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713B1 -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가방 - Google Patents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713B1
KR101567713B1 KR1020140089022A KR20140089022A KR101567713B1 KR 101567713 B1 KR101567713 B1 KR 101567713B1 KR 1020140089022 A KR1020140089022 A KR 1020140089022A KR 20140089022 A KR20140089022 A KR 20140089022A KR 101567713 B1 KR101567713 B1 KR 10156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ortions
inner bag
outer bag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화영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외부 가방을 포함하는 가방 구조체로서 외부가방으로부터 내부가방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이중 결합 가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가방과 이 내부가방을 수용하는 외부가방은 그 측면부의 연장부와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부가 서로 연결되고, 측면부의 연장부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형성되는 개방된 틈을 포함하며, 이 틈을 통하여 외부가방에 수용된 내부가방이 보이는 가방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가방은 클러치나 서류가방 등과 같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 및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가방과 외부가방이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탈착 수단을 조절함으로써 모양 및 구성을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가방{Detachable dual bag}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외부 가방을 포함하는 가방으로서 외부가방으로부터 내부가방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여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결합 가방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장에는 다양한 소재의 다양한 용도 및 디자인의 가방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용도에 따라 디자인 및 재질에 차이가 있으며, 각 가방은 한 가지 용도로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수납되는 물건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크기와 디자인이 달라진다.
가방은 모양과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숄더백, 클러치, 백팩, 서류 가방, 캐리어 등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가방은 각각 필요한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변용되었다. 즉, 가방에 따른 용도는 정해져 있어서 활용도가 사실상 낮아, 각 용도에 따른 다른 종류의 가방을 구비할 필요가 있었다.
가방의 활용도가 낮음에 따라 다양한 용도를 위하여 각 용도에 맞는 가방의 구매로 인한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증가하며, 이러한 다수 개의 가방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야 하며, 또한 기존 가방들은 외관이 일정하게 유지되게끔 제작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이를 변화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다.
종래 통상적인 가방의 활용도를 높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465652호는 가방의 사용 용도나 기능에 맞추어 가방의 외관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다목적 가방을 제공한다. 이는 보자기 형상으로부터 접는 방식을 달리하는 원리로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가방의 형태는 변화시킬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보자기 형태의 가방을 많이 접을수록 그만큼 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감소하여 활용도에 여전히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외관 형상을 편리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연결 수단에 있어서, 연결 수단이 용이하게 조작될수록 수납공간의 하부를 이루는 부위의 지지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무게가 큰 용품들을 수납공간에 넣을 경우에는 수납공간의 하부 바닥이 중요한 지지 기능을 하는데, 이때 연결 수단이 충분히 하부 바닥 모양을 지탱하지 못할 시에, 가방은 보자기 형태로 분리되어 수납 공간에 수용되었던 용품들이 중력에 의하여 하부를 통해 쏟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방은 수납할 수 있는 용품이 한정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325615호는 가방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다수 개의 수납공간들로 구성되는 가방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개별적인 수납공간을 구비한 다수 개의 가방들이 서로 부착됨으로써 하나의 가방을 이루고, 이의 전체적인 크기 및 수납공간의 개수가 조절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가방 끈이나 손잡이 등도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 수단이 구비되어 손가방, 백팩, 숄더 백 등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납공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종래의 가방보다는 활용도가 높아지지만, 지퍼와 같은 부착 수단으로 각 수납공간이 서로 부착될 때 이러한 부착 수단이 눈에 띄게 보일 수밖에 없으므로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큰 제약이 걸리며, 각 수납공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수 개의 수납공간이 함께 부착되더라도 하나의 공간으로 확장되는 것이 아닌 단점이 있다.
종래의 가방의 활용은 매우 한정적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공된 가방들은 디자인적 측면과 실용성 간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간단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는 가방은 아직까지 찾기 힘든 실정이다.
KR 20-0465652 Y1 JP 2002-325615 A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용성이 좋은 동시에 디자인적 측면과 실용성 간의 균형이 이루어진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양 및 구성을 변형시킬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내구성이 좋고 경량성이 뛰어난 특수 소재(예를 들면 타이벡)로 제작되어 이중 가방 구조체이더라도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가방(100)과 상기 내부가방(100)의 외측에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외부가방(2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가방(200)은, 바닥부(210);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부(220)와 한 쌍의 지지부(230); 및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지지부(230)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형성되는 개방된 틈을 더 포함하는 가방을 제공한다.
