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585B1 -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 - Google Patents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585B1
KR101566585B1 KR1020130096124A KR20130096124A KR101566585B1 KR 101566585 B1 KR101566585 B1 KR 101566585B1 KR 1020130096124 A KR1020130096124 A KR 1020130096124A KR 20130096124 A KR20130096124 A KR 20130096124A KR 101566585 B1 KR101566585 B1 KR 10156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dye
dyeing
pomegr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404A (ko
Inventor
김보현
황재훈
허준
김기철
유환희
전애지
Original Assignee
소망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망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망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5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발효물 중 적어도 하나에 모발 침투촉진제, 산화방지제, 정제수 등을 포함하는 1제;와 매염제로서 황산철을 포함하는 2제;로 이루어진 비산화형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염모제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염모제로서, 자연스러운 색상으로 염색이 가능하며 염색 후 모발 손상이 적으면서도 시판 중인 피로갈롤을 사용한 비산화형 염모제와 비교하여 그 성능이 전혀 뒤지지 않는다.

Description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Natural hair-dye composition using Pomegranate extract, and dye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발효물 중 적어도 하나에 모발 침투촉진제, 산화방지제, 정제수 등을 포함하는 1제;와 매염제로서 황산철을 포함하는 2제;로 이루어진 비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염모제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염모제로서, 자연스러운 색상으로 염색이 가능하며 염색 후 모발 손상이 적으면서도 시판 중인 피로갈롤을 사용한 비산화형 염모제와 비교하여 그 성능이 전혀 뒤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염모제는 모발에 염색된 색의 지속성과 내구성에 따라 일시적 염모제, 반영구적 염모제, 영구적 염모제로 구별할 수 있다. 이 중 영구적 염모제는 사용되는 염료에 따라 산화 염모제, 금속 염모제 및 식물성 염모제 등으로 나뉘며,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염모제는 산화 염료 전구체와 아미노 화합물과 같은 산화염료를 사용하는 산화 염모제이다.
그러나 산화 염모제는 합성염료를 포함하는 화학염모제로 모발 손상, 발진 및 접촉성 피부 반응, 시력 장애와 함께 자주 사용할 경우 백혈병, 방광암, 자궁암, 유방암 등을 일으키는 문제를 가지며, 독성으로 인해 임산부는 사용할 수 없고, 염색 시 악취 발생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적인 천연 염모제의 개발이 요청된다. 현재 가장 오래된 대표적인 천연 염모제는 인도 중동 등 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에서 채취하는 헤나(Henna)로, 수천 년에 걸쳐 인류의 모발 염색에 사용되어 왔다. 헤나 이외에 먹물, 월넛(Walnut), 인디고(Indigo), 카모마일(Camomile)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색상으로서 헤나는 적색 계열, 월넛은 갈색 계열, 먹물은 흑색 계열, 인디고는 남색 계열, 카모마일은 황색 계열을 나타낸다.
한편, 석류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대만 등에서 재배되며, 과실에는 당질,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펙틴, 탄닌 성분이 풍부하여 수렴, 정혈,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함유된 Ellagic acid는 강한 항암 작용, 항산화 작용, 산 분비 억제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류 껍질은 한방에서 석류피라 하여, 설사, 이질, 복통, 대하증 등에 수축제로 사용하고 피부 가려움, 무좀, 버짐, 옴 치료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석류피에는 천연 색소인 Ellagitannin, Ellagic acid, Gallic acid, Tannic acid 등의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도 1은 석류의 천연 색소인 Ellagitannin을 비롯한 Ellagic acid, Gallic acid, Tannic acid의 구조식을 보인 것이다.
