 각각의 트랙(222a, 222b, 222c, 222d)들 사이에는 영역경계(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영역경계(221)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막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영역경계(221)를 표시하는 특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인 영역(2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핑 존(202)과 인접 트랙(222a)과의 경계 부분에 영역경계(202)를 구비된다. 그리고 리드인 영역(210)은 저장매체 정보부(211)와 다수의 섹터 정보부(212)를 구비한다.
저장매체 정보부(211)는 해당 광정보 저장매체(200)에 대한 다양한 특정정보(SDI: Specific disk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정정보의 예로는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포맷 정보, 광정보 저장매체의 크기, 기록 용량, 트랙 정보, 기록 및 재생을 위한 각종 기술적 사양 및 기타 정보들일 수 있다.
그리고 섹터 정보부(212)는 데이터 영역(220)에 구비되는 섹터의 개수 이상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섹터 정보부(212a, 212b, 212c)의 구성은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하나의 섹터 정보부(212)는 섹터 위치정보부(213), 기록유무 표시부(214), 처리정보 기록부(TOC; Table of contents)(215)가 형성된다.
섹터 위치정보부(213)는 섹터 위치정보부(213)에 입사된 광을 시간적 순서로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막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반사되는 반사광은 이진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각 섹터들(223a, 223b, 223c, 223d)의 위치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한다.
기록유무 표시부(214)는 해당 섹터에 홀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 시하기 위한 것으로, 광이 입사되면 버닝(burning)되는 유기염료(organic dye) 또는 상변환이 일어나는 은(Ag)-인듐(In)-안티몬(Sb)-텔루르(Te)의 화합물 등과 같은 상변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처리정보 기록부(215)에 기록되는 처리정보는 홀로그램이 기록되는 섹터에 대한 어드레싱 정보, 각 섹터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길이 및 그 외에 각 섹터에 기록된 데이터의 포맷과 기타 다양한 정보들이 홀로그램으로 기록된다.
한편 데이터 영역(220)을 형성하는 각 섹터(223a, 223b, 223c, 223d, 이하, 섹터(223)라 통칭한다.)들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섹터(223)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서보정보부(225)와, 서보정보부(225)와 분리되어 홀로그램이 기록되는 데이터기록부(22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서보정보부(225)는 데이터기록부(224)의 초기위치 정보를 정의하는 초기위치 패턴(226)과 데이터기록부(224)의 어드레싱정보를 정의하는 어드레스 패턴(227)과 데이터기록부(224)의 서보 및 트래킹 정보를 정의하는 서보 패턴(228)이 포함된다.
초기위치 패턴(226)은 데이터기록부(224)의 시작을 나타내며, 저장매체(20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의 엔코더(encoder)를 제어하여, 모터의 회전수, 모터의 회전방향, 모터의 초기 원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초기위치 패턴(226)은 트랙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데이터기록부(224)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측 초기위치 패턴(226)은 트랙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데이터기록부(224)를 지나온 서보광(T)이 최초로 반사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초기위치 패턴(226)은 온 패턴과, 오프 패턴이 혼합되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어드레스 패턴(227) 및 서보 패턴(228)과 구분되도록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초기위치 패턴(226)은 온 패턴과, 온 패턴과 접하는 양측(즉, 트랙 방향으로 인접하는 데이터기록부(224)에 접하는 측과, 어드레스 패턴(227)에 접하는 측)에는 오프 패턴으로 채워지는 규칙적인 패턴을 가짐으로써, 어드레스 패턴(227), 서보 패턴(228)과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어드레스 패턴(227)은 해당 데이터기록부(224)의 위치 정보를 갖는다. 어드레스 패턴(227)은 초기위치 패턴(226)과 서보 패턴(228)의 사이에 배치된다. 어드레스 패턴(227)은 데이터기록부(224)의 위치 정보에 따라, 온 패턴과 오프 패턴이 혼합되어, 데이터기록부(224)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서보 패턴(228)은 데이터기록부(224)에 인접하여 데이터기록부(224)의 서보제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보 패턴(228)은 복수 개의 반사패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데이터기록부(224)에는 해당 데이터기록부에 저장되는 실제 광정보의 기록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모의 광정보를 중첩 기록하여 형성하는 테스트 기록마크(224a)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광정보 저장매체의 인식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야 한다.