또한, 각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221a 및 221b)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연결부(221a 및 221b)가 위치하는 상기 연장부의 말단 일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부(220)와 지지부(230)가 제 2 연결부(232a 및 232b)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연결부(232a 및 232b)가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230)의 말단 측에서 상기 연장부의 말단 일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221a 및 221b)와 상기 제 2 연결부(232a 및 232b)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바닥부(210)에 대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측면부(220)의 상측 말단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가방(200)의 개방된 상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가방(100)의 하부(110) 및 상기 외부가방(200)의 바닥부(210)에 각각 하부 탈착부(111 및 211)가 위치하여 상기 하부(110)와 상기 바닥부(210)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가방(200)의 적어도 일부가 타이벡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가방(100) 및 상기 외부가방(200)은 다수 개의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 수단은 스냅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 수단은 자석 단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 수단은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가방과 외부가방으로 구성되어 클러치나 서류가방 등과 같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부가방과 외부가방이 용이하게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분리와 결합 수단을 조절함으로써 모양 및 구성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좋고 경량성이 뛰어난 특수 소재(예를 들면 타이벡)로 제작되어 이중가방 구조체이더라도 가방의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가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가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및 외부 가방의 탈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제 1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제 2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거나, 이외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가방도 용이하게 도출 가능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가방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은 외부가방(200) 내측에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가방(100)을 포함한다. 도 1은 부착된 상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방(100)은 그 하측을 이루는 하부(110), 내부가방(100)의 측면을 이루며 크기에 따라 내부가방(100)의 수용 용량을 결정하는 몸체부(120), 내부가방(100)의 일부에 가방을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는 개구부(130)를 포함하며, 내부가방(100)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손잡이(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부가방(100)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사면(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두 쌍의 대략적인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은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측면이 다른 한 쌍의 측면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측면들이 장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가방(100)은 서류가방으로 활용하기에 더 용이하다. 그러나 내부가방(100)의 형태에 있어서 측면이 사면을 이루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가방(100)이 외부가방(200)에 수용될 수 있는 구형, 원통형, 사면체 등등 다양한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가방(200)은 그 하측을 이루는 바닥부(210)와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며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220) 및 바닥부(210)의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외부가방(200)의 형태를 지지하는 지지부(230)를 포함하며, 외부가방(200)을 편리하게 들 수 있도록 손잡이(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21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측면부(220)는 외부가방(200)의 측면을 형성하며, 지지부(230)는 바닥부(210)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2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면부(220) 및 지지부(230)가 형성된 방향이 서로 대략 수직임으로써, 측면부(220) 및 지지부(230)가 서로 연결되고 외부가방(200)이 입체적인 형태를 갖도록 변형되었을 때에, 각 측면부(220)의 양측 단부가 각 지지부(230)의 양측 단부와 결합되어 적어도 네 개의 지점에서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외부가방(200)의 형태 유지에 더 유리하다.
또한, 한 쌍의 측면부(220)는 바닥부(210)의 장방향 너비를 기준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부(220)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지지부(230)와 더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한 쌍의 측면부(220)가 서로 제 1 연결부(221a, 221b)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용이하다. 제 1 연결부(221a, 221b)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220)의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는데, 이때 겹쳐지는 정도가 연장부의 폴딩(folding)되는 부위를 넘어간다면 측면부(220) 간의 연결이 실질적으로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측면부(220)가 상기 연장부를 포함하고 각 연장부가 지지부(230)와 제 2 연결부(232a, 232b)에 의하여 결합된 경우에 각 측면부(220)의 연장부의 말단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의 말단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제 1 연결부(221a, 221b)에 의하여 한 쌍의 측면부(220)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외부가방(200)의 좁은 측면으로의 단면이 대략적인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게 됨으로써 외부가방(200)의 더욱 안정적인 형태 유지가 가능하다. 여기서 지지부(230) 또한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러한 삼각형의 형태가 더욱 부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 단단한 결합 및 안정적인 형태 유지가 유리해질 수 있다.
