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111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111B1
KR101568111B1 KR1020130058321A KR20130058321A KR101568111B1 KR 101568111 B1 KR101568111 B1 KR 101568111B1 KR 1020130058321 A KR1020130058321 A KR 1020130058321A KR 20130058321 A KR20130058321 A KR 20130058321A KR 101568111 B1 KR101568111 B1 KR 10156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lamp
driving voltage
dimm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606A (ko
Inventor
김용근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3005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111B1/ko
Priority to US14/204,083 priority patent/US9320100B2/en
Priority to JP2014047953A priority patent/JP2014176295A/ja
Priority to CN201410088162.5A priority patent/CN104053275A/zh
Priority to EP14000857.4A priority patent/EP2779798A3/en
Publication of KR2014013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는 램프에 대하여 안정적인 디밍 제어를 구현한 조명 장치를 개시하며, 전류 레귤레이팅 방식으로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구동함에 따라서 전력 효율을 개선하고,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여 램프가 일정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램프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밍 제어가 가능하고,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주변 회로 모듈에 공통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으로 공급되는 구동 전압의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도록 정전압 제어되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는 램프에 대하여 안정적인 디밍 제어를 구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조명 장치는 백열등이나 형광등 대신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고 소비 전력이 적으며 고휘도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이하 "LED"라 함)를 조명등으로 대체하는 추세이다.
상기한 조명 장치의 일예로 실내등, 탁상등, 방범등 또는 가로등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LED 조명등을 채용한 조명 장치는 상기한 실내등, 탁상등, 방범등 또는 가로등 등으로도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LED 조명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을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 이하, "SMPS"라 함)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LED 조명 장치의 일예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164631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상용 교류 전원이 SMPS 모듈과 구동 회로를 거쳐서 LED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다.
종래의 LED 조명 장치는 디밍(DIMMING) 제어나 스위칭 제어를 위하여 조도나 인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보드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LED 조명 장치는 전원을 SMPS 모듈을 통하여 센서 보드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LED 조명 장치는 LED 조명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SMPS 모듈과 전류 구동 방식으로 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각각 구성함에 따라서 복잡한 구성을 갖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LED 조명 장치에서, SMPS 모듈이 대략 90%의 전력 효율을 갖도록 설계되고, 구동 회로도 대략 90%의 전력 효율을 갖도록 설계된다. 결국 종래의 LED 조명 장치의 전체 전력 효율은 대략 81% 수준으로 설계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LED 조명 장치는 복잡한 구성에 의하여 전체 전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LED 조명 장치에는 상기와 같이 센서 보드 등의 주변 회로 모듈이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대부분의 전력은 LED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에서 소비된다.
종래의 LED 조명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주변 회로 모듈들도 전체 전력 효율의 저하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종래의 LED 조명 장치는 디밍 제어를 정전류 제어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밍 제어 프로세서(Dimming Control Processor)가 디밍 제어를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밍 제어 프로세서는 정전류 제어를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동작 전압을 필요로 한다.
상기한 동작 전압은 램프로 구성되는 LED 조명등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램프의 광 출력이 아주 낮게 제어되거나 또는 램프가 소광되는 디밍 오프의 경우, 광 출력을 위하여 램프로 제공되는 구동 전압은 디밍 제어 프로세서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압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레벨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전압이 디밍 제어 프로세서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압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종래의 조명 장치는 안정적인 디밍 제어를 수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는 램프를 구동하기 위하여 높은 전력 효율을 유지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 레귤레이팅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램프뿐만 아니라 디밍 제어 등을 목적으로 구성되는 주변 회로 모듈에 공통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높은 전력 효율을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를 구동하는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디밍 제어 회로의 동작 전압을 제공하고, 구동 전압이 동작 전압으로 이용될 수 있는 레벨을 유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밍 오프와 같이 구동 전압이 낮아지는 상태에 대응하여 이차측 또는 일차측에서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램프를 구동하는 구동 전압을 안정화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정류 전압을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구동 전압을 램프로 제공하는 조명 장치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구성되며, 동작을 위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제공받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한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램프가 턴오프되는 전압보다 낮은 레벨로 설정된 제어 전압 이하로 상기 구동 전압이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는 2차측 회로;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디밍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의 동작을 제어하는 1차측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회로의 보정된 상기 디밍 제어 신호가 상기 1차측 회로에 전달됨에 의하여 상기 램프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제어 전압 이상으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정류 전압을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회로; 상기 구동 전압을 제공받는 램프;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한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제어 회로;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디밍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밍 제어 회로; 및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램프를 턴오프하는 레벨보다 낮은 제어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전력 효율을 갖는 조명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로도 램프뿐만 아니라 센서 보드나 통신 모듈 같은 주변 회로 모듈에도 높은 전력 효율을 유지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명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를 구동하는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디밍 제어 회로의 동작 전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밍 오프나 낮은 레벨의 디밍 제어 상태에서 구동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이차측 또는 일차측에서 보정함으로써 구동 전압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할 수 있어서 안정적인 디밍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전류 파형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가 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가 디밍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플라이백 방식으로 전원을 구동하여 램프(100)에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전력 효율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며, 전력 효율 개선은 램프(100)에 제공되는 전원을 전류 레귤레이팅 방식으로 전력 변환함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전류 제어에 의하여 램프(100)가 발광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류 제어는 정전류 제어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램프(100)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밍 기능을 구현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램프(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주변 회로 모듈에 공통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에 포함된 구동 전압의 레벨이 주변 회로 모듈의 동작 전압으로 이용될 수 있는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1차측의 정류 전압을 2차측의 구동 전압으로 전력 변환하는 트랜스포머(T)와 구동 전압(V)에 의하여 발광하는 램프(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트랜스포머(T)의 1차측에 구성되는 1차측 회로와 트랜스포머(T)의 2차측에 구성되는 2차측 회로를 포함한다.
