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843B1 - 콕킹용 골프장갑 - Google Patents

콕킹용 골프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843B1
KR101565843B1 KR1020140043153A KR20140043153A KR101565843B1 KR 101565843 B1 KR101565843 B1 KR 101565843B1 KR 1020140043153 A KR1020140043153 A KR 1020140043153A KR 20140043153 A KR20140043153 A KR 20140043153A KR 101565843 B1 KR101565843 B1 KR 10156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node
cocking
grip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471A (ko
Inventor
홍두호
Original Assignee
홍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두호 filed Critical 홍두호
Publication of KR2014005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8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a layer of grip improv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82Protective gloves with means to restrain or support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Abstract

콕킹용 골프장갑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콕킹용 골프장갑은, 콕킹용 골프장갑으로서, 손바닥이 수용되는 손바닥 수용부와, 엄지와 검지 및 중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엄지, 검지 및 중지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약지와 소지의 일부영역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영역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약지 수용부와 소지 수용부의 일부만을 결합하는 결합부가,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와,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위치한 영역에 형성되는 분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기부는,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소지 수용부와,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약지 수용부를 연통시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소지 수용부와,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약지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와 약지의 첫째 마디를 선택적으로 묶기 위한 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 장갑의 약지 수용부와 소지 수용부를 일부분만 결합하고 나머지 부분, 즉 손가락들의 중간영역에서 상부영역까지는 결합하지 않음으로써 골프채를 파지할 때 파지력이 약지와 소지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파지력이 향상되면서 약지와 소지 및 손바닥의 날 영역으로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골프채 헤드의 무게를 느끼게 하는 콕킹 그립으로, 다운 스윙을 그립끝 손날 부분으로 헤드를 잡아 당기면서 스윙을 하기 때문에, 스윙시에 토핑이나 생크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콕킹용 골프장갑{GOLF GLOVE FOR COCKING}
본 발명은 콕킹용 골프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지와 약지가 삽입되는 소지 삽입부와 약지 삽입부의 일부분만을 결합함으로써, 장갑을 착용하고 골프채를 감아 잡을 때, 파지력이 소지 및 약지 그리고 손바닥의 날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안정된 그립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헤드의 무게를 손에서 느낄 수 있어서 정확한 콕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운 스윙시 그립 끝부분의 손날 부분으로 헤드를 잡아 당기면서 임펙트를 하여 훅이나 슬라이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콕킹용 골프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채를 잡는 그립은 왼손에 오른손을 위치시키는 방법에 따라 오버래핑 그립(OVERLAPPING GRIP)과, 인터록킹 그립(INTERLOCKING GRIP) 그리고 베이스볼 그립(BASEBALL GRIP) 등이 있는데, 통상적으로 왼손은 골프 크럽을 안정되게 받치는 축의 역할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오른손은 골프 클럽의 헤드가 공을 칠수 있도록 진행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올바른 그립이란 스윙을 함에 있어 손의 역할을 가능한 최소화하여 몸의 회전 동작에서 창출하는 힘의 스피드를 클럽 헤드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한 그립 상태는 양손이 조화를 이루어, 즉 어느 한 손이 다른 한 손을 지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 양손이 동등한 힘의 배분을 가지고 골프채를 이끌어 균형있는 스윙을 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올바른 그립을 위하여 골퍼들은 그립 상태를 견고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골프채을 파지하는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골프 장갑을 필히 착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 장갑은 골프채의 스윙시 발생하는 양손의 손가락부위의 유동에 의한 임펙트 순간에 손안에서 그립이 돌아 슬라이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골프 장갑은 손가락이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됨으로써, 골프채를 파지할 때, 파지력이 각 손가락에서 발생되어 결국 손 전체 힘으로 콜프채를 파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어드레스부터 백스윙, 다운 스윙시까지 손목이 손등 쪽으로 꺽이거나 손바닥 쪽으로 꺽이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각 손가락 모두에 힘을 주어 그립을 파지할 경우에, 손목이 손등 쪽을 꺽이게 되면 슬라이스가 발생되고, 손바닥 쪽으로 꺽이면 훅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손목이 손등이나 손바닥 쪽으로 꺽임으로써 백스윙이나 다운 스윙시에 팔꿈치가 꺽여 토핑 또는 쌩크가 발생하게 되고, 헤드 무게를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13075호(공개일 : 2005년 02월02일)가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에 의한 골프장갑은 왼손장갑의 엄지와 검지를 제외한 손가락들을 단일 공간으로 수용하는 제1수용부를 갖추고, 오른손 장갑은 엄지와 검지 및 소지 이외의 손가락들을 단일공간으로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골프장갑은 왼손용 장갑이 중지와 약지 그리고 소지를 한꺼번에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골프채의 파지시에 세 손가락이 한꺼번에 골프채를 감아 쥐게 됨으로써 결국에는 손 전체로 골프채를 강하게 파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13075호(공개일 : 2005년 