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147B1 - 빛 반사 장치 - Google Patents

빛 반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147B1
KR101567147B1 KR1020130138185A KR20130138185A KR101567147B1 KR 101567147 B1 KR101567147 B1 KR 101567147B1 KR 1020130138185 A KR1020130138185 A KR 1020130138185A KR 20130138185 A KR20130138185 A KR 20130138185A KR 101567147 B1 KR101567147 B1 KR 10156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ing
reflection
reflectiv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104A (ko
Inventor
유창열
Original Assignee
유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열 filed Critical 유창열
Publication of KR2015005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 반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설치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빛을 반사하는 한 쌍의 반사부,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반사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빛 입사각과 반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빛 반사 장치{Light ref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빛 반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은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반사되거나 투과될 수 있다. 반사되는 빛은 입사되는 각도에 따라 반사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반사면이 고정되어 있으며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없고, 반사면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각도로 서로 마주하면 반사되는 빛과 입사되는 빛이 교차되어 교란될 수 있다. 교란된 빛은 왜곡될 수 있고, 왜곡된 빛은 수광성이 저하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85050호 (2007.12.05)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1974호 (2007.04.20)
본 발명은 입사되는 빛과 반사되는 빛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하고, 빛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빛 반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설치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빛을 반사하는 한 쌍의 반사부,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반사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빛 입사각과 반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 반사 장치는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반사부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체일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입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을 지지하고 상기 조절부와 연결된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거울, 미러시트지 또는 인쇄면일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의 두께는 0.05mm 내지 0.15mm일 수 있다.
상기 반사부의 두께는 0.1mm 내지 2mm일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와 상기 반사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스크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의 단부에는 상기 반사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조절부와 상기 반사부가 위치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조절부와 상기 반사부의 일부분은 상기 안착홈의 둘레면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는 경사진 제1 반사면이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마주하고 경사진 제2 반사면이 형성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지지하고,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마주하는 면이고, 상기 마주하는 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제1 반사면과 상기 제2 반사면의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를 이용하여 한 쌍의 반사부 기울기 각도를 다르게 하여 입사되는 빛과 반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입사되는 빛과 반사되는 빛이 서로 교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가 조절부에 결합되어 있어 반사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반사부의 각도 조절에 의해 입사되는 빛과 반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반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빛 반사 장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빛 반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V-V선을 따라 빛 반사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조절부와 반사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빛 반사 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 분해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빛 반사 장치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빛 반사 장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빛 반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1)는 출입구, 창틀, 보행로, 차로, 스마트 칠판,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설치 대상물에 설치되어 통행, 접촉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되어 입사된 빛 신호(이하 '빛'이라 함)를 반사하는 것으로, 본체(10), 조절부(20a, 20b, 20c, 20d), 그리고 한 쌍의 반사부(30a, 30b)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 대상물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길이는 설치 대상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체(10)는 아크릴, 유리 등으로 이루어져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공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 2에서 본체(10)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치공간(11)으로 유입되는 먼지 등을 차단하기 위해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20a, 20b, 20c, 20d)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좌, 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설치공간(11)의 바닥면과 측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조절부(20a, 20b, 20c, 20d)는 각각 스크류(21) 및 연결바(22)를 포함한다.
스크류(21)는 무드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공간(11) 내부면에 형성된 체결공(12)에 체결되어 있으며, 연결바(22)가 연결되어있다.
연결바(22)는 설치공간(11) 내부면에 형성되어 제1 안착홀(13)에 배치되어 스크류(21)와 연결되어 있다.
스크류(21)와 연결바(22)는 본체(10)외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있고, 접착제, 열융착 방식 등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안착홀(13)의 둘레면과 마주하는 연결바(22) 부분은 간격(G)을 두고 떨어져 있다. 연결바(22)는 스크류(21) 회전 시 간격(G) 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연결바(22)가 제1 안착홀(13)의 둘레면에 접하면 스크류(21)는 회전되지 못한다.
한편, 도면 도 2 및 도 5에서 체결공(12)이 본체(10) 양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체결공(12)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류(21)와 연결바(22)는 본체(10)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20b, 20d)는 생략될 수 있다.
