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153B1 -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153B1
KR101568153B1 KR1020150025395A KR20150025395A KR101568153B1 KR 101568153 B1 KR101568153 B1 KR 101568153B1 KR 1020150025395 A KR1020150025395 A KR 1020150025395A KR 20150025395 A KR20150025395 A KR 20150025395A KR 101568153 B1 KR101568153 B1 KR 10156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passage
resin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전
Priority to KR102015002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65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on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 중공벽관의 제1단부에 성형되어 일체로 연결된 제1충진벽관과,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 중공벽관의 제2단부에 성형되어 일체로 연결되며 제1충진벽관이 삽입되는 수부를 갖는 제2충진벽관과, 서로 끼움결합이 된 제1충진벽관과 제2충진벽관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Structure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liqui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기체나 상수 또는 하수와 같은 액체 등의 유체를 목적하는 곳으로 수송하는 데에는 강관이나 주철관, 콘크리트관 또는 합성수지관이 이용되고, 상수나 하수의 수송에는 이들 중에서도 경량이면서 양호한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관이 많이 이용된다.
합성수지관은 공장에서 보관 및 운송에 적합한 길이로 제조되고 현장에서 서로 연결되어 목적하는 곳으로의 유체 수송을 위한 관로를 형성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는,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2)의 한쪽 단부에는 소켓관(socket pipe, 10)가 연결되고,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2)의 다른 쪽 단부는 소켓관(10) 속에 직접 삽입되어 소켓관(10)과 결합되며, 서로 결합된 소켓관(10)과 합성수지관(2)의 다른 쪽 단부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sealing member, 40)가 개재됨으로써, 합성수지관(2)들을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관(2)들은 그 벽체(관벽) 속에 빈 공간인 공동(3)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된 중공벽관이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관(2)들은 그 양쪽 단부에 각각 공동(3)과 연통하는 개구(4)가 자연히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때문에, 종래기술은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관(2)들이 형성하는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하수 등)의 일부가 개구(4)를 통하여 공동(3)으로 유입되면서 유체의 흐름이 매우 비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관(2)에 소켓관(10)이 단순히 연결되기 때문에, 양쪽 개구(4) 중 한쪽을 통하여 공동(3)으로 유입된 유체가 나선형 공동(3)을 따라 양쪽 개구(4) 중 다른 쪽으로 흐르다가 자칫 소켓관(10)과의 사이(미세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는 유체의 유실을 초래할 수 있고 수송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주변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소켓관(10)에는, 합성수지관(2)의 내주에 대응되는 크기(단면적)를 갖는 제1통로(11), 합성수지관(2)의 외주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제2통로(12) 및 제1과 제2통로(11, 12)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3)가 구비된다. 제1통로(11)는 합성수지관(2)의 관로(관의 동내(胴內))와 직접 연통된다. 제1과 제2통로(11, 12) 사이의 연결통로(13)는 크기가 제1통로(11)에서 제2통로(12)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소켓관(10)의 구조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소켓관(10)의 제2통로(12)에 합성수지관(2)의 다른 쪽 단부를 완전히 끼우더라도 합성수지관(2)의 관로가 제1통로(11)와 연접되지 못하면서, 합성수지관(2)의 다른 쪽 단부와 제1통로(11) 사이에 연결통로(13)에 의하여 오목한 턱이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관(2)들이 형성하는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이러한 오목한 턱 부분에서 와류를 형성하므로 유체의 흐름이 지체될 수 있다. 또, 유체가 하수인 경우에는 오목한 턱 부분에서 슬러지가 정체되거나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은, 소켓관(10)에 삽입된 합성수지관(2)의 다른 쪽 단부에 온도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내, 외경 수축현상이 발생되면서 소켓관(10)의 내주에 대한 합성수지관(2)의 밀착이 해제되어 기밀성(수밀성)이 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의 흐름성 개선과 유실 방지 및 기밀성 향상 면에서 보다 유리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 속에 공동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어 길이방향 양쪽의 제1단부와 제2단부에 각각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된 합성수지의 중공벽관(이하, 합성수지관이라 한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에 상기 제1개구를 메운 형태로 차폐하도록 성형되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합성수지관에 대응되는 내주와 외주를 갖도록 상기 합성수지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충진벽으로 구성된 길이연장관과; 상기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에 상기 제2개구를 메운 형태로 차폐하도록 성형되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길이연장관이 삽입되는 수부를 가지며 충진벽으로 구성된 소켓관과; 상기 소켓관의 수부와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소켓관에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관로와 연통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의 내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는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로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통로와 연통하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져 상기 제1통로와 사이에 단차 연결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부를 구성하는 제2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 연결면은 상기 제1과 제2통로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의 선단과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는,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의 외주가 상기 수부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소켓관과 상기 길이연장관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소켓관의 단차 연결면과 상기 길이연장관의 선단 중에서 하나에 오목하도록 마련된 홈부와; 상기 소켓관의 단차 연결면과 상기 길이연장관의 선단 중에서 나머지에 상기 홈부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 및 제2단부에는 각각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길이연장관 및 상기 소켓관은 일부분이 상기 제1단부의 인입구 및 상기 제2단부의 인입구를 통하여 상기 공동에 각각 인입된 구성을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합성수지관과 구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소켓관에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에 연결된 쪽 부분에는 외주방향으로 연결보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중공벽관 또는 충진벽관일 수 있다.)