1차측 회로는 후술되는 구동 제어 회로(30)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디밍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트랜스포머(T)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2차측 회로는 일실시예로 후술되는 디밍 제어 회로(50) 및 보정 회로(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작을 위하여 구동 전압(V)을 제공받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한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램프(100)가 턴오프되는 전압보다 낮은 레벨로 설정된 제어 전압 이하로 구동 전압(V)이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보정된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2차측 회로는 구동 전압(V)이 제어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디밍 제어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류의 분산에 의하여 전류의 양을 감소시켜서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보정 회로(60)가 일차측 회로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보정 회로(60)가 일차측 회로 또는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 2차측 회로에 포함되는 후술되는 디밍 제어 회로(50)는 동작을 위하여 구동 전압(V)을 제공받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한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없이 제공한다. 그리고, 보정 회로(60)는 램프(100)가 턴오프되는 전압과 같거나 낮은 레벨로 설정된 제어 전압 이하로 구동 전압(V)이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보정된 디밍 제어 신호를 일차측 회로에 포함되는 후술되는 평활 회로(40)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는 당업자에 의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수준이므로 구체적인 도시 및 그에 대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전원부(10), 트랜스포머(T)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회로(20), 구동 제어 회로(30), 디밍 제어 회로(50) 및 보정 회로(60)를 포함한다.
전원부(10)는 AC 전원을 전파 정류하여 정류 전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전원부(10)는 전원(12) 및 정류회로(14)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전원(12)은 AC 전원으로서 상용 전원이 이용됨이 바람직하다.
정류회로(14)는 전원(12)에서 공급되는 정현파 파형의 AC 전원을 전파 정류하여 리플 성분을 갖는 정류 전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전원부(10)의 정류 전압은 트랜스포머(T)를 이용하여 전력 변환하는 전력 변환 회로(20)에 제공된다.
전력 변환 회로(20)는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을 이루는 코일(L1)에 정류 전압이 인가되고, 1차측과 2차측 간의 전력 변환이 수행되며, 2차측을 이루는 코일(L2)에서 구동 전압(V)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2차측을 이루는 코일(L2)에 다이오드(D1)가 직렬로 연결되고, 다이오드(D1)와 병렬로 캐패시터(C1)가 연결되며, 다이오드(D1) 및 캐패시터(C1)에 의하여 구동 전압(V)이 출력된다.
트랜스포머(T)는 1차측의 코일(L1)과 2차측의 코일(L2) 및 보조 코일(L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코일(L1)과 코일(L2)의 권선 비는 N:1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N은 임의의 상수로 설정될 수 있다.
보조 코일(L3)은 2차측의 코일(L2)에 유도되는 전류의 센싱을 위하여 구성된 것이며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권선 비가 적용될 수 있다. 대체로 보조 코일(L3)은 구동 제어 회로(30)의 내부 전압(Vcc)을 제공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류를 유도하기 위한 권선 비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정류 전압에 의한 전류 흐름에 의하여 트랜스포머(T)의 2차측의 코일(L2)에 유도 전류가 형성되고, 2차측의 코일(L2)의 유도 전류가 다이오드(D1) 및 캐패시터(C2)에 의하여 정류 및 평활되어서 구동 전압(V)으로 변환되어서 출력된다.
또한,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 흐름에 의하여 보조 코일(L3)에도 유도 전류가 형성된다.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에 정류 전압이 공급되는 것은 구동 제어 회로(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한 트랜스포머(T)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회로(2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압(V)은 램프(100) 및 디밍 제어 회로(50)에 공통으로 전원으로 공급된다.
램프(100)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V)과 디밍 제어 회로(50)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의 레벨은 서로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램프(100)의 구동 전압(V)은 디밍 제어 회로(50)의 동작 전압보다 높다.