02월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콕킹용 골프장갑을 구성함에 있어서, 약지와 소지를 결합시키되, 약지와 소지의 일부분만 결합하고 나머지 부분, 즉 손가락들의 중간영역에서 상부영역까지는 결합하지 않음으로써 골프채를 파지할 때 파지력이 약지와 소지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파지력이 향상되면서 약지와 소지 및 손바닥의 날 영역으로 집중되어 어드레스에서 백스윙 및 다운 스윙시에 손목이 소지의 손날 부분의 힘으로 꺽이는 콕킹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헤드의 무게를 느끼게 해주고 다운 스윙시 그립 끝부분의 손날 부분으로 헤드를 잡아 당기면서 임팩트하여 훅이나 슬라이스, 토핑 또는 생크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콕킹용 골프장갑으로서, 손바닥이 수용되는 손바닥 수용부와, 엄지와 검지 및 중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엄지, 검지 및 중지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약지와 소지의 일부영역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영역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약지 수용부와 소지 수용부의 일부만을 결합하는 결합부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와,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위치한 영역에 형성되는 분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소지 수용부와,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약지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와 약지의 첫째 마디를 선택적으로 묶기 위한 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소지영역과,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약지영역에서 손바닥 수용부 방향으로 손날과 평행하도록 다수 줄의 미끄럼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 수단은, 다수개의 고무줄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거나 봉제 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 수단은,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고무줄들은 각 단부가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되거나 봉제 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 수단은, 장갑의 표면 일부가 돌출되도록 접어 재봉하여 형성되는 솔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엄지 수용부를 향하는 상기 검지 수용부의 날 영역에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용 솔기로 이루어지거나,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들의 각 단부가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 또는 봉제 되거나, 연질재가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엄지 수용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용 솔기로 이루어지거나,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들의 각 단부가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 또는 봉제 되거나, 연질재가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엄지 수용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검지 수용부 방향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그립의 외주면 일부분에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상기 엄지 수용부재의 중심은 높고,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낮게 형성되거나, 상기 그립의 외주면 일부분에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상기 엄지 수용부재의 중심은 높고,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낮은 오목한 원호형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 장갑의 약지 수용부와 소지 수용부를 일부분만 결합하고 나머지 부분, 즉 손가락들의 중간영역에서 상부영역까지는 결합하지 않음으로써 골프채를 파지할 때 파지력이 약지와 소지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파지력이 향상되면서 약지와 소지 및 손바닥의 날 영역으로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골프채 헤드의 무게를 느끼게 하는 콕킹 그립으로, 다운 스윙을 그립끝 손날 부분으로 헤드를 잡아 당기면서 스윙을 하기 때문에, 스윙시에 토핑이나 생크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갑의 소지 수용부와 약지 수용부의 표면 및 검지 수용부의 외측 표면에 미끄럼방지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그립력이 더욱 향상되어 그립이 손안에서 돌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지 수용부와 약지 수용부, 그리고 검지 수용부와 더불어 엄지 수용부에도 미끄럼방지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그립력이 향상됨은 물론, 엄지가 그립을 가볍게 지지하게 되어 콕킹이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한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콕킹용 골프장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콕킹용 골프장갑을 착용하여 스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한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5는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한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한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한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한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한 개략적 일부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일부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한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콕킹용 골프장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콕킹용 골프장갑을 착용하여 스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20)은, 골프 그립(10)을 파지하는 손의 파지력이 힘이 약한 소지(34)와 약지(32) 그리고 손날(36)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콕킹용 골프장갑(20)은 손바닥이 수용되는 손바닥 수용부(22)와, 엄지와 검지 및 중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엄지, 검지 및 중지 수용부(24A,24B,24C)가 각각 형성되고, 약지(32)와 소지(34)의 일부영역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영역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약지 수용부(24D)와 소지 수용부(24E)의 일부만을 결합하는 결합부(26)가 구비된다.