의 제1단부에 연결된 길이연장관과; 상기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길이연장관이 삽입되는 수부를 갖는 소켓관과; 상기 소켓관의 수부와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관에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관로와 연통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의 내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는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로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통로와 연통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져 상기 제1통로와 사이에 단차 연결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부를 구성하는 제2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 연결면은 상기 제1과 제2통로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의 외주가 상기 수부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소켓관의 단차 연결면과 상기 길이연장관의 선단 중 하나에는 오목한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켓관의 단차 연결면과 상기 길이연장관의 선단 중 나머지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가 마련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는, 상기 소켓관과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을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고리형으로 구부러져서 길이방향 양쪽의 제1단부와 제2단부가 중첩되는 클램핑밴드와;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1단부 쪽에 연결되며 상기 고리형으로 구부러진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가 통과되는 삽입통로를 갖는 클램프바디와; 상기 클램프바디에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한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을 체결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클램핑밴드의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며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부터 제1단부 쪽으로 간격을 두고 일정의 구간에 걸쳐 배치된 복수의 체결홈부와; 상기 클램프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홈부들과 대향할 수 있게 배치되며 소성변형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체결홈부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밴드클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바디는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을 지지하는 밴드 받침면을 갖는 바디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통로가 상기 밴드 받침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밴드 받침면 상의 클램핑밴드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부는 상기 클램핑밴드의 양옆에 각각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밴드 받침면 상의 클램핑밴드 양옆으로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소성변형 전에는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하는 클램핑밴드의 이동을 안내하고, 소성변형 후에는 상기 선택된 체결홈부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클램프바디는 양쪽이 상기 밴드 받침면에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밴드 받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밴드 받침면과의 사이에 상기 삽입통로를 형성하는 통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는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통로형성부재에 걸리도록 구부러져서(절곡되어) 상기 클램핑밴드와 중첩 가능한 제2벤딩부를 가지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클램프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밴드 받침면 상의 구부러진 벤딩부의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배치되며 소성변형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밴드 받침면에 대하여 상기 제2벤딩부를 압박하는 압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밴드는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1단부 쪽이 상기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밴드 받침면 상의 제2단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하고,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1단부는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걸리도록 구부러져서(절곡되어) 상기 바디플레이트와 중첩된 상태로 클램핑대상(소켓관)과 상기 바디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의 제1벤딩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클램프바디는 상기 탄성의 제2벤딩부에 의하여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1단부 쪽에 연결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합성수지관의 양쪽 단부에 길이연장관과 소켓관이 각각 양쪽 개구를 각각 메운 형태로 차폐하도록 일체형 성형되기 때문에,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합성수지관과 길이연장관 사이나 합성수지관과 소켓관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 또는 양쪽 개구를 통하여 합성수지관의 공동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아울러, 합성수지관 연결시공의 과정에서 길이연장관의 선단 쪽 일부를 제거하는 재단작업을 실시하더라도, 합성수지관의 개구들이 차폐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재단작업으로 인하여 개구들이 노출되거나 신규의 노출 개구들이 형성됨이 없이 합성수지관들의 연결시공을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길이연장관을 수부에 완전히 삽입하면 길이연장관의 관로가 소켓관의 제1통로와 연접되기 때문에, 관로를 따라 수송되는 유체는 별다른 저항 없이 원활히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의 내, 외경이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하여 수축되는 것을 결합수단의 작용으로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길이연장관이 수부의 내주와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여 한층 더 높은 수준의 기밀성(수밀성)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길이연장관을 갖는 합성수지관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적용 가능한 밴드클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밴드클램프의 바디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밴드클램프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로, 도 3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이다. 도 3 및 도 4에는 두 합성수지관(5)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는 셋 이상의 합성수지관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5)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인 제1단부(5A)와 제2단부(5B) 중 제1단부(5A)에는 길이연장관(200)이 합성수지관(5)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5)의 제2단부(5B)에는 소켓관(100)이 합성수지관(5)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소켓관(100)에는 길이연장관(200)이 삽입되는 수부(110)가 구비되고, 길이연장관(200)은 수부(110)에 삽입되어 소켓관(100)과 결합된다.