이때 연장부 및 지지부(230)의 모서리는 둥글게 마감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탈착 과정을 반복하여도 모서리 부분이 쉽게 헤어지거나 외측으로 말려지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디자인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내부가방(100) 및 외부가방(200)의 구성요소 및 연결 방식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내부가방(100)의 하부(110)가 외부가방(200)의 바닥부(210)와 탈착 가능하도록 하부(110)와 바닥부(210)에는 각각 다수 개의 하부 탈착부(111, 211)가 위치한다. 하부(110)의 하부 탈착부(111)와 바닥부(210)의 하부 탈착부(211)는 서로 상응하도록 위치되며, 탈착 수단으로는 스냅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 수단이 스냅 버튼임으로써 가방의 탈착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도 더 다양한 변형예들이 가능하여 유리하다. 그러나 탈착 수단으로는 자력이 있는 단추일 수도 있으며, 벨크로 재질로 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내부가방(100)의 몸체부(120)가 외부가방(200)의 측면부(220)와 탈착 가능하도록 몸체부(120)와 측면부(220)는 각각 다수 개의 상부 탈착부(112, 222)를 포함한다. 몸체부(120)에 위치하는 상부 탈착부(112)는 내부가방(100)의 보다 넓은 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20)의 상부 탈착부(122)와 측면부(220)의 상부 탈착부(222)는 서로 상응하도록 위치되며, 측면 탈착부(111, 211)와 마찬가지로 탈착 수단으로는 스냅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가방(100)의 몸체부(120)는 측면 탈착부(123)를 더 포함하며, 이는 내부가방(100)의 보다 좁은 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가방(200)의 측면부(220)는 몸체부(120)의 측면 탈착부(123)와 상응하도록 위치되는 측면 탈착부(223)를 더 포함한다.
내부가방(100)은 개구부(130)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13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폐수단(131)은 지퍼, 클립, 스냅 버튼 등 다양한 수단들이 적용가능하며,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였을 때 지퍼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손잡이(140)는 내부가방(100) 내측에 부착되어 개구부(130)를 통하여 일부가 외부에 위치되도록 이동이 가능하여 내부가방(100)은 외부가방(200)으로부터 탈거된 경우에서도 활용성이 높다.
내부 손잡이(140)가 내부가방(100)의 내측에 연결됨으로써 개구부(130)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에는 내부가방(100)을 클러치와 같이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활용가능하다. 상황 또는 필요성에 따라 내부 손잡이(140)를 겉으로 꺼냄으로써 내부가방(100)은 클러치로부터 서류가방으로 변용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손잡이(140) 대신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띠(미도시)를 부착할 경우에는 클러치백이 아니라 숄더백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들이 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외부가방(200)은 바닥부(210) 및 측면부(220) 각각에 형성된 다수 개의 하부 탈착부(211) 및 상부 탈착부(222)에 의하여 내부가방(100)과 탈착가능하며, 측면 탈착부(223)와 같은 경우에는 내부가방(100)과 결합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외부가방(200)의 형태를 조절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외부가방(200)이 측면 탈착부(223)에 의하여 내부가방(100)에 부착된 경우에는 전체적인 가방의 상부 모서리 부분이 직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가방의 보다 더 좁은 측의 형상이 정방형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때 외부가방(200)과 내부가방(100)은 네 개의 지점에서 연결되어 사각 구도의 안정적인 형태를 이룬다.
측면 탈착부(223)에 의하여 외부가방(200)이 내부가방(100)과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외부가방(200)의 바닥부(2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각 측면부(22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221a, 221b)에 의하여 양측의 측면부(2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30)는 측면부(220)와 제 2 연결부(232a, 232b)에 의하여 연결되어 외부가방(200)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외부가방(200)은 내부가방(100)과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측면부(220)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232a)와 지지부(230)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232b)가 연결됨으로써 양측의 측면부(220)와 양측의 지지부(230)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제 1 연결부(221a, 221b) 및 제 2 연결부(232a, 232b)에 의하여 외부가방(200)은 내부가방(100)과 연결될 필요 없이 독립적으로 형태가 유지되어 외부가방(200) 단독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지지부(230)가 형성된 각 측면은 제 1 연결부(221a, 221b) 및 제 2 연결부(232a, 232b)에 의하여 세 개의 지점에서 측면부(220)와 연결되어 삼각 구도의 안정적인 형태를 이룬다.