고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인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광정보를 저장 또는 기록하기 위한 광정보 저장매체(200)를 준비하고, 준비된 광정보 저장매체(200)가 광정보 처리장치(100)에 삽입 설치한다(단계 S11).
그리고, 광정보 저장매체(200)가 삽입됨에 따라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리드인 영역(210)에 마련되는 저장매체 정보부(211)를 검색 및 판독한다(단계 S12).
이에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저장매체 정보부(211)에 저장된 광정보 저장매체(200)에 대한 특정정보(SDI)를 판독하게 되며, 이에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포맷 정보, 광정보 저장매체의 크기, 기록 용량, 트랙 정보, 기록 및 재생을 위한 각종 기술적 사양 및 기타 정보들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리드인 영역에 형성된 섹터정보부(212)의 기록유무 표시부(214)에서 각 섹터(223)에 대한 광정보의 저장 여부를 판독하여, 광정보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한편, 광정보 저장매체(200)에 대한 데이터 저장여부가 판독되면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처리정보 기록부(215)에 기록된 섹터의 어드레싱 정보, 각 섹터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길이 및 그 외에 각 섹터에 기록된 데이터의 포맷과 기타 다양한 정보들을 판독한다(단계 S14).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인식과정에 따르면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기본적이 인식 정보가 광정보 저장매체(200)의 리드인 영역(210)에 마련된 저장매체 정보부(211)와 섹터 정보부(212)를 판독하여 광정보 저 장매체(200)의 전반적인 정보(예를 들어 저장매체의 포맷, 각 섹터의 광정보 저장여부, 각 섹터에 저장된 광정보의 저장 포맷등)를 판독하여 광정보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준비를 완료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광정보 저장매체의 광정보 기록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이용한 광정보의 저장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광정보의 기록을 위해서는 먼저 기록을 위한 데이터를 준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홀로그램이다. 따라서 기록을 위한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되는 데이터를 공간 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에 2차원적 페이지 데이터로 맵핑한다. 그리고 기록을 수행할 때에는 광을 공간 광변조기에 입사하여 2차원적 페이지 데이터가 광에 로딩되게 하여 신호광을 생성한다.
이 신호광(S)과 함께 기준광(R)을 광정보 저장매체의 특정 섹터(223)의 기록부에 입사함으로써 홀로그램이 광정보 저장매체에 기록되도록 한다. 이때 특정 섹터(223)에 기록되는 홀로그램에 대한 처리정보가 리드인 영역(210)에 함께 기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특정 섹터(223)에 홀로그램을 기록하기 전이나 또는 홀로그램의 기록 후에 리드인 영역(210)의 특정 섹터(223)에 대응하는 섹터 정보부(212)에 대 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1).
이때의 처리를 위하여 특정 섹터 정보부(212)에 해당 섹터(223)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와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정보를 기록한다(단계 S22).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홀로그램이 특정 섹터(223)에 기록되거나, 기록되기 전에 서보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는 레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리드인 영역(210)을 탐색한다.
그리고 탐색 결과 홀로그램이 기록된 특정 섹터(223)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섹터 정보부(212)를 찾는다.
각 섹터 정보부(212)의 식별은 각각의 섹터 정보부(212)의 해당 섹터(223)에 대한 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섹터 위치 정보부(213)를 리딩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섹터(223)에 대응하는 섹터 정보부(212)를 찾게 되면 기록유무 표시부(214)에 홀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소정 세기로 레드 레이저를 기록유무 표시부(214)에 입사한다.