서로 결합된 소켓관(100)과 길이연장관(200) 사이에는 기밀작용을 하는 실링부재(400)가 개재된다. 서로 결합된 소켓관(100)과 길이연장관(200)은 밴드클램프(band clamp, 도 8의 도면부호 300 참조)에 의하여 체결된다.
합성수지관(5)은 그 벽체 속에 빈 공간인 공동(6)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된 중공벽관이다. 중공벽관은 이중벽관(double wall pipe)이거나 삼중 이상의 다중벽관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합성수지관(5)(이하, 도면부호의 병기는 생략한다.)은 제1단부(5A)와 제2단부(5B)에 각각 공동(6)과 연통하는 제1개구(7A)와 제2개구(7B)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길이연장관(200)은, 중공벽관인 합성수지관과는 달리, 벽체가 채워진 구조를 갖는 충진벽관(filled-wall pipe)이다. 이러한 길이연장관(200)은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에 제1개구(7A)를 메운 형태로 차폐하도록 성형되어 합성수지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소켓관(100) 또한 충진벽관으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5B)에 제2개구(7B)를 메운 형태로 차폐하도록 길이연장관(200)과 마찬가지로 성형되어 합성수지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에는 공동(6)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제1인입구(8A)가 마련되고, 길이연장관(200)은 후단 쪽의 일부분이 제1인입구(8A)를 통하여 공동(6)으로 인입된 제1결합부(205)를 갖도록 성형되어 합성수지관과 구조적으로 결합된다. 제1인입구(8A)들은 합성수지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5B)에도 공동(6)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제2인입구(8B)가 마련된다. 소켓관(100)도 그 후단 쪽의 일부분이 제2인입구(8B)를 통하여 공동(6)으로 인입된 제2결합부(105)를 갖도록 성형되어 합성수지관과 구조적으로 결합된다. 제2인입구(8B)들의 경우에도 합성수지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와 제2단부(5B)에 각각 성형되어 제1개구(7A)와 제2개구(7B)를 각각 메운 형태로 차폐하는 일체형 결합구조의 길이연장관(200)과 소켓관(100)에 의하면,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관들이 형성하는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합성수지관과 길이연장관(200) 사이나 합성수지관과 소켓관(100)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 및 제1개구(7A)나 제2개구(7B)를 통하여 합성수지관의 공동(6)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물론, 나아가서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됨에 따른 유실현상이나 오염 유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합성수지관들을 서로 연결하다 보면 합성수지관 설치구간의 잔여 길이가 양쪽의 길이연장관(200)과 소켓관(100)을 포함하는 하나의 합성수지관에 비하여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길이연장관(200)을 절단하여 길이연장관(200)의 선단 쪽의 일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길이연장관(200)과 소켓관(100)을 포함하는 해당의 합성수지관을 합성수지관 설치구간의 잔여 길이에 따른 길이로 재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단작업을 실시하더라도, 합성수지관은 그 제1개구(7A)가 길이연장관(200)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재단작업으로 인하여 제1개구(7A)가 노출되거나 새로운 제1개구(7A 참조)가 형성됨이 없이 합성수지관들의 연결시공을 마무리할 수 있다.
재단작업 시 길이연장관(200)과 함께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 쪽의 일부분까지 제거하여야 해당의 합성수지관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길이연장관(200)이 제거됨에 따라 소켓관(100)에 새로 형성된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 참조)가 삽입되고, 새로 형성된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에 새로운 제1개구(7A 참조)가 형성, 노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새로 형성, 노출된 제1개구를 통하여 유체가 진입되어 합성수지관의 공동(6)으로 유입될 수 있겠으나, 합성수지관의 제2개구(7B)가 소켓관(100)에 의하여 완전히 메워진 상태로 차폐되고 소켓관(100)이 제2인입구(8B) 및 제2결합부(105)에 의하여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5B)에 견고히 결합되기 때문에, 공동(6)으로 유입된 유체가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5B) 쪽으로(합성수지관의 제2단부와 소켓관 사이로) 유출되는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길이연장관(200)은 합성수지관의 내주에 대응되는 크기의 내주와 합성수지관의 외주에 대응되는 크기의 외주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켓관(100)의 내부에는, 합성수지관의 관로와 연통하는 제1통로(101) 및 제1통로(101)에서 연장되어 제1통로(101)와 연통하는 제2통로(102)가 구비된다. 제1통로(101)는 합성수지관의 내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고, 제2통로(102)는 합성수지관의 외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통로(101)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갖는 제2통로(102)는 제1통로(101)와의 사이에 단차 연결면(103)을 형성한다.