그러므로, 전력 변환 회로(2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압(V)은 디밍 제어 회로(50)의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의 내부에서 전압 레귤레이팅되어 구동 전압(V)보다 낮은 레벨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한 전압 레귤레이팅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디밍 제어 프로세서(52) 내부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전압 레귤레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을 참조하여 디밍 제어 프로세서(52) 내부에서 구동 전압(V)을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압 레귤레이팅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램프(100)는 전력 변환 회로(20)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압(V)에 의하여 발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램프(1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 램프(100)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 것을 예시한다. 램프(100)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100)는 발광 다이오드 이외의 형광등과 같은 전기적 물리량의 인가에 의해 발광을 하는 다양한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램프(100)는 실내등, 탁상등, 방범등 또는 가로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횡단보도에 설치되어서 횡단 보도를 조명하는 보조 조명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디밍 제어 회로(50)는 램프(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통으로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디밍 제어 회로(50)는 주변 회로 모듈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주변 회로 모듈은 상기한 디밍 제어 회로(50) 외에 램프(100)의 디밍이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성 가능한 통신 모듈 등과 같이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밍 제어 회로(50)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구동 전압(V)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디밍 제어 회로(50)는 가시광센서(CDS)나 적외선센서(PIR)의 출력 또는 디밍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신호 등을 외부의 제어 신호(Din)로 입력받을 수 있다. 가시광센서(CDS)는 주변의 밝기(조도)를 센싱하는 센서이고, 적외선센서(PIR)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한 제어 신호(Din)는 디밍 제어 회로(50)에 포함된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 입력된다. 제어 신호(Din)는 펄스 신호 또는 직류 전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디밍 제어 회로(50)의 디밍 제어 프로세서(52)는 펄스 신호 또는 직류 전압으로 제공되는 외부의 제어 신호(Din)를 펄스로 변환하여 디밍 아웃 신호(Do)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디밍 제어 프로세서(52)는 디밍 아웃 신호(Do)의 펄스 폭을 가변하여 디밍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디밍 아웃 신호(Do)는 10% 미만의 듀티 비를 갖는 경우 램프(100)를 턴오프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디밍 제어 프로세서(52)는 구동 전압(V)의 레벨이 변환된 동작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디밍 제어 프로세서(52)는 펄스 신호 또는 직류 전압으로 제공되는 외부의 제어 신호(Din)에 대응하는 디밍 아웃 신호(Do)를 출력하며, 디밍 아웃 신호(Do)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디밍 제어 회로(50)는 상기한 디밍 제어 프로세서(52) 및 전달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달 회로는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출력되는 디밍 아웃 신호(Do)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 인버터(IV)의 출력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2), 트랜지스터(Q2)와 직렬연결된 발광 다이오드(PD), 발광 다이오드(PD)에 구동 전압(V)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저항(RD), 발광 다이오드(PD)의 발광에 연동하여 스위칭되는 수광 트랜지스터(PT) 및 수광 트랜지스터(PT)의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저항(R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저항(RD)의 일단에는 구동 전압(V)이 인가되며, 트랜지스터(Q2)의 드레인은 접지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PD)와 수광 트랜지스터(PT)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달 회로는 디밍 아웃 신호(Do)에 따라 변동되는 디밍 제어 신호를 구동 제어 회로(30)의 평활 회로(40)에 제공한다.
즉, 인버터(IV)는 디밍 아웃 신호(Do)를 반전하여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인가하고, 트랜지스터(Q2)는 디밍 아웃 신호(Do)에 대응하여 스위칭되며, 발광 다이오드(PD)는 트랜지스터(Q2)의 턴온 및 턴오프에 동기하여 발광 및 소광되고, 수광 트랜지스터(PT)는 발광 다이오드(PD)의 발광에 대응하여 턴온된다.
수광 트랜지스터(PT)의 턴온 및 턴오프에 의하여 펄스 신호가 디밍 제어 신호로서 생성되며, 디밍 제어 신호는 구동 제어 회로(30)의 평활 회로(40)에 제공된다.
한편, 구동 제어 회로(30)는 전력 변환 회로(20)의 전력 변환을 모니터링한 결과와 디밍 제어 회로(50)의 디밍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력 변환 회로(20)의 전력 변환을 제어한다. 즉, 구동 제어 회로(30)는 전력 변환 회로(20)에 대한 전류 레귤레이팅을 수행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구동 제어 회로(30)는 전압 레귤레이터(32), 전류 모니터(34), 비교부(COM1), 램프 신호 발생기(36), 비교부(COM2), 펄스 제어기(38), 평활 회로(40) 및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 회로는 스위칭 소자(Q1) 및 버퍼(BF)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버퍼(BF)는 펄스 제어기(38)의 출력을 스위칭 소자(Q1)의 게이트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압 레귤레이터(32)는 트랜스포머(T)의 2차측의 코일(L2)의 전류를 센싱한 센싱 전류를 이용하여 내부 전압(Vcc)을 생성하며, 내부 전압(Vcc)을 구동 제어 회로(30) 내부의 각 부품들, 예들 들면 램프 신호 발생기(36) 및 펄스 제어기(38)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압 레귤레이터(32)는 트랜스포머(T)의 2차측의 코일(L2)의 전류를 센싱한 센싱 전류를 보조 코일(L3)에서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보조 코일(L3)의 전류가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전압 레귤레이터(32)로 제공되며, 전압 레귤레이터(32)는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유입되는 전류를 이용하여서 정전압을 갖는 내부 전압(Vcc)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전류 모니터(34)는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와 2차측의 코일(L2)의 전류를 센싱한다.