한 쌍의 반사부(30a, 30b)는 제1 반사부(30a) 및 제2 반사부(30b)를 포함한다. 제1 반사부(30a)는 조절부(20a, 20b)와 연결되어 있고, 제2 반사부(30b)는 조절부(20c, 20d)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반사부(30a)는 본체(10)의 내부 폭 방향 일측에 위치하고, 제2 반사부(30b)는 본체(10)의 내부 폭 방향 타측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는 설치공간(11)의 바닥면과 측면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는 서로 마주하며, 제1 반사부(30a)와 제2 반사부(30b)의 경사 각도는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경사 각도로 경사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가 설치공간(11)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가 130°내지 140°일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의 상면과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 상부측에서 바닥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H)이 이루는 경사각(D)은 40° 내지 50°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의 경사 각도는 설치 대상물, 발광부와 수광부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의 두께는 0.5mm 내지 2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의 두께가 0.5mm이하로 형성될 경우 반사각 조절 시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의 비틀림은 빛 반사를 저하시키고 왜곡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의 두께가 2mm를 초과할 경우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의 회전각도 조절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는 각각 지지층(31) 및 반사층(32)을 포함한다.
지지층(31)은 본체(10)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1 안착홀(13)과 연결된 제2 안착홀(14)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층(31)은 본체(1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안착홀(14)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면 양단부가 연결바(22)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바(22)와 지지층(31)은 접착제, 양면 테이프,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층(31)은 조절부(20a, 20b, 20c, 20d)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반사층(32)은 지지층(31)의 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거울, 미러시트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반사층(32)은 반사물질이 지지층(31)에 인쇄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층(32)의 두께는 0.05mm 내지 0.15mm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32)의 두께가 0.05mm 이하로 형성되면 반사되는 빛에 웨이브가 형성되어 빛 반사 효율 및 지지층(31)과 결합성이 저하될 수 있고 각도 조절 시 파손될 수 있다. 반사층(32)의 두께가 0.15mm를 초과할 경우 반사부(30a, 30b)의 각도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지지층(31)은 생략되고 반사층(32)이 연결바(22)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1)는 지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는 빛 반사 장치(1)를 설치 대상물에 장착될 때 본체(10)를 지지하고, 설치공간(11)으로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지지부(40)는 제1 내지 제3 투과 부재(41, 42, 4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투과 부재(41, 42, 43)는 아크릴, 유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투과 부재(41, 42, 43)는 설치공간(11) 내부면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다.
제1 투과 부재(41)는 설치공간(11)의 바닥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 사이에 위치한다. 제2 투과 부재(42)는 제1 반사부(30a) 위에 배치되어 설치공간(11)의 폭 방향 일 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3 투과 부재(43)는 제2 반사부(30b) 위에 배치되어 설치공간(11)의 폭 방향 타 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설치 대상물은 제2 투과 부재(42)와 제3 투과 부재(43) 사이로 삽입되어 제1 투과 부재(41)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설치 대상물에 결합된 제1 내지 제3 투과 부재(41, 42, 43)는 설치공간(11)으로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투명성에 의해 조사된 빛은 투과된다. 빛 투과성을 위해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 마주하는 제1 내지 제3 투과 부재(41, 42, 43)의 표면은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빛 반사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빛 반사 장치(1)가 설치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 대상물의 일면 방향 "A" 영역(도 3 참조)에서 조사된 빛은 제1 투과 부재(41)를 투과하여 제1 반사부(30a)의 반사층(32)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제1 반사부(30a) 반사층(32)의 기울어진 각도에 비례하여 제1 투과 부재(41) 방향으로 반사된다. 빛은 제1 투과 부재(41)를 투과하여 제2 반사부(30b)의 반사층(32)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제2 반사부(30b) 반사층(32)의 기울어진 각도에 비례하여 제3 투과 부재(43) 방향으로 반사된다. 빛은 제3 투과 부재(43)를 투과하여 설치 대상물의 타면 방향 "B"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설치 대상물의 타면 방향 "B"영역(도 3 참조)에서 조사된 빛은 제3 투과 부재(43)를 투과하여 제2 반사부(30b)의 반사층(32)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제2 반사부(30b)의 반사층(32) 기울어진 각도에 비례하여 제1 투과 부재(41) 방향으로 반사된다. 빛은 제1 투과 부재(41)를 투과하여 제1 반사부(30a)의 반사층(32)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제1 반사부(30a)의 반사층(32) 기울어진 각도에 비례하여 제2 투과 부재(42) 방향으로 반사된다. 반사된 빛은 제2 투과 부재(42)를 투과하여 설치 대상물의 타면 방향 "A"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1 반사부(30a)의 반사층(32)과 제2 반사부(30b)의 반사층(32) 경사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A" 영역과 "B"영역에서 조사된 빛은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서로 다른 방향에 입사된 빛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빛 들은 교란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가 설치공간(11)의 양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입사된 빛을 외부로 조사하게 되면서 빛은 퍼지지 않고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빛이 퍼지지 않으므로 수광부(도시하지 않음)의 수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입사된 빛이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를 통하여 외부로 반사될 때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해야 할 경우, 스크류(21)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가 스크류(21)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다. 스크류(21)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가 설치공간(11) 내에서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어 반사되는 빛의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조절부와 반사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빛 반사 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빛 각도 조절 장치(2)는 본체(10), 조절부(20a, 20b, 20c, 20d), 그리고 반사부(30a, 3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 및 반사부(30a, 30b)는 도 1 내지 도 5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반사부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0a, 20b, 20c, 20d)는 도 1 내지 도 5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와 다른 구성 및 작용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0a, 20b, 20c, 20d)는 연결바를 포함하지 않는다. 조절부(20a, 20b, 20c, 20d)는 스크류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공간(11)의 내부면에 형성된 체결홀(12)에 결합되어 있다.