이에 따라 기록유무 표시부(214)가 유기염료로 된 경우에는 유기염료를 버닝하여 기록여부를 표시하고, 상변환 물질로 된 경우에는 물질을 상변환시켜 기록여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기록유무 표시부(214)에서 유기 염료를 태우든가 또는 상변환시키면 이후부터는 기록유무 표시부(214)에서는 광을 반사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레드 레이저가 입사되었을 때 광이 반사되느냐의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특정 섹터에 홀로그램이 기록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
한편, 기록유무표시부(214)에 대한 갱신이 완료되면 광정보가 저장될 해당 섹터에 대한 타임 스케쥴(Time schedule)을 작성한다(단계 S23). 여기서 타임 스케쥴이라 함은 광정보의 중첩 기록시에 어느 한 장소에 광정보를 중첩기록하기 위해, 최초 광의 입사시간에 비해, 이후 광의 입사시간을 점차 늘려감으로써,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신호광과 기준광의 간섭효율을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타임스케쥴링은 중첩 기록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생략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처리정보 기록부(215)에는 해당 섹터(223)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각종 처리정보를 홀로그램으로 기록한다(단계 S24).
이때 기록되는 홀로그램은 처리정보를 2차원적 페이지 데이터로 공간 광 변조기에서 변조한 후 신호광과 기준광을 생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 즉 각 섹터에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그린 레이저 광학계를 이용하여 처리정보 기록부(215)에 처리정보를 홀로그램으로 기록한다
이후, 광정보 처리장치(100)는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될 기록 위치로 광정보의 저장을 위하여 이동한다(단계 S25).
또한, 광정보가 저장될 위치에 형성된 서보정보부(225)를 통해 해당 섹터(223)에 대한 위치정보, 어드레스정보 및 서보정보를 판독하여 광정보 저장을 위한 서보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26).
한편, 각 섹터(223)에 대한 모의 기록을 수행하여 테스트 기록마크(224a)를 형성할 수 있다. 테스트 기록마크(224a)는 동일한 시간으로 기준광(R)과 신호광(S) 을 각 섹터(223)내의 어느 한 지점으로 수 차례 입사시켜, 복수 개의 모의 광정보를 중첩 기록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모의 광정보는 신호광(S)에 데이터페이지를 적재시켜 테스트 기록마크(224a)에 저장되는 것으로, 실질적인 데이터가 적재되는 것이 아니라 광정보 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광학기기의 정렬상태 등을 점검하기 위한 특정 패턴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특정 패턴은, 광검출기로 사용되는 CCD 또는 CMOS에 구비되는 각 센서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패턴이 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과정이 완료되면 광정보를 기록하고자 하는 해당 섹터(223a, 223b, 223c, 223d)에 광정보가 로딩된 신호광(S)과 기준광(R)을 조사하여 홀로그램 광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27).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광정보 저장매체의 재생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이용한 광정보의 재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특정 섹터(223)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리드인 영역(210)을 먼저 탐색하여 재생을 원하는 데이터가 어느 섹터(223)에 기록되었는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리드인 영역(210)의 저장매체 정보부(211)를 리딩한 후 특정 섹터(223)에 대응하는 섹터 정보부(212)를 찾는다.
그리고 해당 섹터 정보부(212)에서 섹터 위치 정보부(213)와 기록유무 표시부(214) 그리고 처리정보 기록부(215)를 차례로 탐색 및 데이터 재생을 수행한 후 특정 섹터(223)에 대한 처리정보를 확보한다(단계 S31).
그리고 레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각 트랙을 탐색하여 특정 트랙(222a, 222b, 222c, 222d)을 검출하고, 탐색된 트랙 중에서 특정 섹터(223)를 탐색한 후 재생하고자 하는 특정 섹터(223)로 이동한다(단계 S32).
한편 상술한 과정에서 각 섹터(223)의 데이터기록부(224)에 저장된 광정보를 재생할 경우에는 각 섹터(223)에 저장된 서보정보부(225)의 정보를 판독하여 각 섹터의 초기위치정보, 어드레스정보, 서보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섹터(223)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 할 수 있다(단계 S33).
이후, 섹터(223)에 마련되는 서보정보부(225)의 초기위치 패턴(226), 어드레스 패턴(227), 서보 패턴(228)을 판독하여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34).
이하, 상술한 과정이 완료되면 광정보를 재생하고자 하는 해당 섹터(223)에 광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기준광(R)을 조사하여 홀로그램 광정보를 재생한다(단계 S35).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홀로그램 광정보의 저장 및 재생에 있어서 각 해당 섹터에 대한 서보제어가 필요하다.