전류 모니터(34)는 2차측의 코일(L2)의 전류를 보조 코일(L3)에서 유입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센싱하고, 2차측의 코일(L2)로 유도되는 전류의 제로 커런트 포인트(Z)를 검출하여 제로 커런트 포인트(Z)에 동기되는 셋 신호(S)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류 모니터(34)는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를 센싱한 결과에 대응한 모니터링 전압을 출력한다. 전류 모니터(34)는 스위칭 소자(Q1)에 연결된 저항(Rs)으로부터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류 모니터(34)는 모니터링 전압을 비교부(COM1)의 네가티브단(-)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링 전압은 저항(Rs)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직류 전압으로 출력될 수 있다.
비교부(COM1)는 네가티브단(-)에 모니터링 전압이 인가되고 포지티브단(+)에 정전류 제어를 위한 기준전압(REF_Cc)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비교부(COM1)는 비교 신호(COMP)를 비교부(COM2)의 네가티브단(-)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램프 신호 발생기(36)는 램프 신호(RP)를 출력하며, 램프 신호(RP)는 톱니파 펄스 또는 삼각파 펄스로 제공될 수 있다.
평활 회로(40)는 디밍 제어 회로(50)에서 제공되는 디밍 제어 신호를 평활하여 비교부(COM2)의 네가티브단(-)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펄스 파형을 갖는 디밍 제어 신호는 평활 회로(40)에 의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
비교부(COM2)는 평활 회로(40)에서 평활된 디밍 제어 신호와 비교부(COM1)에서 출력되는 비교 신호(COMP)를 혼합한 신호가 네가티브단(-)에 인가되고 램프 신호 발생기(36)에서 출력되는 램프 신호(RP)가 포지티브단(+)에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비교부(COM2)는 디밍 제어 신호와 비교 신호(COMP)를 혼합한 신호를 램프 신호(RP)와 비교하여 리셋 신호(R)를 출력한다.
펄스 제어기(38)는 비교부(COM2)에서 출력되는 리셋 신호(R)와 전류 모니터(34)에서 출력되는 셋 신호(S)가 인가되도록 구성되며, 리셋 신호(R)와 셋 신호(S)의 상태에 대응하여 구동 펄스(Q)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펄스 제어기(38)는 셋 신호(S)가 인에이블되는 시점부터 리셋 신호(R)가 인에이블되는 시점까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는 펄스 신호를 구동 펄스(Q)로 출력하는 RS 플립플롭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동 펄스(Q)는 버퍼(BF)를 경유하여 스위칭 소자(Q1)의 게이트로 전달된다. 버퍼(BF)는 구동 펄스(Q)의 레벨을 보상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부품이다.
스위칭 소자(Q1)는 파워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파워 트랜지스터는 FE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1)는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과 일단이 접지된 저항(Rs) 사이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인가되는 구동 펄스(Q)에 의하여 스위칭된다.
즉, 스위칭 소자(Q1)는 버퍼(BF)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 펄스(Q)에 의하여 턴온 및 턴오프를 반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스위칭 소자(Q1)의 스위칭에 연동하여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에 정류 전압이 구동되며,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L1)에 전류가 구동된다.
한편, 보정 회로(60)는 제어 전압(REF_Cv) 이하로 떨어지면 그에 대응하여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전압(REF_Cv)은 램프(100)를 턴오프하는 구동 전압(V)의 레벨보다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램프(100)를 턴오프하는 구동 전압(V)의 레벨이 12V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어 전압(REF_Cv)은 8V 이상의 특정 레벨의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전압(REF_Cv)는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동작 전압으로 요구하는 수준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보정 회로(60)는 제어 전압(REF_Cv) 이하로 구동 전압(V)이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전류의 흐름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경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서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한다. 여기에서, 보정 회로(60)는 상기 경로를 통하여 접지로 분산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정 회로(60)는 비교부(COM3)와 스위칭 소자(Q3) 및 정전압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전압원은 제어 전압(REF_Cv)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너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스위칭 소자(Q3)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비교부(COM3)는 포지티브단(+)에 정전압원의 제어 전압(REF_Cv)이 인가되고, 네가티브단(-)에 구동 전압(V)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부(COM3)는 스위칭 소자(Q3)의 게이트에 제어 전압(REF_Cv)과 구동 전압(V)을 비교한 결과에 해당하는 보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3)는 구동 전압(V)이 제어 전압(REF_Cv) 보다 높은 경우 네가티브 값을 갖도록 출력되는 보정 신호에 의하여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칭 소자(Q3)는 구동 전압(V)이 제어 전압(REF_Cv) 보다 낮은 경우, 포지티브 값을 갖도록 출력되는 보정 신호에 의하여 전류의 흐름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스위칭 소자(Q3)는 보정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여 접지로 분산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소자(Q3)는 구동 전압(V)에 의하여 저항(RD)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idc)를 분산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며, 스위칭 소자(Q3)로 분산되어서 분산되는 전류(icp)의 양이 많을수록 발광 다이오드(PD)에 흐르는 전류(idc)의 양이 줄어든다. 즉, 램프(100)의 턴온이나 턴오프와 무관하게 구동 전압(V)이 제어 전압(REF_Cv) 보다 높은 경우 분산되는 전류(icp)의 양은 '0'을 유지하고, 구동 전압(V)이 제어 전압(REF_Cv) 보다 낮고 둘 간의 레벨 차가 클수록 분산된 경로로 분산되는 전류(icp)의 양은 점차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구성되며, 스위칭 소자(Q1)의 동작에 따라서 트랜스포머(T)의 전력 변환이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 소자(Q1)가 턴온되면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는 서서히 증가한다. 이때, 2차측의 코일(L2)에는 큰 유도 전류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Q1)가 턴오프되면,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 흐름은 급격하게 차단되고, 2차측의 코일(L2)에는 큰 유도 전류가 형성된 후 점차 줄어든다.