석류를 천연 염료로 인체 모발에 대한 염모제로 적용한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0-30158호가 있으나 시판 중인 피로갈롤을 사용한 비산화형 염모제에 비해 ΔE 값이 낮아 새치 모발의 커버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피로갈롤을 주성분으로 한 시판 중인 비산화형 염모제는 염색 초기 모발 색상이 청색이 많이 가미된 짙은 남색으로 발색되어 부자연스러운 색상으로 염색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체 독성이 적고 친환경적이면서도, 시판 중인 비산화형 염모제와 유사한 정도의 염모 효능과 보다 자연스러운 염색 색상 및 견뢰도를 얻을 수 있는 천연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염모제는,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석류 과실 분말 유래의 추출물은 석류 과실 분말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석류 과실 분말 유래의 추출물은 석류 과실 분말의 열수 추출물을 균주(Lactobacillu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석류 과실 분말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의 발효물의 농도는 필요할 경우 감압농축을 거쳐 10~50중량%가 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염모제는 또한 모발 침투 촉진제로서 Urea 1.0~20중량%, 항산화제로서 Sodium ascorbate 0.01~10.0중량%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염모제는 석류 과실 분말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의 발효물; 모발 침투 촉진제로서 Urea 1.0~20중량%, 항산화제로서 Sodium ascorbate 0.01~10.0중량%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첨가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1제;와
매염제로서 황산철(FeSO4·7H2O) 1.0~10.0중량%,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브산 0.01~10.0 중량% 및 나머지 성분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는 2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1제의 pH는 7.0~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방법은 먼저 1제 조성물을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20~30℃에서 15~30분 동안 처리하는 단계와, 2제 조성물을 1제와 동일한 양으로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모발을 20~30℃에서 15~30분 동안 처리 후 수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을 사용하며, 염모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출물을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모발 염색 효과 증진을 위해 모발 침투 촉진제와 항산화제를 첨가하였으며, 자연스러운 염색 색상과 염색 효과 및 견뢰도 증진을 위해 최적의 pH로 조절하고 매염제로 황산철 수용액을 적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1제, 2제의 제형은 액상 및 로션상 또는 크림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분말, 샴푸, 젤리, 에어로졸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 사용량은 모발의 상태, 사용자의 연령, 모발의 길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도포시간 또한 개인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석류 과실 분말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시판 중인 피로갈롤을 이용한 비산화형 염모제와 동등한 정도의 염모 효능 및 견뢰도를 가진다.
또한, 시판 중인 피로갈롤을 이용한 비산화형 염모제보다 자연스러운 모발 염색 색상을 제공하며 염색 시 모발 손상이 적다.
도 1은 석류에 함유된 Ellagic acid, Ellagitannin, Gallic acid, Tannic acid의 구조식,
도 2는 실시예 44 내지 46과 대조예 1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발효 농축액 및 피로갈롤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사진,
도 3은 실시예 44 내지 46과 대조예 1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발효 농축액 및 피로갈롤을 이용하여 염색한 모발의 단면,
도 4는 실시예 44 내지 46과 대조예 1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발효 농축액 및 피로갈롤을 이용하여 염색한 모발의 표면의 SEM 사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천연 염모제 조성물은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과 황산철 수용액을 포함하는 비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은,
-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의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한다. 상기 추출물 중 열수 추출물을 감압 농축 후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얻은 발효액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 상기 추출방법으로 얻어진 추출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농도를 10~50중량%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또한 상기 추출물에 모발 침투 촉진제,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포함된다.
- 1제는 산과 염기를 이용하여 pH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비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은 매염제로 사용되는 황산철(FeSO4·7H2O)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을 얻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먼저 본 발명의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 500g에 정제수 4.5Kg을 가하여 90-100℃에서 72시간 환류 추출하여 얻어지는 열수 추출물;과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 100g에 95% 에탄올 900g을 가하여 40-60℃에서 72시간 환류 추출하여 얻어지는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한다.
- 상기 추출방법으로 얻어진 추출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농도를 10~50중량%로 조절한다(이때 농도 조절을 위해 필요하면 감압농축을 실시한다).
- 상기 추출물 중 열수 추출물을 60brix까지 감압 농축 후 Lactobacillus를 이용하여 37℃에서 48시간 발효시킨 후, 80℃에서 살균하여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60 brix까지 농축한다.
- 상기 추출물(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의 발효물)에 모발 침투 촉진제로 각질 연화제인 Urea를 1.0~20.0중량% 또는 항산화제로서 Sodium ascorbate 0.01~10.0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넣는다.
- 상기 혼합물에 pH 조절제(KOH, 구연산)를 넣어 pH를 7.0~8.0으로 조절한다.
- 기타 1제에는 정제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은,
- 매염제로서 황산철(FeSO4·7H2O)을 1.0~10.0 중량%;
- 황산철(FeSO4·7H2O) 산화에 의한 효능 저해 방지를 위해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브산 0.01~10.0 중량%; 및
-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염모제를 이용하여 모발을 염색할 때에는,
상기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을 모발에 고루 도포한 다음 도포된 모발을 20~30℃에서 15~30분 동안 처리한 후, 비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을 1제와 동일한 양으로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 도포된 모발을 20~30℃에서 15~30분 동안 처리 후 수세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와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그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석류 과실 분말 유래 열수 추출물의 수득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과 정제수의 비율을 1:9로 하여 90~100℃에서 72시간 환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로 1회 여과하였다. 얻어진 추출 원액의 pH는 3.5였다.