여기서, 서보제어를 위한 기준위치를 검색하기 위해 서보광(T)이 저장매체(200)로 입사된다. 서보광(T)은 데이터기록부(224)를 투과하는 적색 레이저광이므로, 데이터기록부(224)는 통과하게 되고 최초로 서보광(T)이 반사되는 지점을 검 색 할 수 있다. 즉, 서보광(T)은 초기위치 패턴(226)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며, 그에 대응되는 서보광(T)이 입사된 위치는 기준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초기위치 패턴(226)에 의해 검색되는 기준위치를 이용하여, 저장매체(20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초기화 시키고, 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저장매체(200)가 회전됨에 따라, 서보광(T)은 초기위치 패턴(226)을 지나 어드레스 패턴(227)으로 진입한다. 서보광(T)은 어드레스 패턴(227)으로부터 반사되어 광을 검출되며, 검출되는 서보광(T)을 바탕으로 데이터기록부(224)에 대한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패턴(227)으로부터 반사되는 서보광(T)을 검출하여 해당 섹터(223)의 데이터기록부(110)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어드레스 패턴(227)으로부터 반사되는 서보광(T)을 검출하여, 해당 데이터 기록부(224)을 찾으면, 서보광(T)은 데이터기록부(224) 내의 광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원하는 섹터(223)으로 입사되고, 입사되는 서보광은 각 섹터(223)의 서보정보부(225)에 마련된 서보패턴에 의해 반사되며, 서보광 검출기(160)는 반사되는 서보광(T)을 검출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섹터(223)에 마련되는 서보정보부(225)의 서보 패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 및 서보 제어방법을 설명한 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은 제 1위치보상 패턴(A1)과, 제 1위치보상패턴(A1)에 대하여 트랙방향을 중심으로 대칭되며 트랙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 2위치보상 패턴(B1)이 마련된다.
즉, 제 1위치보상 패턴(A1)은 어드레스 패턴(227) 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트랙의 외주에 접하고, 타단이 트랙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제 2위치보상 패턴(B1)은 제 1위치보상 패턴(A1)과 트랙방향으로 이격되어 데이터기록부(224) 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트랙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트랙의 내주에 접한다.
서보광 검출기(160)는 제 1위치보상 패턴(A1)과 제 2위치보상 패턴(B1)으로부터 반사되는 서보광(T)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를 비교하여 트래킹 서보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1 및 도 12a 내지 1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을 이용한 서보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그래프의 A1'와, B1'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 1위치보상 패턴(A1), 제 2위치보상 패턴(B1)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 1위치보상 패턴(A1)과, 제 2위치보상 패턴(B1)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을 검출한다(단계 S110). 이때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량은 아래와 같다.
도 12a를 참조하면, 서보광(T)이 트랙의 외주 측으로 치우쳐 입사될 때, 제 1위치보상 패턴(A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가, 제 2위치보상 패턴(B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서보광(T)이 트랙의 중심부 측으로 정확히 입사될 때, 제 1위치보상 패턴(A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와, 제 2위치보상 패턴(B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는 동일 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서보광(T)이 트랙의 내주 측으로 치우쳐 입사될 때, 제 1위치보상 패턴(A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보다, 제 2위치보상 패턴(B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위치보상 패턴(A1)과, 제 2위치보상 패턴(B1)으로부터 반사되어 각각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를 이용하여, 기준광(R)과 신호광(S)의 트래킹 서보제어를 위한 서보에러를 산출한다(단계 S120).
즉, 제 1위치보상 패턴(A1)과 제2 위치보상 패턴(B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1]
TE=YA-YB
여기서, TE는 트래킹 에러 신호이며, YA는 제1 위치보상 패턴(A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며, YB는 제2 위치보상 패턴(B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에 의하면, 제 1위치보상 패턴(A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와, 제 2위치보상 패턴(B1)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의 차이값이 "0"으로 산출되는 위치로 저장매체(200)를 이동시키거나, 기준광(R)과 신호광(S)의 입사위치를 이동시켜 트래킹 서보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130).