제2통로(102)는 수부(110)를 구성한다. 단차 연결면(103)은 합성수지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형으로 배치된 제1통로(101)와 제2통로(102)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수부(110)에 삽입된 길이연장관(200)의 선단과 밀착될 수 있다. 즉, 길이연장관(200)을 수부(110)에 완전히 삽입 시 길이연장관(200)의 선단이 단차 연결면(103)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부(110)에 길이연장관(200)이 삽입되어 단차 연결면(103)에 길이연장관(200)의 선단이 밀착되면, 제1통로(101)와 길이연장관(200)의 내주가 합성수지관의 내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짐에 따라, 길이연장관(200)은 관로가 제1통로(101)와 연접된다. 그러므로,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관들이 형성하는 관로를 따라 수송되는 유체는 별다른 저항 없이 원활히 흐를 수 있다.
소켓관(100)의 후단 쪽 외면에는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5B)와 연결된 부분을 구조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리브(rib) 구조의 연결보강부(120)가 외주방향으로 마련된다. 연결보강부(120)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된다. 연결보강부(120)를 단수로 구비하는 경우, 연결보강부(120)는 소켓관(100)의 후단 쪽 외면을 외주방향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보강부(120)를 복수로 구비하는 경우, 연결보강부(120)는 서로 이격되도록 소켓관(100)의 외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400)는 기밀성이 우수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에 의하여 일정의 너비를 갖는 밴드(ban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실링부재(400)의 재질은 고무일 수 있다.
실링부재(400)의 내주에는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랜지(flange, 410)가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플랜지(410)는 실링부재(400)의 내주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플랜지(410)들은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아울러, 플랜지(410)들은 두께가 선단 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10)들은 선단이 소켓관(100)에 대한 길이연장관(200)의 삽입방향 쪽을 향하도록 경사져서 소켓관(100)과 길이연장관(200)의 결합 시 수부(110)에 삽입되는 길이연장관(200)에 의하여 밀려서 실링부재(400)의 내면에 밀착된다. 즉, 실링부재(400)의 내면 쪽으로 휘어지면서 실링부재(400)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30은 실링부재(400)가 배치되는 실링부재 수용홈부이다. 결합력 강화를 통하여 실링부재(400)의 위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40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실링부재 수용홈부(130)에는 돌출부와 결합되는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돌출부와 홈부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150 및 250은 소켓관(100)의 수부(110)에 삽입된 길이연장관(200)의 외주가 수부(110)의 내주(소켓관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소켓관(100)과 상기 길이연장관(200)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이다.
결합수단(150, 250)은, 단차 연결면(103)에 오목하도록 마련된 홈부(150) 및 길이연장관(200)의 선단에 홈부(150)에 삽입할 수 있게 마련된 돌출부(250)를 포함한다. 홈부(150) 및 돌출부(250)는 길이연장관(200)을 수부(110)에 수부(110)의 내주와 밀착된 상태로 완전히 삽입하면 서로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수부(110)와 길이연장관(200)의 긴밀한 밀착상태 결합을 유도한다. 홈부(150)와 돌출부(250)는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결합수단(150, 250)에 의하면, 수부(110)에 삽입되어 소켓관(100)과 결합된 길이연장관(200)은 온도 변화 등 각종 요인으로 내, 외경이 수축되는 현상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연장관(200)의 내, 외경 수축에 따른 수부(110)와 길이연장관(200)의 밀착상태 해제(들뜨는 현상)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높은 신뢰도의 기밀성(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체형 구조의 길이연장관(200)을 갖는 합성수지관은 합성수지관 성형장치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합성수지관 성형장치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 성형장치(500)는,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에 삽입되며 길이연장관(200)의 내면 및 선단에 대응하는 형상의 틀이 형성된 드럼(drum, 고정금형, 550), 드럼(550)의 틀을 기밀 있게 감싸도록 직선이동이 이루어지며 내면에 길이연장관(200)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틀이 형성된 프레스(press, 가동금형, 540), 프레스(54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프레스(540)가 드럼(550)을 기밀 있게 감싼 상태에서 그 내부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노즐(nozzle, 560)를 포함한다.
드럼(550)과, 프레스(540), 이동수단 및 노즐(560)은 일정한 높이의 받침부재(532) 및 양측의 지지부재(534)로 구성된 본체에 설치된다. 구체적인 설치관계는 다음과 같다.
받침부재(532)의 양측에 지지부재(534)가 설치되고, 지지부재(534)들의 상하 양측에 서로 연결된 가이드레일(guide rail, 538)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538) 상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양쪽에 각각 판상의 이동부재(536)가 설치되고, 이동부재(536)의 안쪽면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프레스(540)가 설치된다. 프레스(54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포개지면 원형을 이루는바,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레스(540)들 사이에는 드럼(550)이 일정 간격만큼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드럼(550)의 선단은 일정 길이만큼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552)로 형성되고, 삽입부(552)의 뒤쪽에는 삽입부(552)의 외주에 대하여 일정 간격의 간극(555)을 두고 내경이 이격된 링체(554)가 설치되며, 링체(554)의 후방에는 원형의 막음판(556)이 설치된다. 드럼(550)에서 링체(554)와 막음판(556) 사이의 외주면은 길이연장관(200)의 내면에 대한 성형용 틀이 된다.