즉, 약지 수용부(24D)와 소지 수용부(24E)의 일부만을 결합하는 결합부(26)에 의해 장갑(20)을 착용하면, 약지(32)와 소지(34)가 일부만 결합되므로 그립(10) 의 파지시에 약지(32)와 소지(34)에 파지력이 집중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결합부(26)는 소지 수용부(24E)와 약지 수용부(24D)의 분기점이 되는 분기부(28)로 이루어진다. 이 분기부(2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지(34)의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소지 수용부(24E)와, 약지(32)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약지 수용부(24D)를 연통시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갑(20)을 착용하게 되면, 약지(32)와 소지(34)는 마지막 마디를 제외한 나머지 마디만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갑(20)의 약지 수용부(24D)와 소지 수용부(24E)의 맞닿는 영역, 즉 약지(32)의 첫째 마디(32A)가 수용되는 영역의 가장자리와, 소지(34)의 둘째 마디(34A)가 수용되는 영역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분기부(28)를 형성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갑(20)을 착용한다.
이때, 분기부(28)는 약지(32)의 첫째 마디(32A)와 둘때 마디(32B)의 경계나, 둘째 마디(32B)의 중간과, 소지(34)의 둘째 마디(34A)가 위치하는 영역 약지 수용부(24D)와 소지 수용부(24E)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결합부(26)를 갖는 장갑(20)을 착용하게 되면, 약지(32)와 소지(34)는 결합부(26)에 의해 일부 영역이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립(10)을 파지하기 위해서, 소지(34)를 그립(10)에 감게 되면, 약지(32)도 소지(34)를 따라 그립(10)을 파지하게 된다. 즉, 소지(34)와 약지(32)가 일부분이 결합된 상태로 같이 그립을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장갑(20)의 소지 수용부(24E)와 약지 수용부(23D)가 결합부(26)에 의해 일부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그립(10)을 파지하게 되면, 약지(32)와 소지(34)가 중간부까지는 결합부(26)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두 손가락(32,34)이 일체화되어 파지력이 두 손가락(32,34)에 집중된 상태로 그립(10)을 파지하게 되고, 결합되지 않은 약지(32)와 소지(34)의 마지막 마디는 각각 독립적으로 그립(10)을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손가락(32,34)이 일부만 일체화된 상태로 그립(10)을 파지하게 되면, 파지력이 두 손가락(32,34), 즉 약지(32)와 소지(34)로 집중되고, 결국에는 손날(36)과 더불어 그립(10)을 견고하게 파지하게 된다.