여기서, 서보광(T)은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따른 저장매체(200)의 진동과 같은 이유로, 해당 트랙 이외의 인접한 다른 트랙으로 동시에 입사될 수 있다.
이때, 서보광(T)은 각 트랙 사이에 마련되는 영역경계(221)에 의해 반사되어 검출되며, 검출되는 서보광(T)을 바탕으로, 기준광(R)과 신호광(S)이 인접하는 다른 트랙(222a, 222b, 222c, 222d)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당 트랙 내부로 입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경계(221)에 의해 저장매체(200)의 지름방향으로 인접하는 트랙으로부터 해당 트랙의 식별은 트래킹 서보제어 이전, 이후에도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제 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 및 서보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은 상, 하, 좌, 우로 대칭되는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을 구비하며, 광정보 처리장치는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 하, 좌, 우로 대칭되는 복수의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된 서보광 검출부(16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은 트랙의 중심위치에 마련된다.
서보광 검출기(160)는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으로부터 반사되는 서보광(T)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를 비교하여 트래킹 서보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4 및 도 15a 내지 1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을 이용한 서보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그래프의 A2', B2', C2', D2'는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을 검출한다(단계 S210). 이때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량은 아래와 같다.
도 15a를 참조하면, 서보광(T)이 정위치로 입사되었을 때, 서보광(T)은 4개의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의 중앙으로 입사되어, 서보광 검출기(160)에는 각각 동일한 4개의 광세기로 검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검출되는 4개의 광량을 이용하여 서보에러를 산출한다(단계 S220).
도 15b를 참조하면, 서보광(T)이 우측으로 치우져 입사되었을 때, 서보광(T)은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의 우측으로 치우쳐 입사되어, 제 1, 3위치보상 패턴(A2, C2)에 의해 반사되는 광세기가 제 2, 4위치보상 패턴(B2, D2)에 의해 반사되는 광세기에 비하여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서보광(T)의 입사 위치를 서보제어하기 위한, 서보 에러신호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PE1=(Ya+Yc)-(Yb+Yd)
여기서, PE1는 가로방향에 대한 에러신호이며, Ya는 검출영역 제 1위치보상 패턴(A2)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며, Yb는 제 2위치보상 패턴(B2)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며, Yc는 제 3위치보상 패턴(C2)에서 반사되는 서보 광(T)의 광세기이며, Yd는 제 4위치보상 패턴(D2)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다.
도 15c를 참조하면, 서보광(T)이 간섭무늬의 하측으로 치우쳐 입사되었을 때, 서보광(SV)은 제 1, 2,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의 하측으로 치우쳐 입사되어, 제 3, 4위치보상 패턴(A2, B2, C2, D2)에 의해 반사되는 광세기가 제 1, 2위치보상 패턴(B2)에 의해 반사되는 광세기에 비하여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서보광(T)의 입사 위치를 서보제어하기 위한 에러신호는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PE2=(Ya+Yb)-(Yc+Yd)
여기서, PE2는 세로방향에 대한 에러신호이며, Ya는 검출영역 제 1위치보상 패턴(A2)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며, Yb는 제 2위치보상 패턴(B2)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며, Yc는 제 3위치보상 패턴(C2)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며, Yd는 제 4위치보상 패턴(D2)에서 반사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이다.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는 에러신호에 의하면, 좌측에서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 합과, 우측에서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 합의 차이값이 "0"으로 산출되는 위치로 저장매체(200)를 이동시키거나, 기준광(R)의 입사위치를 이동시켜, 서보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되는 서보에러신호에 의해 상측에서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 합 과, 하측에서 반사되어 검출되는 서보광(T)의 광세기 합의 차이값이 "0"으로 산출되는 위치로 저장매체(200)를 이동시키거나, 기준광(R)의 입사위치를 이동시켜, 서보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30).
[제 3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 및 서보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228)은 평행한 한쌍의 1, 3위치보상 패턴(A3, C3)과, 제 1, 3위치보상패턴(A3, C3)의 사이에 소정의 경사로 기울어져 마련되는 제 2위치보상 패턴(B3)을 구비한다.