[실시예 2] 석류 과실 분말 유래 에탄올 추출물의 수득
석류 과실을 건조시켜 분쇄한 석류 과실 분말과 95% 에탄올의 비율을 1:9로 하여 40-60℃에서 72시간 환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로 1회 여과하였다. 얻어진 추출 원액의 pH는 3.5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염모 효과를 하기와 같은 실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1)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제조
실시예 1 얻어진 추출물 10g에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7±0.2의 범위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추출물 10g에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7±0.2의 범위로 조정하였다.
(2) 비산화형 염모제 2제 제조
황산철 7 중량%, 아스코르브산 0.5 중량%를 정제수에 녹인 후 인산일수소나트륨 적당량을 넣어 pH를 3.0~3.5의 범위로 조정하였다.
(3) 모발의 염색
염색을 위한 백모(구입처;양원)를 길이 10cm, 무게 0.5g으로 준비하고,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각각의 비산화형 염모제 1제 1.5g을 백모에 도포하여 실온(20-30℃)에서 20분간 방치 후, 비산화형 염모제 2제를 각 백모에 1.5g을 도포하여 실온(20-30℃)에서 20분간 방치하고 수세하였다.
(4) 염모력 평가
상기의 염색 방법에 따라 실시한 모발의 염착성은 염색한 모발과 미처리 모발과의 색차(ΔE)를 분광광도색차계(Spectrophotometer CM-5)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색차가 클수록 모발염색제의 염착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1

표 1에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추출물 모두 유사한 모발 염색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ΔE*ab 값은 약 32 정도로, 육안으로 확인 시 두 가지 추출물 모두 백모에 염색 후 약간의 카키 빛이 도는 짙은 갈색으로 염색되었으며, 새치모발을 약 50% 정도 커버할 것으로 보인다. 색차계 분석 결과 명도 지수인 ΔL*은 -31 정도로 미염색모에 비해 어두워졌음을 나타내고, 색좌표 지수인 Δa*값은 (+), Δb*값은 (-)로 BR(Blue Red) 계열에 해당하는 색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3 내지 6] 석류 과실 분말 유래 추출물의 농축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진공증류 장치로 감압 농축하여 분말과 추출용액의 비율을 1:4 및 1:1이 되도록 하였다. 농축액의 pH는 3.0~3.5였다. 상세 내용을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2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염모 효과를 실험예 1과 같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ΔE*ab)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3

표 3으로부터 농도가 높아질수록 염모 효능 또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분말 : 용매의 비율이 1:4(20중량%) 이후에는 염모 효능의 증가율이 감소하는데 이는 농도 증가에 따른 당-색소, 색소-색소 사이의 응집 구조 발생에 의해 모발 내부로 색소물질의 침투가 어려워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실시예 4와 실시예 6의 경우 농축액의 점성이 매우 높아져 농축 수율이 저하되고 농축액을 취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해당 추출물들의 농축도는 분말 : 용매의 비율이 1:4(20중량%)일 때 최적의 염모 효능과 함께 해당 농축물의 수율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16] 모발 침투 촉진제 첨가에 따른 염모 효능
실시예 3과 실시예 5 각각에 각질 연화제로 작용이 알려진 Urea를 1~10 중량%를 첨가하여 모발 침투 촉진제로서 가능성을 알아보았으며, 상세 내용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내지 11은 실시예 3에 Urea를 첨가한 것이고,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6은 실시예 5에 Urea를 첨가한 것이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4

[실험예 3]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염모 효과를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제조법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같은 실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제조>
- 실시예 7 내지 11 :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추출 농축액에 Urea를 표 4와 같이 넣고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7±0.2의 범위로 조정한 후 정제수를 넣어 최종 농도를 1:9로 맞추었다.
- 실시예 12 내지 16 :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추출 농축액에 Urea를 표 4와 같이 넣고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7±0.2의 범위로 조정한 후 정제수를 넣어 최종 농도를 1:9로 맞추었다.
그 결과(ΔE*ab)는 하기의 표 5와 같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5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Ure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염모 효능 또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 각질 연화제인 Urea는 해당 비산화형 염모제의 모발침투 촉진제로서의 역할이 확인되었으며, 그 함량이 증가할수록 효과 또한 증가한다.
[실시예 17 내지 24] 항산화제 첨가에 따른 염모 효능
실시예 3과 실시예 5 각각에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Sodium ascorbate를 0.1~1 중량%를 첨가하여 항산화제 첨가에 따른 염모 효능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상세 내용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내지 20은 실시예 3에 Sodium ascorbate를 첨가한 것이고,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은 실시예 5에 Sodium ascorbate를 첨가한 것이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6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7 내지 24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염모 효과를 실험예 3과 같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ΔE*ab)는 하기의 표 7과 같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7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제인 Sodium ascorbat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염모 효능 또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 항산화제인 Sodium ascorbate는 Urea만큼은 아니지만 염모 효능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함량이 증가할수록 효과 또한 증가한다.