또한, 내부가방(1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양측의 측면부(220)와 지지부(23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서 외부가방(200)이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은 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작의 편리성에 기여하여 공정과정의 단순화에 따른 비용 감소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외부가방(200) 손잡이(240)의 길이, 위치, 또는 재질 등에 대해서는 어느 한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외부가방(20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내부가방(100) 및 외부가방(200)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미세한 폴리에틸렌 섬유를 열과 압력으로 압착한 타이벡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이 타이벡 소재로 제작됨으로써 내부가방(100) 및 외부가방(200)이 함께 사용되어도 타이벡 소재 특성상의 뛰어난 내구성, 경량성, 방수성, 통기성, 오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로 인하여 이중 구조의 가방을 구성하더라도 전체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아서 휴대성은 유지하면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내부가방(100) 및 외부가방(200)은 타이벡 소재뿐만 아니라 일부가 가죽으로도 형성되어 필요한 부위에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외부가방(200)은 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어 타이벡 및 가죽으로 제작될 경우에 제작과정이 매우 단순해져 비용적으로 경제적이다.
먼저, 상술된 바와 같은 외부가방(200)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소정의 강도의 내부층이 제공되는데, 이때 소정의 강도의 내부층의 재질로는 가죽과 같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층의 외부에는 외피층을 연결하고 내부에 내피층을 연결한다. 또한, 내피층과 외피층의 재질은 타이벡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층, 내부층, 및 내피층이 연결되면서 한 장의 '층'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층은 미리 결정된 소정의 형태로 절단된다. 절단되는 형태에 따라 구성되는 가방의 형태가 달라지며, 이때 미리 결정된 소정의 형태는 바닥부(210), 측면부(22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되어 소정의 형태를 갖게 된 층의 상부 및 하부 말단에는 손잡이(240)가 부착되며, 측부에는 다수의 연결부(221a, 221b, 232a, 232b)가 부착된다. 여기서 측부는 소정의 형태를 갖게 된 층으로서, 외부가방(200)의 측부는 바닥부(210), 측면부(22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221a와 221b; 232a와 232b)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층이 폴딩(folding)되어 외부가방(200)의 입체적인 형태가 형성된다. 다수의 연결부(221a, 221b, 232a, 232b)의 위치에 따라 외부가방(200)의 입체적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측부에는 다수의 연결부(221a, 221b, 232a, 232b)뿐만 아니라 다수의 탈착부(211, 222, 223)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다수의 탈착부(211, 222, 223)가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외부가방(200)과 내부가방(100)의 안정적인 탈착 작용이 가능하며, 탈착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서 다수의 탈착부(211, 222, 223)는 각각 바닥부(210), 측면부(220)의 상부, 및 측면부(220)의 변두리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내부가방(100)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피층과 내피층이 연결되어 층을 형성한다. 외부가방(20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방(100)의 내피층과 외피층의 재질은 타이벡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외피층과 내피층이 연결되어 형성된 층은 미리 결정된 소정의 형태로 절단되며, 절단된 층의 상부 및 하부 말단에 내부 손잡이(140)가 부착된다. 이때, 내부 손잡이(140)는 내피층의 내측에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의 측부에는 다수의 탈착부(111, 122, 123)가 부착된다. 여기서 측부는 내부가방(100)의 하부(110) 및 몸체부(120)를 포함하는 층의 일부로 규정될 수 있다.다수의 탈착부(111, 122, 123)는 내부가방(100)의 외피층의 상부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 다수의 탈착부(111, 122, 123)에 상응하도록 내피층의 내측에 보강재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는 가죽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형태 및 재질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층을 폴딩하여 측부의 변두리의 일부를 연결하면 내부가방(100)이 형성된다. 내부가방(100)의 탈착부(111, 122, 123)는 상기 외부가방(200)의 탈착부(211, 222, 223)에 각각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내부가방(100)은 외부가방(200)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가방이 사용될 수 있다.
100: 내부가방
110: 하부
111, 211: 하부 탈착부
120: 몸체부
122, 222: 상부 탈착부
123, 223: 측면 탈착부
130: 개구부
131: 개폐수단
140: 내부 손잡이
200: 외부가방
210: 바닥부
220: 측면부
221a, 221b: 제 1 연결부
230: 지지부
232a, 232b: 제 2 연결부
240: 손잡이

Claims (11)

  1. 삭제
  2.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가방(100)과 상기 내부가방(100)의 외측에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외부가방(2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가방(200)은,
    바닥부(210);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부(220)와 한 쌍의 지지부(230); 및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지지부(230)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형성되는 개방된 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방된 틈을 통하여 상기 내부가방(100)이 보이는,
    가방.