프레스(540)의 내면에는 드럼(550)의 링체(554) 외경과 대응되는 제1삽입홈(542) 및 막음판(556)의 외경과 대응되는 제2삽입홈(544)이 형성되고, 제1삽입홈(542)과 제2삽입홈(544) 사이의 원주면은 길이연장관(200)의 외면에 대한 성형용 틀이 된다.
프레스(540)들은 본체의 지지부재(534)와 이동부재(536)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35)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개지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벌어진다.
프레스(540)들이 유압실린더(535)에 의하여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프레스(540)들의 제1삽입홈(542) 및 제2삽입홈(544)에는 드럼(550)에서 링체(554)의 외경 및 막음판(556)의 외경이 기밀 있게 끼워 맞추어지고, 이 때 프레스(540)들의 제1삽입홈(542) 및 제2삽입홈(544) 사이의 원주면과, 드럼(550)의 링체(554)와 막음판(556) 사이의 원주면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데, 이 간격은 길이연장관(200)의 벽체의 두께가 된다.
프레스(540)들의 선단에는 노즐(560)을 기밀 있게 수용하기 위한 노즐 수용홈(546)이 형성되고, 프레스(540)들의 내부에는 냉각유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프레스(540)에는 냉각유로에 물(냉각유체)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포트 및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가 구비되고, 프레스(540)의 냉각유로에는 입력신호에 따라 물이 순환된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 성형장치(500)를 이용하여 길이연장관(200)을 갖는 합성수지관을 성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540)들 및 드럼(550)이 후진된 상태에서, 별도의 지그(jig) 등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에 드럼(550)의 삽입부(552)가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신호를 인가하면, 드럼(550)이 일정 간격만큼 전진되면서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 쪽의 내면에 삽입부(552)가 확실하게 끼워지면서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드럼(550)이 전진함에 따라, 링체(554) 외경과 막음판(556)의 외경은 프레스(540)들의 제1삽입홈(542) 및 제2삽입홈(544)과 동일선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535)들이 작동하여 이동부재(536)들을 전진시키게 됨에 따라, 이동부재(536)들은 가이드레일(538)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진되고,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36)들의 내면에 설치된 프레스(540)들이 서로 포개진다.
프레스(540)들이 포개짐에 따라, 드럼(550)의 링체(554) 외경은 프레스(540)들의 제1삽입홈(542)에 기밀 있게 끼워지고, 드럼(550)의 막음판(556) 외경 또한 프레스(540)들의 제2삽입홈(544)에 기밀 있게 끼워짐과 동시에, 프레스(540)들의 선단에 형성된 노즐 수용홈(546)들에는 노즐(560)이 기밀 있게 끼워진다.
다음으로, 노즐(560)을 통하여 정량의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면, 용융 합성수지는 드럼(550)의 링체(554)와 막음판(556) 사이로 주입된다. 이 때, 공급된 용융 합성수지는 막음판(556)에 의하여 누설되지 않고, 그 일부는 링체(554)와 드럼(550)의 삽입부(552)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하여 흘러들어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와 접촉됨과 아울러 합성수지관의 제1개구(7A)와 제1인입구(8A)를 통하여 합성수지관의 공동(6)으로 유입, 제1개구(7A)와 제1인입구(8A)를 메운 형태로 차폐하면서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드럼(550)의 삽입부(552)와 링체(554)의 내경 사이 간격은 합성수지관의 두께보다 다소 작게 형성됨으로써, 용융 합성수지는 결국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에 의하여 막음되어 누설되지 않고, 성형된 길이연장관(200)은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용융 합성수지가 공급되어 경화되기까지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야 하는데, 경화에 장시간이 소요되면 수율이 저하되는바, 프레스(540)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유로에 물을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수냉방식에 의하여 공급된 용융 합성수지가 보다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공급된 용융 합성수지가 경화되면, 유압실린더(535)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36)를 후진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536)의 내면에 설치된 프레스(540)들이 벌어지게 한 후, 드럼(550)을 후진시키면,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에 길이연장관(200)이 일체로 성형된다. 이 때, 성형된 길이연장관(200)은 링체(554)에 걸려 빠지지 않을 수 있는데, 링체(554) 또한 프레스(540)와 같은 원리로 서로 포개지거나 벌어지도록 구성한 후, 길이연장관(200)의 경화가 이루어지면 링체(554)를 벌어지도록 하여 빼낼 수 있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36)에서 프레스(540)의 전방에는 역시 반원 형상의 내경을 갖는 홀더(holder, 570)를 더 설치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에 길이연장관(200)을 일체로 성형 시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를 더욱 고정되게 잡아주어 흔들림이 예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 성형장치(500)를 이용하여 길이연장관(200) 일체형 합성수지관을 성형하면,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에 길이연장관(200)이 일체형으로 구비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5A)와 길이연장관(200)의 연결 부위가 견고해져서 공동(6)으로 유체가 유입되거나 길이연장관(200)이 분리되거나 크랙 등의 발생으로 기밀성(수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5B)에도 살펴본 바와 같은 기술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성형장치(500)를 이용, 소켓관(100)을 길이연장관(2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다.