서보광 검출기(160)는 서보광이 제 1, 2, 3위치보상 패턴(A3, B3, C3)을 통과하면서 반사되는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서보광(T)의 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2, 3위치보상 패턴(A3, B3, C3)을 지난 광은 제 2위치보상패턴(B3)의 기울기에 의해 제 1, 2, 3위치보상패턴(A3, B3, C3)에서 반사되어 검출되 는 시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제 1, 2위치보상 패턴(A3, B3)이 검출되는 시간과, 제 2, 3위치보상 패턴(B3, C3)이 검출되는 시간차이를 이용하여 서보에러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하, 도 17 및 도 18a 내지 1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을 이용한 서보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그래프의 A3', B3', C3'는 제 1, 2, 3위치보상 패턴(A3, B3, C3)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세기 및 검출 시간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 1, 2, 3위치보상 패턴(A3, B3, C3)에 의해 반사되는 서보광을 검출한다(단계 S210). 이때 제 1위치보상 패턴(A3)에 대한 제 2위치보상 패턴(B3)의 검출 시간은 아래와 같다.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광(T)이 입사됨에 따라 서보광(T)은 제 1, 2위치보상 패턴(A3, B3)을 소정의 시간차에 의해 지나가게 되고, 서보광 검출부(160)는 제 1, 2위치보상 패턴(A3, B3)에서 반사되는 광을 순차적으로 감지한다. 또한, 서보광(T)이 제 2, 3위치보상 패턴(B3, C3)을 통과함에 따라 서보광 검출부(160)는 제 2, 3위치보상 패턴(B3, C3)에서 반사되는 광을 순차적으로 감지한다. 이에 제 1, 2위치보상 패턴(A3, B3)을 감지하는 제 1시간차와, 제 2, 3위치보상 패턴(A3, B3)을 감지하는 제 2시간차를 상호 비교하여 서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검출되는 제 1시간차와 제 2시간차를 이용하여 서보에러를 산출하는 것 이다. 이러한 서보에러는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수학식 4]
TE1=(TA-TR)-(TB-TA)
여기서, TE1는 서보에러신호이며, TR는 제 1위치보상 패턴(A3)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의 검출시간이며, TA는 제 2위치보상 패턴(B3)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의 검출시간이며, TB는 제 31위치보상 패턴(C3)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의 검출시간이다.
한편, 상술한 [수학식 4]에서는 제 1, 2위치보상 패턴(A3, B3)의 검출 시간차와, 제 2, 3위치보상 패턴(B3. C3)의 검출 시간차를 이용하여 서보에러를 산출 하였으나 제 1, 2위치보상 패턴(A3, B3)과 기설정된 값을 이용하여 서보에러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 및 서보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228)은 평행한 한쌍의 1, 3위치보상 패턴(A4, C4)과, 제 1, 3위치보상패턴(A4, C3)의 사이에 마련되도, 제 1위치보상 패턴(A4)(또는 제 3위치보상패턴(C4)) 방향으로 꺽어지는 제 2위치보상 패턴(B4)을 구비한다.
서보광 검출기(160)는 서보광이 제 1, 2, 3위치보상 패턴(A4, B3 C4)을 통과하면서 반사되는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서보광(T)의 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서보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 4실시예에서는 제 1위치보상 패턴(A4)을 지난 광은 제 2위치보상 패턴(B4)의 일측과 타측에서 반사될 때, 제 1위치보상 패턴(A4)에서 반사된 시간과 비교하여 가장 큰 시간차를 가지며 반사된다. 반면, 제 1위치보상 패턴(A4)을 지난 광은 제 2위치보상 패턴(B4)의 중앙부에서 반사될 때 제 1위치보상 패턴(A4)에서 반사된 시간으로부터 가장 작은 시간차를 가지며 반사된다.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서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 4실시예에 의한 서보 제어 방법은 상술한 제 3실시예와 대동 소이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5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 및 서보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5실시예를 나 타낸 예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은 제 1위치보상 패턴과, 제 1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 2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한다.