조절부(20a, 20b, 20c, 20d)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는 결합홀(211)에 억지끼움 또는 접착제 따위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가 조절부(20a, 20b, 20c, 20d)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 및 제2 반사부(30a, 30b) 각도 조절을 정교하게 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이 최소화 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빛 반사 장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빛 반사 장치(3)는 제1 몸체(50), 제2 몸체(60), 조절부(70), 그리고 지지부(80)를 포함한다.
제1 몸체(50)와 제2 몸체(60)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은 서로 마주하며, 제1 몸체(50)의 외측면에는 제1 반사면(51)이 형성되고, 제2 몸체(60)의 외측면에는 제2 반사면(6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사면(51)과 제2 반사면(61)은 경화면으로 형성되어 빛을 반사하게 된다. 제1 반사면(51)과 제2 반사면(61)에 접한 빛의 일부는 반사되지 않고 반사면을 통과할 수 있다. 빛이 반사면을 통과하면 반사효율이 저하되므로, 제1 반사면(51)과 제2 반사면(61)에 빛 통과를 차단하면서 일방향으로 반사하는 거울, 미러시트지 등이 부착될 수 있다. 거울, 미러시트지는 반사 부분이 제1 몸체(50)와 제2 몸체(60)의 내부를 향하게되면서 반사면에 접하게 된다.
조절부(70)는 제1 몸체(50)와 제2 몸체(60)가 서로 마주하는 면이다. 제1 몸체(50)와 제2 몸체(60)의 마주하는 면은 저면과 수직하거나, 저면을 기준으로 내각 또는 외각 형태로 경사질 수 있다. 제1 몸체(50)와 제2 몸체(60)의 내측면 경사 각도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경사 각도가 다른 내측면이 서로 결합되면서 제1 반사면(51)과 제2 반사면(61)의 경사 각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50)와 제2 몸체(60)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접착부(도시하지 않음)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접착부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80)는 제1 몸체(50)와 제2 몸체(60)를 지지하고, 설치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8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80)는 제1 블록(81) 및 제2 블록(82)을 포함한다. 제1 블록(81)은 제1 몸체(50)의 저면에 결합되어 제1 반사면(51)과 일치하고, 제2 블록(82)은 제2 몸체(60)의 저면에 결합되어 제2 반사면(61)과 일치한다. 제1 블록(81)과 제2 블록(82)은 제1 반사면(51)과 제2 반사면(61)에서 벗어나 있을 수 있다. 제1 블록(81)과 제2 블록(82)은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1 블록(81)과 제2 블록(82)의 간격은 설치 대상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50), 제2 몸체(60), 그리고 지지부(80)는 접착제, 열융착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빛 반사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몸체(50) 또는 제2 몸체(60)의 내측면이 기설정된 각도로 가공된 상태에서 제1 몸체(50)와 제2 몸체(60)가 서로 결합된다. 어느 한 면이 가공된 내측면이 서로 결합되면서 제1 반사면(51)과 제2 반사면(61)의 각도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반사면(51)과 제2 반사면(61)의 각도가 설정되면 빛 반사 장치(3)는 설치 대상물에 장착될 수 있다.