제로 커런트 포인트(Z)는 트랜스포머(T)의 2차측의 코일(L2)의 유도 전류가 사라지는 시점 즉 제로 상태가 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제로 커런트 포인트(Z)가 되면, 다시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의 흐름은 스위칭 소자(Q1)의 턴온으로 증가한다.
즉, 제로 커런트 포인트(Z)에 동기하여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 흐름이 개시됨으로써 스위칭 손실이 줄어들어서 전체 변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트랜스포머(T)의 동작에 의하여 2차측 코일(L2)에 유도된 전류(I)가 다이오드(D1)에 의하여 정류되고, 정류된 전류에 의한 전압이 캐패시터(C1)에 평활되어서 구동 전압(V)으로 출력된다.
상기한 구동 전압(V)에 의하여 램프(100)가 발광한다. 램프(100)의 디밍은 구동 전압(V)의 레벨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즉, 디밍 제어는 구동 전압(V)의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서 2차측의 코일(L2)에 유도되는 전류가 보조 코일(L3)을 이용하여 센싱되며, 센싱된 전류는 전압 레귤레이터(32)와 전류 모니터(34)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전압 레귤레이터(32)는 보조 코일(L3)의 센싱 전류를 이용하여 내부 전압(Vcc)을 생성하며, 램프 신호 발생기(36) 및 펄스 발생기(38) 등에 내부 전압(Vcc)을 정전압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전류 모니터(34)는 보조 코일(L3)의 센싱 전류를 이용하여 상술한 제로 커런트 포인트(Z)를 감지하며 제로 커런트 포인트(Z)에 동기된 셋 신호(S)를 출력한다.
또한, 전류 모니터(34)는 저항(Rs)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고 저항(Rs)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대응하는 직류 전압(모니터링 전압)을 비교기(COM1)의 네가티브단(-)에 인가한다.
비교기(COM1)는 모니터링 전압과 기준 전압(REF_Cc)을 비교하며, 모니터링 전압이 기준 전압(REF_Cc) 보다 낮으면 포지티브 레벨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고 반대로 모니터링 전압이 기준 전압(REF_Cc)보다 높으면 네가티브 레벨의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COM2)는 도 3과 같이 비교 신호(COMP)와 램프 신호(RP)를 비교하여 리셋 신호(R)를 출력함으로써 펄스 제어기(38)에서 출력되는 구동 펄스의 펄스 폭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모니터링 전압에 의하여 램프(100)가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면서 발광할 수 있도록 트랜스포머(T)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기능을 갖는다.
즉,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L1)에 유도되는 전류가 증가하면 전류 모니터(34)에서 출력되는 모니터링 전압은 상승하고, 비교부(COM1)는 네가티브의 낮은 전압을 비교 신호(COMP)로 출력하며(일예로, 도 3의 Vb 레벨), 비교부(COM2)는 큰 펄스 폭의 리셋 신호(R)를 출력한다. 펄스 제어기(38)는 셋 신호가 인에이블된 후 리셋 신호(R)가 입력되는 시점(인에이블되는 시점)까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펄스 폭을 갖는 구동 펄스(Q(Qb))를 출력한다. 즉, 펄스 제어기(38)는 펄스 폭이 작은 구동 펄스(Qb)를 출력하며, 스위칭 소자(Q1)의 턴온 시간은 구동 펄스(Qb)의 펄스 폭이 줄어든 만큼 줄어든다. 그 결과,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에 유도되는 전류가 감소된다.