이때, 그립(10)을 파지하는 파지력이 두 손가락(32,34)와 손날(36)에 집중되므로, 엄지와 검지 및 중지에 파지력이 최소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그립(10)을 파지할 때, 엄지와 검지 및 중지에 파지력이 최소로 전달되므로, 손목이 손등 또는 손바닥 쪽으로 꺽임으로 인한 혹 또는 슬라이스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어깨와 팔이 흔들리는 등의 스윙으로 인한 토핑 및 쌩크의 발생율이 낮아진다. 또한, 약지(32)와 소지(34) 두 손가락과 손날(36)의 힘으로 백스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헤드무게를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립 끝 손날부분으로 헤드를 잡아 당기는 부드러운 다운 스윙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그립(10)은 파지력이 약지(32)와 소지(34) 및 손날(36)에 집중되어야 했으나, 종래에는 소지(34)와 약지(32)가 분리됨으로써, 파지력이 두 손가락(32,34)에 집중되지 못하고 엄지와 검지 및 중지로 분산되었고, 이로 인하여 그립(10)을 손가락 전체로 파지하여, 손목이 꺽이거나 어깨나 팔이 흔들릴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갑(20)은 그립(10)의 파지시에 파지력이 일부만 결합된 약지(32)와 소지(34) 그리고 손날(36)에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엄지나 검지 및 중지에 파지력이 집중시킴으로써 발생되었던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립(10)을 취부한 후 어드레스에서 백스윙, 그리고 다운 스윙시에, 왼손의 모든 손가락에 힘을 주게 되면, 손목이 엄지손가락 쪽으로 꺽일 수 없고, 손등이나 손바닥 쪽으로 꺽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팔꿈치를 꺽이게 하고, 팔꿈치가 꺽이게 되면 제대로 된 스윙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착용한 후 그립(10)의 파지시에 약지(32)와 소지(34) 및 손날(36)에 힘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시에 팔을 쭉 편 상태로 손목을 엄지손가락 쪽으로 꺽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왼손의 팔굼치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어드레스에서 백스윙 및 다운 스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의 착용시에 소지(34)와 약지(32)에 파지력이 집중되어 스윙시 콕킹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손목이 미리 꺽이거나 미리 풀어지지 않고 올바른 스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콕킹용 골프장갑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콕킹용 골프장갑(20)은, 소지(34)와 약지(32)를 일부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6)가 소지(34)와 약지(32)의 일부분을 묶어 고정하기 위한 밴드부재(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장갑(20)을 착용하여, 소지(34)와 약지(32)의 일부분이 결합부(26)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에서, 소지(34)와 약지(32)를 선택적으로 묶어 결합하기 위한 밴드부재(40)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밴드부재(40)는 소지(34)와 약지(32)를 묶어 그립(10)을 파지할 때, 파지력이 소지(34)와 약지(32)에 더욱 집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소지(34)와 약지(32)를 묶어 같이 움직이도록 하면, 소지(34)와 약지(32)에 힘이 더욱 집중되는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밴드부재(40)는 여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지(34)의 둘째 마디(34A)가 수용되는 소지영역의 소지 수용부(24E), 또는 약지(32)의 첫째 마디(32A) 또는 둘째 마디(32B)가 수용되는 약지영역의 약지 수용부(24D)에 각 일단이 결합된 밴드부재(40)의 각 타단에 길이조절 및 길이 고정을 위한 고정구를 구비시켜 밴드부재(40)를 조이거나 조임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밴드부재(40)를 폐 루프 상태로 구성하여 소지(34)와 약지(32)를 수용한 상태에서 소지(34)와 약지(32)를 조여 두 손가락(32,34)의 일부 영역만 묶어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 대신에 밴드부재(40)의 양단에 밸크로 테이프를 각각 부착하여 서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밴드부재(40)는 장갑의 손등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립(10)의 파지시에 그립(10)과의 사이에서 이물감이 느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밴드부재(40)로 소지(34)와 약지(32)의 일부분을 묶어 서로 결합하게 되므로 파지력은 소지(34)와 약지(32)에 더욱 집중될 수 있다.
한편, 도 5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장갑(20)은, 소지(34)의 둘째 마디(34A)가 수용되는 소지영역과, 약지(32)의 첫째 마디(32A) 또는 둘째 마디(32B)가 수용되는 약지영역에서 손바닥 수용부(22) 방향으로 손날(36)과 평행하도록 다수 줄의 미끄럼방지 수단이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약지 수용부(24D)와 소지 수용부(24E)에서 손바닥 수용부(22) 방향으로 여러 줄의 미끄럼방지 수단이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미끄럼방지 수단은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50)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고무줄(50)들은 각 단부가 장갑(2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되거나 봉제 되는 것이다.