  3.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가방(100)과 상기 내부가방(100)의 외측에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외부가방(2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가방(200)은,
    바닥부(210);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부(220)와 한 쌍의 지지부(230); 및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지지부(230)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형성되는 개방된 틈을 더 포함하며,
    각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221a 및 221b)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연결부(221a 및 221b)가 위치하는 상기 연장부의 말단 일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겹치는,
    가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지지부(230)가 제 2 연결부(232a, 232b)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230)의 말단 측에서 상기 연장부의 말단 일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가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221a 및 221b)와 상기 제 2 연결부(232a 및 232b)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바닥부(210)에 대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측면부(220)의 상측 말단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가방(200)의 개방된 상부가 형성되는,
    가방.
  6.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가방(100)과 상기 내부가방(100)의 외측에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외부가방(2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가방(200)은,
    바닥부(210);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부(220)와 한 쌍의 지지부(230); 및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지지부(230)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형성되는 개방된 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가방(100)의 하부(110) 및 상기 외부가방(200)의 바닥부(210)에 각각 하부 탈착부(111 및 211)가 위치하여 상기 하부(110)와 상기 바닥부(210)를 연결하는,
    가방.
  7.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가방(100)과 상기 내부가방(100)의 외측에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외부가방(2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가방(200)은,
    바닥부(210);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부(220)와 한 쌍의 지지부(230); 및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지지부(230)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형성되는 개방된 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가방(200)의 적어도 일부가 타이벡 소재인,
    가방.
  8.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가방(100)과 상기 내부가방(100)의 외측에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외부가방(2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가방(200)은,
    바닥부(210);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부(220)와 한 쌍의 지지부(230); 및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지지부(230)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형성되는 개방된 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가방(100) 및 상기 외부가방(200)은 다수 개의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가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스냅 버튼인,
    가방.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자석 단추인,
    가방.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벨크로인,
    가방.
KR1020140089022A 2014-07-15 2014-07-15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가방 KR10156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022A KR101567713B1 (ko) 2014-07-15 2014-07-15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022A KR101567713B1 (ko) 2014-07-15 2014-07-15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713B1 true KR101567713B1 (ko) 2015-11-09

Family

ID=5460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022A KR101567713B1 (ko) 2014-07-15 2014-07-15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80B1 (ko) 2019-11-22 2020-02-05 서정화 가방 제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199Y1 (ko) 2002-09-09 2003-02-19 채희식 다용도 가방
KR200378800Y1 (ko) * 2004-12-31 2005-03-18 주식회사 태평양 분리 휴대가 가능한 손가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199Y1 (ko) 2002-09-09 2003-02-19 채희식 다용도 가방
KR200378800Y1 (ko) * 2004-12-31 2005-03-18 주식회사 태평양 분리 휴대가 가능한 손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80B1 (ko) 2019-11-22 2020-02-05 서정화 가방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8036B2 (en) Modular zipper bag
US8245825B2 (en) System for cinching a resilient luggage case
KR20120010262A (ko)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핸드백 및 핸드백 맞춤 방법
CN102669908A (zh) 一种具有可撑开的口袋的包
US20150173475A1 (en) Storage assembly
US20200121062A1 (en) Configurable bag having faceplates
KR102095161B1 (ko) 이중 손잡이 구조를 갖는 접이식 가방
KR101539176B1 (ko) 이중 가방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내부가방
US20180352923A1 (en) Travel bag
KR101533532B1 (ko) 한 장으로 구성 가능한 이중 가방의 외부 가방
KR101567713B1 (ko) 분리할 수 있는 이중 가방
US20090148076A1 (en) Collapsible bag
KR200467363Y1 (ko) 탈부착할 수 있는 가방
JP3227525U (ja) 着脱可能な装飾部を備える穴あき型バッグ
KR20130000304U (ko) 돗자리 겸용 가방
US20100200129A1 (en) Article having multiple interchangeable patterns
JP2002325615A (ja)
CN214386503U (zh) 背包
JP3131995U (ja) 背負い袋兼用手提げ袋
CN105451594A (zh) 改进的行李箱制品
US20090101252A1 (en) Container having handles shaped as awareness ribbons
JP2020036879A (ja) 保持構造
KR100464185B1 (ko)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CN213428759U (zh) 呈管状、在相对二侧具二开口并在二侧均设有把手的袋子
KR200488404Y1 (ko) 기능성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