이와 반대로,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L1)에 유도되는 전류가 감소하면 전류 모니터(34)에서 출력되는 모니터링 전압은 하강하고, 비교부(COM1)는 포지티브의 높은 전압을 비교 신호(COMP)로 출력하며(일예로, 도 3의 Va 레벨), 비교부(COM2)는 작은 펄스 폭의 리셋 신호(R)를 출력한다. 펄스 제어기(38)는 셋 신호(S)가 인에이블된 후 리셋 신호(R)가 입력되는 시점까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펄스 폭을 갖는 구동 펄스(Q(Qa))를 출력한다. 즉, 펄스 제어기(38)는 펄스 폭이 큰 구동 펄스(Qa)를 출력하며, 스위칭 소자(Q1)의 턴온 시간은 구동 펄스(Qa)의 펄스 폭이 늘어난 만큼 늘어난다. 그 결과,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에 유도되는 전류가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정전류 제어를 위한 기준전압(REF_Cc)을 기준으로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의 전류가 제어되므로 램프(100)에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램프(100)는 상기한 정전류 제어에 의하여 밝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한 램프(100)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디밍 제어 프로세서(52)는 램프(100)를 밝게 하거나 또는 어둡게 하는 디밍 제어를 위한 외부의 제어 신호(Din) 또는 램프(100)의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를 위한 외부의 제어 신호(Din)에 대응하여 펄스 신호 형태로 디밍 아웃 신호(Do)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램프(100)는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폭이 일정 수준 이하일 때 턴오프(디밍 오프)될 수 있다. 일예로 듀티 비가 10% 미만인 경우 램프(100)가 턴오프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듀티 비가 10% 미만인 경우, 트랜스포머(T)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압은 상기한 턴오프 레벨인 12V보다 낮아져서 램프(100)를 턴온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램프(100)가 턴온되지 않는 경우에도, 트랜스포머(T)는 램프(100)를 턴오프하는 레벨 이하의 레벨의 구동 전압(V)을 출력한다. 그리고, 램프(100)를 턴오프하는 레벨 이하의 구동 전압(V)은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 동작 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공급된다.
그리고, 램프(100)는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폭이 디밍 오프 수준 이상일 때 턴온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제어 신호(Din)에 의하여 램프(100)의 디밍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디밍 제어 기능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밍 제어 프로세서(52)는 외부의 제어 신호(Din)에 대응하여 디밍 아웃 신호(Do)를 출력한다.
램프(100)를 어둡게 하기 위하여, 도 4의 'Do1'과 같이 듀티 비가 낮은 펄스 신호가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디밍 아웃 신호(Do)로 출력될 수 있으며, 램프(100)를 밝게 하기 위하여, 도 4의 'Do2'와 같이 듀티 비가 높은 펄스 신호가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디밍 아웃 신호(Do)로 출력될 수 있다.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출력되는 디밍 아웃 신호(Do)는 인버터(IV)에 의하여 반전되어서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로 전달된다.
그 결과, 포토 커플러의 발광 다이오드(PD)는 램프(100)를 어둡게 하기 위한 경우에 대응하여 발광 양이 늘어나고 반대로 램프(100)를 밝게 하기 위한 경우에 대응하여 발광 양이 줄어든다.
그러므로, 포토 커플러의 수광 트랜지스터(PT)는 램프(100)를 어둡게 하기 위한 펄스(Do1)에 대응하여 긴 시간 턴온되고, 램프(100)를 밝게 하기 위한 펄스(Do2)에 대응하여 짧은 시간 턴온된다.
평활 회로(40)는 수광 트랜지스터(PT)의 턴온 시간이 길면 턴온 전류가 늘어나서 로우 레벨의 직류 전압(V2)을 출력하고 수광 트랜지스터(PT)의 턴온 시간이 짧으면 턴온 전류가 줄어들어서 하이 레벨의 직류 전압(V1)을 출력한다.
평활 회로(40)의 출력 신호는 비교 신호(COMP)와 혼합되어서 비교기(COM2)의 네가티브단(-)에 인가된다.
램프(100)를 밝게 하는 경우, 비교기(COM2)의 네가티브단(-)에는 도 4의 V1과 같이 높은 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반대로 램프(100)를 어둡게 하는 경우, 비교기(COM2)의 네가티브단(-)에는 도 4의 V2와 같이 낮은 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비교기(COM2)의 포지티브단(+)에는 램프 신호 발생기(32)에서 출력되는 도 4와 같은 램프 신호(RP)가 인가된다.
비교기(COM2)는 포지티브단(+)의 램프 펄스(RP)와 네가티브단(-)의 전압을 비교하여서 리셋 신호(R)를 출력한다.
이때, 비교기(COM2)는 램프(100)를 밝게 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좁은 펄스 폭의 리셋 신호(R)를 출력한다. 반대로, 비교기(COM2)는 램프(100)를 어둡게 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넓은 펄스 폭의 리셋 신호(R)를 출력한다.
그 결과, 펄스 제어기(38)는 셋 신호(S)가 인에이블된 후 리셋 신호(R)가 입력되는 시점까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펄스 폭을 갖는 구동 펄스(Q)를 출력한다.
즉, 펄스 제어기(38)는 램프(100)를 밝게 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펄스 폭이 큰 구동 펄스(Qa)를 출력하며, 스위칭 소자(Q1)의 턴온 시간은 구동 펄스(Q)의 펄스 폭이 늘어난 만큼 늘어난다. 그 결과,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에 유도되는 전류가 증가하고, 램프(100)는 상승된 구동 전압(V)을 제공받아서 밝아진다.
반대로, 펄스 제어기(38)는 램프(100)를 어둡게 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펄스 폭이 좁은 구동 펄스(Qb)를 출력하며, 스위칭 소자(Q1)의 턴온 시간은 구동 펄스(Qb)의 펄스 폭이 줄어든 만큼 줄어든다. 그 결과,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에 유도되는 전류가 감소하고, 램프(100)는 하강된 구동 전압(V)을 제공받아서 어두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디밍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밍 제어 프로세서(52)는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동작 전압을 필요로 한다.