[실시예 25 내지 38] pH 변화에 따른 염모 효능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각각의 pH를 4~10까지 조절하여 pH에 따른 염모 효능을 측정하였다. pH 조절에는 수산화칼륨과 구연산 그리고, pH미터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5]
실시예 25내지 실시예 38의 염모 효과를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제조법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같은 실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비산화형 염모제 1제 제조>
- 실시예 25 내지 31 :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추출 농축액에 Urea 10 중량%, Sodium ascorbate 1.0 중량%를 넣고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4~10, 오차 범위±0.1로 조정한 후 정제수를 넣어 최종 농도를 1:9로 맞추었다.
- 실시예 32 내지 38 :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추출 농축액에 Urea 10 중량%, Sodium ascorbate 1.0 중량%를 넣고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4~10, 오차 범위±0.1로 조정한 후 정제수를 넣어 최종 농도를 1:9로 맞추었다.
각 실시예의 pH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8

그리고 모발 염색 결과(ΔE*ab)는 하기의 표 9와 같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09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가 증가할수록 염모 효능이 증가하다가 pH 8에서 최고의 염모 효능을 보인 후, pH 9부터는 염모 효능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모발 염색을 위한 최적의 pH는 7~8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3] 균주를 이용한 추출물의 발효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진공 증류장치로 60Brix까지 감압 농축한 후,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2 중량%, 정제수 48 중량%, 농축액 50 중량%로 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발효 후, 발효액을 80℃에서 살균하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해 진공 증류장치로 석류 분말 : 추출 용매의 비율이 1:1(50%)이 되도록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발효 농축액의 pH는 3.2였다.
[실시예 44]
실시예 43에서 얻어진 발효 농축액에 Urea 10 중량%, Sodium ascorbate 1.0 중량%를 넣고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8.0±0.1로 조정한 후 정제수를 넣어 최종 농도를 1:4(20중량%)로 맞추었다.
[실시예 45]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석류 열수 추출 농축액(1:1, 50중량%)에 Urea 10 중량%, Sodium ascorbate 1.0 중량%를 넣고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8.0±0.1로 조정한 후 정제수를 넣어 최종 농도를 1:4(20중량%)로 맞추었다.
[실시예 46]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석류 에탄올 추출 농축액(1:1, 50중량%)에 Urea 10 중량%, Sodium ascorbate 1.0 중량%를 넣고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8.0±0.1로 조정한 후 정제수를 넣어 최종 농도를 1:4(20중량%)로 맞추었다.
[대조예 1]
피로갈롤 분말 5 중량%, Urea 10 중량%, Sodium ascorbate 1.0 중량%를 넣고 구연산과 수산화칼륨 그리고, pH미터를 이용하여 pH를 8.0±0.1로 조정한 후 정제수를 넣어 100g으로 맞추었다. 피로갈롤은 식약처에 고시된 비산화형 염모제 주성분으로서 최대 함량을 사용한 것이다.
[실험예 6]
실시예 44내지 실시예 46, 대조예 1의 각각을 비산화형 염모제 1제로 하여 실험예 1의 모발 염색 및 염모력 평가 방법을 통해 염모 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ΔE*ab)는 하기의 표 10과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10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주를 이용한 발효를 통해 일반적인 추출보다 염모 효능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판 중인 비산화형 염모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피로갈롤을 첨가한 대조예 1과 비교하여도 크게 뒤지지 않는 염모 효능을 보인다.