서보광원(120)은 복수의 광을 제 1, 2위치보상 패턴(A5, B5)으로 입사시킨다. 복수 개의 광을 동시에 발진 시키는 방법은, 광원으로부터 발진되는 광의 경로에, 회절격자와 같은 광학요소를 추가하여, 하나의 광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방법과,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광을 발진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광(T')(이하, '3-광'이라 함)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로 동시에 발진되는 3-광은 광축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트래킹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서로 이격되어 입사된다. 이때, 3-광은 트랙(222a, 222b, 222c, 222d)의 정위치로 입사될 때, 중앙에 위치하는 광은 트랙의 중앙으로 입사되며, 가장자리의 두 광은 트랙(222a, 222b, 222c, 222d)의 가장자리에 걸치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3 및 도 24a 내지 2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서보 패턴을 이용한 서보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저장매체(200)의 서보제어를 위한 3-광(T')이 저장매체(200)로 입사된다. 즉, 3-광(T')은 제 1위치보상 패턴(A5)으로 입사되고, 반사광은 제 1위치보상 패턴(A5)에 의해 최초로 검출되며, 그에 대응되는 광의 입사위치를 기준으로, 트래킹 서보제어를 시작한다.
이때, 제 1위치보상 패턴(A5)과 제 2위치보상 패턴(B5)의 이격거리는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최초로 반사광이 검출된 지점에 대응 되는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이격거리만큼, 3-광(T')의 입사위치를 이동시키고, 3-광(T')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트래킹 서보제어 패턴으로 입사되는 광의 위치에 따른 반사광의 광세기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이다.
먼저, 도 24a를 참조하면, 3-광(T')이 트랙(222a, 222b, 222c, 222d)의 일측으로 치우쳐 입사될 때, 제 2위치보상 패턴(B5)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들 중 제 1위치보상 패턴(A5) 측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광세기보다, 제 2위치보상 패턴(B5)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들 중 제 1위치보상 패턴(A5) 반대측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광세기가 더 크게 검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어, 도 24b를 참조하면, 3-광(T')이 트랙의 정위치로 입사될 때, 제 2위치보상 패턴(B5)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들 중 제 1위치보상 패턴(A5) 측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광세기와, 제 1위치보상 패턴(A5)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들 중 제 1위치보상 패턴(A5) 반대측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광세기는 동일하게 검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4c를 참조하면, 3-광(T')이 트랙(222a, 222b, 222c, 222d)의 타측으로 치우쳐 입사될 때, 제 2위치보상 패턴(B5)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들 중 제 1위치보상 패턴(A1) 측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광세기보다, 제 2위치보상 패턴(B5)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들 중 제 1위치보상 패턴(A1) 반대측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광세기가 더 작게 검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2위치보상 패턴(B5)에서 반사되는 3-광(T') 중 중앙의 광을 제외한 가장자리의 두 광이 반사되는 반사광들을 검출하고, 이 반사광들의 광세기를 비교하여, 트래킹 에러신호를 얻을 수 있다. 트래킹 에러신호는 하기에 정의되는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5]
TE=YA-YB
여기서, TE는 서보에러신호이며, YA는 제 2위치보상 패턴(B5)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들 중 제 1위치보상 패턴(A5) 측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광세기이며, YB는 제 2위치보상 패턴(B5)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는 반사광들 중 제 1위치보상 패턴(A1) 반대 측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광세기이다.
서보제어는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얻어지는 에러신호의 값이 "0"인 측으로 광을 입사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한 광정보 저장매체는 저장매체(200)와 입사광의 이동 없이 서보정보부(225)의 트랙킹 방향으로 광을 입사시키고, 복수 개의 반사패턴에서 반사되는 복수 개의 반사광들의 광세기를 비교하여 서 보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서보제어방법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로 교체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트랙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리드-인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섹터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섹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고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의 인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이용한 광정보의 저장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를 이용한 광정보의 재생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저장매체에서 서보 패턴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서보과정은 나타낸 예시도이다.