이때, 고무줄(50)은 길이방향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약지 수용부(24D)와 소지 수용부(24E)에서 손바닥 수용부(22) 방향으로 미끄럼방지 수단인 고무줄(50)이 구비됨으로써, 미끄럼이 방지되어 그립(10)의 파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마찰력이 높은 여러 줄의 고무줄(50)이 그립(10)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그립(10)의 파지시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소지(34)와 약지(32)의 굴곡에 수용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특히, 고무줄(50)의 경우에는, 그립(10) 파지시에 그립(10)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므로, 미끄럼 방지는 물론,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장갑(20)은, 미끄럼방지 수단이 장갑(20)의 표면 일부가 돌출되도록 접어 재봉하여 형성되는 솔기(60)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4 실시예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수단이 장갑(20)의 원단(직물이나 가죽)을 접어 재봉하여 형성되는 솔기(60)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장갑(20)은, 엄지 수용부(24A)를 향하는 검지 수용부(24B)의 날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방지부재(50A)으로서 미끄럼방지용 솔기가 돌출 형성되거나, 가는 고무줄이 부착되거나 재봉되거나, 연질재가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같다. 즉, 검지 수용부(24B)에 미끄럼방지부재(50A)로서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들이 구비될 수 있고, 고무줄들은 각 단부가 장갑(2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되거나 봉제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장갑(20)은, 엄지 수용부(24A)의 표면(손바닥을 향하는)에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럼방지부재(50B)가 구비된 것이다. 즉, 미끄럼방지용 솔기가 돌출 형성되거나, 가는 고무줄이 부착 또는 재봉되거나, 연질재로 된 줄이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4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와 같다. 다시 설명하면, 엄지 수용부(24A)에 미끄럼방지부재(50B)로서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들이 구비될 수 있고, 고무줄들은 각 단부가 장갑(2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되거나 봉제 되는 것이다.
이때, 미끄럼방지부재는 엄지 수용부(24A)의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된 다양한 구조 및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부재(50C)는 엄지 수용부재(24A)의 중심에서 검지 수용부(24B) 방향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엄지가 그립(10)의 정 중앙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엄지가 그립(1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엄지에 힘이 집중되어 그립(10)의 헤드 무게를 느끼지 못하고, 콕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엄지의 일측영역으로 그림(10)을 가볍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부재(50C)는, 그립(10)의 외주면 일부분에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엄지 수용부재(24A)의 중심 방향 쪽은 높고,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그립(10)의 외주면 일부분에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엄지 수용부재(24A)의 중심은 높고,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낮은 오목한 원호형의 경사면(50D)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미끄럼방지부재(50C)는 경사면(50D)을 갖는 고무줄, 가죽,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엄지 수용부(24A)와 검지 수용부(24B)에 미끄럼방지부재(50A,50B,50C)가 구비됨으로써, 약지(32)와 소지(34) 영역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 수단과 더불어 그립(10)의 파지시 안정적인 그립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그립 20 : 장갑
22 : 손바닥 수용부 24A : 엄지 수용부
24B : 검지 수용부 24C : 중지 수용부
24D : 약지 수용부 24E : 소지 수용부
26 : 결합부
28 : 분기부 32 : 약지
32A : 둘째 마디 32B : 첫째 마디
34 : 소지 34A : 둘째 마디
36 : 손날 40 : 밴드부재
50 : 고무줄 60 : 솔기
50A,50B,50C : 미끄럼방지부재 50D : 경사면

Claims (10)

  1. 삭제
  2. 콕킹용 골프장갑으로서,
    손바닥이 수용되는 손바닥 수용부와, 엄지와 검지 및 중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엄지, 검지 및 중지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약지와 소지의 일부영역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영역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약지 수용부와 소지 수용부의 일부만을 결합하는 결합부가,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와,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위치한 영역에 형성되는 분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기부는,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소지 수용부와,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약지 수용부를 연통시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소지 수용부와,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약지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와 약지의 첫째 마디를 선택적으로 묶기 위한 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지의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소지영역과, 상기 약지의 첫째 마디 또는 둘째 마디가 수용되는 약지영역에서 손바닥 수용부 방향으로 손날과 평행하도록 다수 줄의 미끄럼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수단은,
    다수개의 고무줄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거나 봉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수단은,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고무줄들은 각 단부가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되거나 봉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수단은,
    장갑의 표면 일부가 돌출되도록 접어 재봉하여 형성되는 솔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수용부를 향하는 상기 검지 수용부의 날 영역에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용 솔기로 이루어지거나,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들의 각 단부가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 또는 봉제 되거나, 연질재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 수용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용 솔기로 이루어지거나, 0.1-0.5mm의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고무줄들의 각 단부가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부착 또는 봉제 되거나, 연질재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엄지 수용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검지 수용부 방향으로 치우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그립의 외주면 일부분에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상기 엄지 수용부재의 중심은 높고,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그립의 외주면 일부분에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상기 엄지 수용부재의 중심은 높고,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낮은 오목한 원호형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용 골프장갑.