상기 염색된 모발에 대해 색소 물질의 모발 내부 침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Microtome(Leica Microsystems CM1850)과 현미경(Olympus BX51, 500배)을 이용하여 염색된 모발의 단면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열수 추출물이나 에탄올 추출물과 달리 발효 농축액의 경우 모발 내부로 색소 물질이 침투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염모 효능 및 세척 견뢰도가 열수 추출물이나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더 우수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상기 염색된 모발의 세척 견뢰도 평가를 위해 Sodium lauryl sulfate(SLS) 5% 용액에 담가 25℃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수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73523457-pat00011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4 내지 실시예 46의 계면활성제에 의한 탈색은 염색 모발 대비 약 3~3.5% 정도로 세척 견뢰도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발효 농축액의 경우 열수 혹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탈색률이 낮은데, 이는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색소 물질의 모발 내부 침투에 의한 것이다. 대조예 1의 경우 세척 견뢰도 실험 후 ΔE*ab 값이 더 높아졌는데, 이는 실험 후 모발의 색상이 짙은 남색에서 흑색으로의 색상 변화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7]
실험예 6에서 염색된 모발에 대해 염색 후 모발 손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주사현미경(SEM SX-40A, 1000배)을 이용하여 염색된 모발의 표면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염색 전 모발이 손상이 있는 모발임을 알 수 있으며, 염색 후의 모발 표면은 실시예 44 내지 46의 경우 모발 손상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대조예 1의 피로갈롤을 사용한 염모제의 경우, 염색 후 모발 손상이 더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석류 과실 분말의 열수 추출물을 Lactobacillus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다음 적어도 60brix가 되도록 농축한 것에, 모발 침투 촉진제로서 Urea 1.0~20중량%(1제 기준)과, 항산화제로서 Sodium ascorbate 0.01~10.0중량%(1제 기준), 및 정제수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1제;와
    매염제로서 FeSO7H2O 1.0~10.0중량%(2제 기준),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브산 0.01~10.0 중량%(2제 기준)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2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7. 제6항에 있어서,
    1제의 pH가 7.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8. 제6항의 1제 조성물을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20~30에서 15~30분 동안 처리하는 단계와,
    제6항의 2제 조성물을 1제와 동일한 양으로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모발을 20~30에서 15~30분 동안 처리 후 수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모발의 염색방법.
KR1020130096124A 2013-08-13 2013-08-13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156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124A KR101566585B1 (ko) 2013-08-13 2013-08-13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124A KR101566585B1 (ko) 2013-08-13 2013-08-13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404A KR20150020404A (ko) 2015-02-26
KR101566585B1 true KR101566585B1 (ko) 2015-11-06

Family

ID=5257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124A KR101566585B1 (ko) 2013-08-13 2013-08-13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046B1 (ko) 2022-09-22 2023-08-23 한국콜마주식회사 흑호두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0812A (ja) * 2000-03-27 2001-10-02 Picaso Cosmetic Laboratory Ltd 染毛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0812A (ja) * 2000-03-27 2001-10-02 Picaso Cosmetic Laboratory Ltd 染毛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046B1 (ko) 2022-09-22 2023-08-23 한국콜마주식회사 흑호두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404A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reishian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of silk fabric dyed with turmeric extract
EP1098627B1 (de) Färbemittel zum färben von keratinfasern
KR101621032B1 (ko) 염료로서 차 폴리페놀 및/또는 차 색소의 용도 및 그의 제품
CN106214579A (zh) 一种诺丽酵素美白防晒霜及其制备方法
EP1901707A1 (de) Mittel zur behandlung des haares oder der haut, das einen extrakt aus pflanzen enthält, die der familie der oleaceae angehören
JP2010138173A (ja) 少なくとも1つのオルトジフェノール、1つの金属塩、過酸化水素、(重)炭酸塩及び界面活性剤を含む化粧品組成物、ならびに該組成物から出発する染色方法
CN102485201A (zh) 含一或多种食用色素或化妆品色素的染发剂及其染发方法
TW201223551A (en) Hair dye containing one or multiple edible pigments or cosmetic pigments and hair dye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8392433A (zh) 一种复合剂型的染发剂
WO2000059457A1 (de) Phosphattyp tenside kombiniert mit haarkonditioniermitteln in harrfärbungszusammensetzungen
WO1999020233A1 (de) Verwendung von phenaziniumsalzen zum färben von keratinhaltigen fasern
WO2001015662A2 (de) Haarfärbeverfahren
KR101862330B1 (ko) 헤나 및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1566585B1 (ko) 석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색방법
US8216556B2 (en) Coloring material and its use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cosmetics, especially for making up the skin and superficial body growths
WO2010072577A2 (de) Pflegende haarfarbe
KR102442840B1 (ko) 아민기를 가지는 고분자 및 천연 염료의 혼합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방법
KR101048670B1 (ko) 석류과피유래 색소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용 천연염색조성물 및 상기 모발용 천연염색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염색방법
KR101929260B1 (ko) 락 염료 및 가자 염료를 이용한 천연 염색 방법
KR20140126160A (ko) 흑미 색소의 모발에 대한 염색효과
KR20130004623A (ko) 가자열매를 이용한 고기능성 천연염색방법
KR102196631B1 (ko) 모발 침투성이 증가된 양이온성 고분자 및 치자황색소의 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Park et al. Dye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tificial silk with Equisetum arvense L. extract
WO1999025314A1 (de) Verwendung von alkylierten phenothiazinen zum färben von keratinhaltigen fasern
KR102096027B1 (ko) 비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산화형 염모제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염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