밴드클램프가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밴드클램프(300)는 서로 결합된 소켓관(100)과 길이연장관(200)이 분리되는 것을 클램핑밴드(clamping band, 310)의 조임력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소켓관(100)의 외주, 바람직하게는 선단 쪽 외주에는 클램핑밴드(310)가 수용되는 클램프 수용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클램프(300)는 클램핑밴드(310)와 함께 클램프바디(clamp body, 320) 및 위치고정수단(330)을 포함한다.
클램핑밴드(310)는 일정의 길이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클램핑밴드(310)는 고리형으로 휘어져서 길이방향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제1단부(311)와 제2단부(313)가 서로 중첩된다. 클램핑밴드(310)는 강성이 우수하면서 구부러졌다 다시 원상으로 신속히 펴졌다 할 수 있게 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클램프바디(320)는, 바디플레이트(body plate, 321) 및 바디플레이트(321)의 상측에 마련된 통로형성부재(323)를 포함한다.
바디플레이트(321)는 클램핑밴드(310)의 제1, 제2단부(311, 313)를 지지하는 밴드 받침면(322)을 갖는다. 밴드 받침면(322)은 바디플레이트(321)의 상측에 배치된다. 바디플레이트(321)의 상면을 밴드 받침면(322)으로 할 수 있다.
바디플레이트(321)는, 일정의 길이로 형성된 본체부 및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바디플레이트(321)의 본체부는 클램핑밴드(3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너비로 형성된다. 바디플레이트(321)의 손잡이부는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쪽 중 제1단부 쪽에서 본체부의 너비방향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본체부로부터 돌출된다. 즉, 바디플레이트(321)의 제1단부 쪽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것이다.
바디플레이트(321)는 소성변형이 가능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바디플레이트(321)는 상측으로 볼록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형성부재(323)는 밴드 받침면(322)의 상측에 클램핑밴드(310)의 제1, 제2단부(311, 313)가 통과되는 삽입통로(324)를 형성한다. 삽입통로(324)는 바디플레이트(321)의 제1단부 쪽에 바디플레이트(3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통로형성부재(323)는 양단부가 밴드 받침면(322)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밴드 받침면(32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밴드 받침면(322)과의 사이에 삽입통로(324)를 형성한다.
삽입통로(324)에는, 클램핑밴드(310)의 제1단부(311)가 바디플레이트(321)의 제1단부 쪽에서 제2단부 쪽 방향으로 통과되고,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가 반대로 바디플레이트(321)의 제2단부 쪽에서 제1단부 쪽 방향으로 통과되어 클램핑밴드(310)의 제1단부(311)의 상부에서 제1단부(311)와 중첩된다. 그러므로, 클램핑밴드(310)의 제1단부(311)는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와 바디플레이트(321) 사이에 배치된다.
클램핑밴드(310)의 제1단부(311)는 삽입통로(324)를 통과한 다음 바디플레이트(321)에 걸리도록 바디플레이트(321)의 제2단부에서 제1단부 쪽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벤딩부(first bending portion, 312)를 갖는다. 클램프바디(320)는 클램핑밴드(310)의 제1단부(311) 쪽에 제1벤딩부(312)에 의하여 연결된다.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는 삽입통로(324)를 통과한 다음 통로형성부재(323)에 걸리도록 바디플레이트(321)의 제1단부에서 제2단부 쪽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벤딩부(second bending portion, 314)를 갖는다.
위치고정수단(330)은 클램프바디(320)에 삽입통로(324)를 통과한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 쪽을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제1위치고정수단과 제2위치고정수단을 갖는다.
제1위치고정수단은, 클램핑밴드(3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며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 쪽부터 제1단부(311) 쪽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구간에 걸쳐 배치된 복수의 체결홈부(331), 바디플레이트(321)의 제2단부 쪽에 마련되고 바디플레이트(321)의 너비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양쪽에 각각 체결홈부(331)들과 대향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소성변형에 의하여 구부러져서 체결홈부(331)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체결부재(332)를 포함한다.