디밍 제어 프로세서(52)는 전압 레귤레이팅에 의하여 구동 전압(V)의 레벨을 가변한 동작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한다.
디밍 오프나 낮은 레벨의 디밍 제어 상태와 같이 광 출력이 아주 낮게 제어되는 경우에도, 램프(100)로 제공되는 구동 전압(V)은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레벨을 유지해야 한다.
상기한 구동 전압(V)의 레벨 제어는 보정 회로(6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정 회로(60)의 비교기(COM3)에서 구동 전압(V)은 제어 전압(REF_Cv)과 비교된다.
예시적으로, 구동 전압(V)이 12V 이상인 경우 램프(100)는 턴온된다. 이때, 구동 전압(V)은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충분할 레벨을 갖는다. 이때, 비교기(COM3)에서 출력되는 보정 신호는 네가티브 레벨을 가지므로 스위칭 소자(Q3)를 턴온시킬수 없다.
그리고, 구동 전압(V)이 디밍 오프 레벨 즉 12V 이하와 제어 전압(REF_Cv)(일예로, 8V) 이상의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 구동 전압(V)에 의하여 램프(100)는 턴오프된다. 이때, 구동 전압(V)은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충분한 레벨을 갖는다. 이때도, 비교기(COM3)에서 출력되는 보정 신호는 네가티브 레벨을 가지므로 스위칭 소자(Q3)를 턴온시킬수 없다.
만약, 구동 전압(V)이 제어 전압(REF_Cv) 이하의 레벨 즉 8V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구동 전압(V)은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압을 생성하기에 불충분할 레벨을 갖는다. 이때, 비교기(COM3)에서 출력되는 보정 신호는 포지티브 레벨을 가지므로 스위칭 소자(Q3)의 문턱전압 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 스위칭 소자(Q3)를 턴온시킨다.
즉, 구동 전압(V)이 제어 전압(REF_Cv) 보다 낮은 경우, 스위칭 소자(Q3)는 보정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여 접지로 분산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턴온된 스위칭 소자(Q3)는 구동 전압(V)에 의하여 저항(RD)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idc)를 접지로 분산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램프(100)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구동 전압(V)과 제어 전압(REF_Cv)의 차가 클수록 스위칭 소자(Q3)는 많은 양의 전류(idc)를 접지로 분산한다.
스위칭 소자(Q3)를 통하여 분산되는 전류(icp)의 양이 많을수록 발광 다이오드(PD)에 흐르는 전류(idc)의 양이 줄어든다.
발광 다이오드(PD)에 흐르는 전류(idc)의 양이 줄어드는 것은 발광 다이오드(PD)의 발광 양을 줄이는 효과를 얻는다.
즉, 발광 다이오드(PD)의 발광 양이 줄어들면, 수광 트랜지스터(PT)의 턴온 전류가 줄어든다. 즉, 디밍 제어 회로(50)는 구동 제어 회로(30)의 평활 회로(40)에 보정된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디밍 제어 신호의 보정에 의하여, 평활 회로(4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상승되며, 비교기(COM2)의 네가티브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아진다. 그리고 비교기(COM2)는 램프(100)를 밝게 하기 위하여 구동 전압을 상승시키는 경우와 같이 좁아지는 펄스 폭을 갖는 리셋 신호(R)를 출력한다.
그 결과, 펄스 제어기(38)는 펄스 폭이 커지는 구동 펄스(Qa)를 출력하며, 스위칭 소자(Q1)의 턴온 시간은 구동 펄스(Q)의 펄스 폭이 늘어난 만큼 늘어난다. 그리고,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의 코일(L1)에 유도되는 전류가 증가하고, 트랜스포머(T)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압(V)은 상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구동 전압(V)이 디밍 오프 이후 미리 설정된 제어 전압(REF_Cv)보다 낮아지는 경우, 디밍 제어 신호에 대한 보정이 2차측에서 이루어지며, 구동 전압(V)이 정전압인 제어 전압(REF_Cv) 이상을 유지하도록 보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여 트랜스포머(T)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압(V)은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압을 생성하기에 충분할 레벨을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디밍 제어 프로세서(52)의 동작이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AC 전원을 구동 제어 회로(30)에 의하여 전류 레귤레이팅하여서 램프(100) 및 디밍 제어 회로(50)와 같은 주변 회로 모듈에 동시에 동작 전압을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램프(100)와 주변 회로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 간단히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구동 제어 회로(30)의 전력 효율이 90%로 설계된 경우, 램프(100)와 주변 회로 모듈에 전력 효율의 변화없이 전체적으로 90%의 전력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즉, 전원이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전류 레귤레이팅 단계에서만 변환된 후 램프(100) 및 주변 회로 모듈에 공급되므로 본 발명은 전류 레귤레이터의 설계 수준을 따르는 개선된 전력 효율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한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동작과 상기한 디밍 제어 동작이 안정적으로 중첩 구현되는 특성을 갖는다.