KR1020140043153A 2012-10-22 2014-04-10 콕킹용 골프장갑 KR101565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85 2012-10-22
KR20120117485 2012-10-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582A Division KR101500634B1 (ko) 2012-10-22 2012-11-20 콕킹용 골프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471A KR20140058471A (ko) 2014-05-14
KR101565843B1 true KR101565843B1 (ko) 2015-11-05

Family

ID=506559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582A KR101500634B1 (ko) 2012-10-22 2012-11-20 콕킹용 골프장갑
KR1020140043152A KR101565842B1 (ko) 2012-10-22 2014-04-10 콕킹용 골프장갑
KR1020140043153A KR101565843B1 (ko) 2012-10-22 2014-04-10 콕킹용 골프장갑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582A KR101500634B1 (ko) 2012-10-22 2012-11-20 콕킹용 골프장갑
KR1020140043152A KR101565842B1 (ko) 2012-10-22 2014-04-10 콕킹용 골프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500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29421C (en) 2015-05-13 2023-06-20 Bigz Tech Strength-enhancing glove
KR200492896Y1 (ko) * 2019-04-05 2020-12-29 김미희주 그립감이 향상된 골프장갑
KR102501034B1 (ko) 2022-03-31 2023-02-16 임창선 슬립 방지 패드를 가진 골프 장갑
KR102482236B1 (ko) 2022-04-05 2022-12-27 임창선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789A (ja) * 2001-06-21 2003-01-07 Katsuya Seo グリップ補助手袋および補助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607Y1 (ko) * 2000-02-12 2000-07-15 로버트 태부 박 골프 장갑
KR200215471Y1 (ko) * 2000-09-07 2001-03-15 주식회사제이슨 상사 골프장갑
KR20090079749A (ko) * 2008-01-17 2009-07-22 이재웅 운동용 장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789A (ja) * 2001-06-21 2003-01-07 Katsuya Seo グリップ補助手袋および補助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22A (ko) 2014-04-30
KR101500634B1 (ko) 2015-03-09
KR101565842B1 (ko) 2015-11-05
KR20140056202A (ko) 2014-05-09
KR20140058471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418B2 (en) Adjustable glove
EP0658322B1 (en) Wrist restraining glove
KR101565843B1 (ko) 콕킹용 골프장갑
KR101363659B1 (ko) 골프용 장갑
WO2009142615A1 (en) Correct grip sports glove
US6205588B1 (en) Golfing glove with improved tee holder
KR101501743B1 (ko) 장갑 및 그 부속품
US20120283049A1 (en) Basketball Shoo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0090222972A1 (en) Left-Handed Golf Glove Having Grip Fixing Band
KR101030131B1 (ko) 손목 고정 기능이 부가된 골프용 장갑
US3411159A (en) Golfer's grip-aid
US7058984B2 (en) Golf gloves
US10368596B2 (en) First metacarpal sling for ball glove
KR200422593Y1 (ko) 그립 파지력 강화밴드가 고정부착된 골프장갑
US20100125924A1 (en) Finger Protector
KR101245489B1 (ko) 골프 클럽의 안정적인 파지를 보장하는 골프 장갑
EP2830727B1 (en) Baseball glove with floating pad fit adjustment
KR101302080B1 (ko) 골프용 장타 골무
KR20190014716A (ko) 그립규제형 더블밴드 손목고정 골프장갑
JP2008240164A (ja) スポーツ用手袋
KR101333345B1 (ko) 골프장갑
JP6811668B2 (ja) サポート部材
JP2000317031A (ja) ゴルフスイング矯正具
US20200360797A1 (en) Batting glove protection device
JP3057607U (ja) ゴルフ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