제2위치고정수단은 바디플레이트(321)의 제2단부 쪽에서 삽입통로(324)와 체결부재(332) 사이에 마련되고 절곡된 제2벤딩부(314)의 양옆으로 각각 배치되며 소성변형으로 구부러져서 바디플레이트(321)에 대하여 제2벤딩부(314)를 압박하는 압박부재(333)를 포함한다. 압박부재(333)에 의하여 압박된 제2벤딩부(314)는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와 중첩될 수 있다.
체결부재(332)와 압박부재(333)는 바디플레이트(32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밴드클램프(300)는, 삽입통로(324)에 클램핑밴드(310)의 제1단부(311)가 바디플레이트(321)의 제1단부에서 제2단부 쪽 방향으로 통과되고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가 바디플레이트(321)의 제2단부에서 제1단부 쪽 방향으로 통과됨과 아울러, 제1벤딩부(312)와 제2벤딩부(314)가 절곡되어 각각 바디플레이트(321)와 통로형성부재(323)에 걸리도록 조립된다.(도 12 참조) 이렇게 조립된 밴드클램프(300)는 제1벤딩부(312)와 제2벤딩부(314)가 각각 구부러져서 바디플레이트(321)와 통로형성부재(323)에 걸린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클램핑밴드(310) 또한 고리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밴드클램프(300)는 클램핑밴드(310)가 길이연장관(200)과 결합된 소켓관(100)의 외주에 감긴다. 이 상태에서,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를 삽입통로(324)의 통과방향으로 잡아당겨서 클램핑밴드(310)를 조인 후, 체결부재(332)를 구부려서 대향하는 체결홈부(331)에 끼운다.(도 13 참조) 이 때, 클램핑밴드(310)는 체결홈부(331)와 이에 끼워진 체결부재(332)에 의하여 조여진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제1벤딩부(312)는 소켓관(100)의 외주에 밀착되는바, 탄성력으로 인하여 밴드클램프(300)가 소켓관(100)의 외주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제2벤딩부(314)를 클램핑밴드(310)와 중첩시킨 뒤, 압박부재(333)를 구부려서 바디플레이트(321)에 대하여 제2벤딩부(314)를 압박한다. 이러한 압박부재(333)에 따르면, 클램핑밴드(310)의 제2단부(313)는 클램프바디(320)에 체결홈부(331)와 체결부재(332)에 의하여 1차로 체결된 후 2차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밴드클램프(300)는 결합된 소켓관(100)과 길이연장관(200)을 한층 더 강화된 체결력으로 결속시킬 수 있고 지중 시공에 이용 시 부등침하가 발생되더라도 결합된 소켓관(100)과 길이연장관(200)이 분리(위치 이탈)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5 : 합성수지관
100 : 소켓관
101 : 제1통로
102 : 제2통로
103 : 단차 연결면
110 : 수부
120 : 연결보강부
150 : 홈부
200 : 길이연장관
250 : 돌출부
300 : 밴드클램프
400 : 실링부재
500 : 합성수지관 성형장치

Claims (8)

  1. 벽체 속에 공동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어 길이방향 양쪽의 제1단부와 제2단부에 각각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된 합성수지의 중공벽관(이하, 합성수지관이라 한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에 상기 제1개구를 메운 형태로 차폐하도록 성형되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합성수지관에 대응되는 내주와 외주를 갖도록 상기 합성수지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충진벽으로 구성된 길이연장관과; 상기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에 상기 제2개구를 메운 형태로 차폐하도록 성형되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길이연장관이 삽입되는 수부를 가지며 충진벽으로 구성된 소켓관과; 상기 소켓관의 수부와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소켓관에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관로와 연통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의 내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는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로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통로와 연통하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져 상기 제1통로와 사이에 단차 연결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부를 구성하는 제2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단차 연결면은 상기 제1과 제2통로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의 선단과 밀착되며,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의 외주가 상기 수부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소켓관과 상기 길이연장관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소켓관의 단차 연결면과 상기 길이연장관의 선단 중에서 하나에 오목하도록 마련된 홈부와; 상기 소켓관의 단차 연결면과 상기 길이연장관의 선단 중에서 나머지에 상기 홈부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관과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을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는, 고리형으로 구부러져서 길이방향 양쪽의 제1단부와 제2단부가 중첩되는 클램핑밴드와;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1단부 쪽에 연결되며 상기 고리형으로 구부러진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가 통과되는 삽입통로를 갖는 클램프바디와; 상기 클램프바디에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한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을 체결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클램핑밴드의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며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부터 제1단부 쪽으로 간격을 두고 일정의 구간에 걸쳐 배치된 복수의 체결홈부와; 상기 클램프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홈부들과 대향할 수 있게 배치되며 소성변형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체결홈부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바디는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을 지지하는 밴드 받침면을 갖는 바디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통로가 상기 밴드 받침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밴드 받침면 상의 클램핑밴드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배치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 및 제2단부에는 각각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길이연장관 및 상기 소켓관은 일부분이 상기 제1단부의 인입구 및 상기 제2단부의 인입구를 통하여 상기 공동에 각각 인입된 구성을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합성수지관과 구조적으로 결합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관에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에 연결된 쪽 부분에는 외주방향으로 연결보강부가 마련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7.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의 제1단부에 연결된 길이연장관과; 상기 서로 연결할 합성수지관의 제2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길이연장관이 삽입되는 수부를 갖는 소켓관과; 상기 소켓관의 수부와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관에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관로와 연통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의 내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는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로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통로와 연통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져 상기 제1통로와 사이에 단차 연결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부를 구성하는 제2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 연결면은 상기 제1과 제2통로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의 선단과 밀착되고,
    상기 길이연장관은 내주 및 외주가 상기 합성수지관의 내주 및 외주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부에 삽입 시 외주가 상기 수부의 내주와 밀착되며,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의 외주가 상기 수부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소켓관의 단차 연결면과 상기 길이연장관의 선단 중 하나에는 오목한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켓관의 단차 연결면과 상기 길이연장관의 선단 중 나머지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켓관과 상기 수부에 삽입된 길이연장관을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는, 고리형으로 구부러져서 길이방향 양쪽의 제1단부와 제2단부가 중첩되는 클램핑밴드와;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1단부 쪽에 연결되며 상기 고리형으로 구부러진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가 통과되는 삽입통로를 갖는 클램프바디와; 상기 클램프바디에 상기 삽입통로를 통과한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을 체결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클램핑밴드의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며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부터 제1단부 쪽으로 간격을 두고 일정의 구간에 걸쳐 배치된 복수의 체결홈부와; 상기 클램프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체결홈부들과 대향할 수 있게 배치되며 소성변형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체결홈부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바디는 상기 클램핑밴드의 제2단부 쪽을 지지하는 밴드 받침면을 갖는 바디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통로가 상기 밴드 받침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밴드 받침면 상의 클램핑밴드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배치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8. 삭제
KR1020150025395A 2015-02-23 2015-02-23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156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95A KR101568153B1 (ko) 2015-02-23 2015-02-23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95A KR101568153B1 (ko) 2015-02-23 2015-02-23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153B1 true KR101568153B1 (ko) 2015-11-11

Family

ID=5460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395A KR101568153B1 (ko) 2015-02-23 2015-02-23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8341A (zh) * 2019-09-26 2019-12-24 广东永高塑业发展有限公司 双头承插式中空结构壁缠绕管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121B1 (ko) * 2003-09-24 2004-01-16 (주)용전 사출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829529B1 (ko) * 2006-12-11 2008-05-16 주식회사 용전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의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및 그것에 의해 성형된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121B1 (ko) * 2003-09-24 2004-01-16 (주)용전 사출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829529B1 (ko) * 2006-12-11 2008-05-16 주식회사 용전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의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및 그것에 의해 성형된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8341A (zh) * 2019-09-26 2019-12-24 广东永高塑业发展有限公司 双头承插式中空结构壁缠绕管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277B2 (en) Pipe coupling device
JP2520995B2 (ja) 流体搬送用本管の取替え方法、取替えに使用するヘッド及び取替え用本管
KR102051059B1 (ko) 배관고정부재
RU2305884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KR101190837B1 (ko)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60091131A1 (en) Pipe Fitt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2788212A (zh) 直插式快接管件及取管套筒
US11313499B2 (en) Pipe fitt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1568153B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0829529B1 (ko)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의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및 그것에 의해 성형된 연결부 일체형 합성수지관
CN102620078B (zh) 一种插入自锁式快速连接管接头及其配套的卸管工具
RU257203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трубчатых элементов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и
KR101557082B1 (ko) 밴드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1639322B1 (ko) 원형맨홀에 부합하는 타원형 커넥터
CN101203706B (zh) 释放夹具
KR20110103775A (ko)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EP0307413A1 (en) METHOD FOR CONNECTING A BRANCH PIPE TO A LINE PIPE.
JP4074981B2 (ja) 管路内面のライニング工法
ITTO20080159U1 (it) Elemento di giunto tubolare.
SK148099A3 (en) Coupling sleeve provided with locking means for pipes connection
US20170211723A1 (en) Penetration fitting
US20210041046A1 (en) Connection piece for connecting a hose to a fluid outlet
JPH0150797B2 (ko)
JP2004197875A (ja) 鞘管工法における管接続用治具
KR101894562B1 (ko) 상하수도관의 누수방지를 갖춘 이중장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