Claims (47)

  1. 다수의 트랙 및 섹터로 구분되며 홀로그램 광정보가 기록되고,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상기 각 섹터들에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에 대한 서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과 구분되며 상기 각 섹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리드인 영역과,
    상기 트랙과 상기 섹터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포함되며, 신호광 및 기준광에 의해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 및 판독되는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트랙과 상기 섹터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이 포함되며, 서보광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정보가 형성되는 서보정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은
    상기 섹터에 기록되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에 대한 처리정보(TOC; Table of contents)가 기록되는 처리정보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정보 기록부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의 저장 방식과 동일한 홀로그램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은 상기 각 섹터에 홀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기록유무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유무 표시부는 유기염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유무 표시부는 상변환(phase change) 물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들의 사이에는 영역경계(zone boundary)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은 상기 섹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섹터 위치정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경계와 상기 섹터 위치정보부는 반사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트랙과 상기 섹터에 의해 영역이 구획되며, 상기 각 트랙에 사이에는 상기 트랙을 구분하기 위한 영역경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저장되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의 모의 광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광 반응 결과를 제공하는 테스트 기록정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록정보부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준광 및 신호광을 각각 반복 입사시켜 상기 모의 광정보를 복수 개로 중첩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모의 광정보는,
    최초로 기록되는 상기 모의 광정보의 기록시간과, 이후 기록되는 상기 모의 광정보의 기록시간이 동일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광은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의 처리를 위한 광학기기들의 정렬 데이터가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록정보부는,
    상기 홀로그램 광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정보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초기위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정보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어드레스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정보부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의 서보제어를 위한 서보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의 중앙부에서 상기 트랙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위치 보상 패턴과,
    상기 제 1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상기 트랙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트랙의 중앙부에서 상기 트랙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각각 상,하,좌,우로 대칭되는 4개의 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 1, 2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로 기울져 형성되는 제 3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 1, 2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2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일측으로 돌출되는 꺽쇠 형상의 제 3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패턴은,
    상기 트랙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 1위치보상 패턴과,
    상기 제 1위치보상 패턴에 대하여 직교하게 마련되고, 상기 트랙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 2위치보상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저장매체.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080047184A 2008-05-21 2008-05-21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 KR10156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84A KR101568208B1 (ko) 2008-05-21 2008-05-21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84A KR101568208B1 (ko) 2008-05-21 2008-05-21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73A KR20090121073A (ko) 2009-11-25
KR101568208B1 true KR101568208B1 (ko) 2015-11-12

Family

ID=4160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184A KR101568208B1 (ko) 2008-05-21 2008-05-21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5457A (zh) * 2020-01-21 2020-05-05 广东紫晶信息存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光盘光头位置的精确检测及控制方法及光盘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01B1 (ko) * 2006-06-07 2007-08-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01B1 (ko) * 2006-06-07 2007-08-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73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6391B2 (ja) 光情報記録媒体、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方法
JP4778924B2 (ja) 光情報処理装置と光情報処理方法
CN100419869C (zh) 记录和再现装置
KR20040029139A (ko) 광학 데이터 저장매체와 이 매체의 판독 및 기록 방법
JP2002352469A (ja)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US7453791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guide tracks transfer regions
US20070024937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hologram on a disc surface
JP2007335060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方法
US20040208112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1568208B1 (ko) 광정보 저장매체, 광정보 저장매체 인식방법, 광정보저장방법, 광정보 재생방법 및 서보제어방법
WO2011125157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2010157312A (ja) 単一ビット・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装置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673562A (zh) 光盘和用于光盘的记录/再现方法和设备
US8254224B2 (en) Servoing system for master with parallel tracks in a holographic replication system
KR101459304B1 (ko) 2―광 코드를 이용한 광정보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80052040A (ko) 홀로그래픽 정보 기록/재생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 북위치를 탐색하는 방법
CN100383865C (zh) 具有预设凹槽调制的多层光盘
JP4528832B2 (ja) 情報再生方法
JP2005327328A (ja) 3次元光情報記録媒体
KR20090068145A (ko) 홀로그래픽 기록 매체 및 이 매체를 위한 픽업
KR101473251B1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처리장치
KR20090095788A (ko) 광정보 저장매체의 포맷 및 이를 이용한 서보제어 방법
JP2009266285A (ja) 光情報記録装置、光情報記録方法、光情報再生装置、光情報再生方法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2008041230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011187101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光情報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