빛 반사 장치(3)가 설치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B" 영역(도 10 참조)에서 조사된 빛은 제1 블록(81)를 투과하여 제1 몸체(50) 내부로 유입되어 제1 반사면(51)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제1 반사면(51)의 각도에 비례하여 제2 몸체(60) 방향으로 반사되어 제2 반사면(61)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제2 반사면(61)에 의해 제2 블록(82) 방향으로 반사되어 "D" 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설치 대상물의 타면 방향 "D"영역(도 10 참조)에서 조사된 빛은 제2 블록(82)을 투과하여 제2 몸체(60) 내부로 유입되어 제2 반사면(61)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제2 반사면(61)의 각도에 비례하여 제1 몸체(50) 방향으로 반사되어 제1 반사면(51)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제1 반사면(51)에 의해 제1 블록(81) 방향으로 반사되어 "C"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조절부(70)의 경사에 따라 제1 반사면(51)과 제2 반사면(61)의 경사가 달라지게 되면서 "C" 영역과 "D"영역에서 몸체 내부로 조사된 빛은 서로 접촉되지 않아 교란되지 않는다. 반사된 빛이 교란되지 않으므로 빛은 퍼지지 않으며, 수광부의 수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본체 11: 설치공간
12: 체결공 13: 제1 안착홀
14: 제2 안착홀 20a, 20b, 20c, 20d: 조절부
21: 스크류 211: 결합홀
22: 연결바 30a, 30b: 반사부
31: 지지층 32: 반사층
40: 지지부 41: 제1 투과 부재
42: 제2 투과 부재 43: 제3 투과 부재
50: 제1 몸체 51: 제1 반사면
60: 제2 몸체 61: 제2 반사면
70: 조절부 80: 지지부
81: 제1 블록 82: 제2 블록

Claims (9)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설치공간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빛을 반사하는 제1 반사부,
    상기 설치공간 타측에 배치되어 있고 빛을 반사하는 제2 반사부,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체인 제1 투과 부재
    상기 제1 반사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체인 제2 투과 부재 및
    상기 제2 반사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체인 제3 투과 부재
    를 포함하는 빛 반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는 각각,
    입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을 지지하고 상기 조절부와 연결된 지지층
    를 포함하는
    빛 반사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반사층은 거울, 미러시트지 또는 인쇄면 인 빛 반사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반사층의 두께는 0.05mm 내지 0.15mm인 빛 반사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의 두께는 각각 0.1mm 내지 2mm인 빛 반사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와 상기 제1 반사부 또는 상기 제2 반사부를 연결하는 연결바
    를 포함하는
    빛 반사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조절부는 스크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반사부 또는 상기 제2 반사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빛 반사 장치.
  9. 삭제
KR1020130138185A 2013-11-01 2013-11-14 빛 반사 장치 KR101567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448 2013-11-01
KR1020130132448 2013-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04A KR20150051104A (ko) 2015-05-11
KR101567147B1 true KR101567147B1 (ko) 2015-11-09

Family

ID=5338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185A KR101567147B1 (ko) 2013-11-01 2013-11-14 빛 반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1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8389A (ja) 2002-11-28 2006-03-09 ボルグ,パトリック 光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8389A (ja) 2002-11-28 2006-03-09 ボルグ,パトリック 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04A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467B1 (ko) 개선된 터치 장치
US9121567B2 (en) Turn lamp for vehicle outside mirror
US20160369972A1 (en) Light-emitting device
KR101627385B1 (ko) 광원 장치 및 이 광원 장치를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232391B1 (ko) 외부 리어뷰미러 어셈블리
KR20110046452A (ko) 광원 장치,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US20160318448A1 (en) Blind spot assist device
KR20130046341A (ko) 적외선 터치 스크린용 프레임 부품 및 적외선 터치 스크린
EP4198627A1 (en) Light supplementing lamp for hemispherical camera and hemispherical camera
KR20130090328A (ko) 조명 장치
JP2012529737A (ja) 照明装置
KR101567147B1 (ko) 빛 반사 장치
KR102105341B1 (ko) 멀티 수신부를 갖는 led 조명 장치
JP2010067600A (ja) 光源装置およびこの光源装置を用いた照明装置
EP3396236A1 (en) Light-transmitting elemen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111633B2 (ja) 照明器具
JP6003178B2 (ja) 車両用灯具
JP427554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104575270B (zh) 利用光学元件提供信息
JP2503815Y2 (ja) 発光素子及び受光素子の導光構造
CN113299186A (zh) 显示装置
CN113631856A (zh) 用于控制灯具的传感
JP2006222090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CN102588768A (zh) 照明构造、照明方法以及便携式计算机
JP2015032567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