10 : 전원부 20 : 전력 변환 회로
30 : 구동 제어 회로 32 : 전압 레귤레이터
34 : 전류 모니터 36 : 램프 신호 발생기
38 : 펄스 제어기 40 : 평활 회로
50 : 디밍 제어 회로 52 : 디밍 제어 프로세서
54 : 전압 레귤레이터 60 : 보정 회로
100 : 램프

Claims (16)

  1.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정류 전압을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구동 전압을 램프로 제공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램프와 공통으로 공급받으며 상기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되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한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디밍 제어 회로, 및 상기 램프가 턴오프되는 전압과 같거나 낮은 레벨로 설정된 제어 전압 이하로 상기 구동 전압이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어 전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구성되는 2차측 회로;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디밍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의 동작을 제어하는 1차측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회로는 미리 설정된 상기 제어 전압 이하로 상기 구동 전압이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수행하고, 보정된 상기 디밍 제어 신호가 상기 1차측 회로에 전달되는 조명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회로는,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어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밍 제어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조명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회로는,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어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류를 분산하여서 상기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조명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회로는,
    상기 전류의 분산을 위하여 상기 전류가 접지로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는 조명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회로는,
    상기 제어 전압 이하로 상기 구동 전압이 떨어지면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보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밍 제어 신호의 전류를 감소하기 위한 경로를 상기 디밍 제어 회로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보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경로로 흐르는 상기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는 조절 회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어 전압보다 낮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 전압과 상기 구동 전압의 차에 비례하는 레벨을 갖도록 상기 보정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조절 회로는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어 전압보다 낮은 상태에서 상기 보정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도록 상기 경로의 턴온 정도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은 정전압원에 의하여 설정되는 조명 장치.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3.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정류 전압을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회로;
    상기 구동 전압을 제공받는 램프;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램프와 공통으로 공급받으며 상기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되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대응한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디밍 제어 회로;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디밍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회로; 및
    상기 램프가 턴오프되는 전압과 같거나 낮은 레벨로 설정된 제어 전압 이하로 상기 구동 전압이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전압이 상기 제어 전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회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회로는,
    상기 제어 전압 이하로 상기 구동 전압이 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전류의 흐름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경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서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보정하는 조명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회로는 상기 경로를 통하여 접지로 분산되는 상기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조명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130058321A 2013-03-11 2013-05-23 조명 장치 KR10156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321A KR101568111B1 (ko) 2013-05-23 2013-05-23 조명 장치
US14/204,083 US9320100B2 (en) 2013-03-11 2014-03-11 Lighting apparatus
JP2014047953A JP2014176295A (ja) 2013-03-11 2014-03-11 照明装置
CN201410088162.5A CN104053275A (zh) 2013-03-11 2014-03-11 照明装置
EP14000857.4A EP2779798A3 (en) 2013-03-11 2014-03-11 Ligh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321A KR101568111B1 (ko) 2013-05-23 2013-05-23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06A KR20140137606A (ko) 2014-12-03
KR101568111B1 true KR101568111B1 (ko) 2015-11-11

Family

ID=5245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321A KR101568111B1 (ko) 2013-03-11 2013-05-23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1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05B1 (ko) 2007-02-07 2008-07-10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엘이디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940042B1 (ko) 2009-07-22 2010-02-04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Led 조명 구동 장치
JP2012129502A (ja) 2010-12-13 2012-07-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05B1 (ko) 2007-02-07 2008-07-10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엘이디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940042B1 (ko) 2009-07-22 2010-02-04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Led 조명 구동 장치
JP2012129502A (ja) 2010-12-13 2012-07-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06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241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용 전원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JP6198733B2 (ja) 固体照明モジュールの主電源信号に基づく調光を実施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34042B1 (ko) Led 조명 장치 및 그의 전류 레귤레이터와 전류 레귤레이팅 방법
US7626342B2 (en) High efficiency power controller for solid state lighting
US9320100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111387B1 (ko) Led 조명용 통합 전원 집적 회로
US20130063047A1 (en) Load Control Device for a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US10531531B2 (en) Digital dimming solution for LED applications including a phase-cut dimmer
JP5297119B2 (ja) 照明点灯装置、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9026544A (ja) Led用調光装置及びled照明装置
US10141740B2 (en) Auxiliary supply generation for power converters
KR102286767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
JP2013140931A (ja) Led光源を駆動するための回路および方法
KR101536108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 및 전압 생성 방법
KR100954123B1 (ko) 엘이디 조명기구용 전원공급 장치
US20110133661A1 (en) Power supply systems with controllable power
JP2010153566A (ja) Led駆動方式
US10568173B1 (en) Dimmer circuit for use in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system
KR20140070126A (ko) 조명 구동 장치 및 조명 구동 방법
KR101376152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68111B1 (ko) 조명 장치
GB2513478A (en) Circuits and methods for driving light sources
KR101519812B1 (ko) 조명 장치
KR101188236B1 (ko)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
KR20110114787A (ko